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본식 카레라이스, 돈까스카레, 함박카레

 

 

크기변환_DSC07887.JPG



카레라는 것이 한국 카레가루를 넣으면 한국식이고 일본카레루를 넣으면 일본식이고...

일본식 카레도 루 없이 향신료를 조합해서 만들 수 있지만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748 카레루가 잘 나와 있으니까 굳이 루 없이 만들 필요는 없다.




카레전문점 메뉴를 보면 기본 카레에 여러 재료를 넣은 카레의 매운맛을 선택하고 여기에 토핑재료를 조합해서 한 그릇의 카레라이스로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인 카레를 하고 토핑은 돈까스를 했다. 구운가지나 구운 양파, 구운 감자, 구운 버섯 등을 곁들이면 더 좋다.

카레에 얹는 마늘후레이크는 '튀김마늘슬라이스'로 검색하면 파는 것이 있다. 집에서 튀기기 번거로우니까 사서 쓰면 좋지만 어쨌든 생략..


매운 맛은 매운맛은 인도칠리파우더http://www.asia-mart.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1522로 조절했는데

입맛에 따라 맵기를 느끼는 정도가 다르니까 마지막에 맛을 보면서 조금씩 추가하는 것도 괜찮다.

4인분당 1티스푼이면 적당히 맵고 2티스푼이면 꽤 매워서 끝맛이 얼얼하고 매운 정도가 꽤 지속됐다. 3티스푼은 안해봤는데 굉장히 매울 것으로 예상된다.

커리파우더를 넣으면 보통 카레에 향신료가 추가되니까 맛이 조금 더 나은데 생략가능하다.

며칠 전에 아이허브에서 스코빌지수가 9만인 케이옌페퍼파우더를 샀는데 다음에는 이걸로 매운 정도를 맞춰봐야겠다.



보통 카레를 100시간 저온숙성 등의 이야기를 하는데 그냥 냉장고에 넣는거니까.. 어쨌든 전날 만들어두고 데워 먹으면 맛있다.




카레에 사용한 재료는 약 3~4인분으로

양파 3개

버터 2~3스푼

다진마늘 약간

물 1리터 (필요시 추가)

일본카레루 (4조각 = 골든커리 120그램)

커리파우더 2티스푼

인도칠리파우더 1~2티스푼



돈까스로

등심 4장,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 빵가루





양파는 얇게 채썰었다,

팬에 버터를 두르고 중약불로 30~35분정도 너무 많이 뒤적이지는 않으면서 양파를 카라멜라이즈했다.



크기변환_DSC07874.JPG     크기변환_DSC07873.JPG


크기변환_DSC07876.JPG     크기변환_DSC07877.JPG


크기변환_DSC07878.JPG     크기변환_DSC07879.JPG




여기에 물을 붓고 고형카레, 커리파우더, 칠리파우더를 넣고 뚜껑을 약간 비스듬히 닫아 중불로 줄여 30분정도 푹 끓였다.

오가며 저어주고 양파가 완전히 부드럽게 흐물흐물하도록 끓이고 소스의 농도는 취향에 맞도록 불조절을 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DSC07880.JPG     크기변환_DSC07882.JPG



카레는 이렇게 끓여두고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다음날 먹었다.




고기는 적당히 두드려서 편 다음 소금, 후추를 뿌려 밀가루에 섞이지 않도록 고기를 토닥토닥 눌러주고

고기에 밀가루를 묻혀서 턴 다음 계란을 푼 것에 담갔다가 빵가루에 얹었다.

빵가루를 묻힐 때에는 생각하는 것보다 넉넉한 빵가루를 사용해서 듬뿍, 꾹꾹 눌러가면서 빈 곳이 보이지 않게 꼼꼼히 빵가루를 묻혔다.



