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중식
2014.01.29 17:06

회과육

조회 수 4845 추천 수 0 댓글 3

 

 

2014/01/29

회과육

 

 

 

0.JPG

 

 

 

 

회과육은 쓰촨성식 중화 요리이다.

 

회과육(후이궈러우)에서 회(回)는 돌아가다는 뜻으로서, 솥(鍋)에서 나온 고기(肉)가 다시 솥으로 돌아간다(回)는 것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한번 삶은 고기를 다시 솥에 넣고 볶아낸 요리.

부드럽게 삶아낸 돼지고기를 고추기름과 두반장을 사용하여 호쾌하게 볶아내는, 얼얼하고 매콤한 맛 쓰촨성 요리 특유의 매력을 잘 보여주는 요리이다.

쓰촨성의 향토 요리로서, "회과육을 요리할 줄 모르는 쓰촨성 사람은 없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요리이다.

 

제사용으로 삶은 편육을 어떻게 하면 맛있게 요리할 수 있는지 궁리하다 개발된 요리라고 한다.

한국에서도 흔하지는 않지만 간혹 찾아볼 수 있는 음식으로, 일본처럼 두반장의 매운 맛을 좀더 대중적으로 만들기 위해 춘장을 베이스로 하는 곳이 많다.

일본과 한국의 요리 형태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춘장 소스로 맛을 내는 것인줄 잘못 아는 경우가 있으나, 정통 방식은 두반장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본이나 한국의 회과육은 검은 색을 띄지만, 본토의 회과육은 붉은 색을 띈다. 

-엔하위키 

 

 

사용한 재료는

삽겹살 400그램
채소① 대파 반대, 생강1t, 마늘1T
양념① 청주2T, 간장2T, 고추기름2T
채소② 홍고추2개, 청양고추2개 양파반개, 마른 홍고추 2개
양념② 물1.5T, 두반장1.5T, 해선장1.5T, 후추1t

 

조리순서는 삼겹살은 삶아서 튀기고 채소① 양념① 채소② 양념②의 순서로 센불에 볶고 졸인 다음 튀긴 삼겹살을 넣고 볶는다.

 

 


크기변환_DSC06179.JPG     크기변환_DSC06180.JPG

 

 

가장 먼저 삼겹살을 물에 삶는데 신선한 삼겹살을 사용해서 뜨거운 물에 20분정도 삶아냈다.

취향에 따라 마늘, 생강, 대파 등으로 고기냄새를 줄일 수 있다.

 

 

크기변환_DSC06189.JPG      크기변환_DSC06190.JPG


크기변환_DSC06188.JPG      크기변환_DSC06191.JPG

 

 

채소1의 재료는 잘게 썬 대파와 다진마늘, 다진 생강으로 준비하고 채소2는 큼직하게 채썰어서 준비했다. (홍고추 대신 파프리카 사용)

양념도 분량대로 섞어서 조리할 때에 붓기만 하면 되도록 준비했다.

고추기름이 없어서 식용유를 뜨겁게 달궈서 고운 고춧가루를 1스푼 넣고 식힌 다음 고추기름을 만들어서 사용했다.

 

채소1 양념1 채소2 양념2의 순서대로 준비해뒀다.

 

 

 


크기변환_DSC06192.JPG     크기변환_DSC06222.JPG
 

 

 

 

데친 삼겹살을 튀기면서 채소① 양념① 채소② 양념②의 순서로 센불에 볶고 졸인 다음 튀긴 삼겹살을 넣고 한 번 더 볶아내면 완성.

재료만 준비해두면 준비한 분량대로 부어서 볶기만 하면 되니 아주 간단하다.

 


 
크기변환_DSC06217.JPG     크기변환_DSC06218.JPG


 크기변환_DSC06219.JPG     크기변환_DSC06220.JPG

 

 크기변환_DSC06221.JPG     크기변환_DSC06223.JPG


크기변환_DSC06224.JPG


 

 

 

 

크기변환_DSC06226.JPG

 

 

 


 

크기변환_DSC06229.JPG


 

 

보통 튀김옷을 입혀 튀긴 다음 소스와 볶는 중국음식은 고기를 400그램 정도 쓰면 튀김옷으로 인해 한끼 식사와 맞먹는 정도의 양인데

튀김옷 없이 튀겨내고 볶아낸 음식이라 그런지 튀김옷이 있는 음식에 반해 양은 많지 않았다.

 

매콤한 향과 얼얼한 맛에 전형적인 사천요리라는 느낌이 확 들었다.

고기가 바삭하게 익은 대신에 속은 부드럽지 않아서 삼겹살인데도 보드라운 느낌이 없는 것이 아쉬웠지만

짭짤하고 매콤한 것이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먹기 딱 좋은 음식이었다.

 

 


 

  • 해루 2015.10.05 20:17
    제가 사는 곳에선 해선장을 구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대신 굴소스나 피쉬소스를 써도 괜찮을까요?
  • 이윤정 2015.10.05 23:46

    피쉬소스는 넣지 않고 굴소스로만 대체해도 괜찮을 것 같은데 굴소스는 양을 반으로 줄이면 괜찮을 것 같아요.

  • 해루 2015.10.11 14:51
    맛있게 해먹었어요.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 중식 짬뽕 file 이윤정 2013.12.06 2723
140 중식 짬뽕 8 file 이윤정 2016.03.12 5694
139 중식 짬뽕 만들기 10 file 이윤정 2015.11.11 9594
138 중식 짬뽕밥만들기 file 이윤정 2012.10.22 3253
137 일식 쯔유 만들기, 메밀소바, 자루소바, 붓카게우동 7 file 이윤정 2017.06.22 15336
136 일식 쯔유, 메밀국수, 자루소바, 모리소바 6 file 이윤정 2016.05.21 24600
135 일식 쯔유만들기, 메밀소바, 스팸덮밥, 아게다시도후, 쇼가야끼 1 file 이윤정 2014.06.28 12237
134 그 외 등등 찐빵, 단팥 호빵 만들기 11 file 이윤정 2017.02.03 24239
133 일식 차돌박이 규동 4 file 이윤정 2015.08.06 5799
132 일식 차슈 숙주볶음 4 file 이윤정 2016.01.11 5799
131 일식 차슈덮밥, 차슈동, 차슈만들기, 만드는법 15 file 이윤정 2016.01.10 28228
130 일식 차슈덮밥, 차슈동, 차슈샐러드, 차슈 만들기, 스팸마요덮밥 2 file 이윤정 2013.09.24 8785
129 일식 차슈덮밥, 차슈샐러드, 차슈만들기 2 file 이윤정 2014.05.17 5831
128 중식 차우면, 차우멘 레시피 7 file 이윤정 2015.08.27 21823
127 아시아 차콰이테오, Char kway teow, 싱가포르식 볶음쌀국수 file 이윤정 2013.09.29 5912
126 그 외 등등 참소라 손질, 삶는법, 참소라초밥 5 file 이윤정 2015.05.23 44208
125 일식 참치회, 참치초밥, 문어초밥, 갑오징어무침, 미소된장국 file 이윤정 2014.10.31 6374
124 중식 찹쌀탕수육, 꿔바로우, 반죽 레시피 만드는법 10 file 이윤정 2015.10.21 31051
123 중식 창잉터우 레시피, 蒼蠅頭, 돼지고기 마늘쫑 볶음 14 file 이윤정 2019.05.22 21546
122 중식 청초육사, 고추잡채만드는법 1 file 이윤정 2014.07.17 5811
121 일식 츠쿠네 야끼도리 file 이윤정 2014.12.18 10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