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팔락 파니르, Palak Paneer

 

 

 

 

0.JPG

 

 

 

 

유명한 채식 커리인 팔락 파니르.

Palak = 시금치, Paneer=파니르치즈(인도식 코티지 치즈)

말 그대로 시금치와 파니르치즈를 넣어서 만든 커리이다.

 

 

 

 

사용한 재료는


시금치 1팩

 

파니르치즈로
우유 1.5리터 레몬 1개

 

 

커리 소스로

올리브오일

큐민시드 1티스푼

 

양파 1개

다진마늘 1스푼

소금 0.7티스푼

터매릭파우더 0.5티스푼


코리앤더 파우더 1스푼
큐민파우더 1티스푼
칠리파우더 1티스푼

페뉴그릭 씨드 0.3티스푼

카다몸 파우더 약간

후추 0.5티스푼


토마토 약 2개
토마토 페이스트 1.5스푼
물 2컵


시금치

가람마살라 0.5티스푼

생크림 50미리

카수리메티 1티스푼

파니르치즈

 

 

전에는 시금치를 갈아서 만들었는데 질감이 마음에 딱 들지가 않아서 고민을 거쳐서 전과는 다르게 만들었고 이번이 더 괜찮았다.

만들면서 간을 몇 번 보고 소금간을 딱 맞게 하고 토마토와 토마토페이스를 적당량 사용해서 입맛에 맞췄는데,

시금치의 맛을 충분히 느끼기 위해서는 취향에 따라 토마토 페이스트를 넣지 않는 것도 좋고 플레인요거트를 1컵 넣어서 만드는 것도 좋다.

 

 

 

 

 

레몬은 하나 즙을 짜고 씨앗과 과육을 체에 걸러두었다.

우유 1.5리터를 냄비에 넣고 가장자리가 끓어오르기 시작하면(85도) 레몬즙을 쪼르르 흘려 넣어서 유청이 분리되면 나무주걱으로 저어서 몽글몽글하게 굳히고 면보에 걸렀다.
 

 

 

크기변환_DSC08159.JPG     크기변환_DSC08158.JPG


크기변환_DSC08160.JPG     크기변환_DSC08161.JPG

 

 

레몬즙을 한 번에 다 넣지 않고 몽글몽글 해지는 것을 봐가며 넣었는데 1.5리터에 레몬 하나가 적당했다.

2리터로 만들 때에는 레몬하나에 화이트와인 비네거를 조금씩 추가해서 걸러질 정도로 덩어리지고 몽글몽글하게 만들었다.

 

 

 

 

 

체를 받친 면보에 치즈를 부어서 유청이 빠지고 치즈가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식으면

들어서 꾹 짜서 물기를 빼고 모양을 네모나게 잡아서 면보로 감싸 무거운 것으로 2시간 정도 눌러두었다.

 
 

크기변환_DSC08162.JPG     크기변환_DSC08163.JPG


크기변환_DSC08164.JPG     크기변환_DSC08280.JPG

 

 

단단해진 파니르 치즈는 유청에 담가두어서 1주일까지 괜찮았다. 여름에는 그보다 조금 더 보관이 짧을 것 같았다. (=해보지 않았음)

남은 유청은 빵을 만들 때 물 대신 사용했는데 치즈를 두어번 만드니 유청이 너무 많이 생겨서 다음번에는 미련없이 그냥 버렸다.

 

 

 

 

 

 

시금치는 뿌리를 다듬고 씻어서 소금을 넣은 물에 데쳐서 여러번 헹구고 물기를 꽉 짠 다음 최대한 잘게 썰었다.

  

 

크기변환_DSC08278.JPG     크기변환_DSC08279.JPG


 

 

 

 

토마토는 쿠마토를 사용했는데 보통 토마토로 약 2개 정도 되는 분량을 사용했고 꼭지와 씨를 빼고 갈아두었다.

양파는 최대한 가늘게 썰고 파니르치즈는 유청에서 건져서 깍둑썰어두고 향신료도 각각 준비해두었다.

 

 

크기변환_DSC08277.JPG     크기변환_DSC08283.JPG


크기변환_DSC08281.JPG     크기변환_DSC08282.JPG

 

 

 

 

 

잘게 썬 시금치는 올리브오일을 약간 두른 팬에 넣고 소금을 약간 뿌린 다음 달달 볶아서 접시에 담아두었다.