크기변환_DSC07755.JPG     크기변환_DSC00155.JPG   


크기변환_DSC07883.JPG     크기변환_DSC07884.JPG



튀김을 하고 나면 빵가루가 가라앉는데 한 번 건질 때마다 체로 빵가루를 건지고 다음 것을 튀겨야 탄 빵가루가 다음 튀김에 묻지 않고 깨끗하다.

앞뒤로 뒤집어 가면서 노릇노릇하게 튀긴 돈까스는 기름을 탈탈 털고 식힘망 위에 올려두었다.

튀김에서 수증기가 빠져나가고 기름이 아래로 떨어질 공간을 주면 바삭함을 오래 유지한다.






돈까스를 튀기고 카레를 데워서 얹고 대파를 잘게 채썰어 뿌리면 완성.

 

 

크기변환_DSC07887.JPG






크기변환_DSC07888.JPG






크기변환_DSC07889.JPG



양파를 카라멜라이즈해 풍미가 괜찮고 얼얼하게 매운 카레에 바삭바삭한 돈까스가 잘 어울렸다.








남은 카레로는 카레함박을 했다.

함박스테이크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3027&mid=hc10


냉동실에 있는 함박스테이크를 해동하고 카레는 데우고 계란후라이를 구워서 얹었다.

지금 링크를 보니 오믈렛을 얹어도 잘 어울렸겠다 싶다.



크기변환_DSC08021.JPG     크기변환_DSC08022.JPG






크기변환_DSC08024.JPG






크기변환_DSC08025.JPG







  • 뽁이 2016.02.13 23:40

    오옹 일본식카레는 오랜만인거 같아요 !

    아 ... 아닌가 ㅋㅋㅋㅋㅋ

    역시 카레라이스에는 밥이죠 ㅋㅋ

    난  보다 밥 ! 헤헤

    그리고 요기다가 요렇게 토핑들 딱 올려주니까

    훨씬 푸짐해져버리고요 ㅋㅋㅋ

    신기하게 ? 인도식커리 봤을땐 몰랐는데

    이거 보니까 딱 맥주가 ... 생각나네요 .... 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6.02.15 00:08
    커리말고 카레에는 당연 밥이죠ㅎㅎ
    구운 채소가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역시 튀김에는 맥주인건가요ㅎㅎㅎㅎㅎ
  • 해마니 2016.02.14 10:16
    앗 저 오늘밤에 돈까스할예정인데 낼은 카레만들어서 돈까스카레도 해봐야겟으요 ㅎㅎ 양파 카라멜라이즈해서 카레하는거 한번도 안해봤는데 그렇게맛있다면서요! ㅎㅎ 아 여기서 알게된 폴란드인 아줌마가 자기는 커틀릿만들때 밀가루 계란대신 마요네즈를 발라서 빵가루를 입힌다더라구요? 그렇게하면 덜 타고 속이 촉촉하고 맛있다며 ㅎㅎ 제가오늘 해보고 잘되면 알려드릴게여 ㅋㅋ
  • 이윤정 2016.02.15 00:10
    돈까스 넉넉하게 만들었다가 카레돈까스 하면 뭔가 일을 덜하고 얻은 것 같고 좋죠ㅎㅎ
    몇년전에 마요네즈 발라서 빵가루 입혀봤는데, 저는 계란물 입힌 게 더 좋았었는데 오래되서 지금 다시 하면 어떨지 또 모르겠어요^^ 괜찮으셨으면 저도 다시 해볼까 싶어요ㅎㅎ
  • 해마니 2016.02.15 07:55
    앗 벌써 해보셨군요^^ 먹어봤는데 마요네즈가 좀더 촉촉한느낌? 소스땜에 그런가 맛에서는 큰 차이가 없더라구요 ㅎㅎ 결론은..... 잘 모르겠음...ㅋㅋ 근데 마요네즈 뭍히는게 생각보다 더 번거로워서 ㅋㅋ 계란물로 하는걸로 ㅋㅋ
  • 테리 2016.02.17 16:24

    오오~~~~함박에도 카레를 얹음 맛있군요~~~^^
    돈까스 팍 찍어 먹고싶다아~~

    저도 지난주에 일본식카레했어요.엄밀히 말해 델리 스타일 치킨카레!!! 마트가니 닭도리탕용 고기가 50프로 세일 하길래 두팩사서 삶아 육수내고 살만 발라서.ㅋㅋ

    저는 80년대 중반에 첨 먹었던 델리카레가 그렇게 맛있더라구요.
    일본풍카레에 약간의 스파이스 추가한???

