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8956.JPG


찜통에 쪄서 만드는 부드러운 계란찜을 좋아하는데 오랜만에 뚝배기 계란찜을 여러번 만들었다.
뚝배기 대신에 무쇠를 사용했다. 어떤조리도구를 사용하든지간에 냄비에 딱 맞는 뚜껑이 있어야 한다.



계란찜의 생명은 간이라고 생각한다. 엄마는 늘 계란물을 맛보라시는데 계란물 맛보기가 싫어서 계산기를 두드린다.


미림이나 설탕도 넣어봤는데 내 취향에는 소금간만 하는 것이 좋았다. 여기에 감칠맛을 더하려면 물 대신 다시마육수를 사용하거나, 간을 할 때 소금간의 일부를 액젓으로 대신해서 숨김맛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다. 액젓만으로 해보니 끝맛에 액젓향이 드러나는 느낌이 있었다. 맛소금도 소금 대신 전부 맛소금을 넣기 보다는 아주 약간 계량스푼에 담은 다음 나머지를 가는 소금으로 채우면 적당하다.

그램 계량은 굵은 소금이나 가는 소금 상관없는데 스푼계량은 가는 소금 기준이다.


간은 맨입에 먹기 좋게 0.7%에 맞췄는데, 소금이나 액젓 사용시에 0.1그램 단위를 잴 수도 없고 계량스푼을 사용해도 살짝 봉긋하게 하는지에 따라 1그램씩 막 차이가 나서 딱 0.7이라기보다는 0.7~0.8사이로 두루뭉술하게 맞췄다.

까나리 액젓보다는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하면 맛이 더 깔끔하다. 삼게소스 등 피시소스를 사용할 때는 까나리액젓과 양을 같게 한다.

평소에 약간 간간한 입맛이면 소금을 1꼬집정도 더 넣는다.

대파와 참기름은 취향에 따라 약간 넣는다. 대파는 3~4센치정도 흰부분만 잘게 썰어서 넣고, 참기름은 취향에 따라 약간 뿌린다.



1. 소금으로만 간 할 시에 - 추천

계란 6개  (대란 기준 계란 무게 54그램*6)

물 150미리

소금 3.5그램 (0.7티스푼 - 계량스푼 1티스푼의 7부)



2.액젓과 소금 함께 사용시

계란 6개

물 150미리

소금 2.5그램 (0.5티스푼)

까나리액젓 3.5그램 (0.7티스푼 - 계량스푼 1티스푼의 7부)



3. 액젓만 사용시 - 비추천

계란 6개

물 150미리

까나리액젓 14그램 (1스푼 사용)



4. 친수피시소스와 함께 사용시  - 추천

계란 6개

물 150미리

소금 2.5그램 (0.5티스푼)

친수피시소스 4그램 (1티스푼보다 약간 덜 되게)



5. 친수피시소스만 사용시 - 비추천

계란 6개

물 150미리

피시소스 16그램 (1스푼에 가득 찰랑한 정도)



과정.

1. 계란에 먼저 소금간 하고 계란을 푼다.

2. 대파는 잘게 썰어둔다.

3. 풀어 둔 계란에 물을 넣고 잘 저어둔다. *체에 걸러도 좋음

4. 뚝배기는 바닥에 기름을 살짝 바르고 계란물을 붓고 중불로 켜서 바닥이 눌어붙지 않도록 바닥을 구석구석 긁어가면서 계속계속계속 저어준다.

5. 전체적으로 몽글몽글해지면 대파를 넣고 뚜껑을 닫아 약불로 줄인 다음  2~3분정도 계란이 부풀어오를 때까지 둔다. *인덕션 사용시 중간에 열이 강하니까 가장자리까지 익도록 냄비를 돌려가며 골고루 잘 익도록 한다.

6. 계란 가운데가 봉긋하게 부풀고 윗면의 가장자리가 85~90%정도 익으면 불을 끄고 바로 그릇으로 옮겨 담는다.

7. 그릇에 옮겨 담아서 취향에 따라 참기름을 약간 뿌린다.



잘 익은 계란찜을 조리도구에 그대로 두었다가 먹거나, 그릇에 옮겨담았을 때 딱 먹기 좋은 느낌 이면 계란찜이 식고 난 다음에 열을 많이 받은 곳의 계란찜이 푸른색이 된다.


불을 끌 때 윗면이 약간 덜익은 느낌어야 바닥부분이 과하게 익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적당한 완숙이 된다.

윗면이 탄탄하게 익어서 바로 먹기도 좋아보이고 보기에도 좋으면 아래는 이미 단단해지고 푸른색이 되고 있다는 뜻이다.