 
 

크기변환_DSC08284.JPG     크기변환_DSC08285.JPG

 

 

 

 

 

다시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큐민시드 1티스푼을 넣고 볶은 다음

 

양파 다진 것, 다진마늘 1스푼을 볶다가 여기에 고추도 한두개 썰어서 넣으면 좋다.

어쨌든 양파와 마늘에 소금 0.7티스푼을 넣고 조금 더 볶은 다음 터매릭파우더 0.5티스푼을 넣고 볶았다.

 


 

크기변환_DSC08286.JPG     크기변환_DSC08287.JPG


크기변환_DSC08288.JPG     크기변환_DSC08289.JPG

 

 

 

 

여기에


코리앤더 파우더 1스푼
큐민파우더 1티스푼
칠리파우더 1티스푼

페뉴그릭 씨드 0.3티스푼

카다몸 파우더 약간

후추 0.5티스푼

 

을 준비해두었던 것을 넣고 조금 더 볶다가

 


토마토 약 2개 간 것, 토마토 페이스트 1.5스푼, 물 1컵을 넣고 잦아 들게 끓인 다음 물을 1컵 더 붓고 잼과 같은 농도가 되도록 끓여냈다.

 

 

점도가 있는 소스를 만들 때에는 밀, 쌀, 감자, 옥수수 등에 든 전분이 물에 용해되어 겔화 되면서 소스에 농도를 주기 마련인데

보통 향신료에는 분자에 점도를 주는 분자가 들어있고, 그  중에서도 고추는 펙틴이 풍부하므로 소스에 농도를 충분히 줄 수 있다.

액체에 향신료를 넣고 천천히 가열하고 졸이는 것만으로도 고운 질감의 소스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전분을 넣지 않고도 인도커리에 사용하는 향신료로 커리소스에 점도가 생긴다.


 
 

크기변환_DSC08290.JPG     크기변환_DSC08291.JPG


크기변환_DSC08292.JPG     크기변환_DSC08293.JPG

 

 

 

 

 

토마토와 토마토페이스트, 물을 넣고  난 다음부터 15~20분 정도 끓여 만든 소스에 볶은 시금치와 가람마살라 0.5티스푼을 넣고 전체적으로 섞이도록 조금 더 조리했다.

 

 

 

크기변환_DSC08305.JPG     크기변환_DSC08306.JPG    

 

 

 

 

거의 마지막으로 커리소스에 생크림 50미리를 넣었는데 100미리까지도 괜찮을 것 같았다.

그리고 카수리메티 1티스푼을 손으로 비벼서 조금 더 잘게 부스러뜨려 소스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8308.JPG     크기변환_DSC08309.JPG

 

 

커리마다 늘 복사해서 쓰는 이야긴데,

마지막에 소금간을 할 때는 소금을 많이 넣을 필요는 없었지만 어쨌든 맛을 봐가면서 소금간은 딱 맞게 하는 것이 좋다.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당연히 짜서 안되지만 맛이 좀 애매할 때 소금을 조금씩만 넣다보면 간이 딱 맞으면서 향신료의 향도 더 풍부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온다.

향신료는 간이 전혀 없기 때문에 향신료만 넣은 상태에서 간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향은 강하고 맛은 모르겠는 니맛도 내맛도 아닌 느낌이 된다.

향신료의 향이 잘 우러나고, 소금으로 그 맛이 끌어올려지고, 적당한 수분감으로 마무리되어야 딱 맞는 커리가 완성된다. ​

 

이번에 만든 파니르 치즈가 그렇게 단단하지 않아서 뜨거워 지면 금방 뭉그러지니까 치즈를 넣기 전에 간을 보고 소금간을 딱 맞게 맞춘 다음

파니르치즈를 넣고 많이 젓지 않고 뜨거울 정도로 치즈를 데워 커리를 완성했다.

 

 


크기변환_DSC08312.JPG

 

 

 

 


 

크기변환_DSC08315.JPG

 

 

 

 


 

크기변환_DSC08316.JPG

 

 

 

 


 

크기변환_DSC08320.JPG

 

 


 

평소 만들어 두는 플랫브레드가 다 떨어져서 프렌치 브레드를 하나 사와서 곁들였다.

향신료 향이 가득한 커리에 시금치와 파니르치즈로 담백한 맛이 괜찮았다.

시금치를 평소에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조금 골라내고 먹는 편인데 잘게 썰어서 어쩔 수 없이 다 먹었다..

커리소스를 좋아하니까 시금치를 넣어도 괜찮았고 치즈는 당연히 잘 어울려서 전체적으로 맛있게 잘 먹었다.

