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3/15

피타브레드, 피타빵만들기




 

 0.JPG

 



두산백과의 피타브레드.

고대 시리아에서 유래된 이스트로 밀가루를 발효시켜 만든 원형의 넓적한 빵.

그리스·이스라엘·레바논·시리아·요르단 지역에 흔한 빵으로, 흔히 피타빵·피타 브레드라고 하며, 터키에서는 피데 브레드(pide bread)나 피데, 그리스에서는 누타(пита)라고 부른다.

피타를 비롯한 넓적하거나 포켓형의 빵(pocket bread)은 고대 시리아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북아프리카에서 레반트(동부 지중해 및 그 섬과 연안 제국)와 아라비아반도를 거쳐 인도·아프가니스탄으로 흘러들어와 중동과 지중해 지역에서 주식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영국의 《옥스퍼드사전》에서 1951년 영어 기록으로는 처음으로 '지난 20년간 발칸 지역, 그리스, 특히 아랍에서 이용된 요리'라고 언급했고,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은 피타에서 현대 그리스의 파이와 케이크, 브레드라는 말이 유래되었다고 기록했다.

후머스(이집트콩을 삶아 양념한 중동 음식)같은 소스를 떠내거나, 케밥 ·지로(쇠고기 등을 마늘로 양념하여 빵에 얹어 먹는 그리스식 샌드위치)·팔라펠(중동의 야채 샌드위치)과 함께 샌드위치로 활용한다. 서양에서는 음식을 뜨는 용도보다는 벌어진 빵 사이에 다양한 샌드위치 재료를 넣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1970년대에 크게 대중화되었으며, 이렇게 이용하는 빵은 따로 피타 포켓, 포켓 피타스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불가리아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브나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에 먹는다.

만드는 방법은 먼저 따뜻한 물에 이스트와 설탕을 녹여둔다. 다목적용 밀가루, 페이스트리, 밀가루, 소금을 섞은 다음 물, 이스트, 사과소스를 넣어 너무 되거나 마르지 않게 반죽하여 공 모양으로 빚어놓는다.

이후 굽거나 튀기는 2가지 요리법이 있는데, 구울 경우는 260℃로 예열시킨 오븐의 빵틀에 반죽을 집어넣고 3분 정도 동안 구우면 빵의 둥글고 평평한 부분이 부풀어오른다. 튀기는 경우는 올리브유를 높은 온도로 거의 연기가 날 때까지 가열한 후 반죽을 집어넣고 뒤집어가며 몇분간 튀기다가, 표면에 갈색 얼룩들이 생기면 꺼낸다.

 

 




 

빵의 풍미, 담백한 밀가루 빵의 비할 바 없는 맛은 세 가지 원천에서 나온다.

첫째는 밀가루의 맛, 둘째는 효모와 박테리아 발효의 산물들, 셋쩨는 굽는 동안 오븐의 열에 의해 야기된 반응들이다.

추출물이 낮은 흰 밀가루는 바닐라, 향신료, 금속, 지방 향미들에 의해 지배되는 반면에, 통밀가루는 이것들이 더욱 풍부할 뿐 아니라 거기에 더해

오이, 프라잉, 땀, 꿀 미향들이 보태진다. 효모 발효는 독특한 '효모'냄새를 생성하는데, 그 가운데 상당 부분은 과일 에스테르와 달걀 맛의 황 화합물들에서 기인한다.

굽기는 토스트를 한 듯한 갈변반응의 산물들을 보탠다.

스타터는 아세트산과 그 밖의 유기산들에서 나오는 독특한 신맛과 전반적으로 복잡 미묘한 느낌을 더해준다.

- 음식과 요리(포스팅 내용의 일부분에도 인용되어 있다.)

 

 

 

밀가루와 이스트에 시간과 온도가 만나면 이러한 작용을 거쳐서 '빵'이라는 하나의 풍미를 완성한다.

평소에 손에 밀가루 묻히는 것과 빵반죽을 아주 귀찮아 하는데 피타빵은 어디 살 곳도 없고 만들기도 쉬워서 오랜만에 빵을 만들었다.

제빵기가 고장이 나서 버린 이후로 어지간하면 안만들고 싶은데 허머스에는 피타빵이 제격이라 어쩔 수 없었다.

 

 


 

피타빵 레시피는 키친바이블을 참고 했다.

200미리 계량컵 기준.

