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9472.JPG

기본 미역국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앞서 올린 기본 미역국을 사용할 때 가장 만만하고 편하면서 또 가장 맛있는 조합이 참치미역국과 참치미역죽이다.


참치미역국 재료 (2인분)
기본 미역국 2인분
참치 250그램 1캔
국간장 약간, 물 적당량

참치미역죽 재료(2인분)
기본 미역국 2인분
참치 250그램 1캔
1.5컵으로 지은 밥
국간장 약간, 물 적당량


위 링크의 레시피대로 만든 미역국은 약간 싱거운 간이기 때문에 참치미역국이나 참치미역죽의 상태에 따라 물이나 국간장을 중간중간 추가하면서 간을 맞춘다.


1. 미역국은 냉동했으면 해동해서 준비한다. 미역국 2인분을 냄비에 붓고, 캔참치를 넣는다.
1.JPG


 1-1.JPG


 2.JPG



2. 미역국을 소분했던 반찬통과 참치캔에 각각 물을 약간 붓고 헹궈 냄비에 넣고 추가로 물 양을 맞춘다.
2-2.JPG 



3. 끓으면 간을 보고 간이 부족하면 국간장 약간으로 간을 맞춘다.
4.JPG 

여기까지가 참치미역국이다.
(내 취향) 참치미역국도 좋아하지만 참치미역죽을 더 좋아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기부터는 참치미역국에 밥을 넣어서 만드는 참치미역죽.
4. 밥이 수분 흡수를 많이 하니까 죽을 하려면 국보다 물과 국간장을 더 많이 추가해야 하는데 일단 물 500미리와 국간장1스푼을 넣고 마지막에 간을 보고 부족하면 국간장을 추가한다.
3.JPG 
 

5. 밥을 넣고 잘 저은 다음 끓기 시작하면 불 줄이고 밥이 푹 퍼지도록 저어가며 끓인다.
5.JPG



6. 중간중간에 조금씩 먹어보고 밥이 덜 퍼졌으면 물을 추가하고 간이 부족하면 국간장 약간 추가한다.
5-1.JPG



 6.JPG



7. 밥알이 푹 퍼지도록 약불로 끓이는데 바닥이 눋지 않도록 바닥을 긁으면서 조리한다. 저어가면서 10분이상 끓이고, 불을 끄기 전에는 밥이 완전히 퍼졌는지 확인하고 원하는 것보다 수분이 약간 촉촉한 상태일 때 불을 끈다.
불을 끄고 10분정도 있으면 뜸이 들면서 촉촉했던 수분이 졸아들고 간이 딱 맞다.
7.JPG



 IMG_9472.JPG



 IMG_9490.JPG



 IMG_9502.JPG



 IMG_9507.JPG


죽은 열을 많이 머금어서 뜨거우니까 냄비 바닥까지 국자를 넣고 푹푹 뜨는 것보다 윗면을 긁듯이 떠서 그릇에 담으면 뜨거운 것 잘못 먹는 사람이 먹기 좋다.
미리 푹 끓여두어서 보들보들한 미역과 깊은 국물에 캔참치는 당연히 맛있는 조합이고 미역과 참치, 밥알이 전부 무르게 잘 익어서 편하게 먹기 좋다.

 




  • 레드지아 2020.06.20 17:48
    크아~~윤정님 역시 배우신분 bbb
    미역죽이 별게 아닌데 이게 왜이리 맛있던지요 ㅎㅎㅎ
    미역죽에 김치 하나면 다 끝이죠!
    자매품 아욱죽도 있잖아요!!
    둘다 제가 엄청 좋아하고 소화도 잘되고 뭔가 더 영양이 쏙쏙 흡수되는 느낌이라 ㅋㅋㅋ 먹으면 더 건강해지는 듯한 기분이 들어요 ^^
  • 이윤정 2020.06.23 04:05
    미역 다듬기가 귀찮아서 자주 안했는데 미역국 듬뿍 끓여서 냉동하니 언제나 먹을 수 있어서 든든하고 넘 좋아요ㅎㅎ
    저 아욱 편식하는데 미역만큼 맛있나요?? 저 헛살은 건가요ㅠㅠ
  • 땅못 2020.06.21 13:12

