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가키아게 붓카게 소바

 

 

0.JPG


 

쯔유로

 

물 약 3리터

다시마, 황태, 표고버섯, 대파 1대, 무1도막, 멸치 약간

가쓰오부시 크게 두줌 듬뿍

 

간장 6스푼

미림 6스푼

청주 6스푼

설탕 2스푼

생강약간

 

 

 

쯔유는 4인분 정도의 분량이었다.

 

바로 부어 먹을 정도로 졸이지 않고 입맛에 맞게 물에 희석할 수 있도록 짭쪼름하게 졸이고

먹기 직전에 물에 희석해서 간을 보고 우동에 부었다.

 

 

 

가키아게로

양파 반개

당근 3분의1개

대파 반대

아스파라거스 1개

새우 6마리

건새우 간 것 1스푼

 

전체 재료가 묻을 정도의 박력분

계란1개, 150미리

 

 

무 1도막 갈아서 물기 뺀 것

와사비 약간

쪽파 약간

 

 

 전체적인 맛은 육수에서 나오는 것이니까 육수재료는 아끼지 않고 넉넉하게 넣었다.


크기변환_DSC08890.JPG     크기변환_DSC08600.JPG


크기변환_DSC00687.JPG     크기변환_DSC00689.JPG

 

크기변환_DSC00691.JPG     크기변환_DSC00686.JPG 

 

 

다시마, 황태, 표고버섯, 대파 1대, 무1도막, 멸치 약간을 넣고 40분정도 푹 우려낸 다음 건져 내고

육수가 다시 끓어오르면 불을 끈 다음 가쓰오부시 크게 두줌 듬뿍 넣고 5분정도 우려내서 체에 걸렀다.


 

 

 

여기에

간장 6스푼

미림 6스푼

청주 6스푼

설탕 2스푼

을 넣고 짭조름할정도로 20분정도 졸여내고 불을 끄기 5분정도 전에 생강을 조금 넣은 다음 불을 끄고 식혀서 체에 걸렀다.

시간을 쓰긴 했지만 시간보다는 맛을 봐가면서 짭조름하게 졸여질 정도로 끓였다.

 

크기변환_DSC03627.JPG    크기변환_DSC00696.JPG

 

식혀서 냉장보관한 다음 물에 희석해서 붓가게 소바 소스로 사용했다.

     

 


 

다음날 메밀국수를 300그램 정도로 넉넉하게 준비하고 튀김을 튀기기 시작했다.

가키아게는 채썬 채소와 그 외 추가 재료로 만든 튀김으로, 채소만 있어도 좋은데 새우와 새우가루도 추가로 넣었다.

튀김반죽을 묽게 만들어서 묻혀서 튀기는 것도 좋은데 재료에 밀가루를 묻히고 계란물을 가볍게 묻혀서 튀기면 튀김 질감이 가볍다.

계란물을 묻힐 때에는 분무기로 뿌려도 좋고, 묽은 계란물에 재료를 얼룬 담갔다가 건져내서 계란물을 조금 떨어뜨리고 튀겨도 좋은데

분무기가 계란물이 조금 더 얇게 묻지만 정리하기 등이 조금 귀찮고 계란물에 살짝 담그면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좋다.

 


 

당근, 양파를 얇게 채썰고 대파도 얇게 어슷썰고 아스파라거스는 껍질을 필러로 벗겨서 얇게 어슷썰었다.

새우와 새우가루는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 있으면 조금 더 맛있으니까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8601.JPG     크기변환_DSC08604.JPG


 

크기변환_DSC08602.JPG     크기변환_DSC08603.JPG



크기변환_DSC08605.JPG     크기변환_DSC08606.JPG

 

 

여기에 박력분을 넣고 전체 재료가 밀가루에 묻을 정도로 흔들어서 골고루 묻혔다.

 

크기변환_DSC08607.JPG     크기변환_DSC08610.JPG


 

 

 

 

계란을 풀어서 물 150미리를 붓고 체에 걸러서 바로 분무기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8608.JPG     크기변환_DSC08609.JPG


 

튀김 재료를 얇게 떠서 계란물을 분무기로 뿌려 계란물 옷을 충분히 입혀서 바로 끓는 기름에 흘려 넣었다.

