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0581.JPG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면을 간장물에 졸이듯 익힌 다음, 볶은 재료에 당면을 넣고 무쳐서 만든다.


채소는 편한대로 준비하고, 준비한 채소는 각각 볶으면 좋지만 적당히 합해서 같이 볶아도 좋다.


불린 당면에 양념을 붓고 당면이 투명하게 익으면서도 짭짤 달달한 간이 맞고 바특하게 익는 정도만 신경쓰면 금방이다.

(이런 것 신경쓰기 귀찮을 때는 당면을 삶아서 물기를 빼고 양념을 넣어서 무치는 버전도 있다. 검색어 : 대량 잡채)


오뚜기 자른당면을 사용했다.



재료는 4~8인분으로


고기로
불고기용 소고기 400그램 (채썰기)
간장 1스푼
설탕 0.5스푼
다진마늘 1스푼
후추 약간


채소로 (취향에 따라 조절)

양파 2개
대파 흰부분 1대
당근 1개
표고버섯 15개 (식용유, 간장, 후추)
죽순 1캔 (선택)
목이버섯 1줌 (선택)
꽈리고추나 시금치, 피망 등 2~3줌

식용유, 소금 약간


당면으로

당면 300그램
물 350~400미리
간장 75그램
설탕 40그램
조청 25그램
다진마늘 40그램
후추 톡톡톡톡
참기름 3스푼




1. 당면은 찬물에 불려둔다.


2. 양파, 대파, 당근은 채썰어둔다. 피망이나 꽈리고추는 씨를 빼고 채썬다. 표고버섯은 채썰어서 데치고, 죽순은 데치고 채썰고, 건목이버섯은 불려서 손질하고 데친 다음 채썰어서 사용한다.


3. 준비한 채소는 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각각 볶는다. 소금간을 약하게 약간만 한다.


4. 고기는 채썰어서 기름을 두른 팬에 달달 볶다가 고기양념을 넣고 수분이 없도록 달달 볶는다.


5. 팬에 불린 당면 넣고 물 붓고 당면양념을 분량대로 넣는다. 물은 350미리를 먼저 넣고, 익는 것을 보면서 양념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 50미리 추가한다.


6. 당면은 7~8분정도 잘 저으면서 수분이 없도록 익히고 마지막에 수분이 거의 없어지면 볶는다. 당면은 중간중간 먹어보고 익힘/짭짤/달달을 판단한 다음 모자란 간이 있으면 간장이나 조청으로 채우고 당면이 완전히 투명한 느낌이 있으면서도 수분이 남지 않게 익힌다.


7. 큰 접시나 볼에 볶은 채소와 볶은 당면을 넣고 참기름을 넣고 비빈다.




1

1.JPG



2

2.JPG




2-1.JPG



2-2.JPG



2-3.JPG



꽈리고추나 시금치를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애호박을 사용했다.


IMG_8871.JPG



3

3.JPG



3-1.JPG






3-4.JPG



3-5.JPG



3-6.JPG



3-7.JPG



3-8.JPG



3-9.JPG



3-10.JPG



3-11.JPG



3-12.JPG



4

4.JPG



4-1.JPG




5

5.JPG




6

6.JPG




7

IMG_0574.JPG




IMG_0578.JPG




IMG_0581.JPG




IMG_0581-.jpg



고기와 채소 듬뿍에 모난 데 없이 맛있다 .맨입으로 먹기 좋은 간이라 금방 없어진다.





  • 레드지아 2020.09.07 14:51

    역시 많이많이 배우신분...bbbbb

    잡채위에 고기...너무나 감사합니다...

    고기 없어도 잡채는 맛있지만 고기가 있음 더더더 맛있는게 잡채니깐요... ㅋㅋㅋㅋ

    애호박 채썬모습 실화인가 싶어서 스크롤을 올렸다 내렸다 했어요 ㅋㅋ 혹시라도 골고루 안썰리고 어디는 두껍게 썰린곳 없을까 싶어서요 흑.. ㅠ

    채칼로 제가 썬 모습보다 더 정갈하고 이쁘네요 ㅠ

    이제부턴 [칼의 요정 윤정님]이라고 불러드려야 하나 고민했는데 뭔가 섬뜩한 느낌이 ^^;;

  • 이윤정 2020.09.08 04:17

    잡채에 고기가 있도록 만드는 수고와 없도록 만드는 수고가 거의 똑같은데
    고기가 없으면 반찬같고 있으면 좀 더 메인 느낌이 나지 않나요ㅎㅎㅎㅎ

