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975.JPG

 

잘 알려져 있다시피 '오뎅' 은 어묵과 여러가지 재료를 넣고 끓인 전골 요리의 이름이다.

어묵이 아예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어묵탕이라고 할 수도 없다. 어쨌든 제목은 오뎅탕.


어묵에 들어갈 수 있는 재료는 아주 많은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사츠마아게 (튀긴어묵)

한뺀 (계란흰자와 마를 넣은 하얀 어묵)

치쿠와 (대나무 모양 튀김 어묵 )

간모토키 (두부튀김어묵)

이고


그외 재료로

곤약, 실곤약, 무, 스지, 유부, 계란, 메추리알, 다시마 등을 넣는 경우도 많고

청경채나 배추, 쑥갓을 넣기도 하고

문어나 조개, 새우, 게살 등 어패류, 맛살, 소세지,양배추롤 등을 넣기도 하고

닭고기완자나 새우완자를 넣기도 한다.

재료는 좋아하는 걸로 아무거나 넣으면 다 좋다.


이 중에 스지는 미리 푹 삶아서 넣고

무, 다시마는 육수에 넣었던 것을 건졌다가 넣고 (쯔유를 사용할 경우는 쯔유에 가장 먼저 삶기)

계란은 삶아서 껍질을 까서 넣고 (읭 당연?)

곤약과 실곤약, 해산물은 넣는다면 한 번 데쳐서 넣으면 적당하다.


스지 삶는 법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72423

스지를 넣을 경우에는 스지의 미리 익혀 둔 상태가 바로 먹기에 조금 덜 부드러우면 무과 함께 미리 넣고, 바로 먹기 좋도록 부드러우면 먹기 5분전쯤 넣어야한다. 

먹기 좋게 푹 삶은 스지를 무를 넣을 시점정도로 미리 넣으면 젓가락으로 집어지지 않게 풀어진다.


국물로는

다시마, 무, 대파를 푹 우려내고 무와 다시마는 따로 건져 둔 다음 마지막에 가쓰오부시 넣고 우려낸 육수에 간장과 청주를 약간 넣어서 끓여낸 육수가 가장 좋다.

하지만 쯔유나 국수장국 등 간장 베이스의 국물양념을 사용해도 좋고, 어묵을 사면 따라오는 오뎅스프나 우동에 들어있는 우동스프도 좋다.

이번에는 편하게 시판 쯔유를 사용했다.


집에서 만드는 쯔유는 이렇게 https://homecuisine.co.kr/hc20/53294

우동이나 오뎅탕에 사용하는 것은 설탕을 넣지 않으면 적당하고

쯔유를 만들지 않고 가쓰오부시 육수를 낼 때는 

이렇게- https://homecuisine.co.kr/hc20/47124


쯔유는 물 500미리에 쯔유 1.5스푼정도 사용했는데 각 쯔유마다 짠 정도도 다르고, 어묵을 넣는 양에 따라 국물의 간도 달라지니까 처음에는 조금 적게 넣는다고 생각하고 최종적으로 간을 볼 때 부족한 간을 보완하면 적당하다.



어쨌든 나름대로 준비한 재료로

물 약 3컵

쯔유 약 2스푼 (간보고 조절)

무 3~4센치

어묵 약 400~500그램

곤약 250그램, 곤약누들 200그램

스지 100그램 (손질 후)



튀긴 어묵은 삼진어묵에서 구매했고

치쿠와, (일종의 한뺀인)찐어묵, 곤약은 환공어묵에서 구매했다.

곤약은 한번 뜯으면 다 사용해야 하니까 작은걸로 찾아서 구매했고 실곤약은 메가마트에서 구매했다.




육수나 물+쯔유에 가장 먼저 무와 곤약을 15분정도 끓이고 나머지 준비한 재료를 하나씩 넣고 끓여서 익힘 상태를 조절을 하면 적당하다.



곤약은 한 번 헹궈서 실을 감듯이 감았다.

예전에 자수할 때 실 감던 기억이...


크기변환_IMG_1260.JPG     크기변환_IMG_1263.JPG 


크기변환_IMG_1266.JPG     

여기까지가 대신 실곤약이고



크기변환_IMG_1346.JPG 

이건 실곤약보다 조금 더 얇고 비빔면에 잘 어울린다고 하는 곤약누들인데 내 취향에는 오뎅탕에는 실곤약이 더 좋았다.





어쨌든 각각 데쳐서 준비한 실곤약과 일반 곤약.


