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90프로 잡담)



생강은 마늘처럼 자주 사용하는 재료도 아니고 마늘만큼 한국인의 보편적인 소울푸드도 아니지만

마늘을 사용하는 양념장에 생강을 마늘의 10~20%정도 넣으면 언제나 더 맛있어진다.

김치나 무침을 비롯해서 볶음까지 전부 다 그렇다.



마늘과 생강 둘 다 제철이 있지만 둘 다 언제나 구매할 수 있는 식재료이다.

하지만 마늘에 비해서 생강이 제철을 조금 더 많이 타는 편이다.

생강이 제철일 때에는 생강청이나 생강주, 편강 등을 많이 만들어서 오래도록 쓰면 좋은데

흙 묻은 키로그램 단위로 사서 생강을 씻고 껍질벗기고 또 씻고 다듬고 원하는 대로 조리하는 정도로 생강을 좋아하지는 않아서

딱 필요한 정도로만 사서 냉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생강은 생략해도 되는 식재료이지만 위와 같은 이유를 들어서 냉동해서 사용하다보면

효용성이 충분한 재료라 필수로 구비하지는 않아도 최대한 늘 냉동해두도록 관리하고 싶은 식재료이다.

+생강청이나 생강술을 즐겨 사용한다면 굳이 생강을 냉동할 필요가 전혀 없다.


우리집의 경우.. 생강청이나 생강술을 좋아하긴 하지만 잘 만들 상황은 아니다. 이유는 생강청이나 생강술을 담으면 냉장보관하는 게 마음이 편하기 때문이다. 각종 장아찌나 절임도 다 냉장해야 마음이 편한데 우리집에 냉장고가 하나 뿐이고 김치 넣을 자리도 없고 그러다보니 꼭 필요한 것 외에는 최대한 안하게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목이 생강냉동하기인데.. 냉동하는 측면으로 봐서 결론만 이야기하자면

딱 필요한 정도로만 사와서 손질한 다음 칼로 얇게 편 썬 다음 최대한 곱게 썰고 랩에 올려서 돌돌 감아서 냉동한 다음 반찬통에 넣어서 성에를 최소화한다.

돌돌 감을 때 얇을수록 사용하기 편하다. 사용할 때는 돌돌 말은 생강을 칼로 잘라서 분량대로 사용하고 있다.



생강은 편으로도 채썰어도 다져서도 냉동해봤는데 썰어서 입자크기를 조절하는 건 해동한 다음에도 할 수 있는 거라 최종적으로 가장 자주 사용하는 크기로 준비한다.


가장 신경쓰이는 건 보관 중에 포장재와 생강 사이에 공기가 있으면 성에가 생기는 것이고, 성에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래핑이 가장 나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최대로 한 500그램 정도 사서 똑똑 부러뜨려서 깨끗하게 씻고 껍질을 벗기고 한 번 더 씻고 물기를 닦고 칼로 최대한 곱게 썰고 채썰고 곱게 다진다. 랩을 쭉 빼고 그 위에 생강을 길게 놓고 손가락 두께의 원통으로 돌돌 포장하고 냉동실에 넣기 좋게 접은 다음 다시 래핑해서 냉동한다.


마늘은 커터기로 다지는 게 편해서 마늘전용 커터기를 두고 사용하고 있는데 생강은 양이 많지도 않고 섬유가 굵은 편이라 칼로 다지는 걸 선호한다.


IMG_7265.JPG




IMG_7268.JPG



많은 양은 아니지만 이렇게 냉동해두면 생강향도 휘발되지 않고 냉동살에서 자리차지하는 분량도 거의 없다.

얇게 돌돌 감아서 냉동해 둔거라 필요한 만큼 칼로 썰어서 바로 사용하기 편하다.




지금 이야기하는 내용은 김장하듯 제철에 생강청을 만들어서 열탕소독한 병에 담아 일 년 내내 제철 생강을 최고로 즐길 수 있다는 멋진 이야기도 아니고 공들여 편강을 만드는 대단한 이야기도 아니고 그렇다.


생강 진짜 뭐라고 다 생략하고 싶은데 그래도 있으면 그나마 더 나으니까

생강을 다져서 냉동하기는 하는데 어쨌든 저는 여태 이렇게 냉동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하는 뭐 이런 잡담이었다.



너무 흔하고 또 너무 잔소리 같아서 이걸 올릴지 말지 고민이 되기는 한데 내일 수정해야겠다.




