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7100.JPG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는데, 유독 부대찌개는 예외로 치는 것 같다.

가공식품 자체의 퀄리티보다는 전부터 부대찌개에 써 온 재료를 고집하며 원래 부대찌개의 맛은 이렇다고 하는데 내가 무뎌서 그런지 원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이름이 부대라서 그런가?

 

이는 전통적인 음식이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새로운 포맷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원론주의자가 강세인 것이 특징인데, 현대적으로 제창된 제사같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제삿상에는 무조건 필수적인 요소가 있으며 홍동백서 해야한다는 그런.. (=부대찌개에는 무조건 이 재료를 사용해야 원조고 제맛이다라는 그런..)

그냥 내 의견일 뿐이고 꼭 그 재료를 사용해야 더 맛있을 수도 있겠다.


역시 그냥 내 생각에는 평소에 맛있어서 좋아하는 소세지와 햄에 사골육수와 양념만 잘 사용해도 좋다 싶다. 특유의 맛도 중요하겠지만 소세지의 질감을 고려하자면 좋은 소세지도 얼마든지 더 잘 어울린다. 좋아하는 재료를 메인으로 하고 여러가지 햄과 소세지, 베이컨을 다양하게 사용하면 재미도 있고 맛있기도 하다.


베이크드빈스를 사용하면 파는 맛에 더 가깝다.

베이크드빈스는 영국의 아침식사에는 필수적이지만 내 경우는 부대찌개 외에 다른데 사용할 일이 없다보니 1캔 사서 부대찌개용으로 1스푼씩 소분해 냉동해서 사용했었다. 그런데 냉동실에 생각보다 오래 있게 되고 생각보다 소비가 되지 않아서 과감하게 생략했다. 부대찌개를 하려고 일부러 베이크드빈스를 사는 것은 좋지만 베이크드빈스가 없다고 맛있는 부대찌개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잡담끝)





재료는
소세지 3~4개 (후레시도프 사용)
비엔나소세지 10개 (도이치 비엔나 사용)
스팸 반 캔

라운드햄, 베이컨 각각 50~100그램

소고기민찌 50그램


양파 중간 것 반 개
대파 흰부분 1대
김치 2~3잎 (잘 익은 걸로)
체다치즈 1장
베이크드 빈스 1스푼

사골곰탕 육수 500미리 1팩
황태육수 1컵 (필요시 물 추가)


양념장으로
간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2티스푼
다진마늘 1스푼
다진대파 1스푼
미림 0.5스푼
설탕 약간 (소금뿌리듯이 아주 약간만)
후추 2번 톡톡


라면사리 1개


취향에 따라 감자당면, 라면사리, 떡, 마카로니, 물만두, 팽이버섯 등을 추가하면 적당하다.

소세지는 후레시도프, 비엔나는 도이치비엔나를 사용했고 라운드햄과 베이컨 민찌는 생략했다.



양념장은 미리 배합해두었다.


IMG_2163.JPG




소세지와 햄, 채소를 보기 좋게 깔고 김치, 치즈, 양념을 올리고 육수를 붓고 끓이다가 사리를 넣고 끓이면 끝이다.
먹기 직전에 간을 보고 짜면 물이나 육수를 조금 더 넣고, 싱거우면 조금 더 졸이면 되는데 부대찌개는 햄에 간이 있으니까 레시피대로 만들면 싱거울 일은 없는 편이다.


IMG_7083.JPG




IMG_7083-.jpg




육수 붓고

IMG_7097.JPG




IMG_7100.JPG



적당히 끓어오르면 라면사리를 넣었다.  부대찌개를 끓이기 시작할 때 불린 감자당면사리를 넣으면 더 좋다.

IMG_7117.JPG




IMG_7123.JPG




IMG_7125.JPG



햄과 소세지, 시판육수 등이 듬뿍 들어간 부대찌개는 맛있는 것이 당연하다.

라면사리도 맛있고 다 좋다.




