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6468.JPG



짬뽕과 조리과정이 비슷한데 물을 적게 넣어서 만드는 중화비빔밥.

짜장면을 중국음식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한 것과 비슷한 정도인 한국식 중식이다.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세가지가 다 다르다고도 하는데, 친정에 단골중국집에서 주로 야끼밥으로 먹었고 다른 데서도 먹어보니 비슷한 느낌이었다. 짜장밥/간짜장밥/유니짜장밥이 다른 정도로 어디든 약속된 규범이 있는 건 아닌것 같다. 중화비빔밥소스는 면에 올려서 비빔짬뽕으로도 괜찮고, 면과 함께 볶아서 야끼짬뽕으로도 괜찮다.


좋아하는 음식은 어지간하면 만들어보고 싶어하는 편이라 수 년 전에 처음 만들어보고 여태 몇 번 만들었지만 재료의 양이나 종류가 너무 과하게 많거나 육수가 적거나 전분을 사용했거나 하는 이유로 고칠 부분이 있었는데 오랜만에 만들면서 전에 마음에 들지 않았던 부분을 보완하니 마음에 들게 맛있게 되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시피는 2~3인분으로 


밥 2컵으로 지은 밥(180미리 2컵)

(2.5~3그릇가량 된다. 식성에 따라 2인분으로도 먹지만 3인분으로도 먹을 수 있다.)



고추기름 2~3스푼

돼지기름 약간 (없으면 식용유)

대파 1대

마늘 5~6개 다지기

다진생강 약간(생략가능)


돼지고기 안심 150그램 채썰기 (등심, 앞다리 기름적은것)

오징어 중간 것 1마리 채썰기

(새우, 문어, 관자 등 해산물 추가 가능)


양파 1개

알배추 4잎

주키니호박 6분의1개

당근 약간

목이버섯 1줌 (생략가능) (미리 준비)


간장 1.5스푼

청주 1스푼

굴소스 0.5스푼

고운고춧가루 3스푼

후추 약간


닭육수 300미리 (물 300미리 + 이금기치킨파우더 1티스푼)


부추 약간 (생략가능)

참기름 약간, 깨 약간

계란후라이 2~3개



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재료준비, 육수준비, 후라이준비
2. 센 불에 향채소 볶기
3. 고기 해산물 볶기
4. 소스 넣고 볶기
5. 육수 붓고 끓이기
6. 농도, 간 맞추고 밥에 얹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징어는 채썰고, 돼지고기도 채썰어두었다.
IMG_8052.JPG


데친문어도 준비했는데 해산물은 취향에 따라 적당히 준비한다.
IMG_6408.JPG



양파, 알배추, 주키니호박, 당근은 채썰어두고

목이버섯은 불리고 데쳐서 냉동해 둔 것을 사용했다.


IMG_6402.JPG


배추는 너무 두꺼우면 이렇게 썰기도 한다.
IMG_6396.JPG



IMG_6397.JPG



대파, 마늘, 생강도 준비했다.
IMG_6399.JPG



물에 치킨파우더를 넣고 잘 저어서 닭육수를 미리 만들어둔다. 닭육수는 일단 한 번 끓이고 불을 끈 다음 소스를 볶을 때 동시에 옆에 끓여서 사용한다.
IMG_6416.JPG


IMG_6417.JPG



계란은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튀기듯이 구워두었다.
기름을 넉넉하게 두른 팬에 계란을 넣고 가장자리가 짜글짜글하게 구워지면 뜨거운 기름을 숟가락으로 떠서 계란 위에 몇 번 뿌려주면 흰자는 익고 노른자는 그대로다.
IMG_5088.JPG


고기, 해산물, 채소, 소스등의 재료를 전부 바로 넣을 수 있도록 준비했고,
밥도 지었고 육수도 끓였고 계란후라이도 동시에 굽고 있으면.

