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5890.JPG

 

 

 

IMG_5905.JPG

 

 

태국 그린파파야무침, 쏨땀 somtam 
 

 

ส้มตำ(Somtam)

뿌(게), 텔레(해산물), 쁠라(물고기) 등을 추가로 사용해서 쏨땀 뿌 혹은 쏨땀 타이 싸이 뿌 라고 하기도 한다.

녹두당면이나 카놈찐(이것도 일종의 면)을 곁들여서 같이 빻아서 면요리로 먹는 것도 흔하다고 한다.

존재감이 큰 대표 태국요리이지만 메인 요리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바리에이션으로 메인요리화 하기도 하고

볶음면이나 볶음밥, 덮밥 등 메인 식사에 곁들여도 좋고 돼지고기나 닭고기 굽고 (무텃) (까이양)에 찰밥과 쏨땀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그린파파야가 흔하면 정말 자주 해먹고 싶은데 한국에서 그린파파야를 구하려면 차라리 사먹는 것이 낫기도 해서 자주 해먹게 되지는 않는다.

 

베트남에서는 연줄기를 사용한 무침이 정말 맛있는데 연줄기 구매하기가 어려우니까 아래와 같이 재료 구하기가 쉬운 베트남 음식을 해먹는 것도 좋다.

Home Cuisine - 베트남식 고기냉채, 고이 헤오 , gỏi heo

Home Cuisine - 베트남 샐러드, 닭고기 양배추 냉채, 고이 가

 

 

 

 

재료

 

그린파파야 반개 (손질 후 250그램)
당근 4분의1개 (손질 후 50그램)
방울토마토 5개

 

태국고추 2개

다진마늘 0.5스푼 (마늘 4개)
라임 1개
피시소스 20그램 (1.5스푼)
조청 30그램 (or 설탕 1스푼)
건새우 빻아서 1스푼


빻은 땅콩 1줌 (직화로 구운 것이면 더 좋음)
쪽파 (선택)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과정

1. 파파야는 씻어서 껍질을 벗기고 씻은 다음 씨를 빼고 채썬다.

2. 당근도 채썬다.

3. 절구에 마늘, 라임, 태국고추를 넣고 빻는다. 남은 라임은 즙을 짜서 넣는다.

4. 토마토, 건새우, 조청(설탕), 피시소스를 넣고 살짝 빻는다.

5. 손질한 그린파파야와 당근을 넣고 힘있게 무친다.

6. 땅콩을 빻아서 넣는다. + 쪽파

 

 

재료 손질이나 분량

1. 파파야 - 껍질 벗길 때 베이지 않도록 조심조심해서 껍질을 벗기고 반을 가른 다음에 호박씨를 파내듯이 숟가락으로 속을 파낸다.

파파야는 사람에 따라 피부발진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살짝 닿았을 때 피부발진이 있으면 손질할 때 파파야를 중간중간 씻으면 괜찮다.

2. 고추 - 냉동태국고추는 1~3개까지 골고루 넣어봤는데 1개는 밋밋하고 3개는 너무 맵다. 1개 넣고 밋밋하면 하나 더 넣는 걸 추천한다.

3. 건새우는 두절 건새우를 사용하는데 밥새우를 사용해도 괜찮고 생략해도 괜찮다.

토마토는 대저토마토가 제철일 때 사용했는데 평소에는 방울토마토를 사용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추가재료
생새우나 게, 데친 새우나 오징어 등을 넣어도 좋고
분짜용 쌀국수나 더 얇은 라이스 버미셀리를 넣어도 좋다.
이 때는 양념을 좀 넉넉히 넣는다.
(각 해산물의 이름과 쌀국수의 이름이 쏨땀 뒤에 붙는다.)

 

2. 파파야 분량
파파야가 하도 지맘대로 생겨서 손질하다보면 늘 반개를 사용해도 매번 똑같은 그램수가 안나온디. 파파야와 당근을 합해서 손질 후 300그램을 넣었는데 이 이상 넘어가면 양념양을 늘인다. 

 

3. 파파야 대체재료
그린파파야같이 일반적으로 먹지 않는 과실은 쉽게 구매하기 어렵고 인터넷에서 구매할 때도 용량이 많고 배송비까지 하면 차라리 사먹지 싶을 때가 있다. 그린파파야 대신에 콜라비나 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린파파야 대신에 사용하는 가장 좋은 재료는 당근이라고 생각한다. 당근은 그린파파야보다는 질감이 조금 더 무거우니까 미리 무쳐서 조금 두었다가 먹는 것이 좋은 것 같다. (=당근으로만 해보지는 않았는데 다음에 해보고 업데이트해야겠다.)

