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9/28

고갈비, 고갈비양념

 

 

 0.JPG

 

 

 

 

고등어조림은 엄마의 맛이라면 고갈비는 학교 앞 포장마차 맛이랄까.

집에서는 구이만 먹고 고갈비는 해주신 적이 없었는데 부산에 그렇게 고갈비 파는 곳이 많은지 나이먹고 처음 알게 되었다.

대학가서 선배, 동기들과 술마시며 한 점씩 먹던 고갈비가 그렇게 맛있었다.

 

고갈비는 양념장을 발라서 꾸덕하게 구워서 나오는 곳도 있고, 양념장을 얹어서 나오는 곳도 있었는데

나이먹고도 맛있게 먹으러 다니는  생선구이집이 양념장을 올리는 스타일이라 그곳 비슷하게 해봤다.

발라서 만드는 것은 고추장이 들어간 맛이 나는 것 같고 내가 좋아하는 곳은 양념장에 고추장이 들어가지 않는데 책이나 인터넷을 꽤 찾아봐도 이쪽은 딱히 나오지를 않았다.

생선구이집에서 뭐 비싸거나 특출난 재료를 사용하지도 않겠고 다 예상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텐데 문제는 비율이었다.

 

사실 스푼계량으로 만드는 음식이 업장에서 사용하는 대량 레시피에 비해 절대적인 레시피는 아닌데

그 이유는 같은 재료라도 각각이 사용하는 식재료의 크기나 밀도, 각각 사용하는 간장, 고춧가루 등등 양념의 종류에 따라 변수가 있기 마련이고

결국에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이 간을 보거나 가늠해서 가감해야 하는 부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나름대로 맛을 재현해봤는데 나는 맛있었다(=보장할 수 없음).

 

 

 

 

 

어쨌든 사용한 재료는 고등어 중간크기 1마리반..

 

양념장으로

고춧가루2스푼, 간장 2스푼, 청주 2스푼, 쌀엿 1스푼, 설탕 0.5스푼,
마늘 약간 작은 것 4~5개, 생강 손톱만한 것, 대파 1대, 청고추1개, 홍고추 1개 각각 잘게 다진 것

 

양념장은 입맛에 따라 고등어 중간 크기의 고등어 1마리~1마리 반에 적당한 양이었다. 먹고보니 크기에 따라 2마리도 가능할 것 같았다.

고등어가 애매하게 왜 1마리 반이냐 하면 3마리를 사와서 점심 저녁으로 나눠서 먹었기 때문이다.

 

 

 

고등어는 포를 뜨고 간을 약하게 한 것을 사와서 깨끗하게 씻었다. 신선한 생물 고등어라 딱히 쌀뜨물에 담그거나 할 필요는 없었는데

고등어의 상태에 따라 쌀뜨물이나 물에 담그거나 청주로 비린내를 적게 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다.

 

 

고등어는 포를 뜬 것을 사와서 가운데 뼈는 없었지만 배쪽 지느러미, 옆면 지느러미를 제거하고 내장쪽 뼈를 빼고 등지느러미와 함께 있는 등뼈도 잘라냈다.

포뜬 것의 가운데에 있는 뼈는 핀셋으로 일일이 당겨서 뽑아내고 손으로 만져서 전체적으로 뼈가 없게 다듬었다.

 

손에 쥐고 있으면 그 사이에도 신선도가 떨어지니까 냉장고에 넣어두고 하나씩 꺼내서 손질하고 하나씩 냉장고에 넣었다.

뼈를 제거하는 것에 시간이 조금 걸리기는 했지만 남편이 뼈를 너무 못바르니까 내가 늘 발라주는데

나도 뼈 바르지 않고 편하게 먹고 싶고 또 이렇게 하면 전반적으로 먹기 편하니까 수고로움을 자처했다.

 

 


크기변환_DSC03816.JPG     크기변환_DSC03817.JPG


 

 

집에 밑반찬이 김치뿐이라 고갈비에 곁들일 반찬으로 감자볶음을 볶으면서 양념장을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3819.JPG     크기변환_DSC03821.JPG



크기변환_DSC03823.JPG     크기변환_DSC03824.JPG


크기변환_DSC03825.JPG     크기변환_DSC03826.JPG

 

 

마늘, 생강, 대파, 고추는 가능한 한 가장 잘게 다지고 고춧가루2스푼, 간장 2스푼, 청주 2스푼, 쌀엿 1스푼, 설탕 0.5스푼을 넣어서 비볐다.

 

후라이팬에 양념을 넣고 바글바글 꾸덕하게 졸여서 고등어구이에 얹을 양념을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3827.JPG     크기변환_DSC03828.JPG

 

 

 

 

 

고등어는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달군 다음 양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각 면을 4분정도씩 굽고 부서지지 않게 넓은 뒤지개로 뒤집었다.