(고 해놓고 다시는 수정하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 그 외 등등 토란대 삶는법, 손질 '토란대 독성'으로 구글링해보면 알 수 있듯이 토란대는 옥살산칼슘과 호모젠티신산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혀와 목 등 소화기를 비롯해 신장에 통증을 일으키키도 ... 2 file 이윤정 2021.10.04 6673
56 그 외 등등 바이타믹스와 소프트믹스를 사용한 밀크쉐이크, 기본아이스크림 딸기아이스크림을 엄청 좋아해서 봄에 딸기를 냉동했다가 여름에 생크림, 우유, 설탕을 넣고 갈아서 딸기아이스크림을 해먹고 있다. 생크림은 냉동했던 것을 사용... 2 file 이윤정 2021.07.23 8963
55 그 외 등등 우엉 냉동하기 채소를 냉동할 때는 기본적으로 마늘 생강 샬롯 대파 카라멜라이즈양파 등이 당연히 냉동하기 좋다. 그 외에 냉동하면 편한 채소로는 목이버섯, 토란대, 표고버섯... file 이윤정 2021.05.11 5627
» 그 외 등등 생강 냉동하기 (90프로 잡담) 생강은 마늘처럼 자주 사용하는 재료도 아니고 마늘만큼 한국인의 보편적인 소울푸드도 아니지만 마늘을 사용하는 양념장에 생강을 마늘의 10~20%... file 이윤정 2021.04.30 3391
53 그 외 등등 와사비구매, 와사비 소분 냉동보관, 삼광 999 와사비뿌리나 와사비 가루, 마트에 파는 와사비 여러 종류를 비롯해 여태 와사비를 이것저것 사용해봤는데 사 본 것 중에 가격대비해서 가장 나았던 와사비는 삼... 13 file 이윤정 2021.01.18 13862
52 그 외 등등 아스파라거스 고르기, 보관하기, 손질하기, 조리하기, 사용/활용하기 아스파라거스 사용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search_target=content&is_keyword=%EC%95%84%EC%8A%A4%ED%8C%8C%EB%9D%BC%EA%B1%B0%EC... 4 file 이윤정 2020.04.20 14564
51 그 외 등등 계란지단 만들기, 잘부치는법 계란지단 부치는 음식을 할 때마다 계란지단 때문에 스크롤이 길어져서 링크로 대체하려고 따로 올린다. 보통 계란지단을 잘 만드는 방법으로 1. 체에 거르기 2. ... 6 file 이윤정 2020.02.28 15382
50 그 외 등등 바지락 등 조개 손질하기, 해감하기 이전에 올린 백합손질법과 거의 비슷한데 끓여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류 전반으로 새로 쓴다. 이유는 다음에 이렇게 사용할 때마다 해감이야기를 일일이 하면 ... 8 file 이윤정 2020.01.03 11053
49 그 외 등등 고추기름 만들기, 활용 사용한 재료는 식용유 1리터 대파 4대 양파 2개 마늘 2줌 생강 1톨 청양고추 6개 (생략가능) 고춧가루 150그램 →면보에 꽉꽉짜서 고추기름 900그램 나옴 위에 사... 12 file 이윤정 2019.09.21 11791
48 그 외 등등 샬롯 보관법 요약 : 샬롯은 서늘하고 그늘지며 통풍이 되는 곳에 양파와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되 3개월이상 써도 남을 것 같으면 썰어서 냉동했다가 사용한다. 두루 쓰는 채소... 4 file 이윤정 2019.09.18 7227
47 그 외 등등 엔초비 앤초비 보관법 내용 요약. 엔초비를 샀다. 필요한 데에 사용했다. 남은 엔초비는? 무조건 냉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엔초비는 멸치를 절이고 숙성하고 손질해서 올리... 6 file 이윤정 2019.08.30 19944
46 그 외 등등 오이 채썰기, 당근 채썰기, 애호박 채썰기 평소에 채썰기를 자주 하는데 오이나 당근을 얇게 채썰어서 냉채소스나 비빔장 등에 무쳐 간단하게 반찬으로 한다. 맛살정도 같이 해서 술안주로 먹는 날도 많고(... 10 file 이윤정 2019.07.08 47775
45 그 외 등등 카라멜라이즈 양파, 카레라이스 잡담주의 ★★★★★★가 나오면 거기부터 본론입니다. 1년 중에 제철 채소를 가장 기다리는 시기는 3월말인데 이유는 조생종 햇양파가 나오기때문이다. 만생종 저장양... 14 file 이윤정 2019.05.07 15982
44 그 외 등등 표고버섯 냉동보관 표고버섯은 연중 생산되니까 따로 제철은 없지만 3~9월을 제철이라고 하며 3월 중순이나 9월 중순 쯤 날씨가 좋을 때 나는 표고가 좋다고 한다. 제철이라서 산 건... 6 file 이윤정 2019.04.11 13933
43 그 외 등등 바이타믹스 e320 구매 (의식의 흐름에 따른 글 주의, 100프로 정확하지 않음 주의) (바이타믹스 성능에 관한 글이 아니라 일단 사기로 마음먹은 다음에 모델선택에 대한 글 주의) ㅡㅡ... 7 file 이윤정 2019.04.04 9839
42 그 외 등등 게 고르는 법 게는 어떻게 사야할까? 정답 : 활게를 취급하는 게집에서 먹고 옴 (저는 가깝게는 기장대게로 고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통은 금어기를 제외하는 제철이나 사... 6 이윤정 2019.03.26 7320
41 그 외 등등 다짐육 다지기. 다짐육 만들기 미트 그라인더를 사고 2~3키로씩 고기를 갈다가 매번 하기도 번거롭고 냉동실의 힘을 믿는 차원..에서 8키로를 갈았다. 사서 고생하는 이야기. -----------------... 5 file 이윤정 2019.02.19 13432
40 그 외 등등 스지 삶는법, 삶는 방법, 손질하기, 소힘줄 제가 사용한 스지는 한우 알스지이기때문에 다른 부위의 스지나 수입산 스지를 사용한 경우를 사용한 경우에는 아래 내용이 참고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MI ... 8 file 이윤정 2018.11.18 83950
39 그 외 등등 고추장 고르기 ■■■■■■■■■■부터 읽으면 본론입니다. 앞에 이야기가 구구절절 길지만 고추장 성분 비교해서 저장하고 편집해서 가져왔으니까 봐주세요. 우리집 냉장고의 20%는 된... 2 file 이윤정 2018.11.05 6942
38 그 외 등등 대파 손질하기, 보관하기 (((잔소리 주의))) (((그냥 제가 이러는거라 필요없는 이야기 주의))) ■■■■■■■■■■■■■부터 읽으시면 됩니당.. 대파는 마늘과 더불어 한식에 가장 자주 쓰는 양념으... 7 file 이윤정 2018.10.25 440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