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891.JPG


새해나 설날에 먹는 떡국.


전국적으로 다 같이 떡국을 먹는 날은 설날이지만 떡국의 본격 시즌은 설날 이후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2001년 자취시절부터 지금까지) 매해 설날이면 엄마께서 떡국떡을 어마어마하게 챙겨주시기 때문..


설날 당일에는 늘 본가에 가서 떡국을 먹으니까 설에는 우리 집에서 떡국 먹을 일이 없고 엄마께 받아온 떡국떡을 냉동하기 직전에 신선한ㅋㅋ 떡국떡으로 떡국을 먹는 지금이 제일 맛있다. (까지 쓰고 2주가 지났다. 지금은 떡국떡은 전부 냉동해둔 상태이다.)


떡국이야 자주 먹는 편인데다가 대충 만들어서 대충 먹어도 맛있지만 오랜만에 냉동떡이 아닌 떡을 사용해서 만든 김에 사진도 찍고 말도 많이 하기로 했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황태육수 500그램

사골육수 500그램

떡국떡 450그램

국간장 1티스푼

소금 약간 (필요하면)

후추 약간


고명으로

소고기 다짐육 100~200그램

간장 약간 (0.2티스푼정도), 후추 약간

계란 2개, 소금 약간

대파 흰부분 반대





떡국이야 지역마다 집집마다 다르지만 우리집은 겨울이면 들통으로 끓여두시는 엄마의 곰탕국물에 탕국에 사용하려고 우린 소고기육수와 멸치황태육수를 사용한다. 간은 약간 심심하게 하고, 떡국떡은 쫄깃한 느낌없이 적당히 붓도록 끓이는데 그러면 자연스럽게 국물에도 적당히 농도가 생긴다. 여기에 고명은 계란, 고기, 김, 대파를 사용하는데 어릴 때부터 그렇게 먹어왔고 여태껏도 이렇게 만들고 있다. 설날 아침에 떡국이라면 꼬박꼬박 두그릇씩 먹었던 기억이 난다.


결혼하고 나서는 가족 취향을 고려해서 떡만둣국을 가장 자주 해먹지만 그래도 가끔은 만두 없이 내 입맛에 딱 맞게 떡국이 땡길 때가 있다.



육수는 황태육수에 소고기를 넣고 푹 끓인 소고기황태육수나 멸치육수, 사골육수 등 취향에 맞게 사용하는데 어릴 때부터 먹던 대로 황태육수+소고기/사골육수 반반을 가장 좋아한다.


여태 찬물에 떡국떡을 불렸는데 생각해보니 육수도 어차피 찬 것이고, 떡국떡도 어차피 육수에 넣고 끓일거니까 육수에 떡국떡을 30분이상 불렸다.

그동안 떡에도 간이 조금 배어서 더 나은 것 같다.



과정은

육수내기, 찬 육수에 떡 불리기

계란지단부치기 ( 마르지 않게 뚜껑 닫기)

대파 흰부분 아주 잘게 썰기

김 자르고 마른팬에 덖기

소고기고명 볶기 (볶은 다음에는 그릇에 옮겨서 뚜껑 닫아두기)

떡국 끓이기

국간장 약간에 소금간으로 마무리하기

후추 약간

그릇에 담고 고명 올리기



먼저 육수에 떡을 불렸다.

크기변환_IMG_4853.JPG




계란지단이 같은 모양으로 가지런 한 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가족이 얇은 것도 좋다고 해서 얇게 지단을 부쳤다.


1. 계란은 소금을 뿌려서 미리 풀어두기. 소금을 뿌려서 미리 풀어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더 묽어진다.

2. 체에 거르기 (체에 거르기 귀찮으면 소금을 미리 넣고(단백질 분해) 알끈 제거하기)

3. 팬을 골고루 달구기, 기름 닦기

4. 팬에 계란물 붓자마자 팬 들어서 돌리기

5. 뒤집은 다음에 바로 꺼내기. 팬의 여열에 익으면 단단해짐.

6. 지단 길이를 고려해서 적당히 자르기

7. 돌돌 말아서 최대한 얇게 썰고 풀기


계란 2개로 두 번 구울 정도로 얇게 부쳤다.