계란물이 적게 묻으면 튀김이 하나로 뭉쳐지지 않고 채소 한가닥씩으로 흩어지니까 계란물에 살짝 담갔다가 건져서 튀기는 것도 편하고 좋다. (=다음번에는 그렇게 했다)


 

 

크기변환_DSC08611.JPG     크기변환_DSC08612.JPG


크기변환_DSC08613.JPG     크기변환_DSC08616.JPG


 

크기변환_DSC08614.JPG     크기변환_DSC08617.JPG

 

가키아게를 튀기면서 한켠에서는 메밀국수를 삶고 찬물에 헹궈서 물기를 빼두고

무는 갈아서 꼭 짜서 물기를 빼고 와사비도 조금 짜서 준비해뒀다.

 


튀김은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튀겨서 튀김망에 건져서 튀김을 다 할 때까지 눅눅하지 않게 두었다.

쪽파도 약간 송송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8619.JPG     크기변환_DSC08621.JPG


 

 

 

 

그릇에 소바를 담고 가키아게를 올린 다음 쪽파, 무, 와사비를 곁들이고 찬물에 희석해서 입맛에 맞게 간을 맞춘 쯔유소스를 부었다. 그래서 붓다는 의미인 붓카게..

 

  크기변환_DSC08622.JPG


 

 

 

 

 

크기변환_DSC08627.JPG

 

 

 

 


 

크기변환_DSC08628.JPG


 

 

 

 

 

0.JPG

 

 

 

고소하고 바삭바삭한 튀김에 쯔유가 잘 어울리고 소스에 무와 와사비를 풀어서 면과 함께 비벼 먹으니 짭조름하고 감칠맛이 살아 있어서 맛있게 잘 먹었다.

전날 미리 쯔유를 만들어두니 튀김 정도 하면 되서 그나마 일이 적었다.

원래 소바, 우동 다 좋아하는데다가 붓카게 소바, 우동은 더 좋아하고 튀김까지 곁들이니 더 좋았다.

 

 

 

 

 

 

 

 

 

 

 

다음으로 쯔유를 사용한 아지 타마고

 

 

 

 쯔유에 물과 간장을 조금 더 넣고 한 번 부르르 끓여내서 반숙계란을 넣고 아지 타마고를 만들었다.

쯔유를 활용했지만 시판 쯔유나 맹물에 간장, 미림, 청주, 설탕을 넣고 끓여서 짭조름하게 간을 맞춰서 사용하기도 한다.

 

계란은 실온에 최소 30분 정도 꺼내두고 끓는 물에 딱 6분으로 삶아서 건져서 찬물에 담가두면 속이 딱 반숙이다.

1개일 경우에는 6분이고, 1개가 늘어날때마다 10초씩 늘이면 적당한데 10개 이상은 안해봐서 잘 모르겠다.

 

냉장고에서 바로 꺼낸 계란은 6분 30초 정도 걸린 것 같은데 계란 크기나, 최초 온도, 실온의 온도에 따라 차이가 조금씩 있다.

쯔유와 함께 끓인 간장물에 반숙계란을 넣어서 2~3일정도 숙성했다.

 


 

크기변환_DSC08913.JPG     크기변환_DSC08914.JPG

 

 

 

계란반숙의 흘러내리는 노른자와 말랑말랑했던 질감이 쯔유에 숙성되면서 흰자는 적당히 탄탄하고 노른자는 짭쪼름하고 진득한 느낌으로 바뀌었다.

 
 

크기변환_DSC08948.JPG


 

 

 

 

 

 

그리고 자루소바

 

다음번에는 튀김을 튀기지 않고 쯔유는 물에 희석해서 짭쪼름하게 간을 맞추고 소바에 갈아서 물기를 짠 무와 와사비만 곁들인 자루소바로 간단하게 해먹었다.

여기에 함께 미리 만들어 둔 아지 타마고도 곁들였다.

 

크기변환_DSC08951.JPG

 

 

 

 


 

크기변환_DSC08952.JPG

 



%C5%A9%B1%E2%BA%AF%C8%AF_DSC07856.jpg 
 

시원하게 맛있는 소바 한그릇이었다. 양도 넉넉해서 배부르게 잘 먹었다.

