로그인

검색




IMG_6468.JPG



짬뽕과 조리과정이 비슷한데 물을 적게 넣어서 만드는 중화비빔밥.

짜장면을 중국음식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한 것과 비슷한 정도인 한국식 중식이다.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세가지가 다 다르다고도 하는데, 친정에 단골중국집에서 주로 야끼밥으로 먹었고 다른 데서도 먹어보니 비슷한 느낌이었다. 짜장밥/간짜장밥/유니짜장밥이 다른 정도로 어디든 약속된 규범이 있는 건 아닌것 같다. 중화비빔밥소스는 면에 올려서 비빔짬뽕으로도 괜찮고, 면과 함께 볶아서 야끼짬뽕으로도 괜찮다.


좋아하는 음식은 어지간하면 만들어보고 싶어하는 편이라 수 년 전에 처음 만들어보고 여태 몇 번 만들었지만 재료의 양이나 종류가 너무 과하게 많거나 육수가 적거나 전분을 사용했거나 하는 이유로 고칠 부분이 있었는데 오랜만에 만들면서 전에 마음에 들지 않았던 부분을 보완하니 마음에 들게 맛있게 되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시피는 2~3인분으로 


밥 2컵으로 지은 밥(180미리 2컵)

(2.5~3그릇가량 된다. 식성에 따라 2인분으로도 먹지만 3인분으로도 먹을 수 있다.)



고추기름 2~3스푼

돼지기름 약간 (없으면 식용유)

대파 1대

마늘 5~6개 다지기

다진생강 약간(생략가능)


돼지고기 안심 150그램 채썰기 (등심, 앞다리 기름적은것)

오징어 중간 것 1마리 채썰기

(새우, 문어, 관자 등 해산물 추가 가능)


양파 1개

알배추 4잎

주키니호박 6분의1개

당근 약간

목이버섯 1줌 (생략가능) (미리 준비)


간장 1.5스푼

청주 1스푼

굴소스 0.5스푼

고운고춧가루 3스푼

후추 약간


닭육수 300미리 (물 300미리 + 이금기치킨파우더 1티스푼)


부추 약간 (생략가능)

참기름 약간, 깨 약간

계란후라이 2~3개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재료준비, 육수준비, 후라이준비
2. 센 불에 향채소 볶기
3. 고기 해산물 볶기
4. 소스 넣고 볶기
5. 육수 붓고 끓이기
6. 농도, 간 맞추고 밥에 얹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징어는 채썰고, 돼지고기도 채썰어두었다.
IMG_8052.JPG


데친문어도 준비했는데 해산물은 취향에 따라 적당히 준비한다.
IMG_6408.JPG



양파, 알배추, 주키니호박, 당근은 채썰어두고

목이버섯은 불리고 데쳐서 냉동해 둔 것을 사용했다.


IMG_6402.JPG


배추는 너무 두꺼우면 이렇게 썰기도 한다.
IMG_6396.JPG



IMG_6397.JPG



대파, 마늘, 생강도 준비했다.
IMG_6399.JPG



물에 치킨파우더를 넣고 잘 저어서 닭육수를 미리 만들어둔다. 닭육수는 일단 한 번 끓이고 불을 끈 다음 소스를 볶을 때 동시에 옆에 끓여서 사용한다.
IMG_6416.JPG


IMG_6417.JPG



계란은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튀기듯이 구워두었다.
기름을 넉넉하게 두른 팬에 계란을 넣고 가장자리가 짜글짜글하게 구워지면 뜨거운 기름을 숟가락으로 떠서 계란 위에 몇 번 뿌려주면 흰자는 익고 노른자는 그대로다.
IMG_5088.JPG


고기, 해산물, 채소, 소스등의 재료를 전부 바로 넣을 수 있도록 준비했고,
밥도 지었고 육수도 끓였고 계란후라이도 동시에 굽고 있으면.

중화비빔밥 소스는 금방 후루룩 볶아서 만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달군 팬에 고추기름과 돼지기름(혹은 식용유)를 넣고 대파와 마늘, 생강을 볶다가

IMG_6418.JPG


IMG_6420.JPG


IMG_6421.JPG



채 썬 돼지고기와 오징어 (+해산물)를 넣고 빠르게 볶고 (문어는 미리 데친거라 오징어가 반정도 익으면 넣었다.)
IMG_6423.JPG


IMG_6425.JPG



간장, 청주를 넣어서 바글바글 끓으면서 향이 더해지면IMG_6426.JPG



굴소스, 고춧가루를 넣고 볶고
IMG_6427.JPG



준비한 채소를 넣어서 볶고
IMG_6428.JPG



(업소 수준으로 센불로 조리해야 하는데 그럴 수 없으니까 모자란 부분을 토치로 보완했다. 필수적이진 않지만 하면 더 맛있기는 하다.)
IMG_6430.JPG


미리 손질해 둔 목이버섯도 넣어서 함께 볶았다.
IMG_6431.JPG


이제 닭육수를 붓는데..