    요즘은 점점 매장이 없어지는듯.  저도 먹어본지 7~8년 됐는데.ㅎㅎ

  • 이윤정 2016.02.18 01:31
    함박은 물론이고 고로케나 가라아게도 다 잘 어울리는 게 카레아니겠습니까ㅎㅎ
    델리는 가본 적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테리님이 맛있으셨다면 무조건 먹고싶어져요ㅎㅎㅎ
  • 테리 2016.02.18 23:25
    부산에는 없을려나요??? 강남엔 아직 가끔 간판이 보이던데
    저희 지역 것은 3년전쯤 없어진듯해요.
  • 이윤정 2016.02.19 00:36
    부산엔 없는 것 같아요ㅎㅎ
  • iruschoco 2016.02.23 21:45

    코코이찌방야의 카레랑 같은맛인가요??

    저희 가족이 코코이찌방야 일본식 카레를 너무좋아해서 ㅠㅠ

    만들어볼라구하는데 비슷한가요??

  • 이윤정 2016.02.25 01:14
    벤치마킹을 하기로는 아비꼬 스타일로 했어요^^

  1. 오향장육 양장피볶음

    오향장육 양장피볶음 양장피의 보들보들한 식감을 좋아해서 냉채에 양장피를 늘 넣는 편인데 이번에는 오향장육을 삶아서 양장피를 볶았다. 집에 많이 사다 둔 꽈리고추를 다듬어서 사태와 양장피를 함께 볶았는데 오이고추를 사용해도 좋고 데친 표고버섯이나 데친 죽순을 추가해도 좋다. 양장피에 장육이 잘 어울리긴 하지만 훈제오리나 훈제햄등으로 함께 볶아도 잘 어울린다. 사용한 재료는 오향장육 (조리전 약 750그램) 양장피 반봉투 (125그램) 꽈리고추 약 30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청주 1스푼 간장 1스푼 물엿 1티스푼 굴소스 1티스푼 ...
    Date2015.12.24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5266 file
    Read More
  2. 유린기, 레시피, 만들기

    유자즙과 꽈리고추를 곁들인 유린기 기름에 젖은 닭고기라는 뜻의 유림기, 아삭한 양상추에 전분튀김옷을 묻혀 튀긴 닭튀김에 상큼하고 짭짤한 소스를 뿌려서 먹는데 튀김이 주가 되는 음식에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이 늘 치킨샐러드의 느낌이다. 이번에는 유린기에 요즘 한창 제철인 유자즙을 넣어서 소스를 만들고 구운 꽈리고추를 잔뜩 얹어서 곁들였다. 튀김은 바삭바삭한 질감을 높이기 위해 타피오카 전분과 감자전분을 섞어서 사용했는데 타피오카 전분은 구입하기도 번거롭고 달라붙는 질감 때문에 튀김하기가 약간 번거로우니까 감자전분만...
    Date2015.12.1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10609 file
    Read More
  3. 꽈리고추잡채, 꽈리고추 대패삼겹볶음

