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새우커리, 프로운 마살라, jhinga masala

 

 

 

크기변환_DSC03959.JPG

 

 

마살라소스와 새우로 만드는 새우커리 jhinga(새우, prawn) masala를 만들었다.

 

새우는 냉동 흰다리새우를 해동해서 머리와 껍질을 분리해 새우살은 커리에 넣고 ,

마살라소스에는 새우머리와 껍질로 만든 육수와 생크림을 넣고 부드럽게 만들었다.

생크림 대신 코코넛밀크를 사용해도 괜찮은데 생크림의 2배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여기에 기 버터 한조각을 넣으면 새우 마크니이고.. 대동소이하다.

 

 

 

 

사용한 재료는

 

흰다리새우 30마리

 

큐민 씨드 1티스푼

 

양파 중간 것 2개

다진마늘 1스푼

다진 생강 1티스푼

소금 1티스푼

고추 3개

 

토마토 중간 것 2개

 

코리앤더파우더 1스푼

큐민파우더 1티스푼

칠리파우더 1티스푼

가람마살라파우더 1스푼

후추 0.5티스푼

터매릭파우더 0.3티스푼

카다몸파우더 0.2티스푼

 

카수리메티 1스푼

 

새우육수 2컵

생크림 1컵

 

 

 

 

 

토마토는 씨를 빼고 다지고 양파는 가능한 한 잘게 썰고 고추는 씨를 빼고 잘게 썰어두었다. 다진마늘과 다진생강도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2735.JPG     크기변환_DSC03846.JPG

 

 

 

 

 

 

흰다리새우는 새우는 해동해서 머리, 껍질, 새우살을 분리하고 등과 배쪽의 내장(소화관)을 제거했다.

가위로 머리를 싹둑 자르면 새우살이 머리쪽에 남게 되니까 머리껍질을 들어서 가위로 가장자리를 잘라 새우살과 머리를 분리하고 새우살을 손질했다.
 

     

크기변환_DSC03611.JPG    크기변환_DSC03612.JPG

 
크기변환_DSC03613.JPG     크기변환_DSC03614.JPG

 

크기변환_DSC03615.JPG     크기변환_DSC03616.JPG

 

크기변환_DSC03621.JPG

   

 

 

 


냄비에 기름을 아주 약간 두르고 새우머리와 껍질을 볶은 다음 물을 약 5컵(1리터) 정도 붓고 30분간 중불에 새우머리와 껍질의 육수를 우려냈다.

 

 

크기변환_DSC03936.JPG     크기변환_DSC03937.JPG


크기변환_DSC03938.JPG     크기변환_DSC03939.JPG


크기변환_DSC03940.JPG     크기변환_DSC03941.JPG


크기변환_DSC03942.JPG    

 


새우육수는 식혀서 체에 걸러 꾹 눌러서 최대한 국물을 빼내서 준비했다.

 

 

 

 

팬에 올리브오일을 약간 넉넉하게 넣고 큐민씨드를 볶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3943.JPG     크기변환_DSC03944.JPG

 

 


 

여기에 양파를 넣어서 갈색이 돌도록 볶은 다음 다진마늘, 다진생강, 씨를 빼고 잘게 썬 고추를 넣고 조금 더 볶았다.

 

 

크기변환_DSC03651.JPG     크기변환_DSC03653.JPG

 

 

 

 

 

준비한 향신료를 넣고 조금 더 볶다가 토마토를 넣고 조금 더 볶고 새우육수를 부었다.

 

 

크기변환_DSC03946.JPG     크기변환_DSC03947.JPG


크기변환_DSC03948.JPG     크기변환_DSC03949.JPG

 


 

소스를 중불에 끓여서 새우육수가 거의 졸아들 정도로 익으면 생크림을 붓고 다시 졸였다. 그동안 새우는 올리브오일을 두른 팬에 겉만 노릇노릇하도록 익혔다.

겉만 익어도 소스에 들어가서 한 번 부르르 끓으면 금방 익으니까 퍽퍽하지 않고 고소한 맛이 돌도록 겉만 익혀도 충분하다.

 
 

크기변환_DSC03951.JPG     크기변환_DSC03952.JPG


크기변환_DSC03953.JPG     크기변환_DSC03954.JPG

 
 

떠먹기에 적당한 농도가 된 마살라소스에 새우를 넣고 한 번 부르르 끓으면 불을 끄고 3분정도 식혔다.

식으면서 농도가 조금 더 더해지니까 새우를 넣기 전까지 소스 농도를 맞추고 새우를 넣고 난 다음에는 농도보다는 한 번 끓여내는 정도로 익히면 알맞다.