ㅡㅡㅡ
닭육수는 뜨거운 것 바로 넣어야 채소가 아삭하기 때문에 옆에서 시간을 맞춰서 끓인 다음 끓는 육수를 바로 부어야 한다.
그래서 아까 끓였다가 불을 껐던 닭육수는 채소를 볶을 때 다시 불을 켜서, 채소가 적당히 볶은 시점과 타이밍에 맞게 팔팔 끓도록 하고 바로 부었다.

닭육수를 넣고 난 다음에는 소스에 농도가 생기도록 조금 끓여주어야 비벼먹기 너무 축축하지도 뻑뻑하지도 않다.

물전분을 사용해야 농도가 날 것 같지만 물전분을 넣어보니 너무 뻑뻑해서 넣지 않는 편이 더 좋았다.

(고운고춧가루가 소스에 농도를 내는 키포인트라서 고운고춧가루를 꼭 사용해야 물전분없이 농도가 난다.)

ㅡㅡㅡ


끓는 육수를 부었기 때문에 거의 바로 끓어오르기 시작한다.
IMG_6432.JPG


이대로 3분~4분 정도 센 불로 끓이는데 시간보다는 상태가 중요하다. 끓는 동안에 후추를 약간 뿌렸다.  (끓이면서도 토치질을 하는 건 선택)
IMG_6433.JPG



상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아래와 같이 농도가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IMG_6440.JPG


IMG_6441.JPG


주걱으로 긁으면 바닥이 잠깐 보였다가 사라지는 정도로 끓여야 밥에 소스를 얹었을 때 너무 축축하지 않고 비벼먹기 딱 좋다.

불을 끄기 전에 간을 봐서 싱거우면 소금을 약간 넣을 수 있는데 먹어보니 간은 딱 맞았다. 밥에 얹을거니까 약간 짭잘한 정도로 맞춘다.
불을 끄고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완성.
IMG_6442.JPG



그릇에 밥을 담고 짬뽕소스를 듬뿍 얹은 다음 깨를 약간 뿌리고 계란후라이를 얹었다.

IMG_6468.JPG



슥슥
IMG_6481.JPG



밥과 소스를 비비기 시작하면서 상태를 보면 밥알 사이사이에 짬뽕소스가 있기는 하지만 소스가 흥건하게 보일 정도로 있는 것은 아니라서
전부 다 비빈 다음에 그릇 바닥을 보면 흥건하지 않고 비빈느낌으로 먹기 좋은 상태가 된다.

IMG_6482.JPG



IMG_6496.JPG



IMG_6499.JPG

매콤하면서 감칠맛 있는 짬뽕소스에 고기와 해산물에 채소까지 먹기 좋게 잘 익었다.
슥슥 비벼서 한 숟가락에 여러재료가 올라가도록 크게 올려서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20.04.24 10:04

    어머나!!! 중화비빔밥이라니!!

    짬뽕을 바특하게 끓이면 중화비빔밥이 되는거라니!!

    와~~~ 제게는  아직도 너무너무 신기하고 새로운 음식들이 참 많아요!!!

    그런거였군요!!!! 몰랐어요!!

     

     

    이상하게 나이들면서 국에 밥말아 먹는게 별로더라구요 요렇게 촉촉한 덮밥류는 좋아해도요 ^^

    그비싼 오징어와 더 비싼 문어까지!!꺄아...럭셔리중화비빔밥이네요~ ^^

     

    예전엔 오징어 참 싸서 우습게 알았는데 ㅠ 지금은 너무 비싸져서 손이 후달달해지는 오징어 ㅠ

     

    중간에 나오는 토치를 보자 왕뿌듯합니다ㅋㅋㅋ (아직도 개봉전 -_-;;)

  • 이윤정 2020.04.27 03:45
    중화비빔밥이 중국집 음식인데도 한국 내 지역색이 있는 음식이라서 모르는 분은 모르시는 것 같더라고요ㅎㅎ

    저는 국에 밥말아 먹는 것 나이 먹고 더 좋아하게 되었는데 요즘 부쩍 국 끓이는 것이 귀찮아지면서 집에서 국을 덜 먹게 되니까 국밥을 먹으러 다녀서 그런 것 같아요ㅎㅎㅎㅎ 덮밥은 금방 만들기 쉬우니까 자주 만들고요ㅎㅎ 모든 게 다 귀찮냐 아니냐 이분법적이죠ㅎㅎㅎㅎㅎ

    예전에는 오징어가 비싸지면 금징어라고 했는데 요즘은 그런 말도 없어지고 오징어는 이정도 가격이 기본이다 이런 느낌이에요.