 

4. 그 외 재료 대체에 대해
 a 달달이 - 원래는 팜슈가가 근본이지만 태국에서 팜슈가 대신 끈적한 달달한 걸 쓰길래 팜슈가 대신 설탕을 쓰지 않고 조청을 사용해봤다. 꽤 잘 어울린다.

 b 새콤이 - 대체재료로 사용하면 어떨까 하고 생라임대신 레몬즙 깔라만시즙 화이트식초 을 각각 사용해봤는데 전부 다 별로였다. 라임이 가장 잘 어울린다.
 c 매콤이 - 태국고추는 생것이나 냉동 모두 좋지만 일반 홍고추나 고춧가루로 대체하는 건 추천하지는 않는다. 어쩔 수 없다면 태국고추 건고추나 페페론치노가 낫다.

 d 젓갈 - 피시소스는 뭘 사용해도 좋다. 베트남 음식에는 베트남 피시소스가 잘 어울리는데 태국음식은 좀 더 쿰쿰한 느낌이라 그런지 한국식 액젓도 잘 어울린다. 생게나 생새우를 넣는 일도 흔하고 태국식 회색 젓갈도 넣으니까 멜젓에 사용하는 멸치진젓을 조금 넣는 것도 좋다. 

 e 토마토는 방울토마토를 사용해도 좋은데 분량은 취향에 따라 5개정도로 적당히 넣는다. 올해 봄 내내 먹고 있는 대저토마토를 사용했는데 아주 잘 어울린다.

 f 쏨땀에 롱빈을 생략한 이유는? - 쏨땀에 흔히 넣는 롱빈 대신 쪽파를 넣었다. 태국사람이 그러는 걸 보고 따라했다. 없으면 생략. 샬롯을 넣는 경우도 있다.


5. 도구
 a 쏨땀채칼은 있으면 아주 유용하다. 가장자리가 얇고 가운데는 적당한 굵기라 쏨땀의 질감을 쏨땀답게 만들어준다. 쏨땀채칼은 없어도 무관하고 얇게 채썰어서 만들 수 있다. 채칼 중에서는 트라이앵글 채칼처럼 한 면이 너무 얇은 것보다는 각 면이 균일하면서 너무 얇은 채가 나오지는 않는 것이 낫다.

 b 절구와 절구공이, 스뎅스푼는 쏨땀에 있어서 소울과 같은 도구인데 나무절구나 플라스틱 절구를 살까 하다가 그래도 좀 그런데 하고 무쇠절구까지 살까 하다가 원툴각이라; 결국엔 포기했다. 절구가 없을 때는 팍팍 주물러서 만든다. 피시소스가 짜니까 맨손으로 하기보다는 비닐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편한데 비닐장갑을 끼고 주무르는 것보다는 봉투에 넣고 주무루는 걸 조금 더 추천한다. 절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라도 고추와 마늘은 미리 적당히 칼로라도 찧어서 넣어야 좋다.

 

6. 미리 무쳐두면 발효가 되고 파파야의 아삭한 식감이 줄어들어서 맛이 없다. 바로바로 무쳐 먹는 게 베스트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론이 길었는데 분량대로 준비해서 순서대로 팍팍 무치면 끝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아삭아삭한 그린파파야와 맵고 시고 짭조름한 맛의 조화는 쏨땀이 왜 그렇게 글로벌하게 사랑받는지 단박에 알 수 있는 어울림이다.

아직은 데친 새우만 넣어봤는데 잘 어울려서 다음에는 문어를 넣어볼 예정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린파파야를 주문했는데 조금 익은 파파야가 왔다. 익었다기보다는 아주 길쭉한 그린파파야와는 품종이 다른 파파야이다.

겉은 아주 초록색인데 속은 주황빛이라 좀 익었나 싶지만 달거나 하지 않아서 무침으로 먹기는 좋았다.

IMG_5824.JPG

 

 

IMG_5830.JPG

 

 

 

IMG_5944.JPG

 

 

IMG_5835.JPG

 

 

 

IMG_5863.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절구가 없어서 대충 짓이기거나 다져서 넣고 손으로 쥐듯이 이겨가며 무쳤다. 짜고 매우니까 비닐장갑이 필요하다.

