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3634.JPG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시작한다.

전체 온도가 100도가 되면 문어의 촉촉한 맛이 줄어들면서 그때 부터 계속 더 질겨지기다가

문어를 40분~1시간이상 장시간 조리하면 (소갈비의 근막부분이 부드럽게 익듯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용해되어 부드러워진다.

그래서 남부유럽의 문어요리에는 문어를 한 시간 이상 익혀서 만드는 뽈뽀가 있다. - https://homecuisine.co.kr/hc25/47959



문어는 사이즈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사이즈에 따라 시간을 조절한다. 500그램 내외의 작은 문어는 1.5~2분정도, 1키로 내외의 문어는 2.5~3분정도가 적당하다. 1.5~ 2키로 이상 되는 문어는 문어는 크기에 따라 5분+ 정도 삶는다.

마릿수가 많다면 한 번에 다 넣는 것 보다는 하나씩 삶는 것이 좋다.


신선한 문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당연히 잡내도 없고, 문어는 적정한 시간만 삶는다면 질기고 싶어도 질길 수가 없다. 문어를 두드리는 등으로 따로 힘들여 손질하거나 문어 삶는 물에 여러 재료를 추가할 필요가 전혀 없다.





1. 문어는 내장을 제거하고 눈과 입도 제거한다.
문어는 눈 바로 아랫부분을 자르고 입을 떼어내고 머리는 뒤집어서 내장을 제거했다.

문어가 가장 늦게 익는 부분이 다리가 연결된 두꺼운 부위인데 문어가 클 경우에는 다리를 4개씩 반으로 잘라서 익히면 골고루 균질하게 익으므로 삶기 편하다.


2. 소금이나 밀가루로 문질러서 깨끗하게 씻는다.
굵은 소금을 뿌려서 쭉쭉 잡아당기고 겉면을 문질러가며 끈적한 것이 최대한 없도록 깨끗하게 씻는다. 밀가루로 씻을 경우에는 밀가루가 된반죽처럼 되지 않도록 2~3스푼정도만 넣어서 주물러서 씻고 추가로 소금을 넣는 것이 좋다. 밀가루를 사용한 경우에는 밀가루를 꼼꼼하게 완전히 씻어내야 한다.


3. 물은 넉넉하게 잡아서 팔팔 끓인다. 문어를 삶을 때는 물의 온도가 금방 떨어지지 않도록 큰 냄비에 물을 많이 잡고 팔팔 끓여서 문어를 넣어야 한다.


4. 문어를 넣고 500그램기준 2분정도 삶는다. 문어머리나 두꺼운 다리부분이 계속적으로 푹 잠기도록 한다.


5. 삶은 문어는 건져서 얼음물에 담그고 빨판에 조금 남아있던 뻘을 완전히 깨끗하게 씻는다. 얼음물에 담그지 않고 그대로 식혀서 남은 뻘만 제거할 수 있도록 씻어도 좋고, 뻘이 없다면 그대로 식히기만 해도 좋다.


문어를 찬물에 담그는 이유는 온도를 빠르게 내리기 위함이다. 얼음물에 담그지 않고 그대로 식힌 것이나 얼음물에 담근 것이나 같은 온도에서 먹는다면 사실 크게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이론대로라면 찬물에 담그지 않은 것과 담근 것의 중에 찬물에 담근 것이 덜 익었으므로 촉촉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둘 다 완전히 차갑게 식혀서 같은 온도로 먹는다는 전제하에.

하지만 얼음물에 담그지 않은 것을 차게 식히지 않고 바로 썰어서 먹는다면 얼음물에 담가식힌 것이 더 쫄깃하고 아직 온기가 남은 것이 더 부드럽게 느껴질 수 있다.


추천옵션 -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을 것이면 삶은 다음 얼음물에 담가서 온도를 내려서 냉장보관했다가 먹기. 바로 먹을 것이면 삶은 다음 얼음물에 넣지 않고 썰기 좋을 정도로만 식혀서 썰어서 먹기.



6. 삶은 문어는 먹기 좋게 썬다. 아주 얇게 썰고 싶으면 냉동했다가 살얼었을 때 썰어도 좋은데 야들야들하게 잘 데친 문어는 냉동하지 않고 적당히 큼직하게 썰어서 먹으면 가장 맛있다.

소금참기름장이나 초장에 찍어먹는다. 내 취향에는 무조건 소금참기름장이다.






(문어 사진 주의)




DSC04980.JPG





DSC02459.JPG




DSC02460.JPG




아래는 1마리당 400그램내외의 작은 문어.

