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2/11

고추잡채

 

 

 

0.JPG

 

 

 

라조기에 이어서 고추잡채..

 

 

고기를 밑간을 해서 바로 볶는 것이 아닌, 전분튀김옷을 얇게 입혀 한 번 튀겨내서 볶는 것이라 그냥 볶는 것보다 살짝 번거롭기는 한데

튀김옷이 소스를 흡수해서 고기만 먹어도 간이 딱 맞고 완성된 고추잡채에 물기가 거의 없으며

약간 물기가 있어도 튀김옷에서 전분이 약간 녹아나와서 소스에 농도도 주기 때문에 손이 한 번 더 가도 이렇게 만들고 있다.

처음에는 중식레시피를 참고했고 여러번 만들다가 튀김옷의 적당한 농도를 맞추는 것이 익숙해지기는 했는데

고기에 수분이 있나 없나에 따라 튀김옷의 농도가 다르니까 물을 반스푼정도씩 넣어가며 주물러서 튀김옷을 만들고 최대한 2스푼을 넘기지는 않는 것이 적당했다. 

앞서 올린 라조기보다 튀기는 과정이 간단해서 노력대비 효율은 이게 좀 낫나 싶었다.

 

 


돼지고기 400그램, 밑간재료로 청주1스푼, 후추, 소금, 튀김옷 재료로 계란(중간것)흰자 2개 감자전분 70그램 물1T
채소 1 대파 1대, 다진마늘 1T, 다진생강0.3T 고운고춧가루1T, 식용유 약간
양념 1 간장 3T, 청주 3T

채소 2 표고버섯 4개, 팽이버섯 한줌, 양파 1개, 피망 1개, 죽순 반캔

양념 2 굴소스 3T, 참기름 약간

 

역시 순서는 고기를 튀기고, 채소1, 양념1, 채소2, 양념2의 순서대로 넣고 튀긴 고기를 넣고 함께 볶는 것이다.

 

 

 

재료를 준비하면서 죽순을 가장 먼저 데쳤는데

캔에 든 죽순은 특유의 살찍 비릿한 냄새와 석회질(티로신 결합 성분)제거를 위해서 데치는 것이 좋다.

석회질이 끼어있는 죽순 사이사이를 꼼꼼하게 씻고 울퉁불퉁한 표면도 살짝 깎아서 준비했다.

피망, 양파, 표고버섯, 팽이버섯, 데친죽순은 취향껏 준비해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길이와 두께가 되도록 썰었다.

대파는 다져서 넣어도 좋고 채썰어도 좋은데 채써는 것이 더 손이 덜가니까 대충 채썰어뒀다.

 

 

 

크기변환_DSC06423.JPG     크기변환_DSC06425.JPG

 

 

돼지고기는 안심을 사용했는데 안심은 부서지기 쉬우니까 결대로 썰었다.

고기에 소금, 후추, 청주를 넣어 밑간하고 채소를 준비하는 동안 조금 숙성시킨 다음 계란흰자2개, 전70그램에 물을 1스푼 정도 넣고 반죽했다.

 

  

 



크기변환_DSC06420.JPG     크기변환_DSC06421.JPG


크기변환_DSC06418.JPG     크기변환_DSC06422.JPG

 

크기변환_DSC06426.JPG     크기변환_DSC06427.JPG

 

먼저 넉넉한 기름에 고기를 튀기듯이 지져내는데 고기반죽이 서로 붙어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한 번에 많이 넣지 않고 떼가며 튀겨냈다.

하나하나 떨어지지 않았다고 일일이 신경쓸 것 까지는 없고 적당히 떼가면서 튀기듯이 지졌다.

 

 

 

 

 

불은 처음부터 끝까지 센불을 유지했다. 고기는 눅눅하지 않도록 펼쳐 두고 채소를 볶기 시작했다.

 

 

팬에 기름을 두르고 열이 어느정도 오르면 마늘, 생강, 대파를 먼저 볶았다.

고추기름에 볶는 것도 좋은데 따로 준비하지 않아서 대파를 볶고 난 다음에 고운고춧가루를 넣었다.