중화비빔밥 소스는 금방 후루룩 볶아서 만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달군 팬에 고추기름과 돼지기름(혹은 식용유)를 넣고 대파와 마늘, 생강을 볶다가

IMG_6418.JPG


IMG_6420.JPG


IMG_6421.JPG



채 썬 돼지고기와 오징어 (+해산물)를 넣고 빠르게 볶고 (문어는 미리 데친거라 오징어가 반정도 익으면 넣었다.)
IMG_6423.JPG


IMG_6425.JPG



간장, 청주를 넣어서 바글바글 끓으면서 향이 더해지면IMG_6426.JPG



굴소스, 고춧가루를 넣고 볶고
IMG_6427.JPG



준비한 채소를 넣어서 볶고
IMG_6428.JPG



(업소 수준으로 센불로 조리해야 하는데 그럴 수 없으니까 모자란 부분을 토치로 보완했다. 필수적이진 않지만 하면 더 맛있기는 하다.)
IMG_6430.JPG


미리 손질해 둔 목이버섯도 넣어서 함께 볶았다.
IMG_6431.JPG


이제 닭육수를 붓는데..

ㅡㅡㅡ
닭육수는 뜨거운 것 바로 넣어야 채소가 아삭하기 때문에 옆에서 시간을 맞춰서 끓인 다음 끓는 육수를 바로 부어야 한다.
그래서 아까 끓였다가 불을 껐던 닭육수는 채소를 볶을 때 다시 불을 켜서, 채소가 적당히 볶은 시점과 타이밍에 맞게 팔팔 끓도록 하고 바로 부었다.

닭육수를 넣고 난 다음에는 소스에 농도가 생기도록 조금 끓여주어야 비벼먹기 너무 축축하지도 뻑뻑하지도 않다.

물전분을 사용해야 농도가 날 것 같지만 물전분을 넣어보니 너무 뻑뻑해서 넣지 않는 편이 더 좋았다.

(고운고춧가루가 소스에 농도를 내는 키포인트라서 고운고춧가루를 꼭 사용해야 물전분없이 농도가 난다.)

ㅡㅡㅡ


끓는 육수를 부었기 때문에 거의 바로 끓어오르기 시작한다.
IMG_6432.JPG


이대로 3분~4분 정도 센 불로 끓이는데 시간보다는 상태가 중요하다. 끓는 동안에 후추를 약간 뿌렸다.  (끓이면서도 토치질을 하는 건 선택)
IMG_6433.JPG



상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아래와 같이 농도가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IMG_6440.JPG


IMG_6441.JPG


주걱으로 긁으면 바닥이 잠깐 보였다가 사라지는 정도로 끓여야 밥에 소스를 얹었을 때 너무 축축하지 않고 비벼먹기 딱 좋다.

불을 끄기 전에 간을 봐서 싱거우면 소금을 약간 넣을 수 있는데 먹어보니 간은 딱 맞았다. 밥에 얹을거니까 약간 짭잘한 정도로 맞춘다.
불을 끄고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완성.
IMG_6442.JPG



그릇에 밥을 담고 짬뽕소스를 듬뿍 얹은 다음 깨를 약간 뿌리고 계란후라이를 얹었다.

IMG_6468.JPG



슥슥
IMG_6481.JPG



밥과 소스를 비비기 시작하면서 상태를 보면 밥알 사이사이에 짬뽕소스가 있기는 하지만 소스가 흥건하게 보일 정도로 있는 것은 아니라서
전부 다 비빈 다음에 그릇 바닥을 보면 흥건하지 않고 비빈느낌으로 먹기 좋은 상태가 된다.

IMG_6482.JPG



IMG_6496.JPG



IMG_6499.JPG

매콤하면서 감칠맛 있는 짬뽕소스에 고기와 해산물에 채소까지 먹기 좋게 잘 익었다.
슥슥 비벼서 한 숟가락에 여러재료가 올라가도록 크게 올려서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20.04.24 10:04

    어머나!!! 중화비빔밥이라니!!

    짬뽕을 바특하게 끓이면 중화비빔밥이 되는거라니!!

    와~~~ 제게는  아직도 너무너무 신기하고 새로운 음식들이 참 많아요!!!

    그런거였군요!!!! 몰랐어요!!

