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5176 추천 수 0 댓글 8



IMG_0223.JPG



얼갈이(단배추)를 데쳐서 푹 끓인 된장국.
우거지나 시래기등을 불리고 삶아서 사용해서 우거지된장국이나 시락국을 만들어도 좋다. 충무김밥에 제 짝이다.

멸치황태육수와 찌개맛된장을 사용해서 얼갈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끓였다.

멸치황태육수 대신에 사골국을 사용해도 좋다. 가장 좋아하는 건 황태육수 사골육수 반반이다. 맛된장에 조개다시다가 들어있긴 하지만 맹물을 사용하면 맛이 좀 날카롭다.

얼갈이나 우거지가 무르게 푹 익으려면 얼갈이나 우거지 상태에 따라 국 끓이는 시간이 달라지고, 불의 세기나 뚜껑을 덮는지에 아닌지에 따라 졸아드는 상태도 다르고, 그에 따라 물조절도 달라지고, 물조절이 달라지면 필요한 된장의 양도 달라진다.
어쨌든 얼갈이가 푹 익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동안 물보충이 필요한데 물 보충이 필요할때에 육수만 계속 추가해서 넣으면 맛이 오히려 과하거나 짜게 되니까 최초에 육수를 잡고 끓인 뒤에 수분보충은 물로 하는 것이 좋다. 물 보충 시에 물 대신 쌀뜨물을 사용하면 맛이 더 둥글둥글해진다.

찌개맛된장을 사용하는거니까 간 맞추기는 편하다. 두부를 넣어서 간이 희석되거나, 생각보다 물이 많거나 할 경우에 찌개맛된장으로 마지막 간을 맞춘다.
된장국이 보통 그렇듯이 끓여서 바로 먹는 것보다는 끓이고 뚜껑 덮어서 식힌 다음 데워 먹는 것이 간도 잘 배이고 더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사용했다.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다.


시판된장 200그램
집된장 200그램
피시소스 36그램

조개다시다 36그램
다진마늘 100그램
대파흰부분 100그램
청양고추 75그램 (12개)



시판된장은 해찬들 재래식 된장을 사용했다.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샘표 백일된장, 해찬들 명품집된장)

피시소스는 삼게소스나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참치액젓이나 국간장 으로 대체해도 괜찮다. 조개다시다 생략하면서 국간장 사용시 특히 더 육수가 필수.

IMG_9603.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얼갈이 된장국에 사용한 재료는 4~5인분으로
얼갈이 배추 5포기 (데치고 짠 다음 200그램)
찌개맛된장 150그램
멸치황태육수나 사골육수 1.5리터
필요시 물추가


두부 1모
간보고 뚜껑여부나 불 세기 따라 물조절


1. 단배추는 뿌리를 자르고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빼서 준비한 다음 넉넉한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어오르면 단배추를 줄기부터 넣고 물에 푹푹 잠기도록 누른 다음 약 10초 후 건져서 식히고 물기를 꽉 짠다.

2. 데친 얼갈이는 적당히 썰고 찌개맛된장에 무친다. 습관대로 무치기도 하지만 어차피 푹 끓일거라 무치는 것은 크게 의미는 없기는 하다.
3. 육수나 쌀뜨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30분간 중약불에 뚜껑을 비스듬하게 닫아서 푹 끓인다.
4. 중간중간 부족하면 물을 추가한다.
5. 얼갈이가 무르게 충분히 익으면 간을 봐서 물이나 간을 조절한다.





1. 단배추는 뿌리를 자르고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빼서 준비한 다음 넉넉한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어오르면 단배추를 줄기부터 넣고 물에 푹푹 잠기도록 누른 다음 약 10초 후 건져서 식히고 물기를 꽉 짠다.

IMG_9887.JPG




2. 데친 얼갈이는 적당히 썰고 찌개맛된장에 무친다. 습관대로 무치기도 하지만 어차피 푹 끓일거라 무치는 것은 크게 의미는 없기는 하다.

IMG_0159.JPG




IMG_0165.JPG




IMG_0168.JPG




3. 육수나 쌀뜨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30분간 중약불에 뚜껑을 비스듬하게 닫아서 푹 끓인다.

IMG_0177.JPG




IMG_0179.JPG




IMG_0182.JPG




4. 중간중간 부족하면 물을 추가한다.IMG_0191.JPG



5. 얼갈이가 충분히 무르게 익으면 간을 봐서 물이나 간을 조절한다.

