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888.JPG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구마를 길러 주셔서 여름에는 고구마줄기로 무침도 하고 조림도 했는데 때가 되니까 고구마도 잔뜩 안겨주셔서 친구들과도 나눠먹고 오랜만에 고구마칩을 만들었다.
남편이 아주아주 좋아하는 간식이라서 자주 해주지 않는 것이 미안할 정도긴 했다. 고구마튀김 고구마칩 고구마말랭이 등등.. (고구마조림 이런 건 아무리 좋아해도 귀찮아서 하기 싫어..)

잘먹으니 다음에 또 하려고 이렇게 해먹고 나서 고구마 한 박스를 더 주문했다. 
아버지한테 더 달라고 하면 내년에는 고구마 농사를 더 크게 지으실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고구마는 작거나 긴것보다는 좀 통통하게 큰 걸로 사야 썰기가 편하다.




사용한 재료는 고구마와 식용유.
슬라이스 채칼로 얇게 슬라이스해서 튀기면 끝이다.


★★★중요★★★
고구마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슬라이스채칼을 사용할 때 안전장갑을 끼거나 안전도구를 사용하는 것이고
너무 욕심내서 끝까지 썰지 않아야 하는 점이다.
고구마가 단단해서 힘을 줘서 슬라이스채칼에 밀어야 하는데 그 힘으로 밀다가 만에 하나 다치면 깊게 비에니까 지혈도 잘 되지 않고 아주아주 아프다 (는 내 상황ㅠㅠ)
조금 남으면 칼로 썰어서 고구마스틱을 하면 되니까 적당히 썬 다음에는 포기하고 멈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구마는 씻고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두었다가 물기를 닦았다.
고구마는 동그랗게 썰어도 좋고 세로로 넓게 썰어도 좋은데 넓으면 결이 그대로 살아있어서 부피를 덜 차지하니까 튀길 때 기름이 좀 덜 든다.
특히 동그랗게 썬 고구마를 물에 담갔다가 꺼내면 물결무늬로 휘어지면서 공간차지를 많이 한다.

바로 튀길 것이면 썬 다음에 물에 담그지 않고 바로 튀겨도 좋고, 시간을 좀 뒀다가 튀길 것이면 색이 변하지 않게 물에 담갔다가 행주로 물기를 바짝 닦아서 튀기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3872.JPG



무쇠팬에 기름이 1센치정도 되도록 붓고 불을 켜서 기름을 데우기 시작했다. 고구마를 살짝 떼어 넣어봐서 가라 앉다가 떠오르면 적당하다.

불은 중불에서 튀기는데 색이 너무 빨리 나면 불을 조금 줄이는 것도 좋다.
고구마는 일단 색이 나면 금방 타버리기 때문에 차라리 조금 색이 덜 날 때 건져두었다가 더 튀겨야 될 것만 조금 더 튀기면 타지 않는다.
마늘을 튀길 때도 마찬가지다.

기름에 잠겨서 익기 시작하는 초반에는 자꾸 건드리면 부서지니까 좀 내버려 두었다가 색깔이 조금 나면 자리를 바꿔주고 뒤집어줘서 색이 나기 시작하면 건져서 키친타올에 넓게 올려두었다가 기름을 바짝 털었다.

크기변환_IMG_3875.JPG



크기변환_IMG_3876.JPG


이 사진에서 정중앙에 있는 고구마칩 정도가 딱 좋다.
크기변환_IMG_3877.JPG

조금 덜 바삭바삭한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만 기름에 잠깐 담가서 더 튀겨도 좋고 그냥 먹어도 괜찮다.
완벽하게 잘 튀기면 가장 좋지만 건지다보면 시간이 조금씩 엇나갈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선택을 해야 한다. 
내 취향에는 바짝 익어서 탄 것보다는 타지 않은 것이 더 좋다.

너무 덜 익은 것은 바삭바삭하지 않고 오히려 기름을 먹고 딱딱해진다. 이 부분은 식으면 투명해지기 때문에 금방 표시가 난다.
한 두 번 튀겨보면서 그럴 조짐이 보일 정도로 덜 튀겨진 애들만 모아서 조금 더 튀기면 딱 적당하다.

짙은 갈색은 탄 것이고, 노릇노릇하면 딱 좋고, 노란색이면 그래도 뭐 괜찮네 싶고, 투명하면 덜 익은 것.


이 사진의 왼쪽에 있는 애들은 탔다고 볼 수 있다.
크기변환_IMG_3881.JPG

키친타올에 올린 고구마는 앞뒤로 뒤집어가며 털털 털어서 기름을 빼고 넓게 식혔다. 식힌 다음에는 겹쳐도 눅눅해지지 않는다.




한 번 더 
크기변환_IMG_3879.JPG



크기변환_IMG_3888.JPG

바삭바삭하고 달달하고 맛있다.


