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4956.jpg




짭조름 달달한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스타일로 만들었다.


교촌치킨 스타일의 간장치킨을 만들어보면서 교촌치킨의 특징적인 부분은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주로 염지를 안함
2. 튀김반죽은 묽은 반죽으로 얇게 입힘 (우유사용x, 전분, 치킨파우더 등은 가루말고 묽은 반죽으로 사용함)
3. 간장, 설탕, 물엿 베이스에 굴소스 양파분 마늘분 식초 약간으로 소스를 만드는데 달달하게 조절함. 소스에 입자x
4. 튀긴 닭날개에 소스를 붓으로 바름

으로 정리했다.


그런데 2가 제일 까탈스럽다. 묽은 반죽을 입혀 튀길 때는 가루를 묻혀서 만드는 반죽이나 되직하게 비벼서 만드는 반죽에 비해 튀김옷이 잘 벗겨지니까 아래 내용대로 신경써주어야 한다.

(튀기반죽에 가루를 10그램 단위로 줄이고 늘여가면서 묽기를 조절해서 테스트했는데 가루류를 더 줄일 필요는 없었고 가루를 늘여서 튀김반죽이 되직해지면 튀기기는 좀 편했지만 튀김옷이 무거운 느낌이 들었다.)


닭날개는 크기가 작으니까 한꺼번에 튀길려면 기름이 많이 필요하고 아니면 서너번에 나눠서 튀겨야 한다. 서너번에 나눠서 튀겨도 기름이 적잖게 필요하다.


아래 레시피는 닭날개 1.5키로면 반죽이나 소스가 남는 것이 별로 없도록 거의 빡빡하게 맞는 레시피이다.

똑같은 레시피로 닭날개만 1~1.2키로로 무게를 줄일 때는 튀김반죽이랑 소스가 남기는 하는데 그러든지 말든지 레시피대로 만들고 남는 반죽은 버리고 남은 소스는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완성사진은 1키로로 만든 분량이다.




재료

닭날개 1~1.5키로


양념
간장 4스푼 60그램
설탕 3스푼 40그램
꿀 1스푼 15그램
물엿 1스푼 15그램
식초 0.5스푼 8그램
굴소스 0.5스푼 8그램
치킨파우더 0.5티스푼
베트남고추 5~10개
후추 톡톡톡톡톡톡

+

물 5스푼 75그램
양파 반개 갈아서 50그램
냉동 다진마늘 2스푼 40그램


튀김옷
튀김가루 60그램
감자전분 60그램
물 200그램



마늘과 양파를 갈아서 거르는 것이 번거로운 포인트인데 양파 갈기가 번거로우면 마늘만이라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진마늘은 즙이 나오려면 냉동 후 해동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그것도 번거로우면 해동한 다진마늘 사용...


양파는 강판으로 갈았는데 반개를 가지고 갈아야 손을 다치지 않고 50그램이 된다. 남은 양파는 갈린 부분만 잘라내고 냉장했다.


양파분, 마늘분을 각각 0.3티스푼 사용해도 괜찮다.

닭튀김용 치킨파우더(움트리)도 사용해봤는데 반죽 간이 세서 소스 바르기가 까다로웠다.



오랜만에 전분이야기를 하자면..

열매전분(밀전분, 옥수수전분)과 뿌리전분(감자, 고구마, 타피오카)는 성질이 다른데 이를 가르는 특징은 질감과 향이다.

당장 사용할 소스(탕수육소스)는 감자전분, 오랫동안 두고 사용할 소스 전분(글레이즈소스)은 옥수수전분이 적당하다.

튀김용으로 사용하는 전분은 성격이 각각 다르다.

쫀득한 질감을 추가하는 고구마전분이나 타피오카전분 /  전분으로 가공하는 일이 드문 밀 쌀 전분 / 튀김에 적당한  옥수수전분과 감자전분 / 으로 나눠봤을 때 바삭한 튀김에는 옥수수전분과 감자전분을 적당한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번에는 감자전분으로만, 각종튀김가루 + 각종 전분 대비 물의 비율을 중점적으로 테스트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강판에 간 양파와 냉동다진마늘에 물을 붓고 면포나 체에 거른다.


2. 분량대로 소스를 배합한 다음 양파마늘즙을 넣고 소스를 끓이고 완전히 식힌다.