IMG_3633.JPG




문어 머리는 오른쪽 윗부분인데 껍질을 가위로 깨끗하게 손질했다. 문어다리의 두꺼운 부분은 가운데에 심이 보이지 않도록 촉촉하게 잘 익었는데 다리 끝으로 갈수록 심이 보인다. 시간을 재지 않고 삶았더니 원하는 것보다 약간 더 익은 상태이다. 그래도 따뜻할 때 먹어서 전혀 질기지 않고 보드랍고 맛있었다.


IMG_3634.JPG


소금참기름장에 살짝 찍어서 먹었다.

양가 제사 때마다 문어를 받아와서 평소에 집에서 문어 삶을 일이 별로 없었는데 오랜만에 사와서 삶았더니 완전 맛있고 완전 좋다.




  • 레드지아 2020.10.16 16:07

    앗!!! 저 이런 글 엄청엄청 좋아해요!!!!!
    실제로 따라하지는 않더라도 이렇게 멋진 요리팁을 알고 있는것과 모르는건 천지차이니까요!!!
    57도 이상이면 질겨지는건 어떻게 아셨어요!! 윤정님은 역식 박학다식하십니다!!


    제가 요즘 홀릭하고 있는 음식점이 있는데요
    사쿠라멘 이라는 곳이에요

    돈까스등 튀김도 엄청 맛있는데 라멘도 너무너무 맛있거든요
    어제도 먹으면서 어쩜 이렇게 해물을 딱 알맞게 익혔는지 완전 감탄하면서 먹고 왔어요!!

    전 해물류에 완전 취약하니까 더 부럽더라구요!!


    뭐랄까

    문어는 값도 비싸고 크기도 큰데다가 익힘정도도 모르니 아예 살 생각도 안했거든요.

    윤정님의 이런 꿀팁 있으니 문어봐도 안두려울거 같아요!!! 윤정님 완전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20.10.18 04:07
    57도도 제가 알아낸 것도 아니고 음식과 요리 책 한 번 완독한 것 가지고 아직도 우려먹고 있는거죠ㅎㅎㅎ
    그거 책 한 권 완독한 걸로 더 우려먹고 싶은데 이제 막 다 까먹었어요ㅎㅎㅎㅎㅎ

    해산물 잘하는 집에서 맛있게 먹으면 저도 넘넘 좋아요.
    집에서 하기 번거롭고 평소에 선뜻 재료 사기 어려운 것 사먹으면 완전 좋고 그쵸ㅎㅎ

