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2746.JPG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구매한 프리고 스트링치즈였는데 우유 함량이 95프로이다. 이걸로 만들어보니까 통모짜렐라만큼 잘 늘어나지는 않았다. 터지기 직전까지 시간을 늘여서 튀겨보기도 했는데도 그렇다.

치즈스틱을 할 때는 스트링치즈보다는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는 것이 좋고 스트링치즈를 사용하려면 우유함량 99프로 이상 되는 걸로 고르는 것이 좋다.


춘권피를 감싸서 튀기는 춘권피 치즈스틱도 했는데 춘권피가 확실히 더 편하긴 했다. 작년에는 마트에서 춘권피를 구매해서 사용했는데 올해는 마트를 다녀봐도 춘권피 구매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아서 인터넷으로 구매했다. 일부러 겨울에 춘권피를 주문해두고 사용하고 있지만 여름에 인터넷으로 주문하면 녹아서 오는 것과 배송비가 드는 것이 단점이다. 는 다음에..




재료

모짜렐라치즈 250그램

밀가루 1줌

계란 1개 (계란이 남더라도 편한게 좋으면 2개)

소금 약간

빵가루 2줌

튀김기름


위 분량대로 하면 밀가루나 계란, 빵가루가 남기는 한데 튀김이 다 그렇게 남는 재료가 생기기 마련이다. 밀가루, 계란, 빵가루는 약간 넉넉하게 준비해서 사용한다.



1. 모짜렐라치즈는 손가락 크기로 썬다.


2. 치즈에 밀가루 묻히고 탈탈 턴다.


3. 계란에 소금간을 약간 하고 풀어둔 다음 치즈에 계란을 묻힌다.


4. 치즈에 빵가루를 꼼꼼하게 묻힌다. 빵가루가 비는 없도록 꼼꼼하게 묻혀야 튀기는 동안 터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너무 힘주면 계란옷과 함께 더 벗겨지니까 밀지 않고 톡톡 눌러가면서 빈곳 없이 꼼꼼하게 묻힌다.


5. 냄비에 식용유를 부을 때는 식용유의 깊이가 치즈스틱의 두께보다는 깊도록 넉넉하게 붓고 불을 켠다. 식용유를 180도정도로 예열한다. 빵가루를 하나 넣어봐서 살짝 가라앉다가 바로 떠오르면 적당하다. 온도를 테스트한 다음 적당한 온도가 되면 중불로 줄인다.


6. 예열한 기름에 치즈스틱을 넣는데 풍덩 넣으면 기름이 튀니까 기름이 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넣는다. 한 번에 1개씩 넣어서 15~20초간 튀긴다. (냉장한 치즈의 경우에만, 냉동 x)


치즈 두께나 기름 온도에 따라 5초정도 플러스 마이너스가 있을 수 있다.  

여러개 우르르 넣는 것보다 1개만 넣고 튀김색이 약간 연할 때 건져야 적당하다. 튀김이 마음에 딱 들도록 색이 나오는 것보다는 조금 연할 때 건진다.

색깔이 약간 덜 나도 최대 20초까지만 세면 무조건 건져야 하고,  2개를 넣을 때는 4~5초만 더 튀긴다. 20초 이상 튀기면 치즈스틱 겉면에 치즈가 흘러나오기 시작하는데 그러기 직전까지 튀기는 것이 적당하다.


20개를 튀겨도 6~7분이면 충분하니까 절대 여러개씩 넣지 말고 한 번에 하나씩 넣고 15~20까지 센 다음 바로 건지면 겉도 노릇노릇하고 속도 충분히 잘 익는다.



7. 식힘망에 얹어두어서 바삭바삭한 튀김옷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그러는 동안 기름도 조금 더 빠진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치즈스틱에는 블럭으로 된 모짜렐라를 사용하면 가장 좋다. 치즈는 미리 실온에 꺼내두었다.

DSC04512.JPG



DSC04513.JPG




IMG_2733.JPG



어쨌든 밀가루

IMG_2734.JPG



계란

IMG_2735.JPG



빵가루

IMG_2737.JPG



IMG_2741.JPG



치즈에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히는 동안 기름을 예열한다. 예열한 빵가루를 하나 넣어봐서 온도를 테스트한 다음 적당한 온도가 되면 중불로 줄인다.



치즈스틱을 넣고 20초를 센다.

치즈 두께나 기름 온도에 따라 5초정도 플러스 마이너스가 있을 수 있다.  튀김이 마음에 딱 들도록 색이 나오는 것보다는 조금 연할 때 건져야 딱 적당하다.


IMG_2743.JPG



IMG_2745.JPG




식힘망에 얹어두어서 바삭바삭한 튀김옷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그러는 동안 기름도 조금 더 빠진다.

IMG_2746.JPG




IMG_2753.JPG




IMG_2754.JPG




아래는 예전 사진인데 스트링치즈보다는 통모짜렐라가 더 좋긴 하다.

