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IMG_0135.JPG




IMG_0157.JPG




복날이나 보양식이라는 개념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고, 왜 하필 더울 때 이렇게 푹 끓여야 하는 음식을 시기적절하게 삼아 왔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삼계죽.

닭한마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0537


제목은 그냥 이것저것 다 넣어봤다.



삼계탕을 먹으러 가면 일단 뼈를 전부 바르고 더 이상 손이 가지 않도록 닭죽 비슷하게 먹기 좋은 것을 선호하는 편이라서 집에서 만들 때도 삼계탕보다는 삼계죽이나 닭죽을 더 많이 만든다.



수삼 넣지 않고 죽을 끓이지 않으면 닭백숙이고, 수삼 없이 죽을 끓이면 닭죽이고 그렇다.

삼계탕을 끓일 때는 작은 닭에 불린 찹쌀을 채워서 쌀이 흐르지 않도록 다리를 꼬아서 푹 끓인다.
옻닭이나 한방닭 등을 할 때는 옻(또는 옻물)이나 한방재료를 사용해서 백숙을 만든 다음 백숙 육수로 찹쌀밥을 지어서 백숙에 곁들인다.


닭죽을 할 것이 아니라 닭고기를 먹고 싶으면 삼계탕보다는 닭한마리를 만드는 편이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닭 1마리 (1키로)

삼계탕용 부재료 (황기 엄나무 대추 등)

수삼 1뿌리

양파 1개
대파 1대
마늘 10개

통후추 1티스푼

다시마 5센치(선택)
건표고 1개(선택)
황태 5센치(선택)
생강 약간(선택)

쌀 1.5컵

마늘 10개 (선택)

소금, 후추



황태, 표고, 다시마, 생강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괜찮다.

특히 황태는 삼계탕에 넣으면 끓이는 동안에는 호불호가 갈리는데 죽까지 다 끓여보면 황태냄새가 거의 휘발되어서 맛있어진다.




1. 찹쌀은 씻어서 찬물에 담가 2시간 이상 불린다. 손으로 누르면 부서질 정도로 불린다.

IMG_0036.JPG




2. 닭은 가슴 부분을 갈라서 가슴살 윗부분의 Y자 뼈를 부러뜨려 펼치고, 내부의 뼈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씻는다. 취향에 따라 껍질을 벗기는데 가슴살이나 목의 닭껍질은 벗기고, 날개나 다리는 남겨두면 편하다.

IMG_0037.JPG





3. 한약재를 비롯한 육수용 재료를 준비하고 물을 넉넉하게 붓고 끓인다.

IMG_0041.JPG



4. 물이 끓으면 깨끗하게 씻은 닭을 넣고 끓으면 거품을 걷어낸다.

IMG_0053.JPG




IMG_0057.JPG




5. 뚜껑을 덮고 닭다리 발목에 뼈가 보일 정도로 충분히 삶는다. 끓으면 중불로 낮추고 뚜껑 비스듬히 닫아서 40정도 끓이는데 중간중간 확인해서 필요하면 물을 보충한다.

IMG_0068.JPG




IMG_0064.JPG



IMG_0069.JPG




6. 닭고기 건지고 육수를 체에 거르고

IMG_0070.JPG




IMG_0071.JPG




IMG_0085.JPG




7. 닭고기와 육수재료를 건진 다음 물 넣어서 육수의 총량이 쌀의 7배정도 되도록 물을 맞추고 육수 1컵 덜어둔 다음 쌀 넣고 중불~약불로 30분간 저어가면서 끓인다. 취향에 따라 마늘도 5~10개 넣는다. 초반에는 중간중간 젓는데 중반 이후로는 계속계속 저어서 바닥에 달라붙지 않도록 한다.


IMG_0088.JPG




IMG_0093.JPG




IMG_0097.JPG




8. 죽을 끓이는 동안 닭고기의 뼈를 바르는데 핏줄 등을 꼼꼼하게 손질해서 먹기 좋게 찢은 다음 냄비에 넣는다. 삼계탕 느낌을 내려고 닭다리는 하나 따로 빼서 미리 덜어 둔 닭육수에 담아서 뚜껑을 닫아두었다.