끓여서 바르기 좋은 농도가 되도록 저어가면서 졸이는데 거품이 조금 잘아지면 불을 끈다.
쨈과 똑같이 식으면 단단해지니까 바르기 좀 약간 묽은가 할때 불 꺼야 식었을 때 바르기 적당하다.
아 바르기 딱 좋겠다 하면 너무 끈적한 상태다. 이 때는 물을 약간 넣어서 한 번 더 끓인다.
불을 끈 상태에서 소스에 점성이 많이는 없어야 식었을 때 점성이 적당해지고 바삭바삭한 튀김에 바르기 좋다.

소스가 완전히 식어야 튀김에 발랐을 때 튀김이 눅눅하지 않다.


3. 분량대로 튀김반죽을 만든 다음 닭날개는 씻어서 물기를 닦아서 반죽에 넣는다.

묽은 반죽이니까 튀기기 직전에 닭날개를 반죽에 한 번 더 푹 담갔다가 튀김기름에 넣는다.


4. 기름은 180도로 충분히 예열하고 닭날개를 튀기기 시작하는데 총 2회 튀긴다.

튀김솥은 적당히 큰 것을 사용하고 기름도 넉넉히 사용한다.

1키로에 닭날개가 40개정도 되는데 튀김팬에 13개 정도 밖에 안들어가서 3번에 나눠서 튀겼다.

달군 기름에 반죽을 한방울 넣어봐서 바로 떠오를 정도로 기름을 예열한다.


5. 1회째 튀길 때는 튀김반죽이 묽을수룩 튀김옷이 벗겨지기 쉽다.

기름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넣자마자 자꾸 건드리고 떼어내려고 뒤적뒤적하면 튀김옷이 다 벗겨진다.

튀김기름 온도가 충분히 달궈지도록 기다린 다음 하나씩 넣고, 튀김옷이 익을 때까지 절대 손대지 않도록 한다.

튀김반죽을 자꾸 만지면 다 벗겨져서 바삭바삭함도 없어지고 껍질은 질겨지고 윙은 작아진다.

(사진에서 오른쪽처럼 튀김옷이 벗겨진다.)

서로 달라붙어도 그러든지 말든지 하고 일단 그대로 튀긴 다음 붙은 채로 뒤집어서 더 튀기고 건진 다음에 가위로 떼어준다.



6. 1회 튀김을 건지고 기름을 조금 가열해서 기름에 기포가 좀 없어지면 2회 튀김을 하는데 2회 튀김에는 기름이 많이 튀니까 조심한다.

(반죽이 벗겨지지 않으니까 1회때보다 닭날개 13개씩 3번 튀긴 것에 비해 20개씩 2번 만에 튀길 수 있게 되었다.)


1회가 튀김옷의 모양을 잡는 과정이면 바삭바삭해지는 건 2회 튀김이다.

날개는 얇으니까 겉이 노릇노릇하면 다 익은 것이다.


튀긴 다음에는 식힘망에 올려서 수증기와 기름이 빠져서 바삭해지도록 한 김 식힌다.



7. 소스 바르기

조리용 붓으로 소스를 닭튀김 겉면에 소스를 바르는데 너무 꼼꼼하게 바를 필요없이 대충 슥슥 바른다.

실리콘 붓은 관리하긴 편하지만 바를 때는 좀 불편하고 잘 발리지 않는다. 실리콘 붓으로는 구석구석 바르고, 일반 조리용 붓으로 바를 때는 슥슥 오가며 발라도 좋다.

소스를 졸인 정도에 따라 다르니까 하나 발라서 간보고 조절한다.
너무 많이 바를 필요가 없다. 소스를 많이 바르면 짜다!



8. 닭날개튀김에 소스를 다 바른 다음에는 접시에 담아 배달 기다리는 느낌으로 5분정도 뒀다가 먹는다.

그동안 소스가 스며들어서 착 달라붙고 바삭바삭함도 유지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IMG_4896.JPG




IMG_4897.JPG




IMG_4901.JPG




IMG_4899.JPG




2.

IMG_4898.JPG




IMG_4904.JPG




IMG_4906.JPG




IMG_4907.JPG



IMG_4909.JPG

여열로 더 졸기 전에 그릇에 옮겨담았다.



3.

IMG_4917.JPG




IMG_4921.JPG




IMG_4922.JPG




4.

IMG_4074.JPG



5.

IMG_4924.JPG




IMG_4932.JPG





IMG_4926.JPG




6.

IMG_4940.JPG



IMG_4942.JPG





7.

IMG_4944.JPG



IMG_4913.JPG






IMG_4946.JPG




IMG_4947.JPG




8.