  • 레드지아 2020.04.03 10:33

    어므나~~ 윤정님은 햄종류도 이쁜것만 사시네요~ ^^

    저는 맨날 사는 햄과 소세지가 거기서 거기여서 ㅠ 저런 비쥬얼이 안나올듯 ㅠ

     

    불량스러운것 언제나 맛있죠 ㅋㅋㅋ

    몸에 좋은건 왜 전 별로인지요 ㅠ

     

    뜨거운 흰쌀밥!! (꼭 흰쌀밥이어야 함) 부대찌개 얹어서 쓱쓱 비벼먹음...ㅠㅠㅠㅠㅠㅠㅠ

    진짜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를맛 ㅠㅠㅠ

  • 이윤정 2020.04.04 22:26
    코스트코 가서 그냥 좋아하는 걸로 대충 사놓고 어디쓰지 하다가 부대찌개도 하고 부대볶음도 하고 야채랑도 볶고 하는거라 별 생각 없어요ㅎㅎㅎ

    이런 음식들은 잡곡밥 보다 흰밥이 보드랍게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사실 잡곡밥이 어울리는 경우는 저는 잘 없어서ㅎㅎㅎㅎㅎㅎㅎ
    잡곡밥도 몸에 좋으니까 먹는 거지 그렇게 좋아하진 않아서요ㅎㅎ 엄마께서 잡곡 막막 안겨주시면 마지못해 가끔 해먹는데 열심히 해먹어야겠죠?
  • TR 2020.04.05 14:56
    부대찌개의 원론주의자 여기 있습니다요.ㅎㅎ
    참 좋아하거든요.
    햄 종류의 특징이라면 쫄깃하지 않고 뭉개지듯 좀 부드러운 질감이라는 거.
    그리고 독특한 향.
    스팸 아니고 튤립의 런천미트여야 그 맛이 나고요.
    콘킹 소세지 꼭 들어가야해요. 얇고 길게.
    그리고 대파는 어슷 말고 꼭 대파채로 길게.
    라면사리 아니고 우동사리.
    쑥갓 마늘 왕창 필수.
    다 끓고난 마지막에 불끄고 치즈가 아닌 바둑 빠다 한조각.

    요것이 80년대 초부터 용산. 충무로. 남영동 등지의 스테이크집 엄청 다녀본 저의 느낌!ㅎㅎㅎ
    놀부부대찌개 첨 나왔을때 라면사리와 치즈 토핑에 경악했었는데 이젠 라면이 기본된지 오래죠?ㅎㅎ

    집에서 끓여도 더 맛있게 되는 음식중의 하나인듯요.ㅋㅋ
  • 이윤정 2020.04.06 03:05

    그래서 글 올리기 전에 좀 찾아봤는데 60년대부터 시작되서 미군부대 근처의 지역에 따라도 다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 계속 있던 음식이더라고요. 시간과 공간 중 어디쯤 시점을 원조로 잡냐가 애매하죠. (그래서 더 제사 같고요ㅋㅋ)

    20~30년대생부터 2000년대생까지 다양한 지역과 연령의 사람들이 언젠가는 처음 먹어 본 경험이 있고 이후로 계속 먹어 온 음식이니까 마음 속에 원조 하나쯤은 있는 것 같아요ㅎㅎ 그런데 원조에 대한 의견도 많은지 이렇게하면 저렇게하면 제맛이 아니라는 참견 아닌 참견이 다른 음식에 비해 많은 음식이더라고요^^

    저한테 부대찌개는 천 년 역사를 가진 전통 음식도 아니고 누가 정한 것도 아닌데 왜 꼭 정해진 재료 그것을 넣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 60년대 방식 그대로 먹는다고 부대찌개며 2020년대 먹는 방식으로 먹는다고 부대찌개가 아닌건 아니다 싶기도 하더라고요. 그래서 더 자기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만들고 맛있게 먹으면 되는 음식 같고요.


    그런데 또 생각해보면 부대찌개를 좋아하긴 하지만 부대찌개에 각별한 감정이 없어서 그런가봐요.
    일면 이해는 되는 것이 누군가에게 각별한 음식일수록 더 그런 마음이 큰 게 당연하다 싶어서요.