4.2컵 강력분
1.5컵(300ml) 물
1ts 소금, 설탕, 이스트
4Ts 올리브 오일

 

 

 

먼저 물에 소금, 설탕을 녹인 다음 올리브오일을 붓고 그 위에 밀가루와 이스트를 넣어서 반죽했다.

 

밀가루는 3분의 1씩 넣어서 서서히 반죽이 될 때마다 밀가루를 추가하고 날가루가 보이지 않도록 한 다음에 본격적으로 반죽을 시작했다.

약 15~20분간 접어가면서 손목을 혹사시켜서 매끄러운 반죽을 만들었다.

 

 

빵을 만들 때에는 시간 보다는 상태에 집중해야 한다.

레시피에 있는 시간은 어디까지나 가이드일뿐 실제로 그 반죽이 얼마나 발효되고 , 오븐에서 얼마나 익었나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실온이나 각 가정의 실제 오븐 온도, 만든 사람의 반죽 정도, 반죽이 발효되고 있는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발효란 효모 세포가 이산화 탄소를 방출하고, 이산화탄소가 공기주머니 속으로 들어가 그것들을 팽창시키고 도우가 부플어오르도록 도우를 가만히 내버려두는 단계이다.

발효가 완성되는 시점은 반죽의 부피가 처음의 약 2배 정도가 되었을 때이다.(흔히 말하는 1차 발효) 발효과정에서 글루텐이 발달되면서 늘어나는데

발효가 완성 되었을 때에는 글루텐의 탄성이 더이상 늘어날 수 없을 때까지 늘어난 상태이므로손으로 눌렀을 때 되돌아오는 움직임이 없다.

빵 반죽에 들어있는 이산화탄소를 재배치하고 글루텐을 다시 뭉쳐서 견고하게 한 다음(흔히 말하는 가스빼기)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고 글루텐이 이완되도록 조금 기다렸다가(흔히 말하는 중간발효) 셩형을 한다.

그 다음 빵을 굽기 전까지 빵의 팽창을 준비하기 위해 proofing(흔히 말하는 2차발효)하게 된다.

 

 



proofing이란 제빵공정에서 굽기 전에 일정한 형태로 만든 반죽을 철판에 나란히 놓거나 빵틀에 넣어 충분히 팽창시키는 공정이 있는데 이 공정을 최종 재우기(final proofing)라 한다. 재우기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5~38℃, 습도는 80~90%로 여기서 최종제품의 목표부피의 80%까지 팽창시키고 나서 오븐에 넣고 나머지 20%는 오븐에서 굽기 공정 중에 팽창(oven spring)시킨다. 이 공정은 빵의 품질에 특히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온도․습도의 조절과 재우기 시간을 정할 때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재우기 시간은 오븐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오븐 온도가 낮을 때는 재우기에서의 발효를 제한하고 오븐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재우기에서의 발효시간은 길게 하여 좀더 많이 팽창되도록 한다. - 식품과학기술대사전

 

 

 

빵은 흔히 예열된 오븐에 구워야 한다고 하는데 빵이 급격히 부풀어 오르고 크러스트에 풍미가 더해지고 바삭해지는 것을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빵을 굽기 위해 문을 면서 일시적으로 열이 손실되기 때문에 예열된 오븐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좋다.

최초에 빵을 구울 온도가 180도라면 일시적인 열손실을 고려해서 200~210도로 예열하고 반죽을 넣은 다음 180도로 내리면 적당하다.

도우를 오븐에 넣으면 오븐의 열이 도우에 들어가면서 도우 표면의 수증기가 응결되며 폭발적인 가열이 이루어진다.(oven spring)

 

 

 

뭐 피타빵 하나 만들면서 이야기가 많은데 뭐 어쨌든 이런 과정을 거쳤다.

 

도우를 1시간 20분 정도 발효(시간은 의미 없겠고 손가락으로 눌러서 되돌아 오지 않을 정도로)하고 뭉쳐서 분할하고 한 번 더 발효한 다음 예열한 오븐에 구웠다.





크기변환_DSC07718.JPG     크기변환_DSC07719.JPG


크기변환_DSC07720.JPG     크기변환_DSC07721.JPG


크기변환_DSC07722.JPG     크기변환_DSC07723.JPG
 



보들보들하게 반죽한 다음 발효했다.





크기변환_DSC07724.JPG     크기변환_DSC07725.JPG


크기변환_DSC07726.JPG     크기변환_DSC07727.JPG
 



다음으로 분할과 발효..