IMG_4956.jpg




IMG_4966-.jpg



IMG_4968.JPG



IMG_4970.JPG


튀김하는데 기름도 많이 필요하고 여러번 튀기니까 튀기는데 시간도 많이 들어서 힘들긴 하다.

힘들면 그러면 입맛이 떨어질 법도 한데 맛은 뿌듯할 정도로 맛있다.


소스를 바르면 눅눅해질까봐 걱정일 수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고 바삭바삭하다.

얇고 가벼우면서 바삭바삭한 튀김옷에 짭짤달달한 소스가 얇게 발려서 먹기 좋다.

  • 랜디 2020.11.23 14:09

    전분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는데, 역시 요리에 대한 지식이 정말 대단하시네요.

    교촌 치킨 첨 먹을 땐 닭이 이렇게 작은데 왜이리 비싸 하면서 먹었는데, 너무 맛있어서 비쌀만 하다 생각했었거든요. 그걸 이렇게 만들어 먹으니 재미있네요.ㅋ

    저희는 양파 갈아서 짜기 귀찮아서 그냥 양파를 생략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소스가 좀 모자랐어요.

    소스야 재료 넣고 한번 끓이면 되니 모자라는건 큰 일이 아닌데,

    글을 띄엄띄엄 봐서 소스를 다 쓰면 짜다는 사실을 다 먹고 나서야 알게 됐네요. 그런데 좀 짜야 맛있는 것 같기도 해요. ㅋㅋㅋ

  • 이윤정 2020.11.26 15:00
    저도 교촌 처음 먹을 땐 박스가 넘 작다 생각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니 그 처음도 참 오래된 일인 것 같아요ㅎㅎㅎㅎ
    소스가 모자라셨다니 모자라셨으면 좀 짜지 않으셨을까 싶었는데 다음줄 말씀이 짜게 되셨단 이야기 맞죠? ^^;;;
    소스를 듬뿍 넉넉하게 바르려고 묽게 하면 튀김이 덜 바삭할 것 같고, 바르기 좋으면 골고루 다 발랐을 때 좀 짠 것 같더라고요.
    닭날개는 그래서 염지를 안하는건데 염지를 안했음에도 소스 양에 따라 짤 수 있으니 소스 양을 한 번 간을 보고 발라야 입맛에 적당한 것 같아요^^
  • 레드지아 2020.11.23 14:42

    앗! 제가 교촌 허니콤보 좋아하는건 또 어떻게 아셨는지 ㅋㅋㅋㅋ 역시 우리는 6.25때 헤어진.. ㅋㅋㅋㅋㅋ

     

    [ 닭날개튀김에 소스를 다 바른 다음에는 접시에 담아 배달 기다리는 느낌으로 5분정도 뒀다가 먹는다.]---> 이게 젤 고난이도 같습니다 ㅋㅋㅋ

    소스 바르면서부터 하나씩 집어 먹기 시작해서 식탁위로 접시 올릴때쯤엔 반은 없어져 있을거 같은데요 ㅋㅋㅋ

     

     

    마늘즙을 잘 내려면 냉동다진마늘을 써야 하는 꿀팁도 오늘 또 배워갑니다!!!! 이런 작은 부분도 안놓치시고 세세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려요!! (과연 따라해볼지 폰으로 배달시킬지는 미지수지만요 ㅠ)

  • 이윤정 2020.11.26 15:03

    그쵸그쵸. 6.25때 피난가면서 가는 길에 힘들어서 잠깐 쉴 때 교촌도 배달받아서 나눠먹고 했는데 이제는 이리 만날 수 없이 헤어져있다니요ㅠㅠ

    다진마늘로 즙 만들 때는 기껏 생마늘 굳이 준비해서 다져서 꽉 짜봤자 나오는 것도 없잖아요ㅎㅎㅎ 그래서 쓴 이야기인데 꿀팁으로 봐주셔서 감사해요ㅎㅎ
    소스 바르면서 바로 먹는 것보다 좀 기다렸다 먹으면 훨씬 맛있어요ㅎㅎㅎ


  1. 야채호빵으로 만드는 호빵고로케

    집에서 고로케빵을 만들려면 고로케필링 만들고 빵반죽하고 1차발효하고 분할하고 휴지하고 빚고 계란물 입혀서 빵가루 묻히고 2차발효까지 한 다음 튀겨야 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할 일이 아주 아주 많다. 그래서 집에서 고로케 만든지 정말 오래됐다. 멘보샤나 몬테크리스토, 꽃빵튀김처럼 호빵을...
    Date2020.12.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273
    Read More
  2. 숯불양념치킨, 지코바 양념 레시피