    그나저나 토치는 제가 가서 개봉해서 안겨드리고 싶은ㅋㅋㅋ
  • 땅못 2020.04.24 16:51

    와아 너무 맛있어 보이는데 하필 제가 어제 저녁에 중국집식 (중식X 중국집식O ㅋㅋ) 짜장이 너무 먹고 싶어서 짜장볶아서 면에도 비벼먹고 면 안먹는 사람은 중국집식 계란새우볶음밥도 해서 같이 곁들였어요. 국물이 필요하다해서 짬뽕탕 팩 사두었던 거까지 해버렸네요 ㅠㅠ중국집식 스타일로 푸짐하게 먹어버렸어요... 당분간 중식쿨타임이 안찰듯하네요 ㅠㅠ 당장 하고싶은데 힝 ㅠㅠㅠ 꼭 시도해보겠습니다!

    오늘도 역시 윤정님의 재료손질하신 사진을 보면 스트레스가 풀려요. 넘 예쁘고 가지런하게 씻고 다듬고 해 놓으신 게 정말 윤정님 손길은 대단합니당>////< 조만간에 이 레시피 꼭 잘 따라해볼게요. 주말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라고 늘 감사해용 ㅎㅎ

  • 이윤정 2020.04.27 03:49
    아니 한 끼에 짜장면에 짜장 곁들인 새우볶음밥에 짬뽕까지 한 상 그득하게 차리셨군요. 고생 많이 하셨어요. 저는 무조건 짜장면을 해도 메뉴통일! 볶음밥을 해도 메뉴통일! 두 가지 하면 생색 엄청내요ㅎㅎㅎㅎㅎ
    재료 손질이야 무조건 해야 하는거라 중간중간 사진 한 두 번 찍어가며 지나가는 건데 눈여겨 봐주시는 마음씀씀이에 언제나 감사한 말씀 전합니다.
    중식 쿨타임은 무조건 언젠가는 차게 되어있는거니 느긋하게 맛있는 것 드시다 보면 아 이거! 하고 생각나시는 때가 올 것 같아요. 그 때 맛있는 음식으로 다시 만나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 아시아 분짜 만들기, 레시피, 먹는법, 비교적 간단버전 재작년에 분짜에 대해 이야기 한 이후, 뒤늦게 올리는 분짜 레시피이다. 분짜를 이루는 요소는 면, 소스, 절임채소, 생채소, 고기이다. 베트남 위키의 분짜 - htt... 8 file 이윤정 2021.02.12 15292
457 중식 멘보샤 그 유명한 멘보샤를 이제야 만들어봤다. 재료 새우 250그램 (해동 전 300~350그램) 식빵 4장 (8개 분량) 후추 약간 튀김기름 넉넉하게 스윗칠리소스로 친수칠리소... 4 file 이윤정 2021.01.20 4415
456 그 외 등등 와사비구매, 와사비 소분 냉동보관, 삼광 999 와사비뿌리나 와사비 가루, 마트에 파는 와사비 여러 종류를 비롯해 여태 와사비를 이것저것 사용해봤는데 사 본 것 중에 가격대비해서 가장 나았던 와사비는 삼... 13 file 이윤정 2021.01.18 13726
455 중식 중국집 잡채밥 만들기, 레시피 한식이라고 하기에는 중식집에서만 먹을 수 있고, 중식이라고 하기에는 중국에 없는 중국집 잡채밥. 잡채밥에 짜장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 2 file 이윤정 2021.01.16 10600
454 중식 고기간짜장, 유니간짜장, 짜장밥 오랜만에 간짜장. 다진고기와 작게 썬 채소를 넣고 만든 유니간짜장이다. 평소 레시피와 거의 같은데 고기를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 사용하고, 토치를 사용했... 2 file 이윤정 2021.01.13 4636
453 아시아 느억맘소스, 늑짬, 느억짬, 느억쩜 만들기, 베트남 음식 이야기 베트남 음식이라 하면 피시소스를 기반으로 한 여러 음식과 소스, 그리고 풍부하고 다양한 채소로 채워진 테이블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내 생각) 베트남 음식의... 4 file 이윤정 2021.01.03 15254
452 인도 간단버전 마살라소스, 버터치킨커리 간단버전 마살라소스 슬로우쿠커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간단하다고 하긴 글렀지만 그래도 재료가 비교적 간단하니까 간단버전이다. 약 10인분으로 2인분씩 5회분으... 6 file 이윤정 2020.10.13 18087
451 중식 레몬 파인애플 탕수육 3년 전에 올린 파인애플 탕수육과 레시피가 똑같다. 이유는 그동안 많은 시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원하는 답을 못찾아서 결국에는 회귀했기 때문 (ㅠㅠ) ... 6 file 이윤정 2020.09.30 6479