IMG_0204.JPG




무쇠냄비에는 수분이 있는 음식을 오래 두면 안되니까 스탠냄비로 옮겼다. 처음부터 스탠에 해도 되는데 무쇠냄비를 샀으니까 열심히 사용하고 있다.

미리 끓여둔 얼갈이 된장국은 식는 동안 더 맛이 좋아진다. 여름이니까(는 여름이 아니라도) 국이 식으면 냉장보관하고, 필요할 때 데워서 먹었다.


IMG_0211.JPG






IMG_0223.JPG



여러모로 신경써서 끓였지만 국그릇에 담으면 아주 평범한 시락국 한 그릇이다.


불리고 삶아야 하는 우거지 대신 단배추을 사용해서 비교적 편하게 만들었지만, 이렇게 다듬고 씻고 데치고 양념하고 푹 끓여야하는 노동집약적인 과정이 필요한 국은 (이전 세대에서부터 밥상에 이 정도 국은 당연하다는 관성 아래) 밥상에서의 지분을 차지하는데 있어서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품을 많이 들여서 먹기 좋고 맛있게 국을 끓이고도 메인반찬이나 밑반찬이 필요한 것이 보통의 한식밥상이라 국을 끓여놓고도 크게 뿌듯하지가 않은 것이 단점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흐들흐들 부드럽게 잘 익은 얼갈이배추가 먹기 좋고 푹 끓인 된장국물도 익숙하게 맛있다.






  • 땅못 2020.07.06 01:14

    진짜 이 레시피 인정입니다 하고 동네방네 또 확성기 켜야겠어요. 며칠전에 마트에 수목돌풍 같은 거 할 때 단배추가 두묶음에 990원하길래 데쳐서 얼려둔 것도 있고 찌개맛된장 따라서 해 놓은 것도 있고 해서 보자마자 따라할 수 있었어요 ㅎㅎ 윤정님은 신경은 썼지만서도 그릇에 담으면 평범하다고 하셨는데 먹으면 절대 안그래요. 저희 아버지는 약간 고깃국 뼈국, 얼큰한 탕종류를 좋아하고 콩나물국이나 시락국 미역국, 냉국같은 건 별로 안좋아하시는데 이 시락국 맛있게 한 그릇 다 드셨어요. 전 맛된장 만들때의 조개다시가 아주 큰 역할을 해내었다고...믿고 있슴다... ㅋㅋㅋ 레시피 올라오고 바로 따라하는 날은 괜히 밥상을 공유하는 느낌이 들어서 더 즐거워요. 이제 새로운 한 주 시작이네요. 이번주도 힘내요! 평소에는 좀 느긋하게 가려고 하지만 장마철은 쳐지기 쉬워서 으쌰으쌰 좀 해도 될 것 같아요 ㅋㅋ 늘 감사합니다<33

  • 이윤정 2020.07.07 04:25
    역시 땅못님은 행동력도 짱짱이십니다ㅎㅎㅎㅎ 마트 수목돌풍이라니ㅎㅎㅎ 저도 탑마트 자주 가요ㅋㅋㅋㅋ
    저는 메가마트에서 천원이라고 단배추 한 단 주문했는데 받아 보니까 너무 어처구니 없이 많더라고요. 일거리가 많아져서 완전 짜증내면서 데치고 냉동했어요ㅠ
    아버님께서 맛있게 잘 드셨다니 역시 다시다는 고향의 맛인가봅니다ㅎㅎ

    이렇게 바로바로 이야기 들려주시니 말씀대로 밥상공유하는 느낌이 완전 재밌고 또 감사합니다.
    이번주에 장마가 걱정되는데 무탈한 한 주 되시길 바라요!
  • 멈뭄 2020.07.06 16:04

    어으 맛있겠다. 저는 된장국은 별로 안 좋아하는데... 이게 가끔 확 땡길 때가 있더라고요.

    어떤 메뉴랑 먹든 궁합이 잘 어울리기도 하구... 반찬 없어도 한 그릇 원샷하게 되는 ㅋㅋㅋ 

    맛된장 해봐야지~ 하다가 아직 못 했는데... 꼭 해봐야겠어요!!! 넘 맛있을 거 같아요.