시금치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취향에 딱 맞을 것 같다.

 

 

 

 

 

 

 

  • 테리 2015.03.03 01:44
    헉!!!제가 진짜 좋아하는 커리인데!!

    여기에 넣으신 큐민씨드,페뉴그릭씨드는
    안 빻아서 먹어도 나중에 입에서 따로 놀지는 않나요?

    통향신료를 그냥 쓰는 경우가많나요?
    카다몸 같은건 많이 크쟎아요?^^
  • 이윤정 2015.03.04 00:02
    카다몸은 껍질을 벗기면 좀 낫기는 한데 그래도 한번씩 씨가 씹히면 그 화한 향이 확 퍼지죠ㅎㅎ
    저는 뭐 먹을 때 따로 씹히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카다몸은 이제 파우더만 쓰고요, 큐민이랑 페뉴그릭은 따로 놀지는 않아요^^
    인도식 음식 레시피들 보면 홀 가람마살라를 처음부터 볶아서 그대로 소스 만들어 먹는 경우도 많은데
    거기에 들어가는 통카다몸이며 계피며 클로브, 후추 이런건 그쪽 사람들은 잘도 먹더만 저는 그 소스를 믹서에 갈아도 씹혀서 이젠 가람마살라도 파우더만 쓰고 있어요^^
  • 요기니 2015.05.28 15:33
    가장 좋아하는 요리중에 하나인데 집에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니....짱 대박입니다. 그런데 다양한 재료를 어디를 구할 수 있나요? 코리앤더 파우더 1스푼 큐민파우더 1티스푼 칠리파우더 1티스푼 페뉴그릭 씨드 0.3티스푼 카다몸 파우더 약간 후추 0.5티스푼
    혹시 아시는분 계시는 웹사이트를 알려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더운 날씨지만 행복한 마음을 유지하는 남은 하루가 되시길.... 고맙습니다.
  • 이윤정 2015.05.29 00:19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30&category=245&document_srl=4183 이 글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 대륙요리왕 2015.09.19 09:00
    허허 인도인이하는 런치부페에서도 보기 힘들다는 팔락파니르 부럽다 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 중식 깐풍기, 깐풍기 만들기 깐풍기 여태 깐풍기를 6번 정도 만들고 마음에 딱 들었던 적이 없었는데 시행착오를 거쳐서 그런지 이번에는 마음에 들게 되어서 맛있게 잘 먹었다. 튀김이 바삭... 8 file 이윤정 2015.03.09 5850
» 인도 팔락 파니르, Palak Paneer 팔락 파니르, Palak Paneer 유명한 채식 커리인 팔락 파니르. Palak = 시금치, Paneer=파니르치즈(인도식 코티지 치즈) 말 그대로 시금치와 파니르치즈를 넣어서 ... 5 file 이윤정 2015.03.03 8031
156 중식 소고기 난자완스 소고기 난자완스 이미 몇번이나 올렸던 난자완스. 쫀쫀한 고기 반죽 튀김에 짭짤한 소스와 표고버섯, 죽순등의 채소로 만드니 한끼 식사 대용으로 좋아하는 음식... 6 file 이윤정 2015.02.15 6398
155 일식 카키후라이, 굴튀김 만들기 카키후라이, 굴튀김 만들기 봄이 되기 전에 굴튀김을 더 해먹는 것이 좋겠다 싶어서 싶어서 굴을 사왔다. 사용한 재료는 튀김기름 굴 300그램 밀가루 계란+우유+... 4 file 이윤정 2015.02.15 92312
154 중식 탕수육, 탕수육소스 탕수육, 탕수육소스 벌써 여러번 올린 탕수육. 평소 만드는 것과 거의 같고 이번에는 고기를 밑간할 때 고운 고춧가루를 넣고 약간 매콤하고 발갛게 튀겨서 만들... 6 file 이윤정 2015.02.13 5905
153 일식 소유라멘 만들기 소유라멘 만들기 일식 카테고리에 3연속 라멘인데;; 생라멘을 사와서 보니 딱 6타래가 들어있어서 3번에 걸쳐서 라멘을 먹었다. 돈코츠라멘은 구운 채소를 넣은 ... 9 file 이윤정 2015.02.04 109274
152 중식 고추잡채 고추잡채 평소 만든 것이랑 다를 바가 없어서 지난 글을 거의 복사했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약 350그램, 소금, 후추, 계란1개, 감자전분 4스푼 채소① 고추기... 2 file 이윤정 2015.01.30 3839