    직화로 구운 닭고기와 매콤달콤찐득한 소스를 한 번 더 굽는 숯불양념치킨. 숯불 대신 토치를 사용했다. 불맛을 입은 바베큐양념치킨의 맛이 맛있다. 남은 양념에는 밥을 넣고 비벼서 치밥으로도 좋고 라면사리를 넣어도 잘 어울린다. 지코바보다 쪼끔 덜 맵고 덜 끈적한 소스인데 매운 맛은 베트남고춧...
    Date2020.11.2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29519
    Read More
  3.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 만들기, 레시피

    짭조름 달달한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스타일로 만들었다. 교촌치킨 스타일의 간장치킨을 만들어보면서 교촌치킨의 특징적인 부분은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주로 염지를 안함 2. 튀김반죽은 묽은 반죽으로 얇게 입힘 (우유사용x, 전분, 치킨파우더 등은 가루말고 묽은 반죽으로 사용함) 3. 간장, 설...
    Date2020.11.2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21788
    Read More
  4. 잡채

    맨입에 먹기 적당한 간으로 만드는 잡채. 매번 올리는 레시피와 대동소이한데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사용했다. 소고기는 얇은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따로 구워서 잡채 위에 토핑으로 올려도 좋다. 채소는 양파 대파는 필수이고, 버섯, 당근, 애호박, 시금치, 피망 등 준비하기 편한 것으로 사용...
    Date2020.11.1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536
    Read More
  5. 오리주물럭, 오리불고기, 양념, 레시피

    생오리슬라이스를 닭갈비양념장에 무쳐서 기름이 빠지는 불판에 매콤하게 구워서 먹는 오리주물럭.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장을 사용한다. https://homecuisine.co.kr/hc10/88211 부추배추무침을 곁들이면 딱이다. 참고링크 https://homecuisine.co.kr/hc10/92313 재료 (2~3인분) 생오리슬라이스 1키...
    Date2020.11.1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076
    Read More
  6. 불고기파전 만드는법, 레시피

    작년에 인스타에 좋아하는 멍멍이 보러 갔다가 도동집이란 곳의 불고기 파전 사진을 봤는데 해먹고 싶다 생각만 하다가 이제야 만들었다. 좀 더 찾아보니 파전 두개 사이에 불고기를 넣은 것도 있고 대파로 구운 것도 있고 다 구운 다음에 토핑처럼 올린 것도 있고 불고기피자처럼 파전에 불고기를 뚝뚝...
    Date2020.11.0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365
    Read More
  7. 빈대떡 만들기, 재료

    여태 국산 깐녹두를 사서 빈대떡을 만들었는데 국산 깐녹두는 완전히 껍질을 깐 것이 아니라서 불리고 껍질까기를 반복해줘야한다. 이 과정이 지쳐서 좋아하는 빈대떡을 자주 해먹지 않았는데 마음을 고쳐먹고 중국산으로 사봤다. 깐녹두가 다 깐녹두지 뭘 어떻게 하냐 싶은데 껍질을 까긴 깠지만 반정...
    Date2020.11.0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419
    Read More
  8. 궁중떡볶이, 떡잡채

    채소와 고기를 볶고 떡을 함께 볶아서 짭조름하게 완성하는 궁중떡볶이. 떡잡채라고도 한다. 떡을 간장물에 불려서 불린 간장물에 그대로 삶아서 떡에 간이 배이도록 했다. 채소는 취향에 따라 적당히 사용한다. 재료 가래떡 450그램 떡 불림물 물 300미리 (육수 사용해도 좋음) 간장 2스푼 설탕 1스푼 ...
    Date2020.10.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527
    Read More
  9. 문어숙회, 문어삶기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시작한다. 전체 온도가 100도가 되면 문어의 촉촉한 맛이 줄어들면서 그때 부터 계속 더 질겨지기다가 문어를 40분~1시간이상 장시간 조리...
    Date2020.10.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9628
    Read More
  10. 매운 돼지갈비찜