  • 이윤정 2020.07.07 04:27

    저도 된장국은 뭐 굳이 엄청 좋아하는 건 아닌 듯? 하는 편이거든요.
    그런데 기본으로 맛있는 시락국 나오는 식당에 가면 왜이렇게 맛있는지ㅎㅎㅎ 정작 주문한 메인 음식은 잊어버리고 집에 가서 시락국 끓여야지 하고 나오다가 저 자신한데 흠칫 놀랍니다ㅎㅎㅎㅎ
    찌개맛된장이라고 뭐 이름만 그렇지 내일 먹을 된장양념을 오늘 많이 만드는 그런거라 해보시면 별 거 아니네 하실 거에요.  된장찌개 만들 때에 딱 맞춰서 청양고추 사고 하는 게 번거롭고 하다보니 꼼수만 늘어서 만든 레시피니까요ㅎㅎ

  • 레드지아 2020.07.08 09:25

    된장국이 쉬운듯 하면서도 은근 어렵던데 윤정님 레시피가 있으니 의기양양해집니다

     

    저 조개다시다 샀어요!!!

    홈플러스 온라인에서 팔길래 두눈이 @@ 이렇게 되어서 얼른 주문했답니다 캬하하하하하하

    오늘 찌개맛된장 만들어야겠어요 ^^

  • 이윤정 2020.07.08 22:53
    조개다시다 사셨군요ㅎㅎㅎ 많이 사용하지 않으니까 꼭 냉동해놓고 드세요ㅎㅎ
    오늘도 된장찌개에 사용했는데 대충 썰어넣고 간만 맞추면 되니까 넘 편해서 뿌듯했어요ㅎㅎ
  • 혜니홀릭 2020.07.14 10:59

    악~~ 너무 맛있겠어요!!!! 곧 마트가는데 일단 조개 다시다부터 사와야겠어요. 항상 부러운 윤정님의 솜씨!

  • 이윤정 2020.07.16 02:55
    조개다시다가 된장에 잘 어울려요ㅎㅎ 조개다시다의 솜씨입니다ㅎㅎㅎㅎ

  1. 차가운 콩나물국, 콩나물냉국

    2013/06/28 차가운 콩나물국, 콩나물냉국 평소에 국을 자주 먹는 편은 아닌데 여름에 먹는 냉국류는 꽤 즐기는 편이다. 종류가 많지는 않지만 콩나물냉국이나 오이냉국, 미역냉국 등 더운 여름에 청량한 느낌으로 포인트가 되는 냉국은 늘 좋다. 아직 크게 더운 것도 아닌데 벌써 부터 더위타령이라 얼마나 더 고생할지 아득하다. 사실 요즘 영 열정이 떨어져서 밥 해먹는 것도 꾸역꾸역 하고 있고 혼자 있을 때는 귀찮아서 제대로 된 밥을 먹지도 않는다. 오늘 남편이 회식을 하고 늦게 왔는데 내가 오늘 하루 스스로 챙겨 먹은 먹은 것은 메추리알 ...
    Date2013.06.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8085 file
    Read More
  2. 찌개맛된장으로 간단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서 레시피를 올렸었다. 평소에는 저울이고 뭐고 그냥 대충 해먹는다. 찌개맛된장을 해놓으니까 된장찌개 끓이는 게 아주 편해서 예전보다 더 종종 해먹고 있다. 과정사진도 없고 레시피라고 할 것도 없는 간단한 내용이다. 아래 재료를 써두긴 했지만 당장 집에 있는 최소한의 재료로 대충대충 만든거라 크게 의미가 없다. 애호박 반개 (취향에 따라 씨 빼기) 양파 중간 것 1개 두부 1모 (...
    Date2020.07.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2656 file
    Read More
  3. 조림맛된장으로 강된장, 소라강된장, 우렁강된장

    조림맛된장은 별 건 아니고 강된장 할 때마다 일일이 재료 꺼내오기가 귀찮아서 미리 배합할 때도 있고, 청양고추 대파 많이 샀을 때 얼른 소비하려고 만들기도 한다.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은 내용은 별 거 없고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대파, 고추를 미리 배합해 둔 것이다. 된장양념이 주가 되는 조림이나 강된장에 주로 사용한다. 1~2주정도 냉장실에 뒀다가 그 이후에는 냉동실에서 보관하고 최대 1년까지 두고 쓰고 있다. 냉동하면 완전히 딱딱하게 굳지는 않는데 그래도 좀 단단해진다. 냉장고문에 넣으면 숟가락으로...
    Date2021.08.0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2855 file
    Read More
  4. 전복미역국