    저한텐 그런 경우가 어떤게 있을까 생각해보니 유명하지는 않지만 티비에 몇 번 나온 요즘 계란만두 보면, 서동시장에서 파는 것도 그렇고 누군가 직접 만드는 것도 그렇고..
    예전 서동시장의 그 계란만두는 이게 아닌데 ㅠㅠ 하거든요ㅋㅋ

     

    그래도 요즘 방식의 다른 음식이 된 걸 보면 지금 많이들 이렇게 알고있고 앞으로도 또 이렇게 알게 되겠구나 생각해요.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69756 계란만두 글에도 이야기 했듯이요ㅎㅎ

  • TR 2020.04.08 15:32
    저는 계란 만두는 먹어본 적도 없으니 뭘 들이대도 재미나다 먹었을거예요.ㅋㅋㅋㅋ 사실 음식이 꼭 이래야 한다 하는 것도 참 피곤한 일이죠. 그나저나 윤정님 불고기 양념 왤케 맛있답니까? 기회되심 갈비 양념도 살짝 잠깐이라도 갈챠주심 영광일거예요. 분명 쟁여야할 양념이 틀림없을 듯! 왜 못봤을꼬.

    계란만두 보러 고고씽~
  • 이윤정 2020.04.09 02:33

    맛있게 조리하기 위해 이래야 한다는거랑 이렇게 안하면 그건 그 음식도 아니야 하는거랑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분명하니까 늘 그 적당한 선을 지키려고는 하는데 잘 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갈비양념이 불고기양념보다 더 맛있는 건 아니라도 갈비에 맞게 양념 만드는 과정도 조절하고, 그보다는 간조절을 더 정확하게 하느라고 고생한 레시피거든요.
    그런데 전에도 말씀드렸던 이유로 회의감이 들기도 하고 이거 이렇게 내 인생 갈아넣어도 부질없다 싶어서 허탈하기도 하고..
    생업하시는 분께까지 다 사용하시라 하기에는 제가 그정도로 마음이 넓지는 못했더라고요.
    제가 아껴서 못올리겠는 것은 안 올렸으면 안 올렸지 아무리 아껴도 일단 올린 레시피는 마음 내려놓고 올리는 것인데도요^^;
    TR님 궁금해 하시면 당연히 제 레시피 뭐 그리 비밀이라 아끼겠습니까ㅎㅎ
    확인하시면 그 다음에 댓글수정할게요^^

    총 2리터의 2.4%간장용액 = 간장 320미리
    (돼지고기 최소 600~ 최대 800곱하기 8분량 = 최소 4.8키로에서 최대 6.4키로 가능)

    배 아주 큰 것 1개 (중간 것 1.5개) = 600
    사과 아주 큰 것 1개 (중간것 1.5개) = 300
    양파 중간 것 2개 = 300
    대파 = 180그램
    마늘 = 120그램
    생강 1조각 = 30그램
    청주 100
    미림 100
    약불에 30분 푹 끓이기
    배 사과 등이 적당히 익어서 꽉 짰을 때 수분이 꽉 나올 수 있도록.
    + 체에 거르기

    간장 320
    설탕 240
    후추 1스푼
    산들애 16그램 (고기800그램당 2그램분량)


    과일과 채소를 갈아서 면포에 거르기 + 간장 설탕 후추
    간장 설탕을 넣은 다음 무게 재보고 나머지를 물이나 육수로 채워서 2000미리에 맞추기

  • TR 2020.04.09 11:14
    우와~~♡♡♡♡♡윤정님,캡쳐했어요~
    실례 무릅쓰고 여쭌건데 이리 흔쾌히~오늘 집앞에 ㅂ핀 벚꽃은 더 이뻐 보여요. 넘 감사해요~

  1.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아이스크림. 작년에는 엄마께 블루베리를 과하게 받아서 블루베리가 넘쳐났다. 작년에 냉동해 둔 블루베리를 이제야 겨우 다 소진했는데 ...
    Date2020.07.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695
    Read More
  2. 가지 소불고기

