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1467.JPG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서 레시피를 올렸었다. 평소에는 저울이고 뭐고 그냥 대충 해먹는다.


찌개맛된장을 해놓으니까 된장찌개 끓이는 게 아주 편해서 예전보다 더 종종 해먹고 있다. 과정사진도 없고 레시피라고 할 것도 없는 간단한 내용이다. 아래 재료를 써두긴 했지만 당장 집에 있는 최소한의 재료로 대충대충 만든거라 크게 의미가 없다.



애호박 반개 (취향에 따라 씨 빼기)
양파 중간 것 1개
두부 1모 (300그램)
재료가 잠길 정도의 물
찌개맛된장 크게 2숟가락 (간보고 조절)

산들애 소고기맛 약간


차돌박이나 샤브샤브용 고기를 넣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없을 때는 소고기맛 산들애를 약간 넣기도 한다. 안넣기도 하고.. (안넣는 때 안넣는 이유는 냉동실에서 조미료 찾기 귀찮아서..)

고기나 해산물을 사용하면 더 좋지만 없으면 없는대로 이렇게 만들어도 좋다. '찌개맛된장을 만든 상태'에서 없으면 없는대로라고 말하는 건 이미 틀려먹었지만..


두부는 1모 300그램이라고 라고 써뒀는데 홈플러스 초당두부를 반모(300그램) 사용했다.


잠깐 딴이야기.

숟가락이 참 웃긴데 계량스푼은 컵처럼 생겨서 계량스푼으로는 아무리 듬뿍 떠도 그렇게 양이 많지 않다. 그런데 밥숟가락은 밥숟가락 자체의 용량은 별로 안되면서 접시처럼 생겨서 듬뿍 뜨면 각 재료들의 성질에 따라 걍 지맘대로 올라간다. 엄마 말씀대로 뭘 만들면서 간장, 고춧가루, 고추장, 된장을 밥숟가락으로 듬뿍 넣으라는 이야기는 알아서 간 맞추라는 이야기에 가깝다ㅋㅋ



돌아와서.

채소와 두부는 비슷한 크기로 썰어서 냄비에 넣었다.

물은 채소와 두부가 대충 잠기게 넣고 찌개맛된장도 대충 색깔만 보고 떠 넣어서 된장이 잘 풀리도록 젓고 2~3분정도 끓인 다음 완전히 식혀서 냉장보관한다.

(끼니 때 만드는 것도 아니고 시간날 때 만드는 거라 맛보고 싶지도 않고 숟가락 하나 더 쓰기도 귀찮아서 간 안봄)


처음에는 아무리 대충 끓인다 하더라도 마지막에 간만 맞추면 되니까 별 생각없이 만든다.
먹을 때가 되어서 다시 끓였을 때 간을 보고 싱거우면 찌개맛된장을 추가하고 짜면 물 넣고 해서 최종 간을 맞추면 된다.


작은 스탠냄비를 사용해서 된장찌개를 끓이고 이대로 식혀서 뚜껑만 덮고 냉장보관하니까 더 편하다.



IMG_1467-02.jpeg


간보고 된장이나 물양을 조절했으니 원하는 정도로 간이 딱 맞는 것이 당연하다. 색감도 평소 좋아하는 정도라 보기만 해도 맘에 든다.

애호박, 양파, 두부에 간이 충분히 배어있어서 금방 끓인 것보다 더 맛있다.




  • 레드지아 2020.07.14 11:32

    정말 한국인의 소울푸드는 김치찌개랑 된장찌개같아요

    김치찌개랑 된장찌개랑 뭐가 더 좋냐는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와 비슷한 질문이거든요 ㅋㅋㅋ

    가장 만만하지만 언제 먹어도 맛있는 게다가 속도 편해지는 된장찌개를 저도 자주 끓이기에 윤정님 레시피를 더 열심히 보고 갑니다 ^^

    찌개맛 된장 아직도 안만들었어요 ㅠ

    항상 만들려고 보면 뭐가 부족하더라구요 ㅋㅋㅋ

    오늘은 정말정말 만들려고요 ^^

  • 이윤정 2020.07.16 03:22
    저희집도 얘네들이 소울푸드에요ㅎㅎ 저는 된장찌개에 꽃게만 들어가면 넘 좋아서 난리고 가족은 김치찌개만 대충 끓여줘도 세상 맛있게 잘 먹거든요ㅎㅎㅎ
    그런데 요즘 저희집에는 이지모드 된장찌개가 유행이라 요즘 자꾸 된장찌개만 올리는 것 같아요ㅎㅎ
    저 어제 찌개맛된장 다시 만들었는데 레드지아님 댓글 본 다음에 만들어서 레드지아님 만드셨을까? 하면서 만들었어요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 6 file 이윤정 2020.08.31 6932
921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6360
920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5142
919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8006
918 전골 탕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 1 file 이윤정 2020.08.23 4595
917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6191
916 전골 탕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 6 file 이윤정 2020.08.17 6656
915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6 file 이윤정 2020.08.15 7119
914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4240
913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4664
912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8 file 이윤정 2020.08.09 37234
911 소스 낙곱새양념, 전골다대기, 레시피 낙곱새양념 5회분. (전골다대기로도 5회인데 부대찌개 등 간이 센 전골에는 1회분의 30~50%만 사용한다.)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 8 file 이윤정 2020.08.09 17597
910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7551
909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5884
908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20825
907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10656
906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9144
905 국 찌개 비지찌개, 레시피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 7 file 이윤정 2020.07.24 9961
904 일상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8 file 이윤정 2020.07.22 8077
903 고기 가지 소불고기 구운 가지와 소불고기를 함께 볶아서 만들었다. 가지 절이고 수분제거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굽는데 30분 이상이고 (절이는 시간 제외), 불고기는 (미리 만들어 둔... file 이윤정 2020.07.19 5959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