계란찜을 완성하자마자 바로 먹을 것이면 어떻게 익혀도 괜찮기는 한데 조금 두었다 먹으면 조리도구나 계란이 머금은 열로 인해 또 금방 푸른색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란찜 윗면이 80~90%정도 익었고 아 조금 더 익혀야 하나 싶을 때 불 끄고 그릇에 옮겨담아야 완숙으로 먹기 적당하다.




1. 계란에 먼저 소금간 하고 계란을 푼다.

IMG_8935.JPG




IMG_8936.JPG



2. 대파는 잘게 썰어둔다.

IMG_8913.JPG



3. 풀어 둔 계란에 물을 넣고 잘 저어둔다. *체에 걸러도 좋음

IMG_8940.JPG




4. 뚝배기는 바닥에 기름을 살짝 바르고 계란물을 붓고 중불로 켜서 바닥이 눌어붙지 않도록 바닥을 구석구석 긁어가면서 계속계속계속 저어준다.

IMG_8944.JPG




IMG_8945.JPG



5. 전체적으로 몽글몽글해지면 대파를 넣고 뚜껑을 닫아 약불로 줄인 다음  2~3분정도 계란이 부풀어오를 때까지 둔다. *인덕션 사용시 중간에 열이 강하니까 가장자리까지 익도록 냄비를 돌려가며 골고루 잘 익도록 한다.

IMG_8947.JPG



6. 계란 가운데가 봉긋하게 부풀고 윗면의 가장자리가 85~90%정도 익으면 불을 끄고 바로 그릇으로 옮겨 담는다.

IMG_8956.JPG




IMG_8956-.jpg




IMG_8957.JPG




불을 빨리 끈다고 껐는데도 약간 늦었다.

IMG_8963.JPG




7. 그릇에 옮겨 담아서 취향에 따라 참기름을 약간 뿌린다.

IMG_8983.JPG



아래는 다른날. 이정도도 괜찮긴 한데 이정도보다 한 템포 빨리 불을 끄면 적당하다.

IMG_8931.JPG


염도 계산하고 또 여러번 테스트를 한거라 간이 딱 적당하다.

계란찜은 잘 과하지 않고 적당하게 익고 간만 맞으면 맛있는거라 맛있게 잘 먹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소금과 액젓을 여러가지로 테스트한다고 물을 더 줄이는 버전은 안해봤는데 다음에는 물을 100미리 정도로 줄여볼 예정이다.

메모 삼아 남겨두는 레시피.

계란 6개 , 물 100미리, 소금 3그램 (계량스푼 0.5티스푼에 가득 채운 정도), 대파, 참기름





  • 레드지아 2020.05.25 10:19

    와~ 염도계산을 계산기로!! 진짜 윤정님 꼼꼼하시고 과학자같으셔요 ^^

    전 항상 감으로 -_-;; 하지요

    당연히 짜게 된날 싱겁게 된날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ㅋㅋㅋㅋ

    설탕 미림 등등 막 때려넣으면 더 맛있어지는줄 알았는데 (매번 까먹고 안넣거든요 )

    소금으로만 하거나 피시소스 조금 넣는게 더 맛있다니 또 뭔가 흡족합니다 ㅋㅋㅋ

  • 이윤정 2020.05.26 04:11

    저는 이리 저리 해본다고 먹을 때마다 간이 다를 때가 많아요ㅎㅎ
    설탕 미림 청주 넣으면 좋은 경우도 많을텐데 저는 넣어보니 다시마육수나 소금간만 하는 것이 낫더라고요. 피시소스는 넣어도 약간만 넣는 게 좋고요. 그냥 제 취향일 뿐이지만요^^;; 소금 대신 맛소금 넣었을 때도 생각보다 맛소금맛이 강한데 싶고 육수도 여러 재료 넣어서 만들면 맛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육수맛이 생각보다 과하길래 돌고 돌아 제자리입니다ㅋㅋㅋㅋ

  • 멈뭄 2020.05.25 15:21

    오늘 저녁은 뭘 해 먹나... 고민하다 들어와서 계란찜을 발견했네요. 저녁 메뉴로 당첨! ㅎㅎ

    계란찜에도 액젓이나 피시소스를 넣는군요~ 저는 계란찜 할 때마다 뭔가 맹맹하다 싶었는데 넣으면 더 맛있어질 거 같아요. ㅎㅎ

  • 이윤정 2020.05.26 04:13
    저도 소금간만 하면 맹맹하다 싶어서 이것저것 넣어봤는데 육수나 액젓도 과하면 좋지 않더라고요. 기본 소금간을 하고 나머지 약간만 액젓이나 육수, 조미료 등으로 밋밋한 간을 채워야 계란찜이 계란찜 같으면서도 맛있게 된다고 깨달았어요. 물론 그 과정은 길었습니다만ㅠㅠ
  • TR 2020.06.15 09:50

    윤정님 계란찜 오늘 해봤어요. 저는 계란 3개에 물 200으로 보통 뚝배기 계란찜을 해서인지 이 버전은 금방 몽글몽글해지더라구요.친수피쉬소스 사둬서 넘 유용해요!