 



크기변환_DSC03822.JPG    크기변환_DSC03829.JPG

 

 

 

생선의 껍질은 생선살과 접시 사이에 있으면 수분을 금방 흡수해서 금방 바삭바삭함을 잃고 눅눅해지므로 생선껍질이 위를 향하도록 놓아야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는데

고갈비니까 그냥 바로 담았다.

 


크기변환_DSC03830.JPG


 

같이 만든 양념장을 얹고 약간 남겨 둔 청, 홍고추와 송송 썬 쪽파를 올려서 완성.

밥하면서 금방 고갈비를 만들었다. 뼈를 제거하는 작업을 제외하면 15~20분정도로 금방 완성됐다.

 

양념장의 양은 전체적으로 다 올리면 딱 맞을 정도였는데 구이도 적당히 먹으면서 양념장을 올려가면서 먹었다. 반반치킨은 아니고 반반고등어..

 

 

크기변환_DSC03832.JPG


 

 

 

 

 

크기변환_DSC03833.JPG

 

 

 

 


 

크기변환_DSC03834.JPG


 

 

 

 

 

크기변환_DSC03835.JPG


 

 

 

 

 

크기변환_DSC03836.JPG


 

 

 

예상한 맛과 비슷하게 나와서 마음에 들었다. 채소를 조금 더 잘게 다지면 더 나을 것 같았다.

바삭바삭하게 구운 고등어구이에 향이 나는 채소를 듬뿍 다져 넣어서 칼칼하면서 달달한 양념장이라 맛있게 먹었다.

남편은 양념장에 밥만 먹어도 맛있다는데 나는 그렇지는 않고 고갈비로 먹는 게 맛있었다.(당연)

어떻게 밥상머리에서 구라를...

 

어제 고등어를 4마리 사와서 고등어조림부터 오늘 고갈비, 저녁에는 데리야끼소스 조림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877&mid=hc20

까지 해먹으니 당분간은 고등어 안먹어도 될 것 같다.

 

 

 

 

 

 

 

 

  • 물미역 2019.01.02 17:2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글왜이렇게 웃겨요 ㅋㅋㅋㅋㅋㅋ 어디서 밥상머리앞에서 구라를,,! ㅋㅋㅋ 냉동된 자반 고등어? ㅠㅠ 로 해먹으면 짤까요??
  • 이윤정 2019.01.04 04:15

