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759.JPG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이다. 

지금 보니 제목에 김치참치볶음밥을 쓴 것이 5년만이다. 아주 일상적인 볶음밥이라 일상적인 게시글 여기저기 껴서는 올렸어도 일부러 이것만 따로 올릴 일이 거의 없었는데 바특하게 만드는 이야기는 안해 본 것 같아서 오랜만에 따로 분리해봤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김치도 참치도 수분이 많은 재료이기 때문에 김치참치볶음밥은 질척해지기 십상인데 이 볶음밥이 질척이지 않는 포인트는 김치와 참치 각각의 수분을 잡는 것이다.


먼저 참치. 전부터 자주 이야기 했듯이 참치의 수분이 없어야 하는 음식에는 https://homecuisine.co.kr/hc10/70806 이렇게 먼저 캔 참치를 전부 팬에 넣어서 볶아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김치. 김치는 취향에 따라 국물을 꽉 짜고 볶아도 좋은데 김치볶음밥에 김칫국물이 적당히 들어가서 간이 된 것도 좋아하고 김치가 푹 익은 것도 좋아해서 김치를 따로 조리했다. 김치에 물을 약간 붓고 뚜껑을 덮어서 마음에 들도록 익힌 다음 뚜껑을 열고 식용유를 약간 붓고 볶아서 수분을 거의 다 날려서 사용했다.


따로따로 수분이 날아간 상태로 볶음밥을 하니까 볶음밥이 질척하지 않으면서 김치는 취향에 딱 맞는 정도로 익히고 참치는 기름과 육즙을 그대로 익히니까 맛도 풍성해서 완성한 볶음밥의 상태가 아주 적절해진다.


tmi. 레시피는 2인분인데 위 사진은 밥이 모자라서 밥 외의 재료만 2인분이고 밥만 1.5인분인 상태이다. 김치참치볶음밥은 밥이 적을수록 볶음밥이 더 질척해지는데 밥이 적어도 전혀 질척하지 않고 고슬고슬하게 잘 완성된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하려니까 왠지 좀 웃긴데ㅋㅋ 어쨌든 그렇다ㅎㅎ



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김치 4~5잎 (크기에 따라)
다진마늘 0.5~1스푼
고운고춧가루 약간
캔참치 250그램 1캔
대파 1대 넉넉히
밥 2그릇
소금, 후추, 참기름


이 끝이다. 간단하다. 마지막에 간을 보고 부족한 간을 할 때 소금 대신 맛선생이나 다시다로 간을 하면 더 사먹는 맛에 가깝다.

볶음밥에 간장이나 굴소스도 자주 사용하는 편이지만 김치볶음밥에는 가루조미료가 좀 더 잘 어울린다. (사먹는 맛)

신선하고 바스락바스락한 맨 김으로 볶음밥을 싸서 먹으면 완전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밥은 미리 고슬고슬하게 지은 다음 바로 일궈서 김을 빼고 식힌다. 이번에는 전날 먹고 남아서 냉장고에 넣어 둔 식은 밥을 사용했다.



위에도 이야기했듯이 아삭아삭하게 볶은 김치 말고, 푹 익은 김치를 넣은 볶음밥이 좋아서 김치에 물을 약간 붓고 푹 익혔다.

김치는 잘게 썰면 더 금방 익는데 도마 쓰기가 귀찮아서 가위로 대충 잘라서 사용했다.


김치에 김칫국물을 몇 스푼 넣고 물 약간 붓고(불에 세기 따라서 물 조절), 고운고춧가루와 다진마늘을 각각 0.5~1스푼 정도 넣고 뚜껑을 덮어서 중불로 10분정도 익혔다.


(익히는 중)

크기변환_IMG_4728.JPG



수분이 거의 없어지면 뚜껑을 열고 식용유를 약간 넣고 남은 수분을 날려가며 3~5분정도 바특하게 볶았다.