    꽈리고추잡채, 꽈리고추 대패삼겹볶음 평소 중식 고추잡채는 고기를 튀겨서 고추, 데친표고, 데친죽순을 함께 볶아 만드는데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9362 이번에는 꽈리고추와 대패삼겹을 볶아서 재료를 단출하게 하고 고추잡채 맛이 나도록 만들었다. 반찬이나 고기 카테고리로 올릴까 하다가 고추잡채맛이 더 나는 것 같아서 중식으로.. 사용한 재료는 대패삼겹 약 350그램 꽈리고추 약 50개 마늘 2개 대파 1대 간장 1스푼 청주 1스푼 후추약간 설탕약간 굴소스 약간 (약 0.5스푼) 참기름 약간 꽈리고추는 씻어서 물기...
    Date2015.12.06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13 Views7976 file
    Read More
  4. 치킨 잘프레지, chicken jalfrezi

    치킨 잘프레지, chicken jalfrezi 2011년 선정한 영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커리라는 잘프레지. 잘프레지는 주재료에 따라 닭고기뿐만 아니라 양고기, 새우, 새금치 등 채소를 사용해서 ~잘프레지 라고 부른다. 보통 남은 음식으로 만든 커리라고 한다는데 정확한 유래는 없고 jal은 뜨거운, 빠른 이라는 의미이고 frezi는 볶기 라고 하는데 이마저도 의견이 분분하다. 만드는 방법은 치킨 티카 마살라와 비슷하다. 그래서 가장 인기있었던 티카 마살라를 밀어내고 가장 좋아하는 커리의 자리를 쉽게 차지한 느낌도 든다. 닭고기와 채소를 미리 굽거나 ...
    Date2015.12.05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6 Views8696 file
    Read More
  5. 목이버섯 손질, 손질법

    탕수육이나 팔보채, 류산슬 등 중식과 잡채, 짜조 등 여러 음식에 사용하는 목이버섯. 목이버섯을 사용하는 음식은 주로 손이 많이 가는 것이 많아서 시간이 있을 때 건조 목이버섯은 미리 손질해두면 편하다. (이후 업데이트) 생목이버섯을 살 수 있을 때는 생목이버섯을 사용한다. 건조한 것보다 더 맛있다. 깨끗하게 씻어서 가위로 꼭지를 자르고 물기를 바짝 닦아서 한줌씩 소분하고 포장해서 냉동한 다음 해동해서 사용한다. 데치거나 볶아서 사용하면 적당하다. (2019년 기준 홈플러스에서 생목이버섯 270그램에 4990원, 메가마트 160그램에 26...
    Date2015.12.03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4 Views29050 file
    Read More
  6. 베니쇼가, 초생강 만들기, 레시피

    요즘 햇생강이 나오는 철이라 초생강을 담아두기 좋다. 일본어로 된 요리책을 보고 비율을 참고했고 과정은 영어로 된 일식요리책을 참고해서 메모해두었는데.. 영어책 제목이 생각이 안난다;;; 책이 이북이었는데 여러번 이야기했듯이 랜섬웨어로 다 날려서 어디서 참고했는지 찾을 수가 없다. 자소엽(유카리)를 넣어서 베니쇼가의 색을 낸다고 하는데 없으니까 생강으로만 만들고 색을 낼 재료는 따로 넣지 않았다. 사용한 재료는 생강 손질 후 약 220그램 양조식초 180 미림 60 물 60 설탕 60 소금 1티스푼 1. 생강을 씻어서 껍질을 벗겨서 다시 ...
    Date2015.11.29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4 Views14462 file
    Read More
  7. 후라이팬으로 난 만들기

    난 만들기 난은 탄두리에 굽는 것이 폭신폭신한 질감으로 좋지만 집에서 그나마 하기 좋도록 후라이팬을 사용해서 만들었다. 그만큼 폭신폭신하게 부푸는 것은 덜하지만 그럭저럭 먹을만 했다. 평소 늘 만들어 두는 플랫브레드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5&category=1469&document_srl=7136 사용한 재료는 밀가루 4컵 소금 1.5티스푼 설탕 1.5티스푼 이스트 1.5티스푼 약간 따뜻한 물 190미리 플레인 요거트 7스푼 올리브오일 1.5스푼 크게 빚으면 크고 작게 빚으면 작아서 몇장 분량인지 크게 의미는 없지만 30센치 후라이팬에 ...
    Date2015.11.16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13 Views37502 file
    Read More
  8. 콜라비 피클