IMG_0105.JPG




9. 밥알이 거의 다 퍼지면 일단 불을 끄고 뚜껑을 닫고 뜸을 들인 다음 소금, 후추 넣어서 간을 맞춘다. 먹기 직전에 육수를 추가해서 한 번 더 끓여내서 그릇에 담는다.


미리 죽을 끓여두면 밥이 계속 퍼지면서 육수를 많이 흡수하는데 계속계속 육수를 추가하기보다는 일단 완성되면 불을 끈 다음 뜸을 들이고 먹기 직전에 육수를 넣어 데우면서 먹기 좋은 농도로 조절하면 알맞다. 죽에 쪽파나 대파, 당근을 넣어도 좋고, 죽을 그릇에 담은 다음 참기름, 깨, 김가루를 약간 넣어도 좋다.

IMG_0099.JPG





IMG_0108.JPG




IMG_0109.JPG





IMG_0111.JPG





IMG_0113.JPG




IMG_0117.JPG




IMG_0135.JPG




IMG_0157.JPG


깨끗하게 손질한 닭과 여러 재료를 푹 끓인 다음 닭을 건지고, 육수에 불린 쌀을 넣고 죽을 끓이고, 그동안 닭고기 살을 발라서 죽에 넣고, 간을 딱 맞춰서 내면, 손 갈 것도 없이 그냥 먹기만 하면 되니까 편하게 먹기 정말 좋다. 


만드는 데는 두 시간이지만..





  • 땅못 2020.07.04 00:51
    저희 집에서는 복날을 챙기는 법이 없는데 복날이고 뭐고 한겨울에도 그냥 엄마가 닭 한마리 사오는 날이 무조건 삼계죽 닭죽 먹는 날이에요 ㅋㅋ 저희엄마의 생닭요리레퍼토리는...거의 90퍼 이상이 닭죽이나 닭국이었어요. 언제나 먹기 좋게 살을 다 발라내셨는데 너무 생각이 나서 댓글 달게 되었네요. 너무나 친근한 뽀얀 비주얼...아마 언젠가 위로받고 싶은 날 이 음식이 생각날 것 같아요. 늘 올려주시는 레시피 보고 식탁에 도움받고 있습니다♡ 주말 편히 보내세용!
  • 이윤정 2020.07.05 05:21

    아무도 궁금하지 않은 tmi입니다만

    제 경우는 엄마께서 복날을 삼복더위 매년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챙기셨는데 지금 제 해석으로는 삼복더위에 덥지 않으려면 안챙기는 것이 최고다 싶어요ㅎㅎ

    늘 별 생각 없었는데 나이먹고 아버지 이야길 들어보니 닭은 꼭 어떤 걸로 잡아야 하고, 닭 키울 데가 없으니까 닭키우는 계 (무슨 이런 계가 다 있는지요ㅎㅎ) 를 하시더라고요. 토종닭 키워서 잡아주시는 친정아버지도 유난이시고, 친정엄마께서도 꼭 사위가 어쩌고 씨암탉이니 삼계탕이 어쩌고.. 대체 닭이 뭐라고 2020년이 무색하게 그러시는지요.

    어머님께서 살 발라 해주시는 닭죽이 얼마나 소중한지 생각하다보니 제 이야기를 너무 많이 했어요.
    닭죽에 반찬도 곁들이고 여러 채소를 넣고 해서 더 맛있게 만드는 방법도 많을텐데 저도 이렇게 뽀얀 것이 좋아요. 완전 소울푸드에요ㅎㅎ

  • 레드지아 2020.07.08 14:15

    막줄이 마음이 아픕니다 ㅋㅋㅋ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먹기만 하면 편하고 좋은데 대부분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뫼비우스의 띠처럼 매끼니는 정확하게 돌아오니 말예요 ㅠㅠ