크기변환_IMG_4730.JPG


이 상태에서 김치 간을 봐서 너무 새콤하면 설탕을 조미료 뿌리듯이 약간 넣어도 좋다.



그동안 계란은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튀기듯이 구워두었다.

기름을 넉넉하게 두른 팬에 계란을 넣고 가장자리가 짜글짜글하게 구워지면 뜨거운 기름을 숟가락으로 떠서 계란 위에 몇 번 뿌려주면 흰자는 익고 노른자는 그대로다.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ad61bd7394464734f6ec8cb90ee3881f.JPG 



인데 노른자가 터져서 윗면 전부에 기름을 끼얹으면서 구웠다.

크기변환_IMG_4740.JPG



뒷면.

크기변환_IMG_4744.JPG




다른 팬에 참치 250그램 한 캔을 전부 넣고 참치가 바특해지도록 볶다가 잘게 썬 대파도 듬뿍 넣고 함께 볶았다. 

크기변환_IMG_4727.JPG



잠시 불을 끄고 여기에 미리 지어서 식힌 밥을 넣고 밥의 낱알이 분리되도록 잘 비빈 다음 

크기변환_IMG_4731.JPG



다시 불을 켜서 달달 볶다가

크기변환_IMG_4732.JPG



미리 푹 익히고 바특하게 볶은 김치를 넣고 잘 비벼가며 볶았다.

크기변환_IMG_4735.JPG



크기변환_IMG_4738.JPG


간을 보고 필요하면 소금간을 약간 하고 후추와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마지막으로 조금 더 볶으면 완성.



크기변환_IMG_4752.JPG




크기변환_IMG_4754.JPG



짜글짜글하게 구운 계란 후라이를 얹으면 딱이다.


크기변환_IMG_4759.JPG


잘 익은 김치가 먹기 딱 좋고,  참치도 듬뿍 들어간 볶음밥이 질척하지 않고 바특하니 맛있다.


한국사람답게 김치볶음밥에 잘 익은 김치를 얹어서 먹었다. 역시 더 맛있다ㅎㅎ



  • 땅못 2020.01.26 15:41

    참치를 이렇게 볶아서 사용하는 방법을 홈퀴진에 막 왔을 때 배우고 정말 많이 활용한 것 같아요!! 저는 늘 참치의 기름맛이 좋은데 다 쓰자니 질척하고 꾹짜서 쓰자니 퍽퍽하기만 한 것 같고 그랬거든요. 윤정님께 이 방법을 배우고 나서는 진짜 참치에 대한 애정이 두배는 더 커진 것 같아요! 비빔밥할 때도 이렇게 해 쓰니 최고였고 카나페랑 샌드위치도 이렇게 해서 넣었었는데.... ㅠㅠ 넘나 똑똑이 윤정님이시다!!! 참치도 참치인데 미친듯한 계란후라이를 보니 이건 꼭 해야겠다 싶습니다 ㅎㅎ 명절은 잘 보내셨나요? 내일까지가 연휴인데 저는 설 당일까지는 준비하고 사람맞느라 정신이 없었어요. 제사를 저희 집에서 해서 ㅠㅠ... 몇끼는 이제 해 놓은 걸로 퉁치려고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많이 받으시고 늘 맛있고 똑똑한 레시피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구정이 지나면 진짜 본격적으로 한 해를 시작하는 느낌이 들어요. 올해도 행복한 일 많이 많이 생기기를 바라면서 작년처럼 홈퀴진에서 또 많이 배워갈게요! 싸랑합니다>0<!!