    콜라비 피클 사용한 재료는 콜라비 1개 마늘 2개 물 1컵 식초 1컵 설탕 1컵 소금 1티스푼 피클링 스파이스 1스푼 물, 식초, 설탕의 양은 1:1:1로 맞췄다. 콜라비 크기에 따라 필요한 피클주스의 양이 다른데 조금 큰 걸 사용하니 이정도가 들어갔다. 1:0.8:0.8로 넣어도 좋다. 피클링스파이스, 오이피클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2778&mid=hc20 치킨무, 무피클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09&document_srl=26681 콜라비는 껍질을 벗겨서 새끼손가락만한 크기로 썰었다. 더 짧게 썰면 먹기...
    Date2015.11.14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2 Views4742 file
    Read More
  9. 짬뽕 만들기

    짬뽕 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중화면 2인분 바지락 200그램 갑오징어 1마리 새우 1줌 주꾸미 2마리 돼지고기 안심 약 80그램 식용유 약 4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고춧가루 1스푼 고운 고춧가루 2스푼 청주 1스푼 간장 2스푼 양파 작은 것 1개 알배추 4잎 당근 약간 부추 약간 끓는 물 3컵 조개육수 약 1.5컵 치킨파우더 1.5티스푼 후추약간 간보고 소금 약간 짬뽕은 바지락을 데쳐서 낸 바지락 육수와 닭육수를 섞어서 사용하는데 닭육수 대신에 치킨파우더를 사용했다. 짬뽕을 맵게 만들지는 않았는데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나 청양고추를 조금 ...
    Date2015.11.1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10 Views10604 file
    Read More
  10. 샤브샤브 만들기, 재료, 소스, 육수, 폰즈소스, 얼큰 샤브샤브

    샤브샤브 약 13년 전 자취시절 손님이 왔을 때 식칼도 없이 과일칼로 만들었던 샤브샤브. 얼마간 잊고 지내다가 꽤 오랜만에 만들어서 이번에도 그 때 그 손님과 함께 먹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샤브샤브용 육수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1~2스푼 소금 약간 샤브샤브용 고기 약 500그램 알배추 몇 잎 대파 1대 팽이버섯 1봉투 표고버섯 5~6개 두부 반모 소스로 폰즈소스 청양고추 1개 마늘 2개 생강 마늘사이즈 1개 사리와 죽으로 수제비면 1인분 밥 1그릇 계란 1개 당근 약간 부추 약간 대파 약간 소금 약간 먼저 폰즈소스. 샤브샤브 2인분...
    Date2015.11.10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8 Views23188 file
    Read More
  11. 데미그라스 소스 만들기

    데미그라스 소스 구운 소뼈와 채소, 향신료로 만든 브라운 스톡에 미르푸아(양파, 당근, 샐러리), 향신료, 토마토페이스트를 넣고 루roux를 넣어서 만드는 것이 브라운 소스이다. 일명 에스파뇰 소스. 이 에스파뇰 소스에 다시 브라운 스톡을 넣고 반으로 졸인 것이 데미그라스 소스이다. 소뼈 육수를 내는 일은 꽤 많은 노동력을 요하는 일이라서 고형 비프스톡이나 고체형 비프스톡 혹은 캔에 든 비프브로쓰를 사용해서 만들면 간편하다. 물론 더 간편한 일은 마트에서 하인즈 데미그라스 소스를 사서 사용하는 것.... 일반적인 데미그라스소스는 ...
    Date2015.11.07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10 Views27124 file
    Read More
  12.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먼저 중화면. 중화면을 반죽하고 밀고 자르는데에 제면기(BE-9500)를 사용했다. 제면기는 6~7년전 쯤 산 것인데 지금은 단종되고 다른 모양으로 나오는 것 같다. 중화면에는 알칼리성 물인 간수를 사용해서 반죽하는데 요즘은 거의 탄산칼슘+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면첨가제를 넣어 반죽한다. 면첨가제는 쉽게 붙지 않는 특성을 주면서도 면의 탄력과 색감, 식감에 기여를 하기 때문에 라멘이나 중화면에는 거의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시판하는 면반죽 첨가물 중에 소포장으로 쉽게 살 수 있는 면파워를 사용하고 겉...
    Date2015.11.05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5 Views66960 file
    Read More
  13. 치킨 가라아게, 가라아게덮밥