 

 

 

 

  • 뽁이 2015.03.10 22:35
    으아아아아아앙 ㅠㅠ 이거이거 왜 자꾸 보이죵
    날씨가 풀려서 그런가 (오늘 갑자기 추워졌지만;;)
    확실히 면요리가 스물스물 땡기네요
    아 맛있겠어요 ㅠㅠ 타마고 올라간 것도 좋고
    저저저 가키아게는 또 어떻고요 ㅠㅠ
    으앙 배고픈데 진짜 먹고 싶어요 !
  • 이윤정 2015.03.11 23:38
    저 집에 쌀이 떨어져서 3끼를 연달아 면 먹고 내일 쌀이 와야 되니까 하며 오늘은 나가서 밥사먹었어요ㅎㅎㅎㅎ
    역시 날이 좀 풀리나 했더니 갑자기 완전 춥고 말입니다.
    뽁님 부산 오실 때 쯤에는 날이 풀리겠죠?
  • 테리 2015.03.11 01:43
    튀김 올라간 소바며 우동은 왤케 맛난지 모르겠어요~~
  • 이윤정 2015.03.11 23:39
    역시 우동이나 소바에 튀김이 들어가면 전체적으로 고소해지는 것 같아요^^
    우동으로 한 번 더 해먹었는데 튀김 그거 뭐라고 또 맛있어가지고는 하기 귀찮은데도 계속 하도록 만드는지 모르겠어요ㅎㅎ
  • 새댁 2015.03.11 17:45
    분무기까지 등장!
    이제 단순히 맛있게 만드는 수준이 아니네요 ㅎㅎㅎㅎ
  • 이윤정 2015.03.11 23:41
    계란물 분무기로 뿌리니 분무기 씻기가 귀찮아서 다음에는 계란물에 살짝 담갔다가 바로 건졌는데 그게 더 편했어요ㅎㅎ
    예전에 지나가다 본 가키아게 만드는 유투브 동영상을 참고 했는데 계란물을 마지막에 묻히니 가벼운 질감이 좋기는 하더라고요^^

  1. 고이 믁 Gỏi mực, 베트남식 오징어 냉채, 오징어무침

    베트남식 오징어 냉채 고이 믁 Gỏi mực 닭고기 양배추 샐러드인 고이 가 https://homecuisine.co.kr/hc20/103102 를 먼저 해먹어보고 맘에 들면 이것저것 주재료를 바꿔서 해보는데 돼지고기가 들어간 고이 헤오도 좋고 (는 다음에 올릴 예정) 이번처럼 오징어를 주재료도 해도 좋다. 오징어, 갑오징어,...
    Date2021.07.16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Views3880
    Read More
  2. 고등어 데리야끼, 데리야끼소스 만들기

    2014/10/04 고등어 데리야끼, 데리야끼소스 만들기 데리야끼소스는 텐동을 만들고 남은 쯔유를 물에 희석해서 사용했다. 물 600미리, 다시마, 표고버섯, 황태로 150미리 육수, 가쓰오부시 1줌 간장 50, 미림 50, 청주50 미리 넣고 반으로 졸임 다시마, 황태, 표고, 가쓰오부시를 넣고 진하게 우린 육수...
    Date2014.10.04 Category일식 By이윤정 Views6529
    Read More
  3. 고기간짜장, 유니간짜장, 짜장밥

    오랜만에 간짜장. 다진고기와 작게 썬 채소를 넣고 만든 유니간짜장이다. 평소 레시피와 거의 같은데 고기를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 사용하고, 토치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춘장은 10년 넘게 써 온 영화 사자표 춘장을 사용했고, 요즘 이름으로는 중찬명가 볶음춘장이다. 춘장 구매한 이...
    Date2021.01.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991
    Read More
  4. 고구마 빠스, 고구마맛탕

    제목에 맛탕을 쓰기는 했는데 튀긴 고구마를 물엿+시럽에 넣고 졸여 겉이 말랑말랑한 맛탕이 아니고 겉이 파삭파삭한 빠스를 만들었다. 두산백과에 따르면 한 입 크기로 썬 고구마를 튀겨 설탕 시럽에 버무린 디저트로, 중국어로 ‘빠스(拔丝)’는 ‘실을 뽑다’는 의미로 먹을 때 설탕 시럽이 가는 실처럼 ...
    Date2018.01.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3907
    Read More
  5. 계란지단 만들기, 잘부치는법