 

IMG_5842.JPG

 

 

IMG_5843.JPG

 

 

IMG_5845.JPG

 

 

 

IMG_5847.JPG

 

 

 

IMG_5851.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MG_5855.JPG

 

 

IMG_5856.JPG

 

 

 

1651637016917-01.jpeg

 

 

 

IMG_5873.JPG

​​​​​​​

​​​​​​​

 

IMG_5890.JPG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르헨티나 붉은새우를 데쳐서 넣었다.

 

IMG_5862.JPG

 

 

 

IMG_5892.JPG

 

 

​​​​​​​

IMG_5894.JPG

 

​​​​​​​

IMG_5905.JPG

 

 

​​​​​​​

IMG_5907.JPG

 

 

위에서도 이야기했듯이 

​​​​​​​당연한 이야기지만 아삭아삭한 그린파파야와 맵고 시고 짭조름한 맛의 조화는 쏨땀이 왜 그렇게 글로벌하게 사랑받는지 단박에 알 수 있는 어울림이다.

한 번 먹어보면 계속 계속 땡기는 매력적인 맛인데 파파야 살 생각을 하면 다음엔 그냥 사먹어야지 싶기도 하고 그렇다.

(부산에서는 사상에 타이사왓디 쏨땀이 맛있다. 뜬금 맛집 소개ㅎㅎ)

 

 

 

  • 한량 2022.06.29 21:51 Files첨부 (1)

    쏨땀.png

    ㅋㅋㅋㅋㅋㅋ 간만에 들러 봤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와... 마침 이게 올라와서 감격이네요
    이제는 그린 파파야를 구할 수 있으니 세월이 흘러 세상 좋아진 시대를 살고 있게 된 건가 싶네요 ㅎㅎㅎ

  • 이윤정 2022.07.27 02:56
    어쩜 이렇게 그린파파야에 그린파파야같은 일이 있을까요ㅎㅎ
    좋아진 시대에 이렇게 다시 그린파파야로 만나뵙게 되어 좋네요^^

  1. 팟타이, 볶음쌀국수

    2013/06/26 팟타이, 볶음쌀국수 팟타이 pad tai의 팟은 볶는 것을 뜻하고 타이는 태국스타일 정도로 볼 수 있다. 태국스타일 볶음음식 이런 뜻..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에 차이브나 차이브의 대용인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소스로는 타마린드나 굴소스, 피쉬소스에 취향에 따라 칠리오일이나 칠리소스도 추가하고 고명으로 땅콩분태나 타이고춧가루(phrik pon), 라임, 고수, 설탕 등을 올려서 먹는다....
    Date2013.06.26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4270 file
    Read More
  2. 팟타이 만들기, 만드는법

    팟타이 팟타이의 팟은 볶는 것을 뜻하고 타이는 태국스타일 정도로 볼 수 있다.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에 차이브나 차이브의 대용인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소스로는 타마린드나 굴소스, 피쉬소스에 취향에 따라 칠리오일이나 칠리소스도 추가하고 고명으로 땅콩분태나 타이고춧가루(phrik pon), 라임, 고수, 설탕 등을 올려서 먹는다. 팟타이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타마린드의 새콤한 맛만 베이스로...
    Date2016.01.07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0 Views19480 file
    Read More
  3. 팟타이

    2013/09/18 팟타이 팟타이의 팟은 볶는 것을 뜻하고 타이는 태국스타일 정도로 볼 수 있다.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에 차이브나 차이브의 대용인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소스로는 타마린드나 굴소스, 피쉬소스에 취향에 따라 칠리오일이나 칠리소스도 추가하고 고명으로 땅콩분태나 타이고춧가루(phrik pon), 라임, 고수, 설탕 등을 올려서 먹는다. -이전에 올린 팟타이 포스팅에서 복사. 팟타이는 재...
    Date2013.09.18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2861 file
    Read More
  4. 팟타이

    2014/02/15 팟타이 팟타이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게시물에 꽤 써뒀다. 자꾸 복사하기가 좀 그래서 바로 본론으로.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쌀국수(5mm) 200그램, 두부 반모, 계란2개, 새우 6마리, 돼지고기 100~150그램, 숙주, 대파, 해선장 칠리소스 2스푼, 피쉬소스 2스푼, 굴소스 2스푼, 설탕 2스푼, 타마린드 2스푼(+물 4스푼) 쌀국수는 전날 찬물에 불려서 냉장고에 넣어뒀다가 건져서 물기를 빼고 사용했다. 쌀국수는 물에 불려두지 않으면 볶아서 쓸 수가 없고, 미리 불려두면 냉장고에서 1주일정도 괜찮으니까 넉넉하게 시간을 두고 불리는...
    Date2014.02.15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2656 file
    Read More
  5. 팟타이