    전복, 미역, 국간장, 참기름만으로 만드는 전복죽. 물 대신 황태육수를 넣으면 더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미역 20그램 전복 6미 (약500그램) 국간장 3스푼 황태육수 약 1.5리터 참기름 약간 전복은 1키로에 12~13미 정도 되는 사이즈로 구매해서 사용했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내장이 없는 쪽으로 작은 칼을 넣어서 숟가락이 들어가도록 칼집을 낸 다음 숟가락을 넣어 힘껏 껍질과 분리하고 내장이 터지지 않게 조심조심해서 살과 내장을 분리한 다음 한쪽 끝에 있는 이빨을 제거했다. 숟가락을 바로 넣으려면 뭉툭해서 안...
    Date2018.09.0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6412 file
    Read More
  5. 전기밥솥 계란찜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계란 4개, 물 400미리, 소금 0.5티스푼으로 만드는 계란찜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밥솥? 평소에는 계란찜을 뚝배기에 하거나 찜기에 하는데 찜기에 하는 걸 좋아하지만 밥하면서 계란찜 하는 것마저 귀찮아서 한동안 안했는데 어릴 때 엄마께서 밥하시며 계란찜 해주셨던 생각이 나서 전기밥솥으로 계란찜을 했다. 밥 할 때 밥솥에 대접 하나 넣어서 나물찌고 무쳐주시거나 계란찜 쪄서 주시는 적이 많았는데 이제야 따라해봤다. 계란찜은 주로 밥 먹을 때 하는 거라 밥 할 때 쌀 위에 그릇을 올려서 하지...
    Date2019.04.0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1 Views6942 file
    Read More
  6. 육개장

    겨울에 잘 어울리는 육개장 한그릇. 만들다보니 꼼수만 늘어서 전에 올린 것보다 조금 더 하는 일도 줄이고 시간도 줄여서 만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일이 많기는 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한우양지 약 500그램 물 적당량 토란대 한 줌 표고 6개 대파 3대 무 3분의1개 고추기름 2스푼 국간장 3스푼 간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춧가루 1스푼 마늘 3스푼 참기름약간 양지육수 황태육수(필요시 사용) 토란대나 고사리 등은 조금씩 밑준비하기 번거롭고, 표고버섯은 시장에서 넉넉하게 사면 가격이 저렴한 이유로 이 재료들은 평소에 시...
    Date2019.01.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4140 file
    Read More
  7. 우렁강된장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자숙우렁 150그램 (손질 후) 양파 중간 것 1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청양고추 4개 팽이버섯 1봉투 집된장 1스푼 (시판된장 가능) 시판된장 1스푼 고추장 1스푼 고춧가루 1.5스푼 멸치황태육수 약 350미리 두부 1모(300그램) 된장은 시판된장 중에서도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된장을 사용했다. (샘표 백일된장, 해찬들 명품집된장) 육수는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
    Date2018.03.2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10105 file
    Read More
  8. 우거지 김치국

    우거지 김치국 평소에 김치는 찌개나 찜으로 진하게 먹었는데 오랜만에 얼큰한 김치국물이 땡겨서 돼지고기와 육수, 김치, 우거지로 우거지 김치국을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멸치육수 넉넉히 돼지고기 앞다리살 400그램 김치 약 8분의 1포기 우거지 2줌 김치국물 약 1컵 다진마늘 2스푼 국간장 약 2스푼 대파 2대 두부 한 모 보통 우거지는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려서 삶아서 사용하지만 배추를 속을 묶지 않고 햇빝을 보게해서 겉부터 속까지 모두 푸른색으로 키운 배추를 부모님께 받아서 사용했다. 배추는 씻고 데쳐서 물기를 꽉 짠 ...
    Date2015.10.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9 Views4752 file
    Read More
  9.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만들고 있다. 물+친수피시소스+설탕+사과식초에 얼음을 넣어서 최종 냉국 국물 양을 맞추고 오이와 미역, 다진마늘, 홍고추를 사용한다. 마늘은 냉동보다 통마늘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홍고추가 들어가면 더 좋다. 홍고추는 조금만 들어가니까 평소에 사서 냉동했다가 사용하면 편하다. 홍고추도 좋지만 가장 좋은 건 베트남고추이다. 깔끔하게 매운맛이 아주 좋다. (건조X) 베트남고추...
    Date2020.08.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4104 file
    Read More
  10. 오이미역냉국