  • 이윤정 2020.06.17 02:28
    저는 뚝배기 계란찜 할 때 계란 3개에 440 잡고 만들었었거든요. 그런데 나가서 먹는 뚝배기 계란찜을 생각하니 계란찜에 물을 좀 줄여야겠다 싶어서 줄이고 줄이다보니 이렇게 되었어요. 다음번엔 조금 더 줄여볼까 싶기도 해요. 친수피쉬소스 저도 넘 잘 쓰고 있어요ㅎㅎ

  1.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아이스크림. 작년에는 엄마께 블루베리를 과하게 받아서 블루베리가 넘쳐났다. 작년에 냉동해 둔 블루베리를 이제야 겨우 다 소진했는데 ...
    Date2020.07.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279
    Read More
  2. 가지 소불고기

    구운 가지와 소불고기를 함께 볶아서 만들었다. 가지 절이고 수분제거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굽는데 30분 이상이고 (절이는 시간 제외), 불고기는 (미리 만들어 둔 양념 만드는 시간 제외) 5분 만에 완성이라 메인인 불고기는 금방인데 가지 때문에 이렇게 시간 많이 들여야 하나 싶은 마음에 약간 욱하...
    Date2020.07.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4246
    Read More
  3. 제육양념으로 오징어볶음

    미리 만들어 둔 제육볶음 양념장에 오징어와 채소를 볶았다. 미리 만들어 둔 제육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75442 간장 2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00그램 마늘 100그램 대파 150그램 미림 100그램 후추 약간 2~3그램 고추기름 25그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
    Date2020.07.1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624
    Read More
  4. 찌개맛된장으로 간단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서 레시피를 올렸었다. 평소에는 저울이고 뭐고 그냥 대충 해먹는다. 찌개맛된장을 해놓으니까 된장찌개 끓이는 게 아주 편해서 예전보다 더...
    Date2020.07.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059
    Read More
  5. 갈비찜, 소갈비찜, 레시피, 양념

    요즘 베트남요리를 자주 하는 편인데, 베트남에서 소는 bo, 돼지고기는 heo 라고 한다. 그런데 음식 이름에 heo가 붙는 건 별로 없다(있긴 있음). 소고기를 사용하면 꼭 bo를 붙히면서 돼지고기를 사용하면 heo를 생략하는 경우가 종종 다. (중국에서도 그렇다고 한다.) 한국에서 갈비찜하면 디폴트가 ...
    Date2020.07.11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0263
    Read More
  6. 얼갈이 된장국, 시락국

    얼갈이(단배추)를 데쳐서 푹 끓인 된장국. 우거지나 시래기등을 불리고 삶아서 사용해서 우거지된장국이나 시락국을 만들어도 좋다. 충무김밥에 제 짝이다. 멸치황태육수와 찌개맛된장을 사용해서 얼갈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끓였다. 멸치황태육수 대신에 사골국을 사용해도 좋다. 가장 좋아하는 건 ...
    Date2020.07.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661
    Read More
  7. 함박스테이크

    작년에 올린 함박스테이크와 똑같이 만들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3959 매번 똑같이 만드니까별로 할 이야기가 없어서 작년에 올린 내용을 복사해왔다. 사용한 재료는 함박스테이크 약 18~20개 분량으로 (개당 200그램) 소고기 다짐육 2키로 돼지고기 다짐육 1키로 양파 큰 것 4개 약 1키...
    Date2020.07.0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135
    Read More
  8. 삼계죽, 닭죽, 닭백숙, 삼계탕, 만들기, 재료, 레시피

    복날이나 보양식이라는 개념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고, 왜 하필 더울 때 이렇게 푹 끓여야 하는 음식을 시기적절하게 삼아 왔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삼계죽. 닭한마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0537 제목은 그냥 이것저것 다 넣어봤다. 삼계탕을 먹으러 가면 일단 뼈를 전부 ...
    Date2020.07.0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7588
    Read More
  9. 닭도리탕

    닭도리탕. 대충 만들어도 밥상의 메인이 되니까 밑반찬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재료를 준비한 다음 냄비재료를 차곡차곡 시간에 맞춰 넣고 끓이고 졸이는 음식이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 1키로 황태육수 3컵 고운고춧가루 30그램 고추장 30그램 간장 30그램 다진마...
    Date2020.06.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732
    Read More
  10. 육전 만들기, 레시피