    2014/11/18 팟타이 태국 음식을 잘은 모르지만 그 중에도 유명한 팟타이는 그나마 자주 먹기도 하고 해먹은 것 같다. 이미 여러번 올린 거라 따로 올릴 필요가 없어서 일상 카테고리에 묶어서 일기삼아 올리곤 해서 따로 포스팅은 좀 오랜만이지만... 팟타이의 팟은 볶는 것을 뜻하고 타이는 태국스타일 정도로 볼 수 있다.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에 차이브나 차이브의 대용인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
    Date2014.11.18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 Views3997 file
    Read More
  6. 팟타이

    팟타이, 팟타이 레시피 팟타이의 팟은 볶는 것을 뜻하고 타이는 태국스타일 정도로 볼 수 있다.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에 차이브나 차이브의 대용인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소스로는 타마린드나 굴소스, 피쉬소스에 취향에 따라 칠리오일이나 칠리소스도 추가하고 고명으로 땅콩분태나 타이고춧가루(phrik pon), 라임, 고수, 설탕 등을 올려서 먹는다. 팟타이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타마린드의 새콤...
    Date2015.07.13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0 Views6727 file
    Read More
  7. 팟타이

    예전과 거의 같은 내용이지만.. 팟타이에 대한 이야기는 더느린늘보님의 댓글에 자세하게 나와있다. (감사합니다!) 팟타이는 단맛(팜슈가등의) , 새콤한 맛(라임이나 타마린드), 짠맛(피쉬소스 등의 짠맛) 의 조화가 적절하게 섞인 것으로 불린 쌀국수, 고기나 해산물, 두부, 계란, 숙주, 부추 등을 주재료로 하고 소스로는 타마린드나 호이신소스, 굴소스, 피쉬소스에 고명으로 땅콩분태나 타이고춧가루(phrik pon), 라임, 고수, 설탕 등을 올려서 먹는다. 취향에 따라 칠리오일이나 칠리소스도 추가할 수 있다. 팟타이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타마...
    Date2016.08.31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0 Views13372 file
    Read More
  8. 팟카파오무쌉 랏카우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뜻하고 여기에 밥을 곁들인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덮밥은 랏카우라고 하니까 풀 네임은 팟카파오무쌉 랏카우이다. 작년에 올린 것과 재료는 거의 똑같다. 타이바질은 한국에서 구하기가 어려우니까 방아잎이나 깻잎, 깻잎순으로 대체하면 적당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밥 2그릇 계란 2개 다진 돼지고기 300그램 소금, 후추 고추기름 1스푼...
    Date2016.09.07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5 Views7295 file
    Read More
  9. 팟씨유, 팟씨유 만들기

    2013/07/29 팟타이와 함께 대표적인 쌀국수 요리인 팟씨유 팟씨유의 팟은 볶다, 씨유는 soy sauce 소이소스를 뜻한다. (구글느님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차우펀이라 한다는데 확실하게 확인해 보지는 않았다. 팟씨유는 팟타이와 비슷한 종류의 쌀국수이지만 들어가는 재료에서 차이점이 조금 있다. 팟타이는 5~10미리 정도 되는 쌀국수에 타마린 주스를 기본으로 한 소스와 메인고기, 두부, 계란, 숙주, 부추 등을 넣는다면 팟씨유는 더 넓은 면에 소이소스를 기본으로 한 소스를 넣고, 메인 고기, 중국식 브로콜리, (계란) 등을 넣는다. 볶음쌀국수가...
    Date2013.07.29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3 Views21522 file
    Read More
  10. 팟 카파오 무 쌉, 팟카파오무쌉 만들기, 레시피

    팟 카파오 무 쌉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뜻하고 여기에 밥을 곁들인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무 팟 바이 끄라파오(=카파오)라고도 하던데 바이가 태국어로 뭘 뜻하는지 모르겠다;;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타이바질 대신 깻잎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얼추 재료를 맞춰서 사용했다. 라임은 레몬즙으로, 팜슈가는 황설탕으로 대체가능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2...
    Date2015.10.12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6 Views41789 file
    Read More
  11. 텃만꿍, 텃만꿍 만들기