    작년에 올린 레시피 https://homecuisine.co.kr/hc10/95719 와 거의 똑같은데 과정을 좀 더 편하게 조절했다. 천천히 만들어도 10분이면 완성. 재료 (2~3인분) 오이 1개 (미니오이 3~4개) 자른미역 3그램 통마늘 2~3개 냉동베트남고추 1개(없으면 홍고추나 청양고추로 대체) 생수 250미리 친수피시소스 1.5스푼 설탕 2스푼 오뚜기 사과식초 3스푼 얼음 250그램 (간보고 300까지) * 마늘은 취향에 따라 생략한다. 통마늘이 없으면 냉동마늘 새끼손톱만큼 사용한다. 냉동마늘을 사용할 때는 즙이 많으니까 통마늘보다 양이 적어야 적당하다. * 오이는 ...
    Date2021.06.1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2492 file
    Read More
  11. 얼큰한 소고기무국

    2014/10/12 얼큰한 소고기무국 철마에 소고기가 맛있다고 하여 먹으러 갔다가 가게를 나서면서 한우 암소 양지와 스지, 불고기를 사왔다. 엄마 말씀으로는 경주에서 사오신 한우가 옛날 그 감칠맛이 나서 맛있다 하시면서 여기도 꽤 괜찮을거라 하셨는데 국 끓여보니 정말 여태 먹어본 양지 중에 가장 맛있었다. 여태 이것 저것 먹어보니 한우 암소가 국물맛이 좋아서 코스트코나 인터넷의 자주 사는 곳 등 암소 파는 데서 늘 샀는데 이번에 산 것이 가장 낫다니.. 했고. 사람 입맛에 간사해서 좋은 걸 먹기 시작하면 낮춰가기는 어렵고 계속 가장 좋...
    Date2014.10.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5 Views3156 file
    Read More
  12.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뭇국. 평소에 소고기무국을 만들 때는 양지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사태로 만들었다. 호주산이나 거세한우 보다는 한우 암소를 사용해야 국물이 고소하면서 풍미가 좋다. 사태는 먼저 통으로 1시간반정도 푹 익혀서 사태를 익힌 육수에 무와 양념을 넣고 사태를 썰어넣어서 만들었는데 국거리 용으로 썬 소고기를 사용할 때는 소고기를 30~40분정도 끓이다가 거기에 그대로 나머지 ...
    Date2017.12.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20901 file
    Read More
  13. 얼갈이 된장국, 시락국

    얼갈이(단배추)를 데쳐서 푹 끓인 된장국. 우거지나 시래기등을 불리고 삶아서 사용해서 우거지된장국이나 시락국을 만들어도 좋다. 충무김밥에 제 짝이다. 멸치황태육수와 찌개맛된장을 사용해서 얼갈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끓였다. 멸치황태육수 대신에 사골국을 사용해도 좋다. 가장 좋아하는 건 황태육수 사골육수 반반이다. 맛된장에 조개다시다가 들어있긴 하지만 맹물을 사용하면 맛이 좀 날카롭다. 얼갈이나 우거지가 무르게 푹 익으려면 얼갈이나 우거지 상태에 따라 국 끓이는 시간이 달라지고, 불의 세기나 뚜껑을 덮는지에 아닌지에 따...
    Date2020.07.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8 Views5176 file
    Read More
  14. 양지로 소고기 미역국, 소고기 미역죽