    치킨 가라아게, 가라아게덮밥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튀김요리를 전반적으로 의미한다. 채소나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튀겨서 먹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즐겨 먹는 것이 치킨 가라아게 인데 요즘은 보통 가라아게 하면 치킨을 뜻하기도 한다. 일본 음식에서 유명한 튀김이 가라아게, 덴뿌라, 고로케가 있는데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것, 덴뿌라는 튀김가루와 물을 섞어서 만든 반죽을 튀긴 것, 고로케는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혀서 튀긴 것 정도로 볼 수 있겠다. 가라아게를 만들고 여기에 대파, 쪽파, 덮밥소스, 마요네즈,...
    Date2015.11.04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7 Views12642 file
    Read More
  14.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는 태국어로 속을 채운 오믈렛을 뜻하고 무는 돼지고기를 뜻한다. 다진 돼지고기를 넣었으니 정확히는 카이 얏 사이 무 쌉 이라고 해야 맞겠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채소와 돼지고기를 소스에 볶아 계란으로 감싼 오믈렛인데 나는 반달모양으로 접었지만 계란 가운데에 돼지고기볶음을 놓고 보자기모양으로 감싸서 만드는 일이 더 많다. 오믈렛에 자스민쌀과 일반쌀을 섞어서 지은 밥을 곁들였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계란 4개 쪽파 반줌 소...
    Date2015.11.01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6 Views6369 file
    Read More
  15. 고추잡채 만드는법

    고추잡채 만드는법 평소에는 고추잡채를 만들 때 고기를 채썰어서 반죽을 얇게 익힌 다음 볶거나 튀겨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탕수육보다 약간 얇은 정도의 2번튀긴 고기튀김 (탕수육 소스를 부으면 탕수육이 될 정도의 고기튀김)을 만들고 채소와 양념을 볶아 마지막에 고기튀김을 넣어서 한 번 볶아내는 스타일로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맛있었다! 고기튀김은 하지 않고 볶아서 만든 것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5412&mid=hc20 사용한 재료는 [고기튀김] 돼지고기 안심 약 370그램 감자전분 150미리 (계란스푼으로 10스푼...
    Date2015.10.3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6257 file
    Read More
  16. 마파두부

    마파두부 오랜만에 마파두부를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두부 1모 [채소①] 칠리오일 1스푼 식용유 적당량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양념①] 간장 1스푼 청주 1스푼 [채소②] 청양고추 3개 홍고추 2개 양파 반개 [양념②] 두반장 2스푼 굴소스 약간 치킨파우더 약간 후추 약간 물 1컵 물전분으로 물1.2스푼 전분1.2스푼 참기름 약간 화자오 약간 만드는 순서는 미리 고기를 볶아두고 오일, 마늘, 대파(채소①) 간장, 청주(양념①) 고추, 양파(채소②) 두반장, 굴소스, 치킨파우더, 후추(양념②) 미리 볶은 고기 물전분 두부 의 순서이...
    Date2015.10.28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6883 file
    Read More
  17. 찹쌀탕수육, 꿔바로우, 반죽 레시피 만드는법