크기변환_IMG_4843.JPG




크기변환_IMG_4845.JPG




크기변환_IMG_4849.JPG



지단이 완전히 식으면 적당히 잘라서 돌돌 감고

크기변환_IMG_4856.JPG



가늘게 썰었다.

크기변환_IMG_4861.JPG



돌돌 감긴 것은 가볍게 풀고 그릇에 담아 마르지 않도록 뚜껑을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4863.JPG

 


소고기 다짐육은 뒤지개를 들고 세워서 덩어리를 쪼개가며 열심히 볶았다. 간장을 아주 약간 넣고 볶다가 후추도 약간 넣어서 볶았다.

익은 고기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방 겉면이 마르니까 그릇에 옮겨 담아서 뚜껑을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4852.JPG



대파 흰부분은 최대한 가늘게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4868.JPG



김은 자른 다음에 마른 팬에 넣고 덖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4873.JPG




그동안 육수에 불은 떡은 그대로 인덕션에 올려서 끓이기 시작했다.

국간장 약간으로 간을 하고 싱거우면 소금간으로 입맛에 맞게 간을 하는데 90%정도 느낌으로 약간 싱겁게 간을 한 다음 여러 고명을 올려서 먹으면 간이 딱 맞다.


크기변환_IMG_4853.JPG



떡국떡이 떠오르면 잠시 불을 끄고 10분정도 둔 다음에 한 번 더 끓였다.

(이 부분은 가풍이나 취향에 따라 다른데 일부러 맑은 국물의 떡국을 하려고 떡국떡을 따로 데치고 건쳐서 따로 끓여서 간을 한 육수에 넣고 완성하는 곳도 있다. =고모네집)

하지만 나는 국물에 농도가 있는 것을 좋아해서 일부러 이 상태에서 불을 끄고 10분정도 둔 다음


크기변환_IMG_4865.JPG



밥상에 가지고 가지 직전에 한 번 더 끓여서 떡도 부드럽게 하고 국물에도 농도를 냈다.


크기변환_IMG_4869.JPG



이 정도 느낌.

크기변환_IMG_4874.JPG



그릇에 떡국을 담고 후추를 약간 뿌리고

크기변환_IMG_4877.JPG



준비한 고명을 올리면 끝.

크기변환_IMG_4891.JPG




크기변환_IMG_4911.JPG


떡국만 보면 아주 평범한데 여러 고명을 올리면 특별해진다.

육수에 녹아든 여러 고명이 쫀쫀하면서도 보드라운 떡과 함께 한 입에 들어가면 당연히 맛있고, 익숙한 음식의 편안한 조화로움이 느껴진다.



  • 레드지아 2020.02.11 09:45

    와~~~ 4가지 색의 고명이 정말 아름다워요!! ^^

    육수에 떡을 불리는게 킥이군요!!

    전 찬물에 불렸는데 육수에 불리는게 더 맛있을거 같네요!!!!

     