크기변환_IMG_2945.JPG 



스지

크기변환_IMG_1133.JPG 


 



물+쯔유에 무와 곤약 넣고 20분정도 끓인 다음 실곤약과 어묵을 넣고 어묵이 푹 불도록 끓였다. (무나 어묵의 상태에 따라 시간조절)


크기변환_IMG_2949.JPG 


크기변환_IMG_2957.JPG     크기변환_IMG_2959.JPG 




아래 사진에 오뎅탕은 국물에 비해서 어묵이 너무 많은데 사진용으로 그렇고 실제로는 국물을 더 많이 잡아서 어묵이 오뎅탕에 푹 잠겨서 익도록 끓였다.

물로 전체적인 상태를 조절하고 어묵이 익어서 부풀어오르면 간을 보고 간이 부족하면 쯔유를 추가했다.


크기변환_IMG_2975.JPG 




크기변환_IMG_2982.JPG 




크기변환_IMG_2988.JPG 


어묵이 충분히 푹 익고 무도 부드럽게 익으면 약불로 유지하면서 각자 좋아하는 걸로 알아서 건져먹었다.





그 외에 편하게 먹는 오뎅탕들.


크기변환_IMG_1352.JPG 

이 사진에 있는 곤약면이 곤약누들이다.

곤약누들이 모양잡아서 감기 조금 더 번거롭다.





크기변환_IMG_1288.JPG 




크기변환_IMG_1293.JPG


국물에 간하고 어묵만 좋은걸로 사용해서 푹 끓여내면 간단하고 맛있는 오뎅탕이 되니까 편하다.

적당히 먹고 남은 국물에 물+쯔유로 양을 조절하고 우동사리를 넣어서 끓여먹기도 하고 텐까스를 넣어서 먹기도 하고 그렇다.










  • 땅못 2019.01.25 14:10

    저번에도 스지의 말캉말캉 쫀득한 그 느낌이 그리워질 때쯤 윤정님의 스지손질법 글을 봤던 것 같은데 오늘도 완성된 사진에 딱 자리잡은 스지를 보니 먹지도 않았는데 마음이 쫀득해지는 것 같아요^^(?;;; 글의 끄트머리에 간단하고 맛있는 오뎅탕이라 편하다고 하셨는데 헉쓰 평소에 이 레시피보다 훨 간단하게 끓이는 제 오뎅탕이 갑자기 비루해지는군요. 육수 설명만 읽어도 맛있는...흐흐 그래도 어묵탕은 어묵 좋은 거 사다가 담음새 예쁘게 해 놓으면 어찌어찌 되니까 든든한 메뉴네요. 설준비하느라 이것저것 사기 시작하면서 고기살 때 스지도 슬쩍 같이 사야겠어요. 잘 해먹을게요! 항상 감사합니다<33

  • 이윤정 2019.01.26 05:12
    스지라는 게 두께도 제각각인 힘줄을 모은 거라 딱 먹기 좋게 균일하게 삶기가 좀 불편한 식재료인 것 같아요.
    그런데 사먹으면 그런 신경 쓸 필요도 없이 쫀득쫀득해지니까 굳이 집에서 하겠다는 고집은 부릴 필요가 없는 거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그리고 이 오뎅탕은 편하기는 한 것이 육수도 쯔유로 대신하고 나머지 재료도 사서 넣으면 되는거니까 말씀대로 어찌어찌 든든하긴 한 것 같아요ㅎㅎ
    그러고보니 곧 설이네요. 올해 겨울은 유난히 빨리 가는 것 같아요. 잔뜩 말만 많은 글인데 감사인사는 과하신걸요ㅎㅎㅎㅎ
  • 레드지아 2019.01.25 14:23

    와~~ 어묵하면 전 시판 어묵만 몇개 넣은걸 연상하고 또 실제로 그렇게 먹어왔거든요

    윤정님댁 어묵탕은 수준이 다르십니다요!! +_+

     

    전 실곤약이 국수인줄 알았어요 ㅋㅋㅋㅋ 소면요 ㅋㅋㅋㅋ

    실곤약을 또 일일히 감아서 넣으니 먹기도 편하고 모양도 이쁘네요

     