 

 


크기변환_DSC06428.JPG     크기변환_DSC06429.JPG

 

 

마늘, 생강, 대파를 볶아 채소의 향이 기름에 배이면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조금 더 볶다가 간장, 청주를 넣고 한 번 치익 끓어 오르면

준비해둔 양파, 피망, 고추, 표고버섯, 죽순을 넣고 센불에 달달달달 볶고

 

 


크기변환_DSC06424.JPG    크기변환_DSC06430.JPG


크기변환_DSC06431.JPG     크기변환_DSC06432.JPG

 

 

채소와 취향에 맞는 정도로 볶다가 굴소스를 넣고 조금 더 볶은 다음 고기튀김을 넣고 한 번 더 볶아내면 완성. 마지막에 참기름을 약간 넣어 향을 더했다.

귀찮을 때는 굴소스를 간장과 청주와 합쳐서 양념1만 넣는 것도 괜찮았다.

 

 



크기변환_DSC06433.JPG     크기변환_DSC06434.JPG

 

 

 채소와 양념을 다 분량대로 접시에 담아 팬에 넣을 순서대로 정렬해두고 하나씩 부어가며 만드니 쉽게 금방 완성되었다.

 

 



크기변환_DSC06435.JPG


 

 

 

 

크기변환_DSC06436.JPG

 

 

 


 

크기변환_DSC06437.JPG


 

양파, 피망, 대파, 죽순, 팽이버섯, 표고버섯의 조화가 튀는 채소 없이 딱 잘 맞았고,

속살이 부드러운 돼지고기 안심 튀김의 얇은 튀김옷에 소스가 잘 배어들어 쫀득쫀득하고 매콤하면서 짭짤하지만 간이 딱 맞아서 입맛에 맞았다.