원래 레시피에는 빵을 밀어서 펴는 성형을 하면서 올리브오일을 발라주는 것이었는데

손에 밀가루 묻힌 다음에 올리브오일까지 묻히기가 싫어서 그 과정은 생략했다.

 


크기변환_DSC07728.JPG     크기변환_DSC07729.JPG

 

  


 

 

일종의 플랫브레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빵 온도인 180도보다는 높은 200~220도로 굽기 시작하고 가운데가 부풀어오르도록 두는데

너무 익게되면 윗면이 바삭바삭해져서 피타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적당히 노릇노릇하면 꺼내는 것이 좋다.

각 오븐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집 오븐으로는 10, 13, 15분 간격으로 확인해보니 13분이 적당하고 15분에는 윗면이 바삭해져서 좋지 않았다.

 

대충 생각해보니 일반적인 오븐에는 200도에 13분, 220도에 10분이 적당하겠지만 특성에 따라 체크하면서 굽는 것이 좋겠다.

레시피에서 시키는 대로 200도에 15분으로 딱 맞춰서 오가며 신경쓰지 않아도 짠 하고 나오면 편할텐데..

 

 

 

피타빵은 겉면이 구워진 상태에서 내부에 수증기가 축적되면서 연한 내부가 찢겨져서 양면이 분리되기 때문에 부풀어오르고 그 결과 속을 채워 넣기 쉬운 빵이 되는데

성형해서 재우기를 거친 빵에 흠집이 나면 부풀림이 억제되어서 포켓이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표면을 매끈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구워졌을 때에 양면의 두께를 고려해서 너무 얇지는 않게 살짝 두께감이 있도록 밀어서 성형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7737.JPG






크기변환_DSC07738.JPG

 


이렇게 만든 빵은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눌러서 보관했는데 밀가루의 전분이 식으면서 굳기 때문에 피타빵은 눌러서 보관하면 안된다..

 

빵속의 전분은 실온에서 노화과정을 거치고 냉동시에 노화의 과정이 멈추는데 7도정도의 온도에서 가장 빠르게 노화되기 때문에
당장 먹을 것은 구운 그대로 실온에 보관하고, 조금 더 보관할 것은 냉동하는 것이 좋다. (냉장실 X)
실온에 있던 빵이나 실온으로 해동한 빵을 다시 오븐에 데우면 (60도 이상) 밀전분이 겔화 되어서 빵이 다시 부드러워진다.
 
 
빵 맛은 플레인한 플랫브레드로 식사용으로 먹기 적당한 맛이었다.
 
 





  1. 카레라이스, 카레돈까스, 고형카레없이 일본 카레 만드는 법

    2014/09/15 카레라이스, 카레돈까스, 고형카레없이 일본 카레 만드는 법 제목이 일본 카레 만드는 법인데;;; 나름대로 일본식 카레를 만들었지만 입맛에 따라 다를 수 있다.. Japanese Soul Cooking과 구글에서 찾은 일본 카레 레시피도 두루 보고 인도커리를 하면서 알게 된 향신료의 특성을 감안해서 ...
    Date2014.09.15 Category일식 By이윤정 Views24205
    Read More
  2. 간짜장, 짜장면

    2014/09/13 간짜장, 짜장면 저녁 준비를 일찍 했어야 했는데 사촌동생 자소서 좀 봐주다보니 시간이 훌쩍 지나가서 미리 생각해 둔 것도 없고 해서 급하게 간짜장을 만들었다. 마침 다진 돼지고기가 적당히 남아 있어서 당장 잡히는 재료로 금방 짜장을 볶았다. 자주 올려서 식상하긴 하지만 어쨌든 오...
    Date2014.09.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90938
    Read More
  3. 마파가지덮밥

    2014/09/02 마파가지덮밥 여름동안 가지는 늘 집에 구비해두고 나름대로 여러가지로 해먹고 있다. 어제 포스팅에 남편이 해 준 어향가지를 올렸는데 오늘 어향가지를 할까 하다가 마파가지도 괜찮을 것 같아서 마파가지를 만들었다. 오랜만에 만두를 빚어볼까 하고 돼지고기다짐육을 샀는데 만두피 밀기...
    Date2014.09.0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918
    Read More
  4. 중국집 잡채, 잡채밥 만들기