    그렇죠 그렇죠! 어묵이 아무리 생선으로 만들었다지만 고기는 아니니까요..스지라도 들어가줘야죠!! +_+

    오늘도 고진교 신자는 흡족한 맘으로 윤정님 올리신 글을 보고 돌아갑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9.01.26 05:26
    아이구 저도 시판 쯔유에 시판 오뎅에.. 사는 거 다 똑같지 않나요ㅎㅎㅎ
    그나마 구색 좀 갖추자고 노력하는데 언제나 어떤 음식을 먹을 만 할 때 그 음식에 필요한 재료가 다 갖춰지는 건 아니니까 그러려니 타협하는 게 인생인걸요ㅎㅎㅎ
    여러가지 더 넣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다보니 가능한 범위만 커지고그런 것 같아요.
    그러게 말씀대로 오뎅탕에도 스지는 보기 좋은 그림이라, 고진교는 아마도 제 의도 위에 있는 게 아니라 제 의도 안에 있는 게 아닐까 해요ㅎㅎㅎ
  • 뽁이 2019.02.12 03:27
    크 오뎅탕 좋지요 !
    육수 대충 ? 내도 오뎅들에서 나온
    기름이랑 간이 더해져서 얼추 맛있더라고요 ㅋㅋ
    저같은 미맹에게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
    이번 겨울에 몇 번 끓여먹엇는데
    매번 곤약을 못넣어서 아쉬웠어요 흑 ㅠ
    스지는 당연히 꿈도 못꾸고요 ㅋㅋ
    큰 오뎅 젓가락에 꼬치꿰듯 꿴것만으로도
    혼자 신나했네요 ㅋㅋㅋ
  • 이윤정 2019.02.13 03:03

    그쵸ㅎㅎㅎ 육수는 대충이라도 오뎅으로 푹 끓이면 오뎅국물맛이 크ㅎㅎㅎㅎ
    거기다가 요즘은 오뎅사면 오뎅스프도 다 들어있고해서 만들기가 더더 편한 것 같아요.
    저는 사실 곤약은 별로 좋아하지 않고 그나마 곤약면은 먹는데 곤약 좋아하시면 챙겨넣을 만 한 것 같아요.
    꼬치꿰면 사먹는 오뎅 느낌이 물씬~ 듣기만 해도 신나요ㅎㅎ

  • 만두장수 2019.05.29 23:42
    넘 근사해 보이는데 오뎅탕 신메뉴할까?
    스지가 들어가다니....스지를 육수내면 맛이 나나요?
    스지는 수육에다가 약물복용 할때만 먹어봐서 ???
    어릴때 스지는 거저줘도 안먹는....지금은 없어서 못 먹...ㅋㅋㅋ
    암튼 항상 감사한데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2020년 5월15일날 까네이숀이라도 보내드려야 하지 싶습니다....^^;;
  • 이윤정 2019.05.31 16:26
    스지는 저는 육수는 사용안하고 있어요. 기름진 육수인데 기름을 걷어도 고기육수같은 느낌은 잘 안나던걸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런 걸 수도 있어요^^;;;