DSC04526.JPG


그냥 먹어도 맛있고 스윗칠리나 허니머스타드, 할라피뇨케찹 등에 찍어서 먹어도 맛있다.





  • 땅못 2020.08.26 17:57

    저는 치즈스틱이 너무 좋아서 대량생산 해두고 한동안 다른 사람이 보기 지겨울 정도로 튀겨먹은 기억이 있어요! ㅋㅋ 갈바니 큰 블럭을 사가지고 마치 재단하듯 자르는 것부터 신나는 치즈스틱... ㅎㅎ 요새는 더워서 누가 튀겨주면 최고일 것 같은데...ㅠㅠ ㅋㅋ저는 춘권피나 스트링치즈로는 안해봤네요. 맛이 비슷하게 나오면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은데 ㅠㅠ...이상하게 꼭 과정 하나 재료하나 바꾸면 딱 달라지는 요리의 정직함이란 ㅠㅠ ㅋㅋㅋ 가지런히 노릇노릇하게 튀겨진 윤정님 치즈스틱을 보니 갑자기 너무 먹고싶네요! 제 안의 치맥은 치즈스틱과 맥주랍니다. 윤정님도 튀김먹고 힘내시구 이번주도 즐겁게 완주합시당>0< 늘 맛있어보이는 음식 사진과 레시피로 활력을 주셔서 감사합니다<333

  • 이윤정 2020.08.28 04:02
    치즈스틱은 큰 블럭치즈를 썰어서 만드는 것이 제일 좋은 것 같아요. 코스트코를 몇 번을 가도 갈바니 치즈가 왜 그렇게 눈에 안보이던지 포기하고 프리고 스트링치즈를 샀는데 갈바니 쓰다가 프리고 써보니 너무 맘에 안들어요ㅠㅠ 정말 정직함 그 자체인 것 같아요ㅠㅠ
    춘권피는 아주 편하고 맛있어요ㅎㅎ 손에 밀가루 계란 빵가루 하나도 묻히지 않고 둘둘 감아서 튀기면 바삭바삭하니 넘 좋아요ㅎㅎ 기름이 상대적으로 덜 들거가거나 튀기는 시간이 좀 오바되어도 치즈는 흘러나오지 않으니 신경쓸 것도 없어요ㅎㅎ 춘권피로 이것저것 튀김해보고 있어서 다음에 묶어서 올리려고 해요ㅎㅎ
    치맥이 치즈스틱과 맥주라니 치킨을 넘어선 대단한 치즈스틱이네요ㅎㅎ
    땅못님도 즐거운 금요일 되세요^^
  • 레드지아 2020.09.07 14:56

    @@: 치즈스틱은 시판제품만 먹는게 일종의 국룰인줄 알았는데요...;;;;;;;;;;;;;;;;;;;;

    정말 대단하신분!!!

    뭐하나 만드셔도 어쩜 이렇게 이쁘고 깔끔하게 잘만드시는지 부럽 ㅠ

    윤정님 손과 머리만 떼다가 제몸에 달고 싶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20.09.08 04:23
    치즈스틱이 의외로 만들어 먹기가 더 좋은 것 같아요.
    아주 예전에 냉동치즈스틱 함량을 봤더니 50%대인걸 보고 깜짝 놀란 거 있죠.

    요즘은 아주 편하게 춘권피로 감싸서 잘 해먹고 있어요ㅎㅎ
    그런데 제 손이랑 머리만 떼어가시면 자꾸 입으로는 구석구석 신경쓰라 압박하고 손으로는 암것도 하기 싫다 그래서 효율이 안좋을거에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 전골 탕 찌개맛된장으로 곱창만두전골 찌개맛된장 만들어 둔 것으로 만두전골을 만들면서 대창을 넣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수한 된장에 대창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아주 잘 어울린다. 만두전골... 4 file 이윤정 2020.09.04 4040
923 한접시, 일품 매운 돼지갈비찜 소고기 갈비찜 https://homecuisine.co.kr/hc10/94186 과 같은 양념으로, 사과와 고춧가루만 추가한 돼지갈비찜이다. 고기는 갈비찜용 돼지갈비를 사용하는데, 통... 5 file 이윤정 2020.09.01 5316
9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 6 file 이윤정 2020.08.31 4338
921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4603
920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3434
»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821
918 전골 탕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 1 file 이윤정 2020.08.23 3081
917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752
916 전골 탕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 6 file 이윤정 2020.08.17 4659
915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6 file 이윤정 2020.08.15 5265
914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3059
913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3519
912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8 file 이윤정 2020.08.09 34571
911 소스 낙곱새양념, 전골다대기, 레시피 낙곱새양념 5회분. (전골다대기로도 5회인데 부대찌개 등 간이 센 전골에는 1회분의 30~50%만 사용한다.)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 8 file 이윤정 2020.08.09 15599
910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5902
909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3980
908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18796
907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8134
906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5899
905 국 찌개 비지찌개, 레시피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 7 file 이윤정 2020.07.24 711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