151 아시아 소프트쉘 크랩 샐러드 홈퀴진 세번째 글. 새로 쓴 글이 뒤로 묻히는데 메인페이지를 조금 수정해야겠다. 아시아 카테고리는 블로그에서 옮기는 것이 다 되어서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니... 6 file 이윤정 2015.01.25 6396
150 일식 단단면, 탄탄멘 만들기 홈퀴진으로 이전하고 두번째 글. 단단면, 탄탄멘 만들기 이후에 올린 탄탄멘 업데이트. 다시 만든 것이 조금 더 나았다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 12 file 이윤정 2015.01.23 96429
149 일식 돈코츠 미소 라멘, 라멘만들기 홈퀴진으로 이사오고 난 다음의 첫 글 입니다. 반갑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릴게요! 돈코츠 미소 라멘, 라멘만들기 얼마전부터 라멘을 만들고 싶어서 면을 뽑... 13 file 이윤정 2015.01.22 57727
148 인도 비프 커리 스튜, 카레 돈까스 2015/01/09 비프 커리 스튜 인도에서 파생되어 영미권에 유명한 비프 커리가 다 인도식 비프 스튜이긴 하지만 그 중에서도 비프 마크니에 클래식한 비프스튜의 특... 2 file 이윤정 2015.01.09 7794
147 아시아 카오 팟 무, 태국식 볶음밥 2015/01/06 카오 팟 무, 태국식 볶음밥 태국의 대표적인 볶음밥으로 카오는 쌀이고 팟은 볶는다는 뜻이다. 주 재료에 따라 마지막에 각 재료의 이름이 붙는데 새... file 이윤정 2015.01.06 7870
146 일식 칸사이식 오코노미야끼, 오사카 오코노미야끼 2014/12/26 칸사이식 오코노미야끼, 오사카 오코노미야끼 오코노미야키의 오코노미는 좋아함을 뜻하고 야끼는 굽는 것이니까 좋아하는 것을 굽는다는 오코노미야... file 이윤정 2014.12.26 10243
145 아시아 뿌팟퐁커리 만들기, 소프트쉘크랩 커리, 뿌님팟퐁커리 2014/12/21 뿌팟퐁커리 만들기, 소프트쉘크랩 커리 뿌는 게, 팟은 볶다, 퐁은 가루, 커리는 말 그대로 커리를 뜻한다. 태국의 인기있는 게 커리이다. 보통 뿌는 ... file 이윤정 2014.12.21 21797
144 일식 츠쿠네 야끼도리 2014/12/18 츠쿠네 야끼도리 닭고기를 다져서 완자를 빚어 만드는 츠쿠네를 꼬치에 끼운 다음 구워서 츠쿠네 야끼도리를 만들었다. 츠쿠네를 어떻게 할까 하면서 ... file 이윤정 2014.12.18 12266
143 아시아 카오 팟 꿍,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 2014/12/13 카오 팟 꿍,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 태국의 대표적인 볶음밥으로 카오는 쌀이고 팟은 볶는다는 뜻이다. 주 재료에 따라 마지막에 각 재료의 이름이 붙... 2 file 이윤정 2014.12.13 19927
142 중식 간짜장, 짜장밥 2014/12/09 간짜장, 짜장밥 냉장실에 고기라고는 애매하게 남은 소고기 불고깃감 밖에 없어서 일단 칼로 다져놓고 뭘할까 고민하다가 별 다른 재료도 없이도 맛있... 2 file 이윤정 2014.12.09 4165
141 일식 가라아게, 치킨 가라아게 2014/12/08 가라아게, 치킨 가라아게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튀김요리를 전반적으로 의미한다. 채소나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튀겨서 먹지만 그 중... 5 file 이윤정 2014.12.08 6724
140 인도 비프 코프타를 곁들인 달 마크니, 렌틸콩 커리, masoor dal mahkani with beef kofta 2014/12/05 비프 코프타를 곁들인 달 마크니, 렌틸콩 커리, masoor dal mahkani with beef kofta 코프타는 일종의 미트볼로 생선이나 고기, 채소 등을 둥글게 빚... file 이윤정 2014.12.05 4697
139 일식 사케동, 사케동 만들기, 연어요리 2014/12/04 사케동, 사케동 만들기, 연어요리 사용한 재료는 밥 2그릇, 스시노코 1스푼, 양파 4분의1개, 계란 3개, 연어 약 200~300그램, 쪽파, 초생강 쯔유로 가... file 이윤정 2014.12.04 11583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