    약물복용할 때 스지에 수육이면 완전 보약이네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8 그 외 등등 게 고르는 법 게는 어떻게 사야할까? 정답 : 활게를 취급하는 게집에서 먹고 옴 (저는 가깝게는 기장대게로 고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통은 금어기를 제외하는 제철이나 사... 6 이윤정 2019.03.26 7223
417 중식 난자완스 만들기 레시피 조리순서는 고기완자를 튀기고 채소① 양념① 채소② 양념②의 순서로 센불에 볶고 졸인 다음 물전분을 넣어 소스를 만들고 고기완자를 넣고 볶는다. 딥프라잉 하는 ... 2 file 이윤정 2019.03.20 5659
416 인도 키마 커리, 키마 코르마 인도에서는 다진고기를 통칭해서 키마 Keema라고 하지만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사용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키마라고 하면 보통 양고기 다진 것을 뜻한다. 인도에... 10 file 이윤정 2019.03.11 6182
415 그 외 등등 다짐육 다지기. 다짐육 만들기 미트 그라인더를 사고 2~3키로씩 고기를 갈다가 매번 하기도 번거롭고 냉동실의 힘을 믿는 차원..에서 8키로를 갈았다. 사서 고생하는 이야기. -----------------... 5 file 이윤정 2019.02.19 13302
414 일식 굴튀김 굴에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묻혀서 튀겨낸 굴튀김. 디핑소스로 타르타르소스를 준비했고 양배추샐러드를 곁들였으니까 굴튀김보다는 일본식인 카키후라이에 더 ... 10 file 이윤정 2019.01.30 6479
» 일식 스지오뎅탕 잘 알려져 있다시피 &#039;오뎅&#039; 은 어묵과 여러가지 재료를 넣고 끓인 전골 요리의 이름이다. 어묵이 아예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어묵탕이라고 할 수도 없다. ... 8 file 이윤정 2019.01.25 12779
412 일식 악마의 주먹밥, 텐카스 오니기리 일본에서 유행한다는 &#039;악마의 주먹밥&#039; 悪魔のおにぎり. 잘은 모르지만 유행하게 된 이유가 일본의 방송+로손편의점발매+입소문으로 더 유명해짐 이라는데 만들기 ... 6 file 이윤정 2018.12.17 14901
411 인도 양고기스테이크와 파산다커리, 고스트 파산다, 양고기커리 커리를 만들다보면 특히 양고기와 닭고기에 아주 착붙는 느낌이 난다. 커리를 먹는 문화권에서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사용하지 않아서 닭고기나 ... 6 file 이윤정 2018.12.11 6517
410 중식 연두부 마파두부 연두부로 만드는 마파두부. 부드러운 두부에 매콤하면서도 착 감기는 소스로, 밥에 얹어서 먹는 정도의 양과 농도이다. 좀 더 중국식에 가깝고 얼얼하게 먹는 버... 6 file 이윤정 2018.12.08 9353
409 중식 꿔바로우 마지막에 올린 꿔바로우가 참 맛있긴 했고 그동안 꿔바로우를 자주 해먹었지만 그러면서도 조금 아쉽다는 느낌이 가시지를 않아서 여러모로 모색을 했다. 튀김은 ... 4 file 이윤정 2018.12.01 6979
408 그 외 등등 스지 삶는법, 삶는 방법, 손질하기, 소힘줄 제가 사용한 스지는 한우 알스지이기때문에 다른 부위의 스지나 수입산 스지를 사용한 경우를 사용한 경우에는 아래 내용이 참고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MI ... 8 file 이윤정 2018.11.18 83635
407 인도 마살라소스, 버터치킨커리, 무르그마크니, 치킨마크니, 인도커리 만들기, 인도 카레 레시피 먼저 우리집 커리의 기본인 마살라소스. 슬로우쿠커를 사용했다. 기존에 늘 만드는 마살라소스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52960 늘 떨어지지 않게... 11 file 이윤정 2018.11.12 12786
406 그 외 등등 고추장 고르기 ■■■■■■■■■■부터 읽으면 본론입니다. 앞에 이야기가 구구절절 길지만 고추장 성분 비교해서 저장하고 편집해서 가져왔으니까 봐주세요. 우리집 냉장고의 20%는 된... 2 file 이윤정 2018.11.05 6856
405 그 외 등등 대파 손질하기, 보관하기 (((잔소리 주의))) (((그냥 제가 이러는거라 필요없는 이야기 주의))) ■■■■■■■■■■■■■부터 읽으시면 됩니당.. 대파는 마늘과 더불어 한식에 가장 자주 쓰는 양념으... 7 file 이윤정 2018.10.25 43940
404 그 외 등등 볶음밥용 밥 만들기 밥은 짓는건데 밥을 어떻게 만든다고 해? 밥을 막 만드나?? 그래도 어쨌든 볶음밥용 밥을 만들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1. 밥하기 2. 식혀서 냉장보관하기 인데 길... 10 file 이윤정 2018.09.29 29061
403 그 외 등등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네이버 카페에 쓴 글입니다. 그래서 평소에 홈페이지에 사용하지 않는 해요 말투로 작성했습니다. 평... 6 이윤정 2018.09.20 15406
402 일식 스키야키 스키야키(すき焼き)는 간장, 설탕으로 만든 다레(タレ)에 얇게 썬 고기(주로 쇠고기)와 대파, 두부, 배추, 실곤약 등의 재료를 넣고 자작하게 졸인 일본의 나베 ... 6 file 이윤정 2018.09.14 13646
401 일식 규동, 온센타마고 2022년 4월 업데이트 ㅡ https://homecuisine.co.kr/hc20/107865 말 그대로 소고기 덮밥인 규동에 반숙보다 덜 익힌 온센타마고를 곁들였다. 국물없이 밥에 고기... 12 file 이윤정 2018.07.21 9150
400 그 외 등등 백앙금 만들기, 팥앙금 안만들면 더 좋았겠지만 어쨌든 만든 백앙금. 팥은 거피팥을 사서 사용해야 하는데 거피팥이 거의 중국산이라 일반 팥을 사서 팥껍질을 다 벗겼다. 팥앙금 만들자... 4 file 이윤정 2018.07.17 20117
399 그 외 등등 마늘 구입, 보관 6월, 7월 한창 마늘이 제철이다. 덜 마른 마늘은 까기가 좋고, 잘 말린 마늘은 보관하기 좋기 때문에 전부 다 까서 냉동보관할 것은 덜 말린 것으로 6월초에 구입... 8 file 이윤정 2018.06.26 8336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