    텃만꿍 태국음식인 텃(튀김) 만(패티) 꿍(새우)은 말 그대로 새우를 다져서 빚은 튀김이다. 다진 돼지고기나 커리페이스트, 다진마늘, 다진샬롯, 다진고수를 넣거나 전분을 넣어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딱 새우만 갈아서 소금, 후추, 설탕, 피쉬소스를 아주 약간만 넣고 간을 하면 다른 재료가 들어가는 것보다 더 맛있다. 심플한 것 같아도 먹어 본 텃만꿍 중에 가장 좋았다. 텃만꿍만으로 식사가 되지는 않으니까 미리 텃만꿍을 튀길 준비를 끝내고 타이커리나 볶음밥을 만들고 한 쪽에는 텃만꿍을 튀겨서 한 밥상에 올리는 것이 좋았다. 한 번은 ...
    Date2015.08.24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4 Views11840 file
    Read More
  12. 태국식 고기덮밥, 팟카파오무쌉 랏카우

    다진 돼지고기와 타이바질을 볶아서 밥에 얹어 먹는 덮밥인 팟카파오무쌉. 태국어로 팟(볶다) 카파오(타이바질) 무(돼지고기) 쌉(다진)을 각각 뜻하고 여기에 밥을 곁들인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덮밥은 랏카우라고 하니까 풀 네임은 팟카파오무쌉 랏카우이다. 재작년에 올린 것과 재료는 거의 똑같다. (내용도 비슷) 보통 타이바질을 듬뿍 넣어서 만드는데 타이바질은 한국에서 구하기가 어려우니까 방아잎이나 깻잎, 깻잎순으로 대체하면 적당하다. 분량대로 소스준비하고 고기, 채소, 소스 ...
    Date2018.03.07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4 Views15781 file
    Read More
  13. 태국 그린파파야무침, 쏨땀 somtam 

    태국 그린파파야무침, 쏨땀 somtam ส้มตำ(Somtam) 뿌(게), 텔레(해산물), 쁠라(물고기) 등을 추가로 사용해서 쏨땀 뿌 혹은 쏨땀 타이 싸이 뿌 라고 하기도 한다. 녹두당면이나 카놈찐(이것도 일종의 면)을 곁들여서 같이 빻아서 면요리로 먹는 것도 흔하다고 한다. 존재감이 큰 대표 태국요리이지만 메인 요리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바리에이션으로 메인요리화 하기도 하고 볶음면이나 볶음밥, 덮밥 등 메인 식사에 곁들여도 좋고 돼지고기나 닭고기 굽고 (무텃) (까이양)에 찰밥과 쏨땀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그린파파야가 흔하면 정말 자주 해먹...
    Date2022.06.24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2 Views2720 file
    Read More
  14. 타이칠리누들, 삼발소스를 넣은 팟씨유

    2013/07/30 어제 올린 팟씨유에 이은 매콤한 팟씨유. 아래 팟씨유와 거의 같지만 팟씨유에 소이소스와 굴소스를 조금 줄이고 매콤한 삼발소스를 넣은 볶음쌀국수이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으로 10미리 쌀국수 120그램, 돼지고기 조금, 다진마늘, 계란, 쪽파 블랙소이소스, 굴소스, 피쉬소스, 삼발소스, 설탕 순서는 대충 돼지고기, 계란, 불린쌀국수, 소스, 물약간, 쪽파. 소스로는 위에 쓴 소스를 각각 1스푼 조금 못되도록 골고루 섞었는데 피쉬소스나 설탕은 조금 더 적게 넣었다. 돼지고기가 어느정도 익으면 계란을 하나 깨서 넣고 빠르게 스크...
    Date2013.07.30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4569 file
    Read More
  15.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 무, 태국식 오믈렛 카이 얏 사이는 태국어로 속을 채운 오믈렛을 뜻하고 무는 돼지고기를 뜻한다. 다진 돼지고기를 넣었으니 정확히는 카이 얏 사이 무 쌉 이라고 해야 맞겠다. 주재료를 느어(소고기), 가이(닭고기), 꿍(새우) 등으로 바꿔 만들 수 있다. 채소와 돼지고기를 소스에 볶아 계란으로 감싼 오믈렛인데 나는 반달모양으로 접었지만 계란 가운데에 돼지고기볶음을 놓고 보자기모양으로 감싸서 만드는 일이 더 많다. 오믈렛에 자스민쌀과 일반쌀을 섞어서 지은 밥을 곁들였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계란 4개 쪽파 반줌 소...
    Date2015.11.01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6 Views5062 file
    Read More
  16. 카오팟뿌, 소프트쉘크랩 튀김과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뿌, 소프트쉘크랩 튀김과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은 볶음밥이고 뿌는 게인데 소프트쉘크랩은 뿌님이니까 카오팟뿌님이 더 맞는 이름이다. 보통 게살을 넣어서 만드는 볶음밥을 카오팟뿌라고 하는데 소프트쉘크랩을 사용해서 따로 튀기고 카오팟에 얹어서 만들었다. 볶음밥에 곁들이는 픽남쁠라(프릭 남 쁠라, 픽남빠)는 피쉬소스(남쁠라)에 태국고추(프릭키누)를 넣고 라임즙이나 마늘, 팜슈가 등을 넣어서 만드는데 피쉬소스는 꼭 있어야 하고 부족한 재료는 청양고추, 레몬즙, 흑설탕 등으로 대체가능하다. 픽남쁠라는 볶음밥이나 다른 음식에 ...
    Date2015.09.09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3 Views6996 file
    Read More
  17. 카오 팟 무, 태국식 볶음밥