    계란지단 부치는 음식을 할 때마다 계란지단 때문에 스크롤이 길어져서 링크로 대체하려고 따로 올린다. 보통 계란지단을 잘 만드는 방법으로 1. 체에 거르기 2. 물전분 넣기 가 있는데 3. 미리 소금 넣기 4. 불조절 을 더 들 수 있다. 1 2 3 4를 다 하면 좋지만 1.2에 비해서 3.4는 설거지 할 것도 없...
    Date2020.02.2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6031
    Read More
  6. 경장육사

    2014/07/02 경장육사 대표적인 3가지 육사인 청초육사(고추잡채), 어향육사, 경장육사를 오랜만에 연이어 만들어봤다. 육사는 말 그대로 고기와 실을 뜻하는데 고기와 각 채소를 실처럼 썰어서 볶아서 만든다. 청초육사는 고기와 피망을 볶은것, 어향육사는 어향소스에 고기를 볶은 것, 경장육사는 춘장...
    Date2014.07.0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7839
    Read More
  7. No Image

    게 고르는 법

    게는 어떻게 사야할까? 정답 : 활게를 취급하는 게집에서 먹고 옴 (저는 가깝게는 기장대게로 고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통은 금어기를 제외하는 제철이나 사기당하지 않는 방법이나 대게 홍게 꽃게 킹크랩등 과 같은 게의 종류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여기서는 조금 다른 이야기. -레퍼런스북인 음...
    Date2019.03.26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7610
    Read More
  8. 감자고로케, 고로케만들기

    2014/11/13 감자고로케, 고로케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감자 큰 것 2개, 버터 1스푼, 양파 반개, 베이컨 70그램, 생크림 1~2스푼,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우유약간, 빵가루 가장 먼저 감자를 삶았다. 감자는 깨끗하게 씻어서 푹 삶아서 살짝 식혔다. 감자를 삶으면서 베이컨을 얇게 썰고 양파도 잘게 ...
    Date2014.11.13 Category일식 By이윤정 Views9095
    Read More
  9. 갈릭라이스

    마늘과 버터를 볶아 밥을 넣고 볶고 굴소스를 약간 넣은 갈릭라이스. 아시아의 여러 요리에 곁들여 먹기 좋고, 고기나 채소를 구워서 (소스를 곁들이거나 곁들이지 않아도 좋고) 갈릭라이스를 함께 먹으면 좋다. 밥은 바스마티와 백미를 1:1로 섞어서 물을 약간 적게 잡고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한 김 식...
    Date2016.09.27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Views12416
    Read More
  10. 갈랑가, 레몬그라스, 카피르 라임 잎

    갈랑가, 레몬그라스, 카피르 라임 잎 동남아 음식의 대표적인 3가지 향신채소인 갈랑가, 레몬그라스, 카피르 라임잎. 구글링과 책으로 참고한 여러 자료에서 대체할 재료가 '없다'고 명시되어 있을 정도로 독특한 향과 맛은 다른 채소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더 꼭 한 번은 맛 볼 만 한 향신채소...
    Date2015.07.1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0435
    Read More
  11.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2014/06/21 간짜장, 짜장밥, 간짜장 만드는법 냉동실에 볶아 놓은 춘장을 저장해두고 꺼내서 쓰니까 춘장 튀길 필요가 없어서 편하게 잘 해먹고 있는 간짜장 짜장밥. 면 삶기도 귀찮고 해서 밥에 간짜장 얹고 계란후라이 하나 걸쳐서 슥슥 비벼먹었다. 간짜장, 짜장밥, 짜장면 다 꽤 여러번 올린 것 같...
    Date2014.06.21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1693
    Read More
  12. 간짜장, 짜장밥

    2014/12/09 간짜장, 짜장밥 냉장실에 고기라고는 애매하게 남은 소고기 불고깃감 밖에 없어서 일단 칼로 다져놓고 뭘할까 고민하다가 별 다른 재료도 없이도 맛있는 간짜장을 만들었다. 간짜장은 자주 올려서 중복쩔기는 하지만 그래도 올려본다;; 간짜장은 짜장면으로 먹고 남은 짜장에 밥을 비비는 것...
    Date2014.12.09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486
    Read More
  13. 간짜장, 짜장밥

