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1622.JPG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손질하는 데 손이 좀 가는 편이라 평소에 즐겨서 만들지는 못하겠는 단점이 크다. 그럼에도 굳이 제철에 맞춰서 박을 사오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부들부들하고 달큰하고 시원한 박나물을 촉촉하게 만들어 먹으면 청량한 계절감이 느껴지는 큰 장점이 있다. 제철에만 맛 볼 수 있는 큰 즐거움이다.

아주 큰 장점이 하나 더 있는데 조리완료한 상태의 박나물은 냉동보관이 가능하다. 냉동용기에 소분해서 한 번 먹을 분량으로 나눠서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먹으면 식감도 맛도 그대로다.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할 수 있는 나물이 아주 드문 와중에 아주 좋은 장점이다.



사용한 재료는

박 반 개
소금 0.5티스푼
물 1컵 (필요시 조금 더 추가)
국간장이나 친수피시소스 0.5스푼 (간보고 추가)
다진마늘 1.5스푼
참기름 약간


물 대신 황태육수나 조개육수를 사용하면 더 좋다.




1. 박은 반으로 갈라서 숟가락으로 속을 판다.


IMG_1566.JPG




IMG_1579.JPG



2. 속을 판 박은 분할해서 썬 다음 껍질을 벗기고 속도 칼로 다듬는다. 껍질이 단단하니까 조심한다.
IMG_1590.JPG




3. 박의 단면이 미끄러우니까 채썰 때는 조심하면서 힘을 줘서 박을 잡고 채썬다.

IMG_1585.JPG




IMG_1588.JPG




4. 박에 소금을 0.5티스푼 뿌리고 골고루 무쳐서 30분정도 숨을 죽인다.

IMG_1591.JPG




5. 물을 붓고 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다진마늘을 넣고 20분 정도 중약불로 푹 익힌다.

IMG_1598.JPG



6. 간을 보고 필요하면 추가로 간을 해서 국물이 자박하도록 완성한 다음 참기름을 약간 뿌린다.

IMG_1599.JPG



IMG_1605.JPG




식혀서 그릇에 담으면 가장자리로 자작하게 국물이 올라오면서 먹기 딱 좋은 질감이 된다.

IMG_1622.JPG


박나물은 바로 먹으면 고소하고 달큰하고, 식혀서 냉장했다가 먹으면 시원하니 부들부들하고 둘 다 맛있다.

내 취향은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는 쪽이다.




ㅡㅡㅡㅡㅡㅡㅡ


박나물을 했으니까 저녁식사는 비빔밥!

비빔밥에 콩나물, 시금치 등을 사용하면 더 좋지 가장 만만한 것이 애호박이랑 당근이다. 다른 채소에 비해 냉장실에 저장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서 평소에 늘 사 둘 수 있으니까 꼭 필요할 때에 시간 맞춰 준비할 필요도 없고, 채썰기만 덜 귀찮다면 가장 접근성이 좋아서 그렇다.



애호박과 당근을 채썰어서 볶고 (+소금간) 계란후라이 부치고
밥에 나물 세 가지와 계란후라이를 얹은 다음 고추장, 참기름, 깨를 뿌렸다.

IMG_1606.JPG



IMG_1609.JPG



IMG_1611.JPG



IMG_1613.JPG




동시에 차돌된장찌개 끓였다. 찌개맛된장으로 편하게 끓였다. https://homecuisine.co.kr/hc10/94268


IMG_1624.JPG




IMG_1636-.jpg




IMG_1643.JPG


비빔밥은 언제나 좋다.






  • 레드지아 2020.08.07 14:12

    박이 이렇게 생겼군요!!

    진짜 전 윤정님 덕분에 알게 되는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박을 먹는다는 말만 들어봤지 무나물처럼 요리해 먹다니!!! 

    냉동했다 해동해먹어도 식감이 같은건 몹시 흡족하지만 썰때 힘들다 하시니 만들려는 의지가 박을 사기도 전에 꺽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요 그럼요 비빔밥은 언제나 항상 옳죠

    고기랑 떡볶이가 항상 옳은것처럼요

  • 이윤정 2020.08.08 03:07
    박 처음 보셔요? 저는 엄마께서 어릴 때 박을 떠오셔가지고.. 라고 말하려니 넘 시골스럽네요ㅎㅎㅎㅎ
    박나물이랑 박국이 달큰하니 정말 맛있어요^^
    그런데 단단하면서도 미끌한 감촉이라 다치치 않으려면 조심해야 하는데 그 조심하는 게 힘들더라고요ㅠㅠ
    그래도 한 번 해 본 다음에는 지나가다 눈에 띄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살까 말까 고민하게 되는 그런 매력이 있어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 전골 탕 찌개맛된장으로 곱창만두전골 찌개맛된장 만들어 둔 것으로 만두전골을 만들면서 대창을 넣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수한 된장에 대창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아주 잘 어울린다. 만두전골... 4 file 이윤정 2020.09.04 4041
923 한접시, 일품 매운 돼지갈비찜 소고기 갈비찜 https://homecuisine.co.kr/hc10/94186 과 같은 양념으로, 사과와 고춧가루만 추가한 돼지갈비찜이다. 고기는 갈비찜용 돼지갈비를 사용하는데, 통... 5 file 이윤정 2020.09.01 5316
9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 6 file 이윤정 2020.08.31 4338
921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4603
920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3434
919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821
918 전골 탕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 1 file 이윤정 2020.08.23 3081
917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752
916 전골 탕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 6 file 이윤정 2020.08.17 4659
915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6 file 이윤정 2020.08.15 5265
914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3059
913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3519
912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8 file 이윤정 2020.08.09 34571
911 소스 낙곱새양념, 전골다대기, 레시피 낙곱새양념 5회분. (전골다대기로도 5회인데 부대찌개 등 간이 센 전골에는 1회분의 30~50%만 사용한다.)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 8 file 이윤정 2020.08.09 15599
910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5902
909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3980
908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18796
»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8134
906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5899
905 국 찌개 비지찌개, 레시피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 7 file 이윤정 2020.07.24 711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