     

     

    이상하게 나이들면서 국에 밥말아 먹는게 별로더라구요 요렇게 촉촉한 덮밥류는 좋아해도요 ^^

    그비싼 오징어와 더 비싼 문어까지!!꺄아...럭셔리중화비빔밥이네요~ ^^

     

    예전엔 오징어 참 싸서 우습게 알았는데 ㅠ 지금은 너무 비싸져서 손이 후달달해지는 오징어 ㅠ

     

    중간에 나오는 토치를 보자 왕뿌듯합니다ㅋㅋㅋ (아직도 개봉전 -_-;;)

  • 이윤정 2020.04.27 03:45
    중화비빔밥이 중국집 음식인데도 한국 내 지역색이 있는 음식이라서 모르는 분은 모르시는 것 같더라고요ㅎㅎ

    저는 국에 밥말아 먹는 것 나이 먹고 더 좋아하게 되었는데 요즘 부쩍 국 끓이는 것이 귀찮아지면서 집에서 국을 덜 먹게 되니까 국밥을 먹으러 다녀서 그런 것 같아요ㅎㅎㅎㅎ 덮밥은 금방 만들기 쉬우니까 자주 만들고요ㅎㅎ 모든 게 다 귀찮냐 아니냐 이분법적이죠ㅎㅎㅎㅎㅎ

    예전에는 오징어가 비싸지면 금징어라고 했는데 요즘은 그런 말도 없어지고 오징어는 이정도 가격이 기본이다 이런 느낌이에요.

    그나저나 토치는 제가 가서 개봉해서 안겨드리고 싶은ㅋㅋㅋ
  • 땅못 2020.04.24 16:51

    와아 너무 맛있어 보이는데 하필 제가 어제 저녁에 중국집식 (중식X 중국집식O ㅋㅋ) 짜장이 너무 먹고 싶어서 짜장볶아서 면에도 비벼먹고 면 안먹는 사람은 중국집식 계란새우볶음밥도 해서 같이 곁들였어요. 국물이 필요하다해서 짬뽕탕 팩 사두었던 거까지 해버렸네요 ㅠㅠ중국집식 스타일로 푸짐하게 먹어버렸어요... 당분간 중식쿨타임이 안찰듯하네요 ㅠㅠ 당장 하고싶은데 힝 ㅠㅠㅠ 꼭 시도해보겠습니다!

    오늘도 역시 윤정님의 재료손질하신 사진을 보면 스트레스가 풀려요. 넘 예쁘고 가지런하게 씻고 다듬고 해 놓으신 게 정말 윤정님 손길은 대단합니당>////< 조만간에 이 레시피 꼭 잘 따라해볼게요. 주말 행복하게 보내시길 바라고 늘 감사해용 ㅎㅎ

  • 이윤정 2020.04.27 03:49
    아니 한 끼에 짜장면에 짜장 곁들인 새우볶음밥에 짬뽕까지 한 상 그득하게 차리셨군요. 고생 많이 하셨어요. 저는 무조건 짜장면을 해도 메뉴통일! 볶음밥을 해도 메뉴통일! 두 가지 하면 생색 엄청내요ㅎㅎㅎㅎㅎ
    재료 손질이야 무조건 해야 하는거라 중간중간 사진 한 두 번 찍어가며 지나가는 건데 눈여겨 봐주시는 마음씀씀이에 언제나 감사한 말씀 전합니다.
    중식 쿨타임은 무조건 언젠가는 차게 되어있는거니 느긋하게 맛있는 것 드시다 보면 아 이거! 하고 생각나시는 때가 올 것 같아요. 그 때 맛있는 음식으로 다시 만나요ㅎㅎㅎ

  1. 스키야키 덮밥

    스키야키를 밥에 그대로 얹어서 스키야키 덮밥. 스키야키를 만들어서 밥에 그대로 안착하도록 하려고 1인분씩 만들어서 밥에 얹었다. 전골냄비 2개에 각각 준비해서 가스렌지에 각각 얹어두고 하면 적당하다. 2인분으로 만들어서 반으로 덜어 밥에 얹어도 되는데 그렇게 하면 덮밥의 모양은 약간 덜 나게 된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당 소고기 등심 불고기용 200그램 두부 반모 대파 1대 표고버섯 3개 팽이버섯 반봉투 계란 1개 밥 1그릇 소스로 육수 5스푼 (부족하면 1스푼 추가) 간장 2스푼 쯔유 0.7~1스푼(간보고) 청주 1스푼 미림 1스푼 설탕 1티...
    Date2016.05.17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8 Views15337 file
    Read More
  2. 쯔유 만들기, 메밀소바, 자루소바, 붓카게우동