  • 다밍 2019.12.22 23:00
    와 지금 출출한거 참고 잠자리에 누웠는데 이게 딱!
    완전 맛있어보여요.
    할머니가 가끔 고구마전~튀김사이 정도로 해주셨는데
    그것도 생각나네요. 궁합이라고 사과 강판에 갈아서 면보에 걸러주신것도요! ㅠㅠ 튀김은 사먹는게 이득이라고 안하게 되는데 정말 대단하세요!
  • 이윤정 2019.12.23 04:12
    원래 귀찮은 음식일수록 사먹는 것에 잇점이 크죠ㅎㅎ
    특히 배고플 때는 그 마음이 더 큰 것 같아요.

    저도 그 갈고 면보에 거른 사과즙을 좋아하니까 엄마께서 어릴 때 많이 해주셨고 지금도 엄청 좋아해요.
    제가 해먹자니 만들기는 귀찮지만 먹고는 싶어서 사과주스는 정말 종류대로 전부 사서 먹어봤거든요. 그런데 그 면보에 거른 사과즙과 비슷한 사과주스는 하나도 없더라고요. 할머님께서 사과 강판에 갈아서 면보에 걸러 주신 사과즙이라니 ㅠㅠ 손녀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크신지 마음이 뭉클해요.
  • 멈뭄 2019.12.23 09:28

    아이고 ㅜㅜ 채칼에 베면 정말 아픈데...ㅜ

    저는 꼭~ 얇게, 조금 더 썰려고 욕심 내려고 하면 손을 베더라고요. 요새는 썰 때마다 마인드 컨트롤해요. 욕심 내지 말자~ 하고 ㅎㅎ

    저는 이번에 무쌈해보려고 채칼 사면서 무서워서 안전장갑 하나 샀어요.

    얇게 한 건 못 봤는데, 넘 잘게 채 썬 거 보다 딱딱하지도 않고 맛있을 거 같아요!
    채칼 장만 기념으로 요것도 해봐야겠어요 ㅎㅎ

  • 이윤정 2019.12.24 03:38
    채칼에 베이는 그 순간의 서늘한 느낌이 너무 싫어하는데 그 느낌을 깜빡 잊고 욕심을 내면 어김없이 이렇게 돌려받네요ㅠㅠ
    저도 전에 아마존에서 안전장갑을 샀었는데 안전장갑을 낀 채로 채칼을 사용하다보면 장갑이 젖고.. 그렇게 계속하다보니 안전장갑이 구멍이 나더라고요..
    물론 구멍이 나면서 저는 베이지 않았으니 안전장갑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긴 했지만 안전장갑이 찢어질 줄은 몰랐어요.
    안전장갑은 한 번 사고나면 쓸 수 없는 자전거헬멧이라 생각하고, 안전장갑에 지출을 덜하려면 장갑을 끼고도 조심은 해야 하는 것 같아요.
    제가 걱정이 되어서 말이 많았죠^^; 어쨌든 조심 또 조심하셔서 맛있게 드셔요^^
  • 레드지아 2019.12.23 10:24

    고구마튀김은 꼭 스틱모양으로 썰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그럴필요가 없었던 것이었네요 ㅠ

    역시 사람은 이렇게 자꾸 배워야 한다는...

     

    고구마가 단단해서 채칼 써도 잘 안썰릴텐데 어쩜 이렇게 얇고 이쁘게 썰으셨어요!!

     

    채칼에 다치신곳은 괜찮으셔요? ㅠ 종이에 손이 살짝 베여도 며칠 아프던데 채칼은 진짜 ㅠㅠㅠㅠ

    전 그래서 불안해서 채칼은 식구들에게 절대 주지도 않는답니다.

    다른 사람이 채칼 사용하는거 보는것만으로도 불안하고 신경이 곤두서서요 ㅋㅋㅋ

    왜냐하면 저도 종종 채칼로 손을 다치기 때문이죠 -_-;;;

     

    저 집에 고구마 엄청 많이 사다 놨는데 윤정님처럼 튀겨봐야겠어요. 스틱형보담 간단하니 할 의욕이 생겨요!!

     

     

    아버님께 고구마 더달라고 했다간 그뒤의 사건이 너무 웃겨요 ㅋㅋㅋㅋ

    저 아는 분은 뭐 맛있단 말을 엄마에게 잘 안했대요

    뭐만 맛있다 하면 무조건 큰 들통으로 하나가득해서 ㅋㅋㅋ 그거만 한달 내내 주구장창 먹였다면서요 ㅋㅋㅋㅋ

  • 이윤정 2019.12.24 03:52
    저도 고구마스틱 좋아하는데 슬라이스로도 좋고 그냥 튀긴다는 그 사실이 다하는거죠ㅎㅎㅎ
    제 생각에는 스틱보다 조금 더 빨리 익고, 기름이 좀 덜 드는 것 같아요.