    2014/08/28 중국집 잡채, 잡채밥 만들기 2017년 버전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50390&mid=hc20 사실 잡채라는 것이 중국식이나 한국식이나 전통적인 것은 당면이 들어가지 않는데 나는 당면 들어간 보통 잡채도 엄청 좋아하고, 중국집에서 주문해 먹는 당면 들어간 잡채밥도 ...
    Date2014.08.28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30775
    Read More
  5. 탕수육, 탕수육만들기

    2014/08/27 탕수육, 탕수육만들기 마트에서 별 생각없이 돼지고기 안심을 사두고는 뭘할까 하다가 탕수육을 먹은지 좀 된 것 같아서 집에 있는 재료로 적당히 재료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튀김옷은 약간 되직하게 해서 기포가 있는 정도로 반죽하고 탕수육 소스는 요즘 만들고 있는 대로 새콤달콤하게 ...
    Date2014.08.27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9298
    Read More
  6. 표고 죽순기편

    2014/08/24 표고 죽순기편 죽순, 닭고기를 편으로 썰어서 각각 볶거나 튀겨서 치킨스톡과 굴소스로 만든 짭짤한 소스에 함께 볶아 만드는 죽순기편에 표고버섯을 추가해서 표고 죽순기편을 만들었다. 죽순기편을 처음 접한 다음 조금 더 본토적인 레시피를 찾아보고자 구글링을 조금 해봤는데 내 능력부...
    Date2014.08.24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3829
    Read More
  7. 동파육, 동파육만들기

    2014/08/08 동파육 동파육(중국어 정체: 東坡肉, 병음: DU+014DngpU+014DrU+00F2u)은 저장 성 항저우의 대표적인 요리로 오겹살 돼지 찜 요리이다. 소동파가 이곳에서 벼슬을 할 때 처음 요리법이 개발되었다고 하여 동파육이라고 한다. 항저우로 좌천된 소식은 여가가 날 때마다 틈틈이 돼지고기를 쪄...
    Date2014.08.08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22493
    Read More
  8. 치킨커리, 인도커리, tamatar murgh

    치킨커리, 인도커리, tamatar murgh 가장 유명한 인도커리는 단연 버터키친커리=무르그 마크니 이겠지만 그보다 더 기본이 되는 커리는 tamatar murgh이다. tamatar 는 토마토를 의미하고 murgh 는 치킨인데 이 tamatar murgh에 버터를 넣으면 흔히 말하는 버터치킨 Murgh Makhani이 된다. 닭을 주재료...
    Date2014.08.06 Category인도 By이윤정 Views9446
    Read More
  9. 생닭 손질, 닭 손질법, 닭 해체, 닭육수 만들기, 치킨스톡

    850그램 닭 1마리에 3500원으로 세일하고 있어서 냅다 질렀다. 평소 3~4마리 손질은 해봤어도 8마리는 처음이었다. 저렴한 만큼 그렇게 깨끗하게 털이 손질 되어 있지는 않아서 뭐 역시.. 했지만 어쨌든 받자마자 손질을 시작했다. <주의: 예전에 어떤 분이 닭손질하는 것을 올려달라고 하셔서 동영상을...
    Date2014.08.0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28582
    Read More
  10. 치킨 빈달루, 빈달루 커리

    2014/07/19 치킨 빈달루, 빈달루 커리 보통 빈달루는 새콤하고 매콤한 맛을 내는 것으로 유명한데 여기에 구운 고추를 갈은 칠리퓨레를 넣어서 스모키한 풍미를 더하고 얼얼하게 맵게 만들어봤다. 아래 재료는 조리과정에서 사용하는 순서대로 나열해봤다. 사용한 재료는 닭고기 마리네이드로 닭다리살+...
    Date2014.07.19 Category인도 By이윤정 Views22064
    Read More
  11. 청초육사, 고추잡채만드는법

    2014/07/17 청초육사, 고추잡채만드는법 경장육사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부분적으로 복사했다. 대표적인 3가지 육사인 청초육사(고추잡채), 어향육사, 경장육사를 연이어 만들었다. 육사는 말 그대로 고기와 실을 뜻하는데 고기와 각 채소를 실처럼 썰어서 볶아서 만든다. 청초육사는 고기와 피망을 볶...
    Date2014.07.17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923
    Read More
  12. xo소스 새우볶음밥