 

커리마다 늘 복사해서 쓰는 이야긴데,

마지막에 소금간을 할 때는 소금을 많이 넣을 필요는 없었지만 어쨌든 맛을 봐가면서 소금간은 딱 맞게 하는 것이 좋다.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당연히 짜서 안되지만 맛이 좀 애매할 때 소금을 조금씩만 넣다보면 간이 딱 맞으면서 향신료의 향도 더 풍부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온다.

향신료는 간이 전혀 없기 때문에 향신료만 넣은 상태에서 간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향은 강하고 맛은 모르겠는 니맛도 내맛도 아닌 느낌이 된다.

향신료의 향이 잘 우러나고, 소금으로 그 맛이 끌어올려지고, 각 음식에 맞는 적당한 수분감으로 마무리되어야 딱 맞는 커리가 완성된다. ​

 

 

 

새우 육수의 진한맛과 향신료의 풍미, 생크림의 고소한 맛이 하나로 엮인 새우커리 완성.

 

 

크기변환_DSC03960.JPG


 

 

 크기변환_DSC03959.JPG

 

 

 

새우는 마지막에 살짝 볶은 다음 넣어서 질감이 퍽퍽하지 않아서 괜찮았다.

새우육수와 생크림의 구수하고 고소한 맛에 향신료의 향이 잘 어울려서 소소의 질감도 좋고 맛도 좋았다.

플랫브레드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5&category=1469&document_srl=7136 에 소스와 새우를 듬뿍 올려서 맛있게 잘 먹었다.

 

 

 

 

 