    저는 해산물 생선 다 좋아하지만 식구가 별로 안좋아해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문어는 제사때마다 먹기도 하고 저도 좋아해서 가격만 괜찮으면 늘 탐나는 식재료거든요.
    해감에 신경 바짝 써야하는 조개류보다는 훨씬 만만하니까 한 번 데쳐서 드셔보심 좋을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4 일상 대패김치볶음밥 대패삼겹살김치볶음밥에 모짤레라 치즈를 듬뿍 넣어봤다. 대패삼겹살 김치볶음밥은 주로 대패삼겹살을 넉넉하게 구워서 먹고 적당히 남겨 둔 다음 돼지기름에 김... 2 file 이윤정 2020.11.07 3794
943 한접시, 일품 불고기파전 만드는법, 레시피 작년에 인스타에 좋아하는 멍멍이 보러 갔다가 도동집이란 곳의 불고기 파전 사진을 봤는데 해먹고 싶다 생각만 하다가 이제야 만들었다. 좀 더 찾아보니 파전 두... 6 file 이윤정 2020.11.05 4388
942 한접시, 일품 빈대떡 만들기, 재료 여태 국산 깐녹두를 사서 빈대떡을 만들었는데 국산 깐녹두는 완전히 껍질을 깐 것이 아니라서 불리고 껍질까기를 반복해줘야한다. 이 과정이 지쳐서 좋아하는 빈... 5 file 이윤정 2020.11.02 4438
941 한접시, 일품 궁중떡볶이, 떡잡채 채소와 고기를 볶고 떡을 함께 볶아서 짭조름하게 완성하는 궁중떡볶이. 떡잡채라고도 한다. 떡을 간장물에 불려서 불린 간장물에 그대로 삶아서 떡에 간이 배이... 4 file 이윤정 2020.10.28 6543
940 일상 맨날 똑같은 떡볶이 맨날 똑같은 떡볶이인데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물엿 100그램 고추장 200그램 (... 2 file 이윤정 2020.10.22 8187
939 전골 탕 낙곱새양념으로 곱창두부두루치기 대창을 볶아 대창기름에 양념을 넣고 큼직한 손두부와 함께 자작하도록 끓여서 얼큰하고 고소한 곱창두부두루치기. 고추장없이 하는 양념은 이전에 올린 곱창두부... 3 file 이윤정 2020.10.21 3247
938 전골 탕 부대찌개 맛있는 햄과 소세지, 베이컨에 소고기다짐육, 김치약간, 양념장 약간으로 만드는 부대찌개. 전골다대기나 제육볶음양념이 있으면 양념장을 만드는 대신 2~3스푼정... 4 file 이윤정 2020.10.16 4980
» 한접시, 일품 문어숙회, 문어삶기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2 file 이윤정 2020.10.14 9644
936 고기 소불고기, 간단 소불고기 양념 평소에 소불고기양념을 대량으로 만들어서 늘 냉동해두고 사용하는 편인데 ( https://homecuisine.co.kr/hc10/64082 ) 바로 만드는 소불고기를 만든 지 꽤 오래된... 2 file 이윤정 2020.10.07 6144
935 국 찌개 김치알탕, 명란김치찌개 꽁치김치찌개도 있고 참치김치찌개도 있는데 명란김치찌개는 왜 안직 안해봤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 김치알탕을 해봤다. 다 하고보니 무를 나박하게 썰어서 넣고 ... 4 file 이윤정 2020.10.05 6803
934 춘권피 베이컨 치즈스틱 바로 전에 올린 춘권피 치즈스틱에 이어서 https://homecuisine.co.kr/hc10/96931 춘권피 베이컨 치즈스틱. 춘권피 치즈스틱도 편하고 맛있는데 베이컨을 한 겹 ... 6 file 이윤정 2020.09.26 4068
933 일상 춘권피 치즈스틱 춘권피를 사용하는 음식에 있어서 가장 번거로운 것은 춘권피를 사오는 것이다. 일단 사오고나면 다음부터는 두루 사용하기 좋다. 춘권피를 사용해서 이것저것 말... 4 file 이윤정 2020.09.24 3500
932 전골 탕 낙곱새 양념으로 대패 두부두루치기 낙곱새 양념으로 대패 두부두루치기. 전에 올렸던 차돌두부두루치기와 비슷한데 미리 양념장을 만들어두었어서 양념장 만들 때는 귀찮았지만 음식할 때는 편하게 ... 2 file 이윤정 2020.09.22 3541
931 반찬 생선전, 달고기전 (생선살에 밀가루 묻히고 계란물 입히는 거라 별 내용 없음) 생선전을 비롯한 제수용 전이 다 그렇듯이 듬뿍 굽고 시간이 많이 지나서 먹는 경우가 많다. 어릴 때... 4 file 이윤정 2020.09.21 5045
930 일상 오뚜기 멜젓소스 (이미지 출처 : 홈플러스) 제주도에서 먹었던 그, 고기구이에 곁들이는 끓인 멜젓을 좋아해서 시장 젓갈집을 지나칠 때마다 멸치육젓을 갈아서 어떻게 해먹을 방... 6 file 이윤정 2020.09.18 5833
929 밥류 고기순대볶음밥 고기순대볶음밥이라니.. 몇 번 올렸던 순대구이를 보면 https://homecuisine.co.kr/hc10/90517 왜 고기순대볶음밥이 되는지 알 수 있다. 고기순대에 재료 몇가지... 6 file 이윤정 2020.09.15 5240
928 국 찌개 소고기 얼갈이 된장국 소고기국거리와 단배추를 사용한 소고기 얼갈이 된장국. 소고기와 우거지가 푹 익어서 부드럽고 국물도 구수하니 맛있다.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 2 file 이윤정 2020.09.13 5175
927 고기 LA갈비구이, 간단 갈비구이 양념 LA갈비구이는 돼지갈비 양념 https://homecuisine.co.kr/hc10/93452 과 똑같이 하면 되지만 과일과 채소를 갈고 무게를 재는 등의 과정이 있기 때문에 귀찮은 면... 4 file 이윤정 2020.09.08 7011
926 국 찌개 가자미살 미역국 얼마 전 올린 기본미역국에 가자미를 넣은 가자미미역국. 육수가 거의 우러나지 않는 가자미살보다는 가자미를 넣으면 더 좋았겠지만 식구가 생선뼈를 아주 싫어... 2 file 이윤정 2020.09.07 4533
925 일상 채끝짜파구리 비슷한 거 오랜만에 이렇게 생긴 안심을 사서 손질했다. 겉면을 싸고 있는 근막을 전부 제거하다보면 머릿부분과 아랫부분에 안심스테이크의 모양이 나오지 않는 자잘한 부... 2 file 이윤정 2020.09.05 341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