    고기에 밑간하고 계란물 입혀 구우면 끝인 육전. 그런데 그냥 말을 많이 해봤다. 맛있는 고기는 보통 소금간만 딱 해서 좋은 불에 구워먹는 것을 최고로 친다. 같은 이유로 육전을 할 때는 고기에 어떤 양념을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고기를 사용하는 지가 육전의 맛에 그대로 반영된다. 맛...
    Date2020.06.2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4352
    Read More
  11. 참치미역국, 참치미역죽

    기본 미역국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앞서 올린 기본 미역국을 사용할 때 가장 만만하고 편하면서 또 가장 맛있는 조합이 참치미역국과 참치미역죽이다. 참치미역국 재료 (2인분) 기본 미역국 2인분 참치 250그램 1캔 국간장 약간, 물 적당량 참치미역죽 재료(2인분) 기본 미역...
    Date2020.06.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460
    Read More
  12. 순대떡볶이

    떡볶이소스를 대체 몇 번을 다시 올리는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물엿 1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취향에 따라 50~200) 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매운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후추는 ...
    Date2020.06.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925
    Read More
  13. 찌개맛된장으로 된장라면

    찌개맛된장으로 편하게 만드는 된장라면. 단골 고깃집에서 고기 먹고 된장라면을 꼭 먹는데 고기는 별로 먹고 싶지 않고 이 된장라면을 꼭 먹고 싶을 때가 있다.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사용했다.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Date2020.06.1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516
    Read More
  14.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작년 추석에 올렸던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평소 올리는 대량 레시피가 늘 그렇듯이 언제나 일정한 맛이 나도록 두뇌풀가동했는데 하필 이 레시피를 올렸던 시기에 영리목적으로 자꾸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쪽지를 받게 된 바람에 게시글은 두고 레시피만 삭제했었다. 그렇게 그동안은 집에서 해먹기만 ...
    Date2020.06.15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11952
    Read More
  15. 된장찌개

    어제 올렸던 찌개맛된장으로 만드는 여러 된장찌개. 어제 올린 찌개맛된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평소 된장찌개 하면서 준비하는 재료를 좀 넉넉하게 준비하고, 조미료 좀 넣고 된장찌개를 만들면서 다음에 만들 재료를 미리 배합해 둔 다음 편하게 꺼내 쓰는 것과 똑같다. 편...
    Date2020.06.1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845
    Read More
  16. 찌개맛된장

    최근에 된장이 들어간 음식은 조림이나 볶음만 올리고 된장찌개나 된장국은 별로 올리지 않았는데 그동안 이러고 있었다. 된장찌개를 편하고 맛있게 할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여태 만든 된장찌개 레시피를 분석해서 공통점을 찾아서 염도를 계산하고 합하고 나누고 만들고 테스트하고, 시간은 잘 간다. ...
    Date2020.06.12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5371
    Read More
  17. 꽁치김치찜, 꽁치김치찌개

    꽁치김치는 도시락반찬으로 자주 해서 보내던거라 늦은 밤이나 새벽 바쁠 때에 만들다가 오랜만에 느긋하게 저녁 반찬으로 만들면서 사진을 찍었다. 캔꽁치 1개 (400그램) 묵은지 6분의1포기 (400그램) 김칫국물 반국자 물 300미리 (200미리부터 시작해서 상태보고 300까지, 찌개로 할 경우는 더 추가) ...
    Date2020.06.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3269
    Read More
  18. 고구마순 조림

    딱 제철일 때만 먹을 수 있는 고구마순을 볶음이나 조림으로 해서 먹으면 아삭하면서 달큰하니 맛있다. 고구마순 조림을 했으면 무와 당근, 애호박, 가지, 콩나물 등 만만한 채소로 나물을 해서 청포묵과 함께 비빔밥 먹기에 아주 좋다. 사용한 재료는 고구마줄기 데친 것 200그램 들기름 약간 멸치육수...
    Date2020.06.0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934
    Read More
  19. 기본 미역국, 고기없이 미역국 만들기, 레시피

    기본 미역국. 미역, 참기름, 마늘, 국간장, 물만 사용한 미역국 베이스이다. 오늘도 말이 많으니까 아래는 넘어가고 레시피부터 보면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렇게 단순하게 만든 미역국은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여러 재료를 넣어서 맛을 더한다. 조갯살, 가자미, 대구, 도다리, 캔참...
    Date2020.06.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02286
    Read More
  20.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부치고 계란물을 부어 포근하게 구워내는 두부계란부침.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편하게 만들기 좋다. 일상적인 반찬이지만 밥상이 괜히 허전할 때 아주 딱이다. 구운 두부를 계란물에 담그고 건진 다음 부쳐도 좋지만 구운 두부에 바로 계란물을 부으면 편하고, 계란도 넉넉해서 먹기 좋다. 두부를...
    Date2020.06.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68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