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5607 추천 수 0 댓글 0

 

 

 

2014/09/19

무나물, 무나물 만드는 법

 

 

 

0.JPG  

 

 

평소에 그렇게 무나물 생각이 나는 편은 아닌데 지난 추석에 얇게 채 썬 무나물을 맛있게 먹은 생각이 자꾸 나서 오랜만에 만들었다.

무가 달큰하긴 하지만 육수 없이는 별 맛이 안나는데 취향에 따라 그 심심한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나는 그래도 감칠맛이 조금 있는 것을 좋아해서 멸치육수를 넣어서 만들었다.

 

 

바특하게 볶아내거나 하얗게 국물이 살짝 깔린 정갈한 무나물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고 푹 익혀서 부드러운 무나물을 만들었다.

집집마다 다르고 제사용인지 식사용인지에 따라 또 다른게 무나물이라 정해진 것은 없지만

친정이나 시댁에서 늘 무나물은 나물그릇에 나물국물이 촉촉하게 있게 하니까 그렇게 먹고 자라서 나도 똑같이 하게 되고 그렇다.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정도, 멸치육수 약 400미리, 다진대파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참기름 1스푼

국간장 약 2스푼 (간보며 넣어서 정확하지 않다), 소금 약간, 깨 약간

 

 

 

멸치육수는 전날 미리 만들었다.

찬물에서 다시마, 멸치, 황태, 표고버섯, 무, 대파를 넣고 물이 끓으면 다시마를 건져내고 떠오르는 거품도 걷어내가며 20분정도 우려냈다.

 

 

 

%C5%A9%B1%E2%BA%AF%C8%AF_DSC03464.jpg      

 

 

 

스텐볼에 육수를 식힌 다음 윗물만 살살 페트병에 부어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무는 파란부분이 햇볕을 받아 알달하고 흰부분이 알싸하다고 한다. 실제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서 생채는 파란부분, 숙채나 국에는 흰부분을 사용한다.

무는 푹 익혀도 부서지지 않도록 세로로 넓고 얇게 썰고 세로로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3382.JPG     크기변환_DSC03383.JPG


크기변환_DSC03385.JPG     크기변환_DSC03386.JPG

 

 


 

큰 팬이나 냄비에 참기름을 약간 두르고 채썬 무를 볶다가 대파, 마늘을 넣어서 더 볶고, 멸치 육수를 부은 다음 자작하게 푹 끓여내면 되니까 간단하다.

 


크기변환_DSC03395.JPG     크기변환_DSC03396.JPG


크기변환_DSC03397.JPG     크기변환_DSC03398.JPG


크기변환_DSC03400.JPG     크기변환_DSC03402.JPG


 

무나물에 국물도 많지도 적지도 않고 자작하게 되도록 수분을 날리거나 물을 추가하면서 무가 푹 익도록 30~40분 정도 익혔다.

육수를 넣고 국간장을 약 2스푼 정도 넣은 다음 무나물이 다 익고 나서 모자란 간은 마지막에 소금간으로 마무리했다.

 

 

무나물과 국물까지 다 반찬통에 담은 다음 선풍기 바람으로 식히고 뚜껑을 닫아서 냉장보관했다.

무나물은 뜨거울 때보다 식혀서 차갑게 먹으면 시원하고 보드랍게 으깨지면서 감칠맛 도는 것이 내 취향에 맞다.


 

크기변환_DSC03408.JPG


 

 

 

 

 

크기변환_DSC03412.JPG


 

 

 


크기변환_DSC03431.JPG


 

 

 

 

 

크기변환_DSC03436.JPG


 

 

달큰한 무나물에 소고기와 고추장을 볶은 볶음고추장과 계란후라이로 간단하게 비빔밥을 해먹어도 맛있다.

 

 

 

 

볶음고추장, 일명 약고추장은 밑간한 소고기를 볶다가 고추장을 넣고 볶아서 금방 만들었다.

 

 

소고기 약 150~200그램에 다진대파, 다진마늘, 간장, 청주, 설탕, 후추로 밑간을 하고 달달 볶다가 고추장을 세 숟가락정도 듬뿍 퍼 넣고 달달 볶은 다음

간을 보고 설탕을 약간 더 넣은 다음 참기름을 넣어서 조금 더 볶았다.

 


크기변환_DSC03511.JPG     크기변환_DSC03512.JPG


크기변환_DSC03516.JPG     크기변환_DSC03518.JPG


 

 

냉동실에 잣이 있어서 잣을 다져서 올렸다.

 


크기변환_DSC03519.JPG


 

 

 

 

 

크기변환_DSC03520.JPG


 

그동안 계란후라이도 하나 부쳤다.

 


크기변환_DSC03527.JPG

 

 

 

 


 

크기변환_DSC03531.JPG

 

 

 

 


 

크기변환_DSC03533.JPG

 

 

 

 


 

크기변환_DSC03535.JPG


 

 

 

 

현미밥에 무나물 듬뿍 올리고 나물국물도 두어스푼 넣은 다음 계란후라이와 소고기 볶음 고추장을 올려서 슥슥 비벼 먹었다.

무나물이 부드럽고 고기도 듬뿍 들어서 두부부침과 함께 곁들여 먹으니 든든하면서도 속 편한 한끼 식사로 좋았다.

 

볶음고추장은 반정도 남아서 다음날에는 참치 김치찌개 푹 끓인 것을 곁들여서 무나물 비빔밥을 먹었다.

좋아해서 그런지 두번 이어서 먹어도 질리지 않고 여전히 맛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5 국 찌개 우렁강된장 4 file 이윤정 2018.03.26 10092
534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소고기미역죽, 양깃머리 소고기미역국 4 file 이윤정 2018.03.29 12064
533 한접시, 일품 찜닭 만들기, 레시피 4 file 이윤정 2018.03.31 9594
532 한그릇, 면 명란 아보카도 덮밥 2 file 이윤정 2018.04.04 10062
531 한그릇, 면 당면볶이, 떡볶이소스 4 file 이윤정 2018.04.09 7576
530 국 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 + 라면사리 2 file 이윤정 2018.04.16 9034
529 반찬 청포묵무침 4 file 이윤정 2018.04.18 5621
528 고기 대패 두루치기, 돼지고기 고추장불고기, 제육볶음 2 file 이윤정 2018.04.21 19009
527 밥류 명란마요 주먹밥 2 file 이윤정 2018.04.23 7829
526 밥류 불고기 아보카도 김밥 2 file 이윤정 2018.04.30 5510
525 고기 매운 돼지갈비찜, 돼지갈비찜 양념 4 file 이윤정 2018.05.03 9545
524 국 찌개 청국장, 청국장찌개 4 file 이윤정 2018.05.06 4430
523 김치, 장아찌, 무침 당귀장아찌 2 file 이윤정 2018.05.24 4945
5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2 file 이윤정 2018.05.27 4132
521 고기 냉채족발 6 file 이윤정 2018.05.29 5763
520 반찬 감자볶음, 감자의 특성, 용도, 보관 7 file 이윤정 2018.06.04 13194
519 전골 탕 등뼈없이 사골육수로 간단 감자탕 10 file 이윤정 2018.06.06 8011
518 밥류 두부밥 10 file 이윤정 2018.06.08 14631
517 한접시, 일품 훈제오리냉채 2 file 이윤정 2018.06.13 4549
516 한그릇, 면 서동계란만두, 계란만두 만들기 17 file 이윤정 2018.06.19 12889
515 고기 대패목살 배추찜 6 file 이윤정 2018.06.23 269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