    채칼 무서워해서 늘 조심하다가 잠깐 방심하니 바로 베이더라고요.
    한 순간도 마음을 놓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다가 교통사고도 나고 한다고 한 번 더 각성하게 되었어요.
    정말 사용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한 번 더 조심하라 이야기하고 스스로도 한 번 더 되새기는 것이 절대 과하지 않아요.

    그쵸그쵸ㅎㅎ 저도 그랬어요ㅎㅎㅎ
    엄마께 뭐 맛있다 그러면 친정에 갈때마다 니가 좋아해서 준비했다며 어찌 그리 듬뿍 준비하시고 싸주시고 아버지도 그러시는지ㅎㅎㅎ
    한 편 귀여우시지만 한 편 좀 짠하고 한 편으로는 저 고집을 누가 말리나 그냥 내가 좀 덜 표현하고 말지 싶어요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전골 탕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 2 file 이윤정 2019.12.30 5647
823 한접시, 일품 마라떡볶이 만들기 평소에 늘 만들어 두는 떡볶이 양념과 삼양 마라탕면 라면을 사용해서 마라떡볶이를 만들었다. 마라탕면이 마트에서 쉽게 사기도 편하고 라면사리도 어치피 넣을... 4 file 이윤정 2019.12.28 9802
822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양파절임, 양파장아찌, 친수양파절임 양파장아찌는 여태 따로 올린 적이 없는데 양파장아찌를 마지막으로 대량으로 담은 일이 한 10년 전인가 싶다. 매실장아찌 담는 큰 유리병에 담았다가 간장물을 ... 10 file 이윤정 2019.12.27 11144
821 김치, 장아찌, 무침 무말랭이무침, 양념 레시피 이번에 수박무를 5키로 사면서 수박무를 말린 무말랭이를 1키로 같이 샀다. 양념을 적당히 해도 색깔이 이뻐서 먹기 좋다. 무말랭이는 맵달짠 간 / 오독오독한 질... 8 file 이윤정 2019.12.26 6386
» 일상 고구마칩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 6 file 이윤정 2019.12.22 3747
819 한그릇, 면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 6 file 이윤정 2019.12.21 3892
818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파절임, 친수 대파절임, 파무침, 파절이 여태 파절임을 만들 때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돌리도 스타일로 만들려고 많이 해봤었다. 대파를 송송 썰어서 절임소스에 절여 나오는 스타일인데 그런 방식... 12 file 이윤정 2019.12.20 6945
817 한그릇, 면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 리코타치즈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6 file 이윤정 2019.12.19 5702
816 반찬 감자조림 만들기,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조림. 집에 감자가 남아있고 도시락 반찬을 뭘로 할까 하다가 오랜만에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4개 (55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물 300미... 2 file 이윤정 2019.12.16 5598
815 한그릇, 면 닭수제비, 닭칼국수,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 2 file 이윤정 2019.12.13 6704
814 고기 맛된장 제육볶음, 깻잎제육 맛된장을 사용한 제육볶음. 된장이 들어가면 맥적이라고는 하지만 전에 올린 맥적과 다르게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 활용해서 만들었다. 깻잎을 마지막에 듬뿍 올... 6 file 이윤정 2019.12.11 4711
813 일상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 2 file 이윤정 2019.12.10 6718
812 한접시, 일품 족발 만들기, 레시피 이전에 올린 레시피와 완전히 똑같이 만든 족발. 그래서 내용도 똑같다. 재작년에는 그냥 족발을 열심히 만들었고 작년에는 장육냉채나 냉채족발을 자주 만들다가... 7 file 이윤정 2019.12.09 16450
811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쌈무, 친수쌈무 무가 맛있는 계절에 만들기 좋은 쌈무. 기존 쌈무에 비해 재료 하나만 바꿔서 넣었지만 그 하나로 의외로 아주 더 맛있어진다.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주의) 지... 6 file 이윤정 2019.12.08 4215
810 전골 탕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 8 file 이윤정 2019.12.06 7282
809 한그릇, 면 대패 김치수제비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 8 file 이윤정 2019.12.03 5468
808 한그릇, 면 수제비 반죽 만들기, 만드는 법, 칼국수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얼큰 수제비) 어릴 때는 수제비를 하면 늘 익반죽으로 했었는데 2013년인가 시판 감자수제비가루를 사보고 난 다음부터 감자수제비가루의 ... 10 file 이윤정 2019.12.02 46347
807 일상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 2 file 이윤정 2019.11.30 3909
806 전골 탕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4 file 이윤정 2019.11.26 8487
805 국 찌개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 8 file 이윤정 2019.11.20 7141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