    미역국에 캔참치 넣는 거 보면 뜨헉하는 사람이 있더라고요!(는 저희엄마...) 왜 왜? 맛있는데 ㅠ0ㅠ.... 찐 충무사람에겐 캔참치는 벽이었나봐요. 아마 딸이 게살 없을때 게맛살 넣은 미역국 끓여 맛있게 먹는 모습 보면 뜨헉x2 하실듯 ㅋㅋㅋ 맛살미역국은 떳떳하게 추천하기 어려운 그런...맛이긴...해요 ㅋㅋㅋㅋ 저도 이상하게 참치미역국에는 죽이 훨씬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아요! 참치알갱이랑 퍼진 밥알의 크기도 비슷하게 잘 조화되고 식감도 서로 보완하면서 뭔가 잘 어우러지는 것 같아요 ㅎㅎ그리고 간단한 음식인데도 윤정님이 담은 모양새는 늘 정갈하고 먹고 싶게 만드는 매력이 있어서... 참치미역죽 해먹고 싶네용 헤헤. 식은 죽먹기는 너무 쉬운 일이겠지만 맛있는 죽을 막 끓여두고 그 죽이 식기를 기다리는 일이 힘든거죠 ^^;;느긋하게 뚝딱 잘 끓여먹겠습니다. 새로운 한 주도 즐거이 무사히 잘 맞으시길 바라용. 늘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20.06.23 04:10
    어머님께서 충무분이시군요^^ 저희집은 요즘 게가 너무 비싼 상황에 인지부조화가 와서 한동안 친정엄마께서 대체 게가 왜... 하셨던 적도 있었어요ㅎㅎㅎ
    미역국 베이스 끓여서 도다리도 넣고 달고기도 넣고 해보니 참치의 소중함을 한 번 더 깨닫게 되더라고요ㅎㅎ

    아무 담음새도 없이 그냥 냄비째로 올린 사진인데도 좋게 봐주시는 것보면 저를 좋게봐주시는 필터가 작용하시는걸로요ㅎㅎ

    요즘 낮이 길어서 괜히 이것저것 미뤄도 아직 늦지 않은 것 같아 좋아요ㅎㅎ 땅못님도 긴 낮을 즐겁게 보내시는 한 주 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 전골 탕 찌개맛된장으로 곱창만두전골 찌개맛된장 만들어 둔 것으로 만두전골을 만들면서 대창을 넣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수한 된장에 대창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아주 잘 어울린다. 만두전골... 4 file 이윤정 2020.09.04 4185
923 한접시, 일품 매운 돼지갈비찜 소고기 갈비찜 https://homecuisine.co.kr/hc10/94186 과 같은 양념으로, 사과와 고춧가루만 추가한 돼지갈비찜이다. 고기는 갈비찜용 돼지갈비를 사용하는데, 통... 5 file 이윤정 2020.09.01 5436
9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 6 file 이윤정 2020.08.31 4463
921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4729
920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3520
919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915
918 전골 탕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 1 file 이윤정 2020.08.23 3157
917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883
916 전골 탕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 6 file 이윤정 2020.08.17 4791
915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6 file 이윤정 2020.08.15 5368
914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3142
913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3606
912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8 file 이윤정 2020.08.09 34728
911 소스 낙곱새양념, 전골다대기, 레시피 낙곱새양념 5회분. (전골다대기로도 5회인데 부대찌개 등 간이 센 전골에는 1회분의 30~50%만 사용한다.)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 8 file 이윤정 2020.08.09 15708
910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6057
909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4088
908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18917
907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8250
906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6017
905 국 찌개 비지찌개, 레시피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 7 file 이윤정 2020.07.24 7364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