    이번 끼니를 사먹거나 해먹거나 해도 안심보다는 다음끼니가 또 걱정이고 ㅋㅋㅋ 그다음끼니도 정성스럽게 안하고 대충 때워도 또 그다음 끼니가 걱정이고...전 걱정이 너무 많아요!!! +_+ ㅋㅋ

     

     

    저희집도 어제 백숙 해 먹었어요

    저같은 경우는 인삼은 안넣어요. 무엇보다도 사는게 번거롭기 때문이죠 ㅋㅋ

    닭이랑 국물내는 재료는 사기가 편한데 인삼은 사기가 쉽지 않은거 같아서요.^^

     

     

    좀 있으면 초복이니 윤정님 레시피를 더 열심히 봐둔뒤 따라해봐야겠어요 ^^

  • 이윤정 2020.07.08 22:43
    공들이는 음식들이 다 그렇게 마음이 아프죠ㅎㅎㅎㅎ
    같이 나가서 밥 사먹고 나서 집에 들어가는 길에 장보는 거 보면 정말 끼니 때는 정확하게 돌아오는 걸 통감합니다.
    대충 때우고나면 아 다음 끼니는 대충 때우지 않아야 하는데 싶어서 더 그래요.

    저도 수삼은 잘 안사는 편인데 이름에 삼계죽 넣어보려고 오랜만에 샀어요ㅎㅎㅎ
    남은 수삼은 손질해서 냉동실에 넣어놨으니 두어번은 더 삼계탕 먹겠다 싶은데.. 아 냉동실 어디에 있더라? 기억이 안나네요ㅎㅎㅎㅎㅎㅎ ㅠㅠ
  • 남편바라기 2021.07.08 20:11
    닭죽을 엄청 좋아하는데, 늘 쌀을 넣고나면 그 많던 육수가
    다 흡수되어 다소 퍽퍽해지는게 아쉬웠어요.
    육수를 미리 좀 놔두었다 윤정님처럼 먹을때 넣어 데우면 되는데
    늘 간단한것을 생각하지 못해 이렇게 배워갑니다.^-^
    이젠 촉촉한 닭죽을 먹을 수 있겠어요.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21.07.09 03:32
    닭갈비도 닭한마리도 닭죽도 좋아하시는 것 보니 일관성 있으세요ㅎㅎㅎ
    밥이 자꾸 푹 퍼지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보니까 먹기 직전에 이렇게 육수보충하는 게 먹기 편하더라고요^^
    맛있고 촉촉한 닭죽 만드실 때에 참고가 되면 좋겠어요^^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904 일상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8 file 이윤정 2020.07.22 5431
903 고기 가지 소불고기 구운 가지와 소불고기를 함께 볶아서 만들었다. 가지 절이고 수분제거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굽는데 30분 이상이고 (절이는 시간 제외), 불고기는 (미리 만들어 둔... file 이윤정 2020.07.19 4428
902 한접시, 일품 제육양념으로 오징어볶음 미리 만들어 둔 제육볶음 양념장에 오징어와 채소를 볶았다. 미리 만들어 둔 제육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75442 간장 2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 4 file 이윤정 2020.07.15 4814
901 국 찌개 찌개맛된장으로 간단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 2 file 이윤정 2020.07.12 4235
900 고기 갈비찜, 소갈비찜, 레시피, 양념 요즘 베트남요리를 자주 하는 편인데, 베트남에서 소는 bo, 돼지고기는 heo 라고 한다. 그런데 음식 이름에 heo가 붙는 건 별로 없다(있긴 있음). 소고기를 사용... 7 file 이윤정 2020.07.11 10460
899 국 찌개 얼갈이 된장국, 시락국 얼갈이(단배추)를 데쳐서 푹 끓인 된장국. 우거지나 시래기등을 불리고 삶아서 사용해서 우거지된장국이나 시락국을 만들어도 좋다. 충무김밥에 제 짝이다. 멸치... 8 file 이윤정 2020.07.05 6749
898 일상 함박스테이크 작년에 올린 함박스테이크와 똑같이 만들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3959 매번 똑같이 만드니까별로 할 이야기가 없어서 작년에 올린 내용을 복사해... 4 file 이윤정 2020.07.03 4310