    구운 가지와 소불고기를 함께 볶아서 만들었다. 가지 절이고 수분제거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굽는데 30분 이상이고 (절이는 시간 제외), 불고기는 (미리 만들어 둔 양념 만드는 시간 제외) 5분 만에 완성이라 메인인 불고기는 금방인데 가지 때문에 이렇게 시간 많이 들여야 하나 싶은 마음에 약간 욱하...
    Date2020.07.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849
    Read More
  3. 제육양념으로 오징어볶음

    미리 만들어 둔 제육볶음 양념장에 오징어와 채소를 볶았다. 미리 만들어 둔 제육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75442 간장 2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00그램 마늘 100그램 대파 150그램 미림 100그램 후추 약간 2~3그램 고추기름 25그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
    Date2020.07.1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890
    Read More
  4. 찌개맛된장으로 간단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서 레시피를 올렸었다. 평소에는 저울이고 뭐고 그냥 대충 해먹는다. 찌개맛된장을 해놓으니까 된장찌개 끓이는 게 아주 편해서 예전보다 더...
    Date2020.07.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328
    Read More
  5. 갈비찜, 소갈비찜, 레시피, 양념

    요즘 베트남요리를 자주 하는 편인데, 베트남에서 소는 bo, 돼지고기는 heo 라고 한다. 그런데 음식 이름에 heo가 붙는 건 별로 없다(있긴 있음). 소고기를 사용하면 꼭 bo를 붙히면서 돼지고기를 사용하면 heo를 생략하는 경우가 종종 다. (중국에서도 그렇다고 한다.) 한국에서 갈비찜하면 디폴트가 ...
    Date2020.07.11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2299
    Read More
  6. 얼갈이 된장국, 시락국

    얼갈이(단배추)를 데쳐서 푹 끓인 된장국. 우거지나 시래기등을 불리고 삶아서 사용해서 우거지된장국이나 시락국을 만들어도 좋다. 충무김밥에 제 짝이다. 멸치황태육수와 찌개맛된장을 사용해서 얼갈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끓였다. 멸치황태육수 대신에 사골국을 사용해도 좋다. 가장 좋아하는 건 ...
    Date2020.07.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7426
    Read More
  7. 함박스테이크

    작년에 올린 함박스테이크와 똑같이 만들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3959 매번 똑같이 만드니까별로 할 이야기가 없어서 작년에 올린 내용을 복사해왔다. 사용한 재료는 함박스테이크 약 18~20개 분량으로 (개당 200그램) 소고기 다짐육 2키로 돼지고기 다짐육 1키로 양파 큰 것 4개 약 1키...
    Date2020.07.0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948
    Read More
  8. 삼계죽, 닭죽, 닭백숙, 삼계탕, 만들기, 재료, 레시피

    복날이나 보양식이라는 개념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고, 왜 하필 더울 때 이렇게 푹 끓여야 하는 음식을 시기적절하게 삼아 왔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삼계죽. 닭한마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0537 제목은 그냥 이것저것 다 넣어봤다. 삼계탕을 먹으러 가면 일단 뼈를 전부 ...
    Date2020.07.0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9507
    Read More
  9. 닭도리탕

    닭도리탕. 대충 만들어도 밥상의 메인이 되니까 밑반찬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재료를 준비한 다음 냄비재료를 차곡차곡 시간에 맞춰 넣고 끓이고 졸이는 음식이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 1키로 황태육수 3컵 고운고춧가루 30그램 고추장 30그램 간장 30그램 다진마...
    Date2020.06.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969
    Read More
  10. 육전 만들기, 레시피

    고기에 밑간하고 계란물 입혀 구우면 끝인 육전. 그런데 그냥 말을 많이 해봤다. 맛있는 고기는 보통 소금간만 딱 해서 좋은 불에 구워먹는 것을 최고로 친다. 같은 이유로 육전을 할 때는 고기에 어떤 양념을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고기를 사용하는 지가 육전의 맛에 그대로 반영된다. 맛...
    Date2020.06.2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529
    Read More
  11. 참치미역국, 참치미역죽

    기본 미역국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앞서 올린 기본 미역국을 사용할 때 가장 만만하고 편하면서 또 가장 맛있는 조합이 참치미역국과 참치미역죽이다. 참치미역국 재료 (2인분) 기본 미역국 2인분 참치 250그램 1캔 국간장 약간, 물 적당량 참치미역죽 재료(2인분) 기본 미역...
    Date2020.06.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7853
    Read More
  12. 순대떡볶이