    매해 올리는 쯔유. 올리기는 매해 올리지만 만들기는 집에 떨어지지 않게 늘 만들어서 냉동실에 넣어둔다. 평소와 내용도 비슷하다. 진하게 우린 가쓰오부시 육수(+황태육수)에 간장, 청주, 미림, 설탕을 넣어서 졸여내서 만든다. 메밀소바에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붓카케 우동이나 튀김소바에도 사용한다. 여러가지 조림요리에 조림장으로도 사용하고 더 진하게 졸이면 데리야끼소스나 덮밥소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 레시피보다 3배정도 만들어서 얼어도 깨지지 않는 용기에 담아 냉동해두면 완전히 얼지 않고 슬러시같이 되니까 그대로 여러 요리에 ...
    Date2017.06.22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7 Views15361 file
    Read More
  3. 중식 고기튀김 椒盐排条

    돼지고기를 전분반죽에 튀겨내고 향을 내는 기본 채소와 함께 소금, 후추로 간을 해서 볶아낸 중국요리이다. 연남동 포가의 고기튀김과 비슷하게 부추를 추가로 넣었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500그램 소금, 후추 약간씩 감자전분 1컵 물 1컵 계란흰자 0.7~1개 튀김기름 소스로 대파 반대 마늘 3개 생강 1쪽 청주 1스푼 소금, 후추 약간 부추 반줌 부추 대신에 고추나 쪽파를 넣어도 좋고 생략해도 괜찮다. 전분에 물을 붓고 섞어서 랩을 씌워 6시간 이상 가라앉혔다. 된전분이 완전히 가라앉으면 윗물만 따라냈다. 돼지고기 안심은 손가락길...
    Date2018.03.04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2 Views15385 file
    Read More
  4. 사워크림 만들기

    사워크림은 말 그대로 생크림에 신 재료를 넣어 발효시킨 크림인데 원래는 생크림, 우유, 레몬즙으로만 만든다. 그런데 생각보다 발효가 느리고 꾸덕꾸덕한 질감이 마음에 들게 나오지 않아서 요거트를 넣어서 조금 더 편하고 꾸덕한 질감으로 만들었다. 네이버에 검색하면 죄다 요거트를 넣었고 구글링하면 죄다 안넣었는데 생크림을 넣는 것이 약간 야매이지만 더 낫다고 생각한다. 첫맛은 사워크림과 똑같은데 끝맛에 요거트맛이 약간 느껴지는 단점이 있지만 그렇게 큰 단점이 아니라서 사워크림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사워크림은 평소에 코...
    Date2018.03.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4 Views15695 file
    Read More
  5. 태국식 고기덮밥, 팟카파오무쌉 랏카우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뜻하고 여기에 밥을 곁들인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덮밥은 랏카우라고 하니까 풀 네임은 팟카파오무쌉 랏카우이다. 재작년에 올린 것과 재료는 거의 똑같다. (내용도 비슷) 보통 타이바질을 듬뿍 넣어서 만드는데 타이바질은 한국에서 구하기가 어려우니까 방아잎이나 깻잎, 깻잎순으로 대체하면 적당하다. 분량대로 소스준비하고 고기, 채소, 소스 ...
    Date2018.03.07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4 Views15801 file
    Read More
  6. 쇼가야끼

    쇼가야끼 돼지고기 생강구이인 부타노 쇼가야끼는 구이용이나 그보다 조금 더 얇은 돼지고기로 만들면 다 맛있지만 그 중에서도 항정살은 조금 더 쇼가야끼에 좋은 부위인 것 같다. 항정살이 100그램에 1800원으로 가격도 괜찮고 두께도 적당해보여서 부타노 쇼가야끼를 만들고 구운 양파, 대파, 쪽파를 곁들였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항정살 약 450그램 간장 2스푼 미림 2스푼 청주 2스푼 설탕 1스푼 다진생강 0.5스푼 양파 1개 대파 1대 쪽파 1줌 양배추 8분의1개 마요네즈 항정살은 앞뒤로 구워서 기름을 닦아내고 조림소스를 붓고 졸였다. 꼬...
    Date2015.03.24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8 Views15822 file
    Read More
  7. 식혜 만들기, 만드는 법

    단술이라고도 부르는 식혜. 아주 오랜만에 만들었다. 어릴 때는 엄마께서 늘 해주셨는데 스무살쯤 자취를 하면서 만들었던 것이 처음이니까 벌써 17년전이다. 내나이... 이후로도 자취할 때는 자주 만들었는데 이 땐 단술이 먹고 싶으면 당연히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결혼 후에는 시엄마께서 늘 만들어 주셔서 만들지 않다가 오랜만에 만들었다. 친정엄마께선 설탕 넣지 않고 엿기름을 아주 많이 사용해서 약간만 달게 만드시는데 내 입맛에 맞춰서 설탕을 넣었다. 대량으로 만들지 않고 생수 딱 1병분량으로, 엿기름은 넉넉하게 ...
    Date2017.08.29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6 Views15923 file
    Read More
  8. 마라샹궈, 마라향과