    밥상머리는 신성한 곳이니까 우리 모두 솔직해져야만 하는거죠ㅎㅎㅎㅎㅎㅎ

    자반고등어로 만들면 짭니다 짜요ㅠㅠ 자반 고등어를 쌀뜨물에 담가서 우려서 해본 적도 있는데 이 때도 양념 많이 남겼어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고기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 김치찜 간단하게 김치, 등갈비로 푹 끓여내기만 하면 되니까 편하고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멸치육수 약 1리터 김치 4분의 1포기 김치국물 1~2국자 등갈비... 4 file 이윤정 2015.04.25 8476
243 밥류 닭죽 닭죽 아버지한테 토종닭을 받아왔다. 농축산물 시장에 갔더니 백숙하면 좋겠다싶어서 사서는 딸내미 챙겨주셨는데 닭죽이 먹기 편해서 죽으로 만들었다. 약 3인분... 4 file 이윤정 2015.04.23 6853
242 한접시, 일품 녹두빈대떡, 빈대떡 만들기 녹두빈대떡 6~7장 분량 녹두 500그램 물 3스푼 (불린 녹두에 남은 물 양에 따라 물 조절) 찹쌀가루 2~3스푼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소금 숙주 250그램 김치 2줌 ... 11 file 이윤정 2015.04.17 9703
241 고기 돼지갈비구이, 돼지갈비양념 2020년 버전 링크 https://homecuisine.co.kr/hc10/93452 갈비는 구이용으로 손질된 것을 사왔다. 양념은 배 반개 양파 반개 마늘 6개 대파 1대를 갈아서 약 400... 10 file 이윤정 2015.04.16 17294
240 반찬 숙주나물, 오이무침, 두부계란부침, 장조림 요즘 만들어 먹는 반찬들인 숙주나물, 오이무침, 계란두부부침, 장조림 늘 편하게 만드는 반찬이니까 크게 내용은 없는데 그래도 올려본다.. 숙주나물 숙주 한 봉... 2 file 이윤정 2015.04.15 13496
239 밥류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밥하기도 귀찮고 뭘 먹을까 생각하는 건 더 귀찮아서 저녁이 되도록 재료준비도 안하고 버티다가 결국에는 김치볶음밥을 만들었다. ... 4 file 이윤정 2015.04.13 9728
238 일상 팥밥, 미역국, 잡채, 참치전으로 생일밥 팥밥, 미역국, 잡채, 참치전으로 생일밥 최근 생일밥 업데이트 팥밥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6760&mid=hc10 아롱사태 미역국 - http... 2 file 이윤정 2015.04.11 8877
237 일상 남편이 만든 파스타들 내가 아프거나 피곤할 때 남편이 만든 파스타 3가지. 안 아프면 나가서 간섭하고 그랬을텐데 아파서 꼼짝 못하니까 주방에서 혼자 막 뭘 하더니 만들어서 이렇게 ... 4 file 이윤정 2015.04.11 7384
236 고기 따닥불고기, 바싹불고기, 떡갈비 따닥불고기, 바싹불고기 따닥불고기라고도 하고 바싹불고기라고도 하던데 엄마께서 좋아하시는 음식이라 시외에 있는 식당에 사먹으러 꽤 자주 다녔다. 거기서 보... 4 file 이윤정 2015.04.09 8942
235 김치, 장아찌, 무침 오이무침 오이무침 오늘 농산물 도매시장에 또 다녀왔다. 여태 언제 햇양파가 나오나 생각했는데 마침 오늘은 올해 처음으로 햇양파가 나와서 반가운 마음에 한바구니 사고... 4 file 이윤정 2015.04.09 12846
234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소고기 강된장 강된장은 이미 몇 번 올린 적이 있는데 평소와 다름없이 만들었다. 여기에 취향대로 버섯을 더 추가해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디포리, 표고, 다시... 6 file 이윤정 2015.04.03 6984
233 한접시, 일품 고추튀김, 깻잎튀김, 떡볶이 고추튀김, 깻잎튀김, 떡볶이 고추튀김으로 돼지고기 200그램 소금, 후추 양파 1개 양배추 2줌 소금 당면 1줌 대파 1대 쪽파 반줌 다진마늘 1.5스푼 계란 1개 밀가... 8 file 이윤정 2015.04.01 8847
232 국 찌개 꽃게된장찌개 꽃게된장찌개 꽃게철이면 어머니가 늘 해주시던 꽃게된장찌개. 육수에 된장 풀고 게와 대파만 넣고 맛있게 자주 해주셔서 손가락 쪽쪽 빨아가며 늘 정말 맛있었고... 4 file 이윤정 2015.03.30 9536
231 일상 대패삼겹살, 볶음밥 대패삼겹살은 꽤 자주 먹었는데 홈페이지에 올릴 만한 내용도 없고 해서 올린 적이 별로 없다. 그래서 당연히 별 내용은 없고, 대패삼겹살과 대패삼겹살김치볶음... 7 file 이윤정 2015.03.29 13411
230 김치, 장아찌, 무침 풋마늘 장아찌 풋마늘 장아찌 두산백과를 참조하면 풋마늘은 마늘의 마늘통이 굵어지기 전의 어린 잎줄기이다. 수확시기는 2~4월이고 대파와 비슷한 생김새이며 빨리 시드는 특... 2 file 이윤정 2015.03.29 23466
229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 닭도리탕 마트에서 마감세일하는 닭다리를 1키로 사와서 손질도 별로 할 것 없이 편하게 닭도리탕을 만들었다. 평소 만드는 것보다 조금 덜 달게 물엿 양을 줄이... 4 file 이윤정 2015.03.26 25757
228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해물파전 만들기 농산물시장에서 파는 기장쪽파가 양도 많고 좋아보여서 한단 사고 풋고추, 홍고추, 청양고추, 가지, 호박, 오이, 양송이버섯, 감자, 고구마까지 ... 6 file 이윤정 2015.03.23 6343
227 반찬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시장에서 손두부를 한 모 사와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별 생각 없이 두부김치. 김치만으로 볶아내거나 김치에 육수만 넣고 푹 끓여 낸 것... 2 file 이윤정 2015.03.19 7635
226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집에 쌈채소가 많이 남아있을 때 만만하게 먹는 참치생채비빔밥. 양배추, 양상추, 상추, 적겨자, 케일, 치커리 등 있는 대로 듬뿍듬뿍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바짝... 4 file 이윤정 2015.03.19 4954
225 일상 짜장면, 간짜장, 볶음짬뽕 짜장면, 간짜장, 볶음짬뽕 자주 먹게 되는 짜장면과 짬뽕. 이번에 중화생면을 사서 해봤는데 생면이 생각보다 쫄깃한 감촉이 덜해서 그런지 내가 잘 못해서 그런... 8 file 이윤정 2015.03.12 93194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