    소고기 갈비찜 https://homecuisine.co.kr/hc10/94186 과 같은 양념으로, 사과와 고춧가루만 추가한 돼지갈비찜이다. 고기는 갈비찜용 돼지갈비를 사용하는데, 통돼지갈비를 뼈가 있는 방향 그대로 썰어서 사용하거나, LA돼지갈비를 비롯해 큼직하게 썬 사태살이나 앞다리살로 만들어도 좋다. LA돼지갈...
    Date2020.09.0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293
    Read More
  11.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92906) 순대볶음에 닭갈비양념은 당연히 사용하고 있고, 그 외에 제육양념이나 전골다대기가 조금 남았을 때도 순대...
    Date2020.08.3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305
    Read More
  12. 제육양념으로 오징어볶음

    미리 만들어 둔 제육볶음 양념장에 오징어와 채소를 볶았다. 미리 만들어 둔 제육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75442 간장 2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00그램 마늘 100그램 대파 150그램 미림 100그램 후추 약간 2~3그램 고추기름 25그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
    Date2020.07.1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613
    Read More
  13. 닭도리탕

    닭도리탕. 대충 만들어도 밥상의 메인이 되니까 밑반찬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재료를 준비한 다음 냄비재료를 차곡차곡 시간에 맞춰 넣고 끓이고 졸이는 음식이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 1키로 황태육수 3컵 고운고춧가루 30그램 고추장 30그램 간장 30그램 다진마...
    Date2020.06.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717
    Read More
  14. 순대떡볶이

    떡볶이소스를 대체 몇 번을 다시 올리는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물엿 1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취향에 따라 50~200) 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매운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후추는 ...
    Date2020.06.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895
    Read More
  15. 닭갈비, 레시피, 양념, 소스, 재료

    여태 많이도 올렸던 닭갈비양념으로 닭갈비. 닭갈비양념은 냉동실에는 늘 있고 냉장실에는 있다가 없다가 하는데 어쨌든 끝도 없이 만들어둔다. 양념장만 미리 만들어 두면 너무 편한 것이 닭갈비라 대충대충 해먹고 사진을 잘 안찍는데 오랜만에 닭갈비집처럼 차렸다. (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 유...
    Date2020.05.2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3196
    Read More
  16. 아스파라거스 순대구이

    얼마전에 올린 순대구이 https://homecuisine.co.kr/hc10/90517 에 참나물과 깻잎, 대파를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재료준비하기가 더 편하도록 아스파라거스를 곁들였다. 순대에 아스파라거스가 잘 어울리는 걸 처음 깨달았을 땐 의외다 싶었는데 어떻게 보면 당연히 잘 어울릴 조합이다. 아스파라거스는 ...
    Date2020.04.2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3137
    Read More
  17. 닭다리살 아스파라거스볶음

    미리 만들어 둔 덮밥소스를 사용해서 구운 닭다리살과 구운 아스파라거스를 함께 졸였다. 수분이 많은 상태로 졸인 것이 아니라 이미 졸인 양념을 사용한거라 졸임이라기보단 볶음에 가깝다. 덮밥소스가 없으면 간장, 청주, 미림, 설탕, 혼다시를 혼합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이 재료들을 꺼내는 김에 덮...
    Date2020.04.2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573
    Read More
  18. 아스파라거스 새우전

    아스파라거스를 굽고 계란물을 입히고 다진새우를 올려서 전을 구웠다. 아스파라거스에 새우에 계란옷이라니 맛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생각보다 은근 손이 많이 가서 만들기 귀찮은 게 흠이다. 사용한 재료는 올리브오일, 식용유 아스파라거스 500그램 (손질후 370) 새우살 약간 큰 것 (21-25사이즈) 20...
    Date2020.04.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3322
    Read More
  19. 빈대떡, 만드는법

    지난번보다 부재료의 양을 줄이고 반죽은 평소보다 약간 더 수분감이 있게 만들었다. 전에는 좀 빡빡하게 굽혀야 맛있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입맛이 달라졌는지 녹두를 갈면서 물을 좀 줘가면서 무르기를 조절해서 수분감이 있는 게 먹기 더 편한 것 같다. 보통 빈대떡에는 고사리나 숙주나물 등이 들...
    Date2020.04.1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3223
    Read More
  20. 순대구이 만들기, 레시피, 부산 동해옥

    순대구이. 순대+국밥집인 동해옥의 방식으로, 고기순대를 채소와 함께 팬에 굽고 양념과 함께 곁들여 먹는 것이다. (당면순대나 찰순대X) 지금은 동해옥인데 사하구청 앞에 동해순대국밥이었던 시절에 꽤 자주 갔었다. 여기서 먹어보고 순대와 파인애플이 잘 어울린다는 것을 배웠다. 찾아보니 요즘은 ...
    Date2020.03.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7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