    양파가 제철이라 양파가 듬뿍 들어간 간짜장이 아주 맛있다. 양파 듬뿍 넣어서 아삭아삭하게 먹으면 달달하니 너무 좋다. 요즘은 춘장이 볶아서 나오니까 편하게 사용하기 좋다. 예전에 사용하던 것보다 용량이 적어서 (그래도 2.27키로이긴 하지만..) 캔을 뜯어서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면 편하다. (중...
    Date2018.05.15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5785
    Read More
  14. 간짜장, 짜장밥

    햇양파가 제철인 요즘은 일 년 중에 양파를 듬뿍듬뿍 넣고 화르르 볶아서 만드는 간짜장이 제일 맛있는 계절이다. 필요한 것도 고기, 양파, 대파, 마늘, 춘장, 굴소스정도면 끝이라 재료도 간단하다. 밥에 양파 듬뿍 넣어서 만든 간짜장을 가득 올리고 가장자리를 짜글짜글하게 튀기듯 구운 계란 후라이...
    Date2019.04.08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7602
    Read More
  15. 간짜장, 짜장면 만들기

    2013/03/27 간짜장, 짜장면 만들기 하나로마트에서 우연히 발견한 우동국수. 중화면과 비슷한 생면을 찾던 내 눈에 딱 들어왔다. 그래서 짜장면을 만들었다. 춘장은 툭툭 떨어지는 정도가 되게 4분정도 기름에 볶아두고 면도 함께 삶아야 하니까 면 삶을 물을 올렸다. 먼저 양파와 양배추, 배추를 작은 ...
    Date2013.03.27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3987
    Read More
  16. 간짜장, 짜장면

    2014/09/13 간짜장, 짜장면 저녁 준비를 일찍 했어야 했는데 사촌동생 자소서 좀 봐주다보니 시간이 훌쩍 지나가서 미리 생각해 둔 것도 없고 해서 급하게 간짜장을 만들었다. 마침 다진 돼지고기가 적당히 남아 있어서 당장 잡히는 재료로 금방 짜장을 볶았다. 자주 올려서 식상하긴 하지만 어쨌든 오...
    Date2014.09.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91280
    Read More
  17.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간짜장, 중화면 반죽 만들기 먼저 중화면. 중화면을 반죽하고 밀고 자르는데에 제면기(BE-9500)를 사용했다. 제면기는 6~7년전 쯤 산 것인데 지금은 단종되고 다른 모양으로 나오는 것 같다. 중화면에는 알칼리성 물인 간수를 사용해서 반죽하는데 요즘은 거의 탄산칼슘+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면첨가...
    Date2015.11.05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7885
    Read More
  18. 간짜장, 간짜장만들기

    2013/11/26 간짜장, 간짜장만들기 내가 키나 몸무게;;등의 숫자가 커서 보기로는 건장한데 눈, 이, 호흡기, 혈액, 면역력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건강하지는 않아서 병치레가 잦은 편이다. 요즘 대학병원 치과를 다니고 있는데 앞으로 수개월과 수백만원을 밀어넣어야 할 것 같다. 가슴이 아프다ㅜㅜ...
    Date2013.11.26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670
    Read More
  19. 간짜장 만들기

    2012/10/22 간짜장 만들기 평소에 화국반점 간짜장을 정말 좋아하는데 화국반점 스타일로 조리하는 것을 목표로 현직조리사가 쓴 칼럼이나 인터넷에 올린 글을 참고하고 야채의 상태나 간짜장의 점도를 화국반점에 최대한 가깝도록 해봤다. 일단 사용한 재료는 춘장100그램(조금 넘게 넣은 것 같고..) ...
    Date2012.10.2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5732
    Read More
  20. 간단한 치킨 데리야끼

    2013.01.03 간단한 치킨 데리야끼 닭정육 가격이 잠깐 내려서 몇팩 사두고 깐풍기에 이어 데리야끼를 했다. 데리야끼소스는 간장, 미림, 설탕, 물을 적절하게 배합하고 사과, 마늘, 생강을 넣어서 끓여 맛을 우려내는 것이 맛있는데 밤 늦게 급히 만든거라 간장소스에 양파, 마늘, 생강가루로 맛을 보완...
    Date2013.01.03 Category일식 By이윤정 Views56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