    2015/01/06 카오 팟 무, 태국식 볶음밥 태국의 대표적인 볶음밥으로 카오는 쌀이고 팟은 볶는다는 뜻이다. 주 재료에 따라 마지막에 각 재료의 이름이 붙는데 새우가 들어가면 카오 팟 꿍, 게살이 들어가면 카오 팟 푸, 닭고기가 들어가면 카오 팟 카이,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카오 팟 무, 쇠고기를 주재료로 카오 팟 누아라고 한다. 센불로 빠르게 볶아서 만드는 볶음밥이라 1인분씩 빠르게 달달 볶아서 2번을 만들었다. 전에 올린 카오 팟 꿍과 거의 같은 내용에 주재료만 돼지고기로 만들어서 내용도 비슷하다. 지난번보다 밥을 약간 많이 지어서 ...
    Date2015.01.06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6591 file
    Read More
  18. 카오 팟 꿍,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

    2014/12/13 카오 팟 꿍, 태국식 볶음밥 카오팟 태국의 대표적인 볶음밥으로 카오는 쌀이고 팟은 볶는다는 뜻이다. 주 재료에 따라 마지막에 각 재료의 이름이 붙는데 새우가 들어가면 카오 팟 꿍, 게살이 들어가면 카오 팟 푸, 닭고기가 들어가면 카오 팟 카이,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카오 팟 무, 쇠고기를 주재료로 카오 팟 누아라고 한다. 센불로 빠르게 볶아서 만드는 볶음밥이라 1인분씩 빠르게 달달 볶아서 2번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바스마티쌀 1컵과 5분도 현미 0.5컵으로 지은 밥, 식용유, 양파 1개. 당근 3분의1개, 대파 ...
    Date2014.12.13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2 Views18405 file
    Read More
  19. 칠리크랩

    2014/11/28 칠리크랩 싱가포르에서 만들어져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칠리크랩. 양파, 마늘. 생강, 고추, 토마토 등을 넣은 소스에 게를 곁들여서 먹는 음식으로 양인들이 좋아하는 스윗 새이버리 sweet savoury라 그런지 CNN에서 2011년 발표한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에서 35위를 한 적이 있다고 한다. 보통은 사이즈가 큰 머드 크랩을 찌거나 생것으로 껍질을 적당히 부숴서 소스와 함께 볶아서 만들고, 빵(대표적으로 프라이 번)이나 밥을 곁들이는데 나는 소프트쉘 크랩을 튀기고 칠리소스는 따로 만들어서 게 튀김에 칠리소스를 얹고 마늘...
    Date2014.11.28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4316 file
    Read More
  20. 차콰이테오, Char kway teow, 싱가포르식 볶음쌀국수

    2013/09/29 차콰이테오, Char kway teow, 싱가포르식 볶음쌀국수 차콰이테오 Char kway teow는 볶음쌀국수라는 뜻으로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대중적인 음식이다. http://blog.naver.com/royaltoursg님께 여쭤보고 이 내용이 싱가폴 관광청에 있는 내용인 줄 알게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 납작한 쌀국수 볶음요리가 생겨난 배경은 이렇습니다. 차 콰이 테오는 처음에 부족한 수입을 채우기 위해 밤에 음식 행상을 겸하던 어부와 농부들이 팔았습니다. 이들은 먹다 남은 음식을 모아 재빨리 차 콰이 테오를 만들었습...
    Date2013.09.29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0 Views591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