    가을도 없이 겨울로 바로 직행하는 요즘에 만들기도 그나마 좋고 먹기는 무조건 좋은 미역국. 미역만 잘 손질하고 푹 끓이면 주재료가 무엇이든 다 맛있지만 소고기양지를 푹 삶아서 썰어서 넣으면 보기도 좋고 먹기도 좋은 각별한 맛이 있다. 소고기양지로 미역국, 뭇국, 육개장 등등은 (링크 - Home Cuisine - 검색: 양지) 소분하고 냉동해서 만들 땐 힘들고 먹을 땐 편하게 먹기 좋다. 기본 미역국과 미역 손질한 내용은 여기에 있다.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주로 사용하는 미역은 코스트코 온라인몰에서 구매한 안옥남 기장미역인...
    Date2022.10.1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2308 file
    Read More
  15.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호박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긴 하지만 된장찌개에 사용하려고 애호박은 늘 사놓는 편이라서 애호박을 샀는데 사고 보니 집에 또 있었다.. 그래서 오늘은 애호박찌개. 재료가 평범해서 장보러 갈 것도 없이 금방 만들었다. 2021년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99817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찌개용 400그램 고운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멸치황태육수 600미리 미림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새우젓 국물 1스푼 국간장 1스푼 (0.5스푼 먼저 넣고 간보고 남은거 추가) 대파 1대 청양고추 3개 양파 1개 애호박 1개 두부 한모 돼지고기는 ...
    Date2019.06.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6548 file
    Read More
  16.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고기, 채소, 두부의 밸런스가 좋아서 밥상의 메인음식으로도 만들기 좋다. 고기는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내취향) 미트박스에서 등심덧살을 사서 매번 구워먹다가 찌개에도 사용했다. 육향이 적고 쫄깃쫄깃한 등심덧살이 찌개에 아주 잘 어울린다. 삼겹살이나 목살로 찌개를 끓여서 먹다보면 아 지금 먹은 부위가 기름도 많지 않고 쫄깃쫄...
    Date2021.01.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36466 file
    Read More
  17. 아롱사태 미역국

    팥밥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08&document_srl=36760 에 이어 미역국. 사용한 재료는 참기름 약간 사태 250그램 미역 25그램 다진마늘 1스푼 황태육수 1리터 물 1리터 (필요시 추가) 국간장 3~4스푼 아롱사태만 사용하면 (국물은 똑같고) 고기가 더 맛있겠지만 사태와 아롱사태를 같이 사용했다. 그래도 제목은 그냥 아롱사태로.. 고기와 미역, 국간장만 있어도 맛있는 것이 미역국이지만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국물에 더 감칠맛이 돈다. 육수는 황태, 표고버섯, 다시마, 무, 대파를 넣고 넉넉하게 미리 끓여두었다. ...
    Date2016.04.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13521 file
    Read More
  18. 시판 비지로 김치 비지찌개

    매번 비지찌개를 할 때마다 콩 갈아서 하려니 번거로워서 자주 안하게 된다. 이러느니 시판 비지라도 사서 자주 먹는 게 더 낫겠다 싶어서 요즘은 시판 비지를 사서 편하게 끓이고 있다. 세상 편함.. 재료 (2~4인분) 묵은지 400그램 (속 털어내기) 돼지고기 다짐육 300그램 다진마늘 1스푼 대파 흰부분 1대 사골육수나 물 1~2컵 (조절) 피시소스 0~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선택) 후추 약간 비지 320그램 1팩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비지 이야기 비지찌개에서 가장 중요한 건 비지인데, 요즘에는 두부집이 아닌 공산품 시판 비지를 사면 전...
    Date2022.11.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 Views2199 file
    Read More
  19. 시래기 된장국, 우거지 된장국, 시래기국 시락국 만들기 레시피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린 것이 우거지이고 무청을 말린 것이 시래기이지만 우리집에서는 배추우거지로 끓인 국을 늘 시래기국(시래깃국이지만..)이라고 불렀다. 보통은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려서 삶아서 사용하지만 배추를 속을 묶지 않고 햇빝을 보게해서 겉부터 속까지 모두 푸른색으로 키운 배추를 부모님께 받아서 사용했다. 배추는 씻고 데쳐서 물기를 꽉 짠 다음 냉동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서 사용했다. 겉잎으로 약 8장 되는 분량을 사용했다. 무도 4분의 1개 넣어서 우거지국을 만들었는데 넣어도 좋고 안넣어도 좋다. 넉넉하게 끓여서 냉...
    Date2015.09.1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24821 file
    Read More
  20. 순두부조림

    순두부찌개와 비슷해보이지만 순두부조림. 두부조림을 하듯이 육수를 바특하게 잡고 졸여서 차돌박이 약간에 계란을 넣어 만들었다. 순두부가 여려서 가장자리에 국물이 조금 보이긴 하지만 떠먹다보면 약간 촉촉한 두부조림 정도의 국물이었다. 순두부찌개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8942&mid=hc10 같은 뚝배기에 가득차는 정도이다. 사용한 재료는 순두부 1팩 (350그램) 멸치황태육수 150미리 양념으로 고춧가루 1스푼 국간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설탕 약간 대파 1대 차돌박이 약 100그램 청양고추 ...
    Date2016.10.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635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