꽃빵을 쪄서 돌돌 감긴 것을 풀어서 고추잡채를 싸 먹어도 잘 어울리고 밥과 함께 먹어도 잘 어울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중식 어향육사 2014/07/03 어향육사 경장육사에 이은 어향육사. 경장육사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부분적으로 복사했다. 중국요리 중에서도 사천(쓰촨)지방의 요리는 다양한 향을 ... 2 file 이윤정 2014.07.03 11816
52 중식 경장육사 2014/07/02 경장육사 대표적인 3가지 육사인 청초육사(고추잡채), 어향육사, 경장육사를 오랜만에 연이어 만들어봤다. 육사는 말 그대로 고기와 실을 뜻하는데 고... file 이윤정 2014.07.02 7491
51 중식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2014/06/21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냉동실에 볶아 놓은 춘장을 저장해두고 꺼내서 쓰니까 춘장 튀길 필요가 없어서 편하게 잘 해먹고 있는 간짜장 짜장... file 이윤정 2014.06.21 11324
50 중식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2014/06/19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중국요리 중에서도 사천(쓰촨)지방의 요리는 다양한 향을 내어서 사용하는 대담한 맛으로 유명하다. 그 중 하나인 어향... file 이윤정 2014.06.19 13519
49 중식 깐풍기, 깐풍기만들기 2014/06/18 깐풍기 100% 딱 마음에 드는 레시피는 아니고 여태 내가 한 것 중에는 가장 나았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400그램, 소금, 후추로 밑간, 계란1개, ... file 이윤정 2014.06.18 8621
48 중식 레몬치킨 2014/06/17 레몬치킨 엄마께 커다란 토종닭을 한마리 받아와서는 살을 발라내니 약 800그램정도 나왔다. 반은 레몬치킨을 하고 반은 깐풍기를 하고 남은 뼈와 뼈... file 이윤정 2014.06.17 3939
47 중식 양장피, 양장피만들기 2014/06/05 양장피 손은 많이 가는 편이지만 냉채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라 여름이면 하게 된다. 양장피의 보들보들하고 쫀득한 느낌을 좋아하는데 이것도 ... file 이윤정 2014.06.05 6190
46 중식 팔진초면 2014/06/03 팔진초면 구운 면에 해물누룽지탕 비슷한 소스를 끼얹어서 비벼먹는 팔진초면. 네이버에 찾아보니 ‘여덟 가지 진귀한 재료로 만든 소스를 얹은 볶은 ... file 이윤정 2014.06.03 9144
45 중식 난자완스 2014/06/01 난자완스 난자완스를 올린 적이 몇 번 있는데 이번에는 소스를 조금 넉넉하게 넣어서 만들었다. 다른 튀김에 비해 튀김옷이 필요없고, 한 면씩 굽듯이... file 이윤정 2014.06.01 3337
44 중식 안심탕수육 2014/04/07 안심탕수육 전에 올린 꿔바로우 레시피를 약간 바꿔서 탕수육을 만들었다. 소스에 새콤하고 달콤한 것을 약간 줄이고 간장을 약간 추가하고, 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4.07 3589
43 중식 짜장밥, 짜장면, 간짜장 2014/03/19 짜장밥, 짜장면, 간짜장 사자표춘장을 사서 짜장밥이나 짜장면을 만들고 있는데 매번 볶기가 귀찮아서 한 번에 적당히 볶은 다음 1번 먹을 분량씩 나... file 이윤정 2014.03.19 3531
42 중식 난자완스, 난자완스 만드는 법 2016년 12월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49187 난자완스는 집에서 만들기에 튀김도 번거롭지 않고 재료비도 많이 들지 않아서 사먹는 것에 비... file 이윤정 2014.03.09 27851
41 중식 소고기 쌀국수 볶음, 깐차오뉴허, 비프 차우펀, 乾炒牛河, Beef Chow Fun 2014/02/23 소고기 쌀국수 볶음, 깐차오뉴허, 비프 차우펀 깐차오뉴허를 소고기 쌀국수 볶음이라고 하면 약간 허술한데, 깐차오뉴허는 한자 그대로 乾炒牛河 마르... 4 file 이윤정 2014.02.23 17214
40 중식 XO소스 계란볶음밥, XO볶음밥 2014/02/21 XO소스 계란볶음밥 XO소스 볶음밥에 게살이나 새우를 넣지 않고 계란과 대파를 듬뿍 넣어서 XO소스 계란볶음밥을 만들었다. 평소에 새우를 넣을 때에... 3 file 이윤정 2014.02.21 7084
» 중식 고추잡채 2014/02/11 고추잡채 라조기에 이어서 고추잡채.. 고기를 밑간을 해서 바로 볶는 것이 아닌, 전분튀김옷을 얇게 입혀 한 번 튀겨내서 볶는 것이라 그냥 볶는 것보... file 이윤정 2014.02.11 3113
38 중식 라조기 2014/02/10 라조기 중국신 라즈지가 아닌 란국식 라조기. 만드는 방법과 질감은 탕수육 비슷한데 탕수육이 새콤달콤하다면 라조기는 짭짤하고 감칠맛 있는 소스이... file 이윤정 2014.02.10 5387
37 중식 회과육 2014/01/29 회과육 회과육은 쓰촨성식 중화 요리이다. 회과육(후이궈러우)에서 회(回)는 돌아가다는 뜻으로서, 솥(鍋)에서 나온 고기(肉)가 다시 솥으로 돌아간다... 3 file 이윤정 2014.01.29 6094
36 중식 통후추 안심 볶음 2014/01/28 통후추 안심 볶음 보통은 소고기안심으로 하는 통후추 소고기 안심볶음인데 소고기안심은 스테이크로 먹어도 부족한 현실이라 돼지고기 안심으로 만들... file 이윤정 2014.01.28 3919
35 중식 발전하고 있는 탕수육 2013/12/26 여러번 만들고 있는 탕수육. 여태 만들었던 버전에서 좋았던 점을 추려서 만들어봤다. 돼지고기 등심 600그램에 고기 밑간으로는 최대한 물기 없이 생... file 이윤정 2013.12.26 4832
34 중식 짬뽕 2013/12/06 짬뽕 요즘은 음식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이유가 대충 사재껴놓고 남는 식재료를 사용해야해서..이다. 계획없이 막 사고 아침에 일어나서 이제 뭐... file 이윤정 2013.12.06 3829
Board Pagination Prev 1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