    애호박은 사실 좀 도톰하게 썰어야 하는데 제가 상황파악도 못하고 습관대로 막 넘 채썬거 있죠ㅠㅠ
    칼의 요정이라니요ㅎㅎㅎ 사실 저는 요정보단 여왕이, '여'왕보다는 왕이 좋아요. 기왕이면 칼의 왕이 되고 싶습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한그릇, 면 토마토소스 김치소세지베이컨 파스타 약간 이정도면 한식 아닌가? 싶은 토마토소스 김치소세지베이컨 파스타 재료 (2인분) 파스타 200그램 (250까지) 비엔나소세지 200그램 베이컨 150그램 EV올리브오... file 이윤정 2022.08.24 6614
63 한그릇, 면 시판 냉면육수로 살얼음 오이냉국 만들기 시판 냉면육수로 바로 살얼음 육수 만들기, 시판 냉면육수로 오이냉국 만들기 살얼음 냉면육수.. 미리 냉동실에 넣어두고 살얼음이 생긴 다음에 먹으면 가장 맛있... 2 file 이윤정 2022.07.12 5043
62 한그릇, 면 매콤 돼지고기 가지 덮밥, 제육가지덮밥, 가지제육볶음 제목에 제육이 있는데 평소 만드는 것과는 약간 다르게 제육볶음의 양념장에 굴소스를 넣어서 아주 약간 중식 느낌을 더해봤다. 가지가 달달하고 맛있어서 제육볶... file 이윤정 2022.06.21 4762
61 한그릇, 면 무쌈말이, 냉채소스 겨자소스 만들기 먼저 겨자소스, 냉채소스 겨자소스는 레시피도 만들기도 아주 간단한데 겨자를 덩어리없이 잘 풀고 입맛에 맞게 간조절만 하면 끝이다. 냉채소스로 쓸 때는 모자... file 이윤정 2022.05.30 6867
60 한그릇, 면 닭죽 지난번에 올린 닭곰탕에 이어서 닭죽. https://homecuisine.co.kr/hc10/106434 재료 2~3인분 닭 1키로 1마리 대파 1~2대 마늘 10개 통후추 1티스푼 피시소스 2스... file 이윤정 2022.02.08 3071
59 한그릇, 면 육개장라면. 파개장열라면 불고기용 소고기와 대파를 양념하고 푹 끓이고 매운 라면을 넣어 만든 파개장라면. 파를 듬뿍 넣은 라면이라 파개장에 가까운데 지나가면서 대충 보면 육개장 같... 1 file 이윤정 2022.01.27 3727
58 한그릇, 면 김치우동 카테고리가 한식인데 김치가 들어가면 다 한식임... 그냥 김치우동.. 이라고 하고 본론으로 넘어갈까 하다가 수다를 좀 떨기 시작하고 있다. 우동에 무와 오뎅을 ... 4 file 이윤정 2022.01.01 5447
57 한그릇, 면 닭곰탕 닭을 삶아서 닭고기를 바르고 국물을 같이 먹는 닭곰탕.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닭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 file 이윤정 2021.12.26 3848
56 한그릇, 면 떡국 떡국이 제철이려면 아직 멀었는데 떡국을 좋아해서 제철 상관없이 연중 자주 해먹는다. 떡국보다는 떡만둣국을 라면처럼 넘 막해먹다보니 뽀얀 떡국만 끓여 그릇... 2 file 이윤정 2021.12.06 4931
55 한그릇, 면 카라멜라이즈 카레, 카레라이스 카레라이스는 오랜만에 따로 올리는데 그동안은 일상사진 포스팅에 한 장씩 들어있었던 것 같다. 우리집 기본 카레는 올리브오일과 버터에 양파를 열심히 볶아서 ... 2 file 이윤정 2021.11.02 5158
54 한그릇, 면 경상도식 물국수 만들기, 멸치국수, 잔치국수, 레시피 서론이 기니까 레시피부터 바로 보면 적당하다. 사실 나는 국수를 잔치국수라는 이름으로 불러본 적은 거의 없다. 국수에 고명으로 애호박이나 당근이 들어가는 ... 2 file 이윤정 2021.07.01 12922
»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4583
52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3504
51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3954
50 한그릇, 면 삼계죽, 닭죽, 닭백숙, 삼계탕, 만들기, 재료, 레시피 복날이나 보양식이라는 개념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고, 왜 하필 더울 때 이렇게 푹 끓여야 하는 음식을 시기적절하게 삼아 왔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삼계... 6 file 이윤정 2020.07.01 7576
49 한그릇, 면 치킨마요 만들기, 치킨마요덮밥 만드는법 밥에 닭튀김, 계란지단, 덮밥소스, 마요소스, 자른김, 쪽파를 올린 치킨마요덮밥. 그저께는 덮밥소스를 올렸고 어제는 계란지단을 올렸는데 이게 다 치킨마요에 ... 2 file 이윤정 2020.02.29 5660
48 한그릇, 면 떡국 새해나 설날에 먹는 떡국. 전국적으로 다 같이 떡국을 먹는 날은 설날이지만 떡국의 본격 시즌은 설날 이후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2001년 자취시절부터 지금까지... 6 file 이윤정 2020.02.11 3518
47 한그릇, 면 얼큰 소고기 버섯 수제비 평소 만들던 얼큰한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에 수제비 사리를 넣은 것과 똑같이 만들었다. 멸치육수에 얼큰하게 양념하고 소고기와 배추, 버섯 등 채소를 넣고 수제... 6 file 이윤정 2020.01.20 7512
46 한그릇, 면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 6 file 이윤정 2019.12.21 3742
45 한그릇, 면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 리코타치즈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6 file 이윤정 2019.12.19 55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