  • 테리 2015.09.06 22:40
    요새 새우요리 자주 하시는 것 같아요. 저렇게 새우 많이 넣어주는 데가 밖에서는 어딨겠어요.ㅎㅎㅎ

    저도 오늘 카레 했는데^^ 저는 인도식과 일본식의 혼합잡탕? ㅎㅎ
    향신료는 다 넣고 양파는 갈색으로 볶고 간과 농도는 일본고형커리로 맞췄어요.ㅋ
  • 이윤정 2015.09.07 23:33
    어제는 새우버거까지 만들었어요ㅎㅎㅎ
    일본 고형 카레에도 향신료 이것저것 들어가면 훨씬 더 맛있죠^^ 양파 갈색으로 볶는 것도 좋고 다 좋습니다ㅎㅎㅎ
  • 뽁이 2015.09.06 23:02
    오옹 저는 그렇게 저 새우대가리들 볶을떄 ? 가
    뿌듯해요 ㅋㅋㅋ 왜때문인지 ㅋㅋㅋ
    그 볶은 것 국물 ? 이 상상되어서 그런가바요 ㅋㅋㅋ
    아 오늘도 저 국물이 베이스가 된다니
    생각만해도 >_<
  • 이윤정 2015.09.07 23:34
    회색 새우가 빨개지면서 물 부으면 완전 새우냄새 고소하니 좋죠ㅎㅎㅎ
    새우가 들어가면서 물이 함께 들어가는 음식은 물 대신 새우육수로 만드는 게 더 맛있는 거 같아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 중식 짬뽕 만들기 짬뽕 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중화면 2인분 바지락 200그램 갑오징어 1마리 새우 1줌 주꾸미 2마리 돼지고기 안심 약 80그램 식용유 약 4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 10 file 이윤정 2015.11.11 10652
237 일식 샤브샤브 만들기, 재료, 소스, 육수, 폰즈소스, 얼큰 샤브샤브 샤브샤브 약 13년 전 자취시절 손님이 왔을 때 식칼도 없이 과일칼로 만들었던 샤브샤브. 얼마간 잊고 지내다가 꽤 오랜만에 만들어서 이번에도 그 때 그 손님과 ... 8 file 이윤정 2015.11.10 23227
236 그 외 등등 데미그라스 소스 만들기 데미그라스 소스 구운 소뼈와 채소, 향신료로 만든 브라운 스톡에 미르푸아(양파, 당근, 샐러리), 향신료, 토마토페이스트를 넣고 루roux를 넣어서 만드는 것이 ... 10 file 이윤정 2015.11.07 27205
235 중식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먼저 중화면. 중화면을 반죽하고 밀고 자르는데에 제면기(BE-9500)를 사용했다. 제면기는 6~7년전 쯤 산 것인데 지금은 단종되고 다... 5 file 이윤정 2015.11.05 67026
234 일식 치킨 가라아게, 가라아게덮밥 치킨 가라아게, 가라아게덮밥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튀김요리를 전반적으로 의미한다. 채소나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튀겨서 먹지만 그 중에서도 ... 7 file 이윤정 2015.11.04 12678
233 아시아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는 태국어로 속을 채운 오믈렛을 뜻하고 무는 돼지고기를 뜻한다. 다진 돼지고기를 넣었으니 정확히는 카이 얏 사이... 6 file 이윤정 2015.11.01 6436
232 중식 고추잡채 만드는법 고추잡채 만드는법 평소에는 고추잡채를 만들 때 고기를 채썰어서 반죽을 얇게 익힌 다음 볶거나 튀겨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탕수육보다 약간 얇은 정도의 2번튀... 4 file 이윤정 2015.10.31 6303
231 중식 마파두부 마파두부 오랜만에 마파두부를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두부 1모 [채소①] 칠리오일 1스푼 식용유 적당량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양념①... 4 file 이윤정 2015.10.28 6956
230 중식 찹쌀탕수육, 꿔바로우, 반죽 레시피 만드는법 찹쌀탕수육, 꿔바로우, 반죽 레시피 만드는법 평소에는 전분에 바로 물을 넣어 반죽했는데 이번에는 물전분을 가라앉히고 찹쌀가루를 넣어서 찹쌀탕수육을 만들었... 10 file 이윤정 2015.10.21 32921
229 일식 야끼소바학교로 야끼소바 야끼소바학교로 야끼소바 대놓고 인스턴트인 야끼소바. 야끼소바 면을 라멘생면으로 하기도 하고 야끼소바소스를 만들어서 야끼라면이나 야끼우동도 하지만 야끼... 9 file 이윤정 2015.10.19 6951
228 일식 치킨난반, 치킨남방, チキン南蛮 치킨난반, 치킨남방, チキン南蛮 그저께 인도식 양념치킨인 치킨65, 어제의 소프트쉘 크랩 크림 파스타의 게튀김, 오늘의 치킨난반 닭튀김까지 3일째 튀김 업데이... 5 file 이윤정 2015.10.18 9667
227 인도 인도식 양념치킨, 치킨65, Chicken65 인도식 양념치킨, 치킨65, chicken65 Chicken65는 Chennai지방의 음식으로 양념을 해서 튀긴 닭고기이다. 1965년에 Chennai지방의 레스토랑에서 비롯된 음식이라... 7 file 이윤정 2015.10.16 6149
226 아시아 팟 카파오 무 쌉, 팟카파오무쌉 만들기, 레시피 팟 카파오 무 쌉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 6 file 이윤정 2015.10.12 52126
225 일식 타코야끼 파우더로 타코야끼 타코야끼 파우더로 타코야끼 만들기 부침가루로 만드는 방법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48338 약 7년쯤 언니가 일본에서 보내 준 타코야끼 기계가... 6 file 이윤정 2015.10.11 6919
224 중식 xo 새우볶음밥, xo볶음밥 만드는법 xo 새우볶음밥, xo볶음밥 xo소스로 새우볶음밥, 게살볶음밥, 갯가재볶음밥, 계란볶음밥 등을 만들었는데 벌써 예닐곱번은 올린 중복 쩌는 포스팅이다. 음식하기 ... 4 file 이윤정 2015.10.07 10210
223 일식 우동 만들기 우동 만들기 날이 쌀쌀해지면서 뜨끈뜨끈한 우동이 생각날 때가 됐다 싶었다. 그래서 우동.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가쓰오부시육수 약 1.1리터 우동면 2개 ... 6 file 이윤정 2015.10.03 10402
222 인도 알루 키마, 다진 양고기 감자 커리, Aloo Keema 알루 키마, 다진 양고기 감자 커리, Aloo Keema 이전에 올린 다진 양고기(Keema) 완두콩(Matar) 커리에서 완두콩 말고 감자(Aloo)를 넣어서 드라이하게 만든 커리... 6 file 이윤정 2015.10.03 5084
221 일식 부타동 만들기, 레시피 부타동 만들기, 레시피 돼지고기를 소스에 졸여서 덮밥으로 만든 부타동. 약간 국물이 있도록 자작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국물이 있는 건 규동을 더 좋아해서 부타... 4 file 이윤정 2015.09.30 9308
220 아시아 뿌님 텃 프릭타이 담, 소프트쉘크랩 흑후추볶음 뿌님 텃 프릭타이 담 뿌님(소프트쉘크랩) 텃(튀김) 프릭타이 (후추) 담(블랙)으로 소프트쉘크랩을 튀겨서 흑후추소스에 볶아낸 것이다. 주 재료를 새우(꿍)나 생... 9 file 이윤정 2015.09.29 7574
219 아시아 쁠라 텃 랏 프릭, 칠리소스 도미 쁠라 텃 랏 프릭, 칠리소스 도미, 칠리도미 쁠라(생선) 텃(튀김) 랏(뿌리다) 프릭(고추) 을 각각 의미하고 고추소스를 생선튀김에 얹은 태국음식이다. 태국어로 ... 4 file 이윤정 2015.09.17 7713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