» 한그릇, 면 삼계죽, 닭죽, 닭백숙, 삼계탕, 만들기, 재료, 레시피 복날이나 보양식이라는 개념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고, 왜 하필 더울 때 이렇게 푹 끓여야 하는 음식을 시기적절하게 삼아 왔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삼계... 6 file 이윤정 2020.07.01 7842
896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 닭도리탕. 대충 만들어도 밥상의 메인이 되니까 밑반찬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재료를 준비한 다음 냄비재료를 차곡차곡 시간에 맞춰 넣고 끓이고 졸이는... 4 file 이윤정 2020.06.28 5848
895 고기 육전 만들기, 레시피 고기에 밑간하고 계란물 입혀 구우면 끝인 육전. 그런데 그냥 말을 많이 해봤다. 맛있는 고기는 보통 소금간만 딱 해서 좋은 불에 구워먹는 것을 최고로 친다. 같... 2 file 이윤정 2020.06.23 4452
894 국 찌개 참치미역국, 참치미역죽 기본 미역국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앞서 올린 기본 미역국을 사용할 때 가장 만만하고 편하면서 또 가장 맛있는 조합이 참치미역국과 ... 4 file 이윤정 2020.06.20 6619
893 한접시, 일품 순대떡볶이 떡볶이소스를 대체 몇 번을 다시 올리는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 4 file 이윤정 2020.06.18 5255
892 전골 탕 찌개맛된장으로 된장라면 찌개맛된장으로 편하게 만드는 된장라면. 단골 고깃집에서 고기 먹고 된장라면을 꼭 먹는데 고기는 별로 먹고 싶지 않고 이 된장라면을 꼭 먹고 싶을 때가 있다. ... 4 file 이윤정 2020.06.17 4661
891 소스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작년 추석에 올렸던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평소 올리는 대량 레시피가 늘 그렇듯이 언제나 일정한 맛이 나도록 두뇌풀가동했는데 하필 이 레시피를 올렸던 시기에... 8 file 이윤정 2020.06.15 12083
890 국 찌개 된장찌개 어제 올렸던 찌개맛된장으로 만드는 여러 된장찌개. 어제 올린 찌개맛된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평소 된장찌개 하면서 준비하는 재료... 4 file 이윤정 2020.06.13 4998
889 소스 찌개맛된장 최근에 된장이 들어간 음식은 조림이나 볶음만 올리고 된장찌개나 된장국은 별로 올리지 않았는데 그동안 이러고 있었다. 된장찌개를 편하고 맛있게 할 방법이 없... 6 file 이윤정 2020.06.12 5508
888 국 찌개 꽁치김치찜, 꽁치김치찌개 꽁치김치는 도시락반찬으로 자주 해서 보내던거라 늦은 밤이나 새벽 바쁠 때에 만들다가 오랜만에 느긋하게 저녁 반찬으로 만들면서 사진을 찍었다. 캔꽁치 1개 (... 4 file 이윤정 2020.06.10 3450
887 반찬 고구마순 조림 딱 제철일 때만 먹을 수 있는 고구마순을 볶음이나 조림으로 해서 먹으면 아삭하면서 달큰하니 맛있다. 고구마순 조림을 했으면 무와 당근, 애호박, 가지, 콩나물... 2 file 이윤정 2020.06.08 6092
886 국 찌개 기본 미역국, 고기없이 미역국 만들기, 레시피 기본 미역국. 미역, 참기름, 마늘, 국간장, 물만 사용한 미역국 베이스이다. 오늘도 말이 많으니까 아래는 넘어가고 레시피부터 보면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file 이윤정 2020.06.06 107900
885 반찬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부치고 계란물을 부어 포근하게 구워내는 두부계란부침.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편하게 만들기 좋다. 일상적인 반찬이지만 밥상이 괜히 허전할 때 아주 딱이... 2 file 이윤정 2020.06.04 7099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