450 중식 고추기름소스 안심오이냉채, 산니백육 예전에는 사태나 족발을 사용한 장육냉채를 가장 즐겨했는데 요즘에는 홍유소스로 만드는 냉채를 가장 즐겨하고 있다. 산니백육은 편육과 오이, 홍유소스로 이루... 8 file 이윤정 2020.09.10 6923
449 일식 히야시츄카, 일본식 중화냉면 미리 만들어 두었던 덮밥소스로 일본식 중화냉면인 히야시츄카를 만들었다. 히야시츄카에 딱 맞는 면이 통 없어서 올리지 않았는데 그냥 포기하고 냉동 중화면을 ... 5 file 이윤정 2020.07.09 9100
448 일식 하이라이스 레시피, 하야시라이스 시판 고형 하이라이스로 만든 소고기 하이라이스. 사용한 재료는 3~6인분으로 소고기 500그램 토마토소스 200그램 양파 2개 (카라멜라이즈 하면 4개까지) 다진마... 2 file 이윤정 2020.07.07 8130
447 중식 쇠의황과, 중국식 아코디언 오이무침, 蓑衣黄瓜 중국식 오이무침은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 맵게 만드는 마라황과麻辣黄瓜 (양념기준) 칼면으로 내리친 다음 적당히 썰어서 만드는 파이황과 拍黄瓜 (형태기준) 슬... 6 file 이윤정 2020.06.25 13040
446 인도 아스파라거스 커리, 아스파라거스 코르마, 삽지 커리 sabji 삽지는 채소(그 중에서도 주로 녹황색 채소)를 뜻하는 말로 야채로 만든 커리를 통칭해서 삽지라고 부른다. 삽지 커리라고 하면 인도 외부에서 부르는 이름... 2 file 이윤정 2020.06.01 3588
» 중식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레시피, 만들기 짬뽕과 조리과정이 비슷한데 물을 적게 넣어서 만드는 중화비빔밥. 짜장면을 중국음식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한 것과 비슷한 정도인 한국식 중식이다. 중화비빔밥,... 4 file 이윤정 2020.04.24 20447
444 그 외 등등 아스파라거스 고르기, 보관하기, 손질하기, 조리하기, 사용/활용하기 아스파라거스 사용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mp;act=IS&amp;search_target=content&amp;is_keyword=%EC%95%84%EC%8A%A4%ED%8C%8C%EB%9D%BC%EA%B1%B0%EC... 4 file 이윤정 2020.04.20 14387
443 그 외 등등 계란지단 만들기, 잘부치는법 계란지단 부치는 음식을 할 때마다 계란지단 때문에 스크롤이 길어져서 링크로 대체하려고 따로 올린다. 보통 계란지단을 잘 만드는 방법으로 1. 체에 거르기 2. ... 6 file 이윤정 2020.02.28 15252
442 중식 대패삼겹살 산니백육, 홍유소스 대패삼겹살 냉채 중국에서 유명한 편육요리인 산니백육. 종잇장처럼 얇게 썬 편육과 오이에 고추기름으로 만든 맵고, 짜고, 새콤달콤한 소스를 곁들여 낸다. 산니백육은 통삼겹살... 4 file 이윤정 2020.01.13 10314
441 중식 시판 만두에 고추기름소스를 곁들인 홍유만두 紅油抄手 홍유소스를 곁들인 완탕만두를 보통 紅油抄手 홍유챠오쇼우 라고 하는데 새우완탕만두를 만들어서 해도 좋고 사서 사용해도 좋고, 시판 만두로 대체해도 괜찮다. ... 9 file 이윤정 2020.01.09 16462
440 그 외 등등 바지락 등 조개 손질하기, 해감하기 이전에 올린 백합손질법과 거의 비슷한데 끓여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류 전반으로 새로 쓴다. 이유는 다음에 이렇게 사용할 때마다 해감이야기를 일일이 하면 ... 8 file 이윤정 2020.01.03 10932
439 인도 비프 니하리, 통사태 커리 스튜, Beef Nihari 커리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을 뒤로 하고, 최근 몇 년 간은 마살라소스를 떨어지지 않게 늘 만들어서 냉동해두고 주재료와 세부 디테일만 조금씩 변형해서 여기저... 8 file 이윤정 2019.12.17 149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