    마라향과라고도 하는 마라샹궈. 마(고추) 라(산초)의 얼얼한 조합이 특징적인 충칭음식이다. 중국 식재료 상점에서 산 마라샹궈 소스를 사용했는데 거기에 더 얼얼한 멋을 추가하기 위해 고추와 산초를 추가하고 라장소스도 한스푼 넣었다. 고추와 산초는 각각 2가지(베트남고추, 조천초, 화자오, 라자오)를 사용했는데 건고추와 산초로 대체해도 괜찮다. 라장은 라오간마를 사용했다. 닭고기맛을 사둬서 닭고기맛을 사용했지만 기본 라오간마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라장소스도 있으면 더 좋지만 생략 가능하다. 집에 화자오와 베트남고추는 ...
    Date2016.04.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8 Views16035 file
    Read More
  9. 산니백육 蒜泥白肉

    중국에서 유명한 편육요리인 산니백육. 종잇장처럼 얇게 썬 편육과 오이에 고추기름으로 만든 맵고, 짜고, 새콤달콤한 소스를 곁들여 낸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삼겹살 500그램 (1키로 삶아서 반만) 대파, 마늘, 통후추 팔각, 정향, 계피, 월계수잎, 소금 0.5스푼 소스로 고추기름 2.5스푼 참기름 0.5스푼 간장 2스푼 다진마늘 1.5스푼 다진파 1.5스푼 다진생강 0.5티스푼 라오천추 2티 설탕 2티 소금 후추 약간 오이 2개 대파 흰부분 반대 삼겹살 500그램을 삶아서 얇게 썰면 아무리 얇게 썰어도 마음에 들지 않도록 두꺼운 부분이 나오고, 가장...
    Date2018.04.02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9 Views16072 file
    Read More
  10. 뿌팟퐁커리, 태국커리, 소프트쉘크랩커리

    보통 뿌팟퐁은 껍질이 단단한 블루크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소프트쉘 크랩을 사용했다. 소프트쉘을 사용하면 정확한 이름은 뿌님 팟 퐁 카리 가 된다. 동남아식 커리는 깽이나 카리로 나뉘는데 깽은 페이스트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고 카리는 향신료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번에는 뿌팟퐁카리에 페이스트를 넣어서 만들었다. 시판 커리페이스트를 만들어도 사용해봤는데 사서 사용해보니 크게 맛이 다르지 않았다. 커리 페이스트에 들어가는 재료가 다양한데 구하기도 불편하고 더 비싸니까 시판 페이스트를 사면 속 편하다. 수리 레드커리 페이...
    Date2016.11.24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8 Views16076 file
    Read More
  11. 오향장육, 장육냉채

    마늘을 많이 넣어 알싸한 향이 강한 간장소스를 오이와 오향장육에 곁들인 장육냉채. 오향족발로 해도 좋고 사태도 해도 괜찮다. 사태는 넉넉하게 삶아서 냉장했다가 바로 썰어서 술안주로 먹기도 좋다. 먼저 오향장육으로 사태 2키로 물 적당량 양파 1개 대파 2대 마늘 10개 간장 1컵 조청 0.4컵 청주 0.4컵 미림 0.4컵 노두유 3스푼 월계수잎 2장 통후추 1스푼 정향, 팔각 몇개 계피 1조각 펜넬(회향)씨드 1스푼 물은 최초에 고기가 푹 잠길 정도면 적당한데 삶다가 모자라면 추가할 수도 있어서 양을 정확하게 쓰지는 않았다. 노두유는 색을 진하...
    Date2018.05.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6 Views16557 file
    Read More
  12. 꿔바로우, 찹쌀탕수육 만들기