    2014/07/09 xo소스 새우볶음밥 xo소스는 처음 접했을 때 참 비싸고 비싼만큼 맛있지는 않다 였고, 그 후로도 관자볶음에 한 번 쓴 이후로는 늘 볶음밥에만 사용했다. xo소스를 다양한 음식에 접목하지는 못했고 xo소스 볶음밥은 늘 좋아해서 집에 xo소스가 떨어지면 늘 사두고 있다. 여전히 그정도 값의...
    Date2014.07.09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5276
    Read More
  13. 어향육사

    2014/07/03 어향육사 경장육사에 이은 어향육사. 경장육사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부분적으로 복사했다. 중국요리 중에서도 사천(쓰촨)지방의 요리는 다양한 향을 내어서 사용하는 대담한 맛으로 유명하다. 그 중 하나인 어향소스는 원래는 민물고기를 요리하던 방법의 일종인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사천...
    Date2014.07.0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1807
    Read More
  14. 경장육사

    2014/07/02 경장육사 대표적인 3가지 육사인 청초육사(고추잡채), 어향육사, 경장육사를 오랜만에 연이어 만들어봤다. 육사는 말 그대로 고기와 실을 뜻하는데 고기와 각 채소를 실처럼 썰어서 볶아서 만든다. 청초육사는 고기와 피망을 볶은것, 어향육사는 어향소스에 고기를 볶은 것, 경장육사는 춘장...
    Date2014.07.0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7486
    Read More
  15. 쯔유만들기, 메밀소바, 스팸덮밥, 아게다시도후, 쇼가야끼

    2014/06/28 쯔유만들기, 메밀소바, 스팸덮밥, 아게다시도후, 쇼가야끼 쯔유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물 1리터, 다시마, 황태, 마른표고버섯, 가쓰오부시, 육수 200미리 간장 70미리, 미림70미리, 청주70미리, 설탕 2~3스푼(간보고), 생강 1~2센치 혼다시와 소금을 넣어서 맛을 짭짤하고 감칠맛 있게 하면 ...
    Date2014.06.28 Category일식 By이윤정 Views13417
    Read More
  16. 무르그 마크니, 버터치킨커리, 인도커리 만들기

    2014/06/27 무르그 마크니, 버터치킨커리 오랜만에 버터치킨을 만들었다. 몇 번 올려서 더 할 이야기가 없어서 커리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에... Murgh 는 닭, Makhani는 버터를 뜻하고 보통 인도식 치킨커리라 불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400그램, 코리앤더파우더 0.5스푼, 칠리파우더 0.5스...
    Date2014.06.27 Category인도 By이윤정 Views40202
    Read More
  17.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2014/06/21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냉동실에 볶아 놓은 춘장을 저장해두고 꺼내서 쓰니까 춘장 튀길 필요가 없어서 편하게 잘 해먹고 있는 간짜장 짜장밥. 면 삶기도 귀찮고 해서 밥에 간짜장 얹고 계란후라이 하나 걸쳐서 슥슥 비벼먹었다. 간짜장, 짜장밥, 짜장면 다 꽤 여러번 올린 것 같...
    Date2014.06.21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1319
    Read More
  18.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2014/06/19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중국요리 중에서도 사천(쓰촨)지방의 요리는 다양한 향을 내어서 사용하는 대담한 맛으로 유명하다. 그 중 하나인 어향소스는 원래는 민물고기를 요리하던 방법의 일종인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사천지방에서 자주 쓰는 향채소와 양념으로 만들어 짭짤하고 달콤하...
    Date2014.06.19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3503
    Read More
  19. 깐풍기, 깐풍기만들기

    2014/06/18 깐풍기 100% 딱 마음에 드는 레시피는 아니고 여태 내가 한 것 중에는 가장 나았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400그램, 소금, 후추로 밑간, 계란1개, 감자전분 95그램, 물 1티스푼 다진대파, 다진 청홍고추, 다진마늘 각각 40그램, 고추기름 약 2스푼, 배합소스로 간장, 식초, 물, 설탕 각각 ...
    Date2014.06.18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8610
    Read More
  20. 레몬치킨

    2014/06/17 레몬치킨 엄마께 커다란 토종닭을 한마리 받아와서는 살을 발라내니 약 800그램정도 나왔다. 반은 레몬치킨을 하고 반은 깐풍기를 하고 남은 뼈와 뼈에 붙은 살, 날개 등은 푹 삶아서 닭죽을 했다. 닭죽은 아직 한 건 아니고 육수를 우려내고 닭고기는 꼼꼼하게 발라서 육수에 담근 다음 냉...
    Date2014.06.17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39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