    계란지단 채 썰은 모습이 정말정말 예뻐요!!! ^^

    얇고 노랗게 부치고 또 그것을 가늘게 채썰어야 하니 뭐 하나 가볍게 넘어갈수 없는 지단채입니다 ㅋㅋㅋ

  • 이윤정 2020.02.12 02:54
    이번에 처음으로 육수에 떡을 불려봤는데 생각보다 편하고 말이 되는 방식이라 앞으로 계속 이렇게 해야겠다 싶었어요^^
    떡국에 각종 고명이 가늘고 곱게 듬뿍 들어가면 떡국보다는 고명국ㅋㅋㅋ 같은거가 되고 저는 또 그게 맛있더라고요ㅎㅎㅎㅎ
  • 땅못 2020.02.12 17:06
    저희도 설 전에 떡을 새로 빼면 설 이후로 떡국을 자주 먹어요. 윤정님의 풍부한 고명을 올린 떡국을 보면 간소하게 희멀건 저희집 떡국이 쬐끔 부끄럽지만 ㅋㅋㅋ 꾸미 만들어두고 파만 후닥닥 썰어 넣고 떡국 끓이면 너무 간편해서 좋아요. 윤정님의 얇고 고운 지단& 손으로 잘랐다는 부분에서 헉한 김고명을 보며 오늘도 마음의 피스를 얻습니다 ㅋㅋㅋ 언제나 맛도 보기도 넘넘 좋아요 ㅎㅎ 오늘 비가 많이 오네요. 따끈한 국 생각나니 저도 오랜만에 지단(! 평소는 잘 안함 ㅋㅋㅋ) 부쳐서 예쁘게 떡국해야겠어요. 감기 조심하시고 늘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20.02.13 03:29
    설날에는 가족 다 모여서 먹어야 하니 집에서 떡국 자주 먹게 되는 건 늘 설 이후인 것 같아요^^ 떡국이야 원래 다 희멀건거 아닌가요ㅎㅎ 저도 희멀건데요ㅎㅎㅎㅎㅎ
    저도 귀찮을 때는 전부 다 넣어서 끓이는 경우가 더 많아요. 그런데 그런날은 꼭 사진 찍을 겨를도 없더라고요.
    좀 여유있어야 고명도 하나하나 준비하고 사진도 찍고 홈페이지에오 올리고 하는거죠^^
    늘 대충 해먹는 떡국도 또 가끔 공들이면 잘 해먹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좋더라고요.
    땅못님도 감기 조심하시고 저도 늘 감사한거 아시죠?ㅎㅎㅎ
  • TR 2020.02.12 20:36
    엄청나네요!윤정님!
    경상도식 떡국은 정말 고명이 중요한 듯!
    멸치 육수로 보통 하던데 윤정님 댁은 세 가지 육수 섞는군요!
    저희는 설에는 주로 만두국에 떡은 는둥만둥이예요!^^
  • 이윤정 2020.02.13 03:33
    곰탕이야 겨우내내 냉동실에 있고 나머지 육수 빼는건 설날이니까 당연히 탕국을 해야 하고 그러다보니 엄마께서 그렇게 해주셨던 것 같아요.
    나이들고 떡국 먹으면서 여쭤보니 여태 먹어놓고 그것도 몰랐냐며ㅋㅋㅋㅋ
    고명도 딱 이렇게 올려서 해주셨는데 이게 당연한거고 중요하다고는 생각도 못했어요ㅎㅎ
    저는 떡국에 만두 넣는 걸 스무살 넘어서 처음 봤거든요. 넘 신기했어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64 밥류 대패삼겹살 김치볶음밥 이번에 새로 구매하고 잘 시즈닝한 무쇠냄비가 전이건 구이이건 두루두루 너무 말을 잘 들어서 여기에 볶음밥도 만들었다. 원래 쓰던 무쇠후라이팬보다 볶음밥이 ... file 이윤정 2020.04.11 5772
863 밥류 참치마요덮밥, 스팸마요덮밥 미리 덮밥소스와 마요소스를 만들어 두니 만들기가 편하다. 미리 만드는 소스도 간단한 버전이라 금방 만든다. 덮밥소스 마요소스 만들기 -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4.10 7354
862 일상 물떡 만들기, 시판 소스를 사용한 간단버전 (아주 별 것 아니지만 말 많음 주의) (만드느니 사 먹는 게 나음 주의) 어릴 때부터 좋아한 물떡. 오뎅탕 끓여서 떡 넣으면 물떡이겠지만 그래도 물떡에 각별한 ... 10 file 이윤정 2020.04.08 10211
861 전골 탕 부대찌개 레시피, 양념, 재료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 7 file 이윤정 2020.04.02 6473
860 밥류 소고기우엉밥 우엉밥은 밥을 지을 때 우엉을 넣어 솥밥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인데 그렇게 만들지는 않았다. 쫀득쫀득한 우엉조림을 좋아하니 우엉조림은 따로 만들어서 넣고, ... 2 file 이윤정 2020.03.31 5688
859 소스 분말떡볶이, 떡볶이분말 레시피, 떡볶이 가루 만들기, 소스 분말떡볶이. 사용한 재료는 자일로스 설탕, 고운고춧가루, 간장분말, 산들애 국내산한우, 오뚜기후추이다. 간장분말 구매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 10 file 이윤정 2020.03.27 19238