    2013/11/19 꿔바로우, 찹쌀탕수육 만들기 동북음식의 하나인 꿔바로우는 탕수육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탕수육과 다른 좀이 있다면 탕수육보다 얇고 넓은 고기를 바싹 튀겨내고 간이 세다는 것 정도..(새콤달콤짭짤함이 더 강하다) 찹쌀가루를 넣어서 튀기기도 하지만 불린전분(=된녹말 : 물과 전분을 1:1로 넣어서 섞은 다음 가라 앉혀 윗물을 따라 낸 것)을 쓰는 것이 더 일반적이고, 원래 꿔바로우에는 상차이(고수잎)을 넉넉하게 뿌려서 먹는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돼지고기 등심 500~550그램, 밑간으로 소금약간, 생강가루약간, 청주1T, ...
    Date2013.11.19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2 Views16696 file
    Read More
  13. 월남쌈

    친구한테 파인애플을 받아와서 뭘할까 하다가 월남쌈을 만들었다. 전개가 좀 이상한듯? 여름에 흔히 먹기 좋은 월남쌈. 특별할 것 없이 집에 있는 재료로 얼른 차렸다. 요즘 너무 더운데 불을 많이 쓰는 음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름에 만들기 편하다. 사용한 재료는 채소로 양배추 4분의 1통 오이 1개 당근 큰 것 반개 적양파 반개 파프리카 반개 파인애플 4분의1통 새우 20~30마리 버미셀리 약 100그램 고기볶음으로 불고기용 소고기 약 300그램 호이신소스 1.5스푼 팟타이소스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후추 소스로 호이신소스+피넛버터 스윗칠리소스...
    Date2016.08.05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8 Views16745 file
    Read More
  14. 오사카식 오코노미야끼

    오사카식 오코노미야끼, 오꼬노미야끼, 오코노미야키 만들기, 레시피, 반죽 오코노미야키의 오코노미는 좋아함을 뜻하고 야끼는 굽는 것이니까 좋아하는 것을 굽는다는 오코노미야끼. 칸사이와 히로시마식이 대표적이다. 칸사이풍은 반죽과 재료를 섞어서 굽고, 히로시마풍은 켜켜이 올려서 야끼소바면을 더해 굽는다. 여기에 중화면을 넣은 것을 모단야끼, 양배추만 넣는 것을 카베츠야끼, 반죽을 묽게 해서 볶은 재료와 섞어 굽는 것을 몬자야끼라고 한다. 칸사이식을 보통 오사카식이라고 이야기 한다. 전에 올린 것과 내용은 전체적으로 비슷하다...
    Date2017.03.02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4 Views16901 file
    Read More
  15. 오이 피클, 할라피뇨 피클, 피클링스파이스

    오이 피클, 할라피뇨 피클, 피클링스파이스 만드는법 보통 피클은 저장음식으로 열탕소독한 유리병에 담아 뚜껑을 닫고 살균해서 실온에 보관하는데 냉장고에 보관할거라 냄비에서 담고 반찬통에 담아서 편하게 만들었다. 메가마트에서 할라피뇨 고추를 보고 피클을 만들어야겠다 생각이 들어서 겸사겸사 오이도 사와서 만들었다. 시장에서는 종종 봤는데 마트에서 할라피뇨 고추를 처음봤다. 피클링스파이스로 코리앤더 씨드 1스푼 머스타드 씨드 1티스푼 딜씨드 1티스푼 후추 1티스푼 샐러리씨드 0.5티스푼 클로브 0.5티스푼 시나몬 조각 작은 것 1...
    Date2015.06.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12 Views16972 file
    Read More
  16.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레시피, 만들기

    짬뽕과 조리과정이 비슷한데 물을 적게 넣어서 만드는 중화비빔밥. 짜장면을 중국음식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한 것과 비슷한 정도인 한국식 중식이다.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세가지가 다 다르다고도 하는데, 친정에 단골중국집에서 주로 야끼밥으로 먹었고 다른 데서도 먹어보니 비슷한 느낌이었다. 짜장밥/간짜장밥/유니짜장밥이 다른 정도로 어디든 약속된 규범이 있는 건 아닌것 같다. 중화비빔밥소스는 면에 올려서 비빔짬뽕으로도 괜찮고, 면과 함께 볶아서 야끼짬뽕으로도 괜찮다. 좋아하는 음식은 어지간하면 만들어보고 싶어하는 편이...
    Date2020.04.24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17083 file
    Read More
  17. 라즈지, 충칭라즈지, 辣子鶏