  • 이윤정 2020.01.29 03:54
    저도 참치 기름맛을 좋아해서ㅎㅎㅎ 이거 짜서 버리면 참치 맛은 어쩐다냐ㅠㅠ 했었거든요. 말씀대로 그렇다고 버지리 않으면 질척하고.. 그러다가 발상의 전환을 한 번 하니까 여기저기 마음에 들기 정말 잘 써먹고 있어요. 저도 비빔밥도 넣고 샌드위치에도 넣는데 완전 찌찌뽕이고요ㅎㅎㅎㅎ

    제가 댓글을 넘 늦게 단 것 같은데ㅠ 설 잘 보내셨나요? 차례나 제사는 손님 치르는 일이 가장 큰 것 같아요. 손님 치른다고 고생 많으셨어요. 저도 제사라믄 지긋지긋ㅠㅠ

    설날 지나니 이제 곧 2월이네요.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빨리 가는 것 같아요. 그러니 더 정신차려야겠습니다ㅎㅎㅎ 저도 싸..사.. 좋아해요!
  • 레드지아 2020.02.10 11:31

    헐 5년만이라니!!! 그렇군요!!!

    예~~전에 참치통조림 처음 나왔을때엔 어찌나 참치통조림이 맛있던지!!

    학교 도시락에 참치통조림만 싸오는 친구들도 있었을정도로 선풍적인기였죠

     

    지금은 명절때 선물박스에 들어오곤 하지만 들어와도 솔직히 찬밥신세인 참치 통조림 ㅠㅠㅠ

     

     