    떡볶이소스를 대체 몇 번을 다시 올리는지 모르겠지만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물엿 1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취향에 따라 50~200) 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매운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후추는 ...
    Date2020.06.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506
    Read More
  13. 찌개맛된장으로 된장라면

    찌개맛된장으로 편하게 만드는 된장라면. 단골 고깃집에서 고기 먹고 된장라면을 꼭 먹는데 고기는 별로 먹고 싶지 않고 이 된장라면을 꼭 먹고 싶을 때가 있다.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사용했다.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Date2020.06.1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354
    Read More
  14.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작년 추석에 올렸던 돼지갈비양념 레시피. 평소 올리는 대량 레시피가 늘 그렇듯이 언제나 일정한 맛이 나도록 두뇌풀가동했는데 하필 이 레시피를 올렸던 시기에 영리목적으로 자꾸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쪽지를 받게 된 바람에 게시글은 두고 레시피만 삭제했었다. 그렇게 그동안은 집에서 해먹기만 ...
    Date2020.06.15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13433
    Read More
  15. 된장찌개

    어제 올렸던 찌개맛된장으로 만드는 여러 된장찌개. 어제 올린 찌개맛된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평소 된장찌개 하면서 준비하는 재료를 좀 넉넉하게 준비하고, 조미료 좀 넣고 된장찌개를 만들면서 다음에 만들 재료를 미리 배합해 둔 다음 편하게 꺼내 쓰는 것과 똑같다. 편...
    Date2020.06.1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639
    Read More
  16. 찌개맛된장

    최근에 된장이 들어간 음식은 조림이나 볶음만 올리고 된장찌개나 된장국은 별로 올리지 않았는데 그동안 이러고 있었다. 된장찌개를 편하고 맛있게 할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여태 만든 된장찌개 레시피를 분석해서 공통점을 찾아서 염도를 계산하고 합하고 나누고 만들고 테스트하고, 시간은 잘 간다. ...
    Date2020.06.12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7414
    Read More
  17. 꽁치김치찜, 꽁치김치찌개

    꽁치김치는 도시락반찬으로 자주 해서 보내던거라 늦은 밤이나 새벽 바쁠 때에 만들다가 오랜만에 느긋하게 저녁 반찬으로 만들면서 사진을 찍었다. 캔꽁치 1개 (400그램) 묵은지 6분의1포기 (400그램) 김칫국물 반국자 물 300미리 (200미리부터 시작해서 상태보고 300까지, 찌개로 할 경우는 더 추가) ...
    Date2020.06.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628
    Read More
  18. 고구마순 조림

    딱 제철일 때만 먹을 수 있는 고구마순을 볶음이나 조림으로 해서 먹으면 아삭하면서 달큰하니 맛있다. 고구마순 조림을 했으면 무와 당근, 애호박, 가지, 콩나물 등 만만한 채소로 나물을 해서 청포묵과 함께 비빔밥 먹기에 아주 좋다. 사용한 재료는 고구마줄기 데친 것 200그램 들기름 약간 멸치육수...
    Date2020.06.0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7496
    Read More
  19. 기본 미역국, 고기없이 미역국 만들기, 레시피

    기본 미역국. 미역, 참기름, 마늘, 국간장, 물만 사용한 미역국 베이스이다. 오늘도 말이 많으니까 아래는 넘어가고 레시피부터 보면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렇게 단순하게 만든 미역국은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여러 재료를 넣어서 맛을 더한다. 조갯살, 가자미, 대구, 도다리, 캔참...
    Date2020.06.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26395
    Read More
  20.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부치고 계란물을 부어 포근하게 구워내는 두부계란부침.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편하게 만들기 좋다. 일상적인 반찬이지만 밥상이 괜히 허전할 때 아주 딱이다. 구운 두부를 계란물에 담그고 건진 다음 부쳐도 좋지만 구운 두부에 바로 계란물을 부으면 편하고, 계란도 넉넉해서 먹기 좋다. 두부를...
    Date2020.06.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87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