    충징지방의 사천요리인 라즈지.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500그램 료주 2스푼 간장 1스푼 곱게 다진 생강 후추 약간 소금 약간 감자전분 2~3스푼 튀김기름 고추기름 대파 반대 생강 손톱크기 한조각 마늘 3~4개 베트남고추 약 20개 조천초 약 15개 마자오 1스푼 화자오 1스푼 마라파우더 약간 오향파우더 약간 소금 3~4꼬집 설탕 약간 마라파우더와 오향파우더는 향을 내기 위한 재료인데 생략가능하고 베트남고추와 화자오는 필수재료이다. 조천초나 마자오는 비싸지 않기도 하고 넣어서 만들면 더 맵고 얼얼한 향이 깊다. 료주는 중국술로 닭고기의 ...
    Date2016.05.14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17129 file
    Read More
  18. 베트남식 돼지불고기 덮밥, 껌땀, 껌승

    베트남식 돼지불고기 덮밥, 껌땀, 껌승 어제 올린 베트남식 덮밥 이야기 https://homecuisine.co.kr/hc20/101152 (개론 못잃어..) 에 이은 베트남식 돼지불고기 덮밥 레시피. 껌승은 양념한 돼지고기를 올린 베트남식 덮밥이다. 먼저 구성 이야기 밥 cơm trang 양념돼지고기구이 sườn nướng 당근무피클 đồ chua 늑짬 nước chấm 기름쪽파 mỡ hành 까지가 기본이다. 여기에 추가로 계란후라이(옵라)나 고기계란찜(짜 쯩 합)을 곁들이면 좋다. 위 랑크 참고. 추가로 마늘절임 (dấm tỏi) 이나 쪽파머리피클 (dưa kiệu) 오이, 토마토, 샬롯튀김, 빻은 땅콩...
    Date2021.03.13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6 Views17140 file
    Read More
  19. 커리소스, 마살라소스, 달 마크니, 렌틸콩 커리

    커리는 자주 먹어도 업로드 할 일이 없는데 예전에 올린, 평소 만드는 것과 같아서 그렇다.. (그래서 내용도 이전과 거의 같다) 슬로우쿠커로 마살라소스를 넉넉하게 만들어서 1번 분량씩 나눠 냉동하고 닭고기나 양고기, 새우, 렌틸콩, 감자, 계란 등을 넣어서 무르그 마크니, 고스트 마크달 마크니, 알루 커리, 에그 커리 외에도 마살라소스로 기본을 만들어 두면 쉽게 할 수 있는 커리가 많다. 마살라소스를 만들 때만 조금 고생하면 그 다음부터는 인스턴트 느낌으로 10분 가량의 짧은 시간에 쉽게 만들어 먹기 좋다. 그래서 냉동실에 마살라소스...
    Date2017.06.08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5 Views17248 file
    Read More
  20. 만두소, 만두속만들기, 만두피만드는법

    2013/03/29 만두소, 만두속만들기, 만두피만드는법 만두소 예전에 만든 것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2&document_srl=23777 올리브티비의 이연복 쉐프의 영상을 보고 만들었다. 들어가는 재료는 꽤 간소하다. 만두소 돼지고기 1근, 양배추, 알배추, 쪽파, 청양고추, 소금, 후추, 생강, 닭육수, 간장, 굴소스, 참기름 만두피 밀가루, 뜨거운물, 소금 닭육수는 이트레이더스에서 산 로스트 치킨을 깨끗하게 뼈만 발라서 먹고 남은 뼈를 1시간정도 물에 푹 우려낸 다음 냉동해 두었던 것을 사용했다. 닭은 뼈를 바...
    Date2013.03.29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6 Views17424 file
    Read More
  21. 탄탄멘, 탄탄면 만들기

    탄탄멘, 탄탄면 만들기 닭 6마리.. 세일한다고 일단 사와서는 분할하고 살 바르고 껍질에 지방 정리하고 씻고 물기 빼고 포장하고 라벨쓰고 당장 쓸 것을 제외하고 냉동하고.. 일이 많았다. 손질한 동영상은 전에 올려두었다.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category=1730&document_srl=5885 닭 6마리를 손질하고 남은 뼈를 오븐에 굽고 양파, 마늘, 대파를 넣어 1시간 이상 끓여 이 정도 재료에 육수가 약 1.2리터 정도 나오도록 닭육수를 아주 진하게 우려냈는데 짬뽕을 하고 싶기는 한데 양파도 집에 없고... 냉장실에는 다진 ...
    Date2015.04.04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6 Views1750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