    찹쌀탕수육, 꿔바로우, 반죽 레시피 만드는법 평소에는 전분에 바로 물을 넣어 반죽했는데 이번에는 물전분을 가라앉히고 찹쌀가루를 넣어서 찹쌀탕수육을 만들었다. 소스에는 채소를 넣지 않고 평소보다 메이플 시럽을 1스푼 더 넣어서 약간 더 달게 했는데 그래도 엄청 단 건아니고 적당히 달달한 찹쌀탕수육 소스였다. 고기튀김으로 돼지고기 안심 500그램 소금, 후추 마늘파우더약간 생강파우더약간 감자전분 1컵 물 1컵 찹쌀가루 2스푼 계란흰자 1개 물 1스푼 튀김기름 탕수육 소스로 물 150미리 간장 2스푼 식초 3스푼 메이플시럽 6스푼 굴소스...
    Date2015.10.2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10 Views32868 file
    Read More
  18. 야끼소바학교로 야끼소바

    야끼소바학교로 야끼소바 대놓고 인스턴트인 야끼소바. 야끼소바 면을 라멘생면으로 하기도 하고 야끼소바소스를 만들어서 야끼라면이나 야끼우동도 하지만 야끼소바학교는 늘 사두고 먹을 것 없을 때면 야끼소바? 하게 된다. 인스턴트든 어쨌든 면과 소스가 들어있는 구성이라 고기나 해물 등 주재료와 채소등 부재료, 토핑재료인 마요네즈, 오코노미야끼소스, 아오노리, 가쓰오부시를 준비하면 적당하다. 아오노리와 가쓰오부시는 냉동실에 늘 넣어두고 사용하고 있고 오타후쿠 오코노미야끼소스를 큰 병으로 사두고 냉장실에 넣어두고 마요네즈는 ...
    Date2015.10.19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9 Views6906 file
    Read More
  19. 치킨난반, 치킨남방, チキン南蛮

    치킨난반, 치킨남방, チキン南蛮 그저께 인도식 양념치킨인 치킨65, 어제의 소프트쉘 크랩 크림 파스타의 게튀김, 오늘의 치킨난반 닭튀김까지 3일째 튀김 업데이트인데... 남은 기름은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걸러서 다른 그릇에 옮겨 담았다가 3~4번정도 재사용했다. 사전적으로는 치킨난반이 맞고 일본 사는 언니가 실제 발음하기로는 치킨남바-ㄴ 정도 된다는데 한국에서는 치킨남방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일본말에는 ㅇ받침이 없으니까 난반으로 하는 걸로... チキン南蛮는 큐슈지방의 음식인데 닭고기 다시 즈케 정도로 볼 수 있다. 보통 즈케...
    Date2015.10.18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5 Views9611 file
    Read More
  20. 인도식 양념치킨, 치킨65, Chicken65

    인도식 양념치킨, 치킨65, chicken65 Chicken65는 Chennai지방의 음식으로 양념을 해서 튀긴 닭고기이다. 1965년에 Chennai지방의 레스토랑에서 비롯된 음식이라고 하는데 Chicken 78, Chicken 82, Chicken 90 등으로 변모하기도 했지만 65가 가장 일반적이다. 향신료로 마리네이드를 한 튀김에 칠리소스를 더 곁들이기도하고 그냥 튀김만으로 먹기도 하는데 나는 스리라차칠리소스를 베이스로 만든 소스를 곁들였다. 그래서 인도식 양념치킨으로 제목을 붙혀봤다. 튀김만 봐서는 전분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치킨가라아게와도 공통점이 있지만 어쨌든 ...
    Date2015.10.16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7 Views6100 file
    Read More
  21. 팟 카파오 무 쌉, 팟카파오무쌉 만들기, 레시피

    팟 카파오 무 쌉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뜻하고 여기에 밥을 곁들인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무 팟 바이 끄라파오(=카파오)라고도 하던데 바이가 태국어로 뭘 뜻하는지 모르겠다;;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타이바질 대신 깻잎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얼추 재료를 맞춰서 사용했다. 라임은 레몬즙으로, 팜슈가는 황설탕으로 대체가능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2...
    Date2015.10.12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6 Views5200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