    윤정님의 참치김치볶음밥보니 저도 참치김치볶음밥이 너무너무 먹고 싶어졌어요 ^^

  • 이윤정 2020.02.12 02:45
    참치통조림이 처음 나왔을 때라니 완전 신세계가 펼쳐지는 때 아닙니까.
    저도 도시락 싸가면서 참치 통조림 한 개 더 싸가면 정말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나요. 8살 때 뚜껑에 베어서 엉엉 울었던 기억도 나고요ㅎㅎㅎ
    저는 참치 통조림 한캔 한캔을 귀하게 여깁니다ㅎㅎㅎ
    참치김치가 이름에 같이 들어있으면 찌개건 볶음이건 볶음밥이건 다 너무 맛있어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 밥류 참치김밥 참치김밥 5~6줄 김밥용김 9장 쌀 2.5컵 (180미리계량컵) 소금, 식초, 설탕, 참기름 참기름, 깨 1. 참치 250그램 1캔, 마요네즈 2. 깻잎 20장 3. 계란 4~5개 4. 당... file 이윤정 2022.11.08 4996
97 밥류 안심 육전, 육전 초밥 육전은 고기가 맛있어야 맛있고 나머지 간은 편하게 맛소금으로 하면 효율이 좋고 그렇다. 예전에 올린 안심 육전에서 https://homecuisine.co.kr/hc10/100823 육... 3 file 이윤정 2022.08.05 4319
96 밥류 감자밥, 카레라이스 감자 넣고 밥하고 카레를 만든 다음 밥과 카레에 치즈를 얹은 카레라이스 한그릇으로 단출한 밥상. 감자밥 (2~3인분) 쌀 180미리컵으로 1.5컵 물 300그램 감자 중... 3 file 이윤정 2022.07.27 5796
95 밥류 참치야채비빔밥 아직 조금 춥긴 해도 날이 많이 풀려서 그런지 아삭한 생야채가 땡기는 요즘 편하게 만들어 먹기 좋은 참치 야채 비빔밥. 재료나 과정 쓸 것도 없지만.. 재료 밥 ... 2 file 이윤정 2022.03.05 4587
94 밥류 참치마요 유부초밥 시판 유부초밥용 유부 2인분 쌀 1컵으로 지은 밥 참기름, 깨 참치 1캔(150그램) 마요네즈 적당량 늘 하는 이야기인데 참치전이나 참치마요를 할 때 캔참치를 포슬... file 이윤정 2022.02.27 3790
93 밥류 충무김밥 오징어와 오뎅을 데치고 물기를 빼서 썬 다음 같이 양념에 무치고 미리 만들어 둔 콜라비생채 꺼내고 맨밥을 김밥김에 싸서 편하게 충무김밥을 만들었다. 섞박지... file 이윤정 2022.02.03 3395
92 밥류 햄김치볶음밥 잘 익은 김치와 스팸, 대파 듬뿍, 고슬고슬한 밥과 조미료, 버터와 모짜렐라의 조합인 햄김치볶음밥. 요즘 스팸과 리챔이 제철이라 볶음밥 만들기 딱 좋다. 사용... file 이윤정 2022.01.29 4661
91 밥류 김밥 김밥 10줄 재료 김밥용 김 10장 쌀 4컵 (180미리계량컵) 소금, 식초, 설탕, 참기름 참기름, 깨 1. 우엉조림 2. 오뎅 5장 간장1 미림1 설탕0.5 물1 3. 당근 2~3개 ... 2 file 이윤정 2022.01.18 4838
90 밥류 참치된장죽 얼마 전 가족이 장염에 당첨되어서 아무 것도 못먹다가 좀 나아서 이온음료 정도 먹고 다음엔 흰죽만 먹다가 조금 상태가 나아지니까 푸딩계란찜도 좀 먹고 그러... 4 file 이윤정 2021.10.14 3499
89 밥류 소고기 야채죽 별 내용 없는..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했는데 물을 평소보다 1.5배 정도 잡고 질게 밥을 짓는다. 소고기는 안심이 있어서 안심을 썰고 (국거리를 사용하면 충분히 ... 4 file 이윤정 2021.08.23 3501
88 밥류 비교적 간단한 닭야채죽 집에 늘 있는 채소가 조금은 있지만 준비한 재료도 없고 아프고 아무 생각 없을 때 만든 닭야채죽. 제목을 간단한이라고 쓰고 싶은데 닭 야채 이런 재료 준비하는... file 이윤정 2021.06.24 3483
87 밥류 김밥 재료, 만들기 유부와 부추가 들어가는 김밥을 좋아하는데 부추 사와서 씻고 데치기도 귀찮고 냉동유부 사와서 씻고 졸이기도 귀찮아서 안하고 버티다가 이번에 드디어 둘 다 사... 2 file 이윤정 2021.05.20 4877
86 밥류 고기순대볶음밥 고기순대볶음밥이라니.. 몇 번 올렸던 순대구이를 보면 https://homecuisine.co.kr/hc10/90517 왜 고기순대볶음밥이 되는지 알 수 있다. 고기순대에 재료 몇가지... 6 file 이윤정 2020.09.15 5230
85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5883
84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18782
83 밥류 대패삼겹살 김치볶음밥 이번에 새로 구매하고 잘 시즈닝한 무쇠냄비가 전이건 구이이건 두루두루 너무 말을 잘 들어서 여기에 볶음밥도 만들었다. 원래 쓰던 무쇠후라이팬보다 볶음밥이 ... file 이윤정 2020.04.11 5688
82 밥류 참치마요덮밥, 스팸마요덮밥 미리 덮밥소스와 마요소스를 만들어 두니 만들기가 편하다. 미리 만드는 소스도 간단한 버전이라 금방 만든다. 덮밥소스 마요소스 만들기 -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4.10 7229
81 밥류 소고기우엉밥 우엉밥은 밥을 지을 때 우엉을 넣어 솥밥으로 만드는 것이 보통인데 그렇게 만들지는 않았다. 쫀득쫀득한 우엉조림을 좋아하니 우엉조림은 따로 만들어서 넣고, ... 2 file 이윤정 2020.03.31 5558
» 밥류 바특하고 고슬고슬한 김치참치볶음밥, 참치김치볶음밥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이다. 지금 보니 제목에 김치참치볶음밥을 쓴 것이 5년만이다. 아주 일상적인 볶음밥이라 일상적인 게시글 여기저기 껴서는 올렸어도 일... 4 file 이윤정 2020.01.26 7074
79 밥류 맛된장 곱창 볶음밥 맛된장으로 볶음밥을 만들었다. 된장볶음밥이라고 생각하면 낯설지만 먹어보면 익숙한 맛이 나서 언젠가 먹어봤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맛된장과 소기름이 잘 어... 8 file 이윤정 2020.01.13 51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