858 고기 항정살수육, 레몬양파절임 항정살로 수육을 만들고 고기에 어울리는 여러가지 반찬을 준비했다. 미리 만들어 둔 무말랭이무침과 명이장아찌도 꺼내오고 레몬양파절임도 준비하고 상추무침도... 2 file 이윤정 2020.03.27 5365
857 한접시, 일품 순대구이 만들기, 레시피, 부산 동해옥 순대구이. 순대+국밥집인 동해옥의 방식으로, 고기순대를 채소와 함께 팬에 굽고 양념과 함께 곁들여 먹는 것이다. (당면순대나 찰순대X) 지금은 동해옥인데 사하... 6 file 이윤정 2020.03.22 7913
856 한접시, 일품 고기떡볶이, 떡볶이 소스, 양념 레시피 여태 떡볶이양념은 수도 없이 올렸지만 그 이상으로 떡볶이를 수도 없이 해먹었다. 떡볶이가 왜 그렇게 좋냐고 물으신다면 저도 모르겠어요.. 떡볶이 양념은 늘 ... 23 file 이윤정 2020.03.20 14194
855 전골 탕 차돌두부두루치기, 차돌두부찌개 얼마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에서 대창 대신에 차돌박이를 사용한 버전이다. 구매하기 번거로운 곱창 대신에 어디... 4 file 이윤정 2020.03.18 8626
854 반찬 배추전, 양념장 겨울에 가끔 부쳐먹던 소박한 배추찌짐이다. 우리집에서는 제사에 올리지 않은 전이라서 평소에 가끔 먹었었다. (우리집 기준) 담치정구지찌짐같은 소울푸드도 아... 4 file 이윤정 2020.03.16 24745
853 일상 소고기 라면전골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8키로 산 김에 부지런히 샤브샤브나 수제비, 전골, 불고기 등을 만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만만한 라면전골. 전에 올린 라면전골은 특... 2 file 이윤정 2020.03.14 5492
852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엄마께서는 철마다 고구마, 마늘, 당귀, 죽순, 비트, 표고버섯, 굴, 블루베리 등 패턴 없이 이것저것에 막 꽂히시는데 요즘 시즌은 콜라비와 박대이다. 꽂히셨다 ... 2 file 이윤정 2020.03.13 3570
851 고기 김치제육볶음, 김치두루치기 제육볶음 진짜 지겹게도 많이 올렸는데 라고 생각하고 찾아 보니 고기 부위별로도 여러가지 이고, 양념이 바특하면 토핑도 얹고, 촉촉하면 당면이니 국수니 사리... 2 file 이윤정 2020.03.11 7836
850 일상 양념치킨소스 맛살볶음 원래 술은 좀 먹는 편이지만 안주는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그나마 술안주를 준비할 때가 있다. 술상을 차려놓고 먹는 경우는 아예 없고 간단하게 스낵 정도 먹지... 4 file 이윤정 2020.03.09 2765
849 한접시, 일품 맛된장 소고기두부조림 먼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5회분량으로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 4 file 이윤정 2020.03.08 4584
848 한접시, 일품 도제 유부초밥식 여러가지 유부초밥 만들기 소불고기 / 소불고기 / 소고기강된장 / 참치마요+김치참치 / 스팸 / 계란 / 맛살와사마요 / 아보카도 치즈김치제육 / 치즈닭갈비 / 닭갈비 / 제육 / 김치제육 / ... 6 file 이윤정 2020.03.06 31468
847 한접시, 일품 맛된장으로 된장닭구이 닭다리살을 사용한 맛된장 닭구이. 닭다리살과 대파는 각각 따로 구운 다음 맛된장에 버무려서 최종적으로 한 번 더 굽고 불맛을 더했다. 얼마전에 올린 맛된장 ... 4 file 이윤정 2020.03.03 4514
846 한그릇, 면 치킨마요 만들기, 치킨마요덮밥 만드는법 밥에 닭튀김, 계란지단, 덮밥소스, 마요소스, 자른김, 쪽파를 올린 치킨마요덮밥. 그저께는 덮밥소스를 올렸고 어제는 계란지단을 올렸는데 이게 다 치킨마요에 ... 2 file 이윤정 2020.02.29 5780
845 소스 덮밥소스, 마요소스 만들기, 한솥 치킨마요 소스, 데리야끼 소스 레시피 한솥도시락에서 덮밥시리즈를 사먹으면 들어있는 덮밥소스와 마요소스를 만들었다. 오랜만에 한솥 치킨마요를 사먹었는데 소스를 보니 덮밥소스는 물 간장 기타과... 10 file 이윤정 2020.02.27 3253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