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888.JPG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구마를 길러 주셔서 여름에는 고구마줄기로 무침도 하고 조림도 했는데 때가 되니까 고구마도 잔뜩 안겨주셔서 친구들과도 나눠먹고 오랜만에 고구마칩을 만들었다.
남편이 아주아주 좋아하는 간식이라서 자주 해주지 않는 것이 미안할 정도긴 했다. 고구마튀김 고구마칩 고구마말랭이 등등.. (고구마조림 이런 건 아무리 좋아해도 귀찮아서 하기 싫어..)

잘먹으니 다음에 또 하려고 이렇게 해먹고 나서 고구마 한 박스를 더 주문했다. 
아버지한테 더 달라고 하면 내년에는 고구마 농사를 더 크게 지으실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고구마는 작거나 긴것보다는 좀 통통하게 큰 걸로 사야 썰기가 편하다.




사용한 재료는 고구마와 식용유.
슬라이스 채칼로 얇게 슬라이스해서 튀기면 끝이다.


★★★중요★★★
고구마칩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슬라이스채칼을 사용할 때 안전장갑을 끼거나 안전도구를 사용하는 것이고
너무 욕심내서 끝까지 썰지 않아야 하는 점이다.
고구마가 단단해서 힘을 줘서 슬라이스채칼에 밀어야 하는데 그 힘으로 밀다가 만에 하나 다치면 깊게 비에니까 지혈도 잘 되지 않고 아주아주 아프다 (는 내 상황ㅠㅠ)
조금 남으면 칼로 썰어서 고구마스틱을 하면 되니까 적당히 썬 다음에는 포기하고 멈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구마는 씻고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가두었다가 물기를 닦았다.
고구마는 동그랗게 썰어도 좋고 세로로 넓게 썰어도 좋은데 넓으면 결이 그대로 살아있어서 부피를 덜 차지하니까 튀길 때 기름이 좀 덜 든다.
특히 동그랗게 썬 고구마를 물에 담갔다가 꺼내면 물결무늬로 휘어지면서 공간차지를 많이 한다.

바로 튀길 것이면 썬 다음에 물에 담그지 않고 바로 튀겨도 좋고, 시간을 좀 뒀다가 튀길 것이면 색이 변하지 않게 물에 담갔다가 행주로 물기를 바짝 닦아서 튀기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3872.JPG



무쇠팬에 기름이 1센치정도 되도록 붓고 불을 켜서 기름을 데우기 시작했다. 고구마를 살짝 떼어 넣어봐서 가라 앉다가 떠오르면 적당하다.

불은 중불에서 튀기는데 색이 너무 빨리 나면 불을 조금 줄이는 것도 좋다.
고구마는 일단 색이 나면 금방 타버리기 때문에 차라리 조금 색이 덜 날 때 건져두었다가 더 튀겨야 될 것만 조금 더 튀기면 타지 않는다.
마늘을 튀길 때도 마찬가지다.

기름에 잠겨서 익기 시작하는 초반에는 자꾸 건드리면 부서지니까 좀 내버려 두었다가 색깔이 조금 나면 자리를 바꿔주고 뒤집어줘서 색이 나기 시작하면 건져서 키친타올에 넓게 올려두었다가 기름을 바짝 털었다.

크기변환_IMG_3875.JPG



크기변환_IMG_3876.JPG


이 사진에서 정중앙에 있는 고구마칩 정도가 딱 좋다.
크기변환_IMG_3877.JPG

조금 덜 바삭바삭한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만 기름에 잠깐 담가서 더 튀겨도 좋고 그냥 먹어도 괜찮다.
완벽하게 잘 튀기면 가장 좋지만 건지다보면 시간이 조금씩 엇나갈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선택을 해야 한다. 
내 취향에는 바짝 익어서 탄 것보다는 타지 않은 것이 더 좋다.

너무 덜 익은 것은 바삭바삭하지 않고 오히려 기름을 먹고 딱딱해진다. 이 부분은 식으면 투명해지기 때문에 금방 표시가 난다.
한 두 번 튀겨보면서 그럴 조짐이 보일 정도로 덜 튀겨진 애들만 모아서 조금 더 튀기면 딱 적당하다.

짙은 갈색은 탄 것이고, 노릇노릇하면 딱 좋고, 노란색이면 그래도 뭐 괜찮네 싶고, 투명하면 덜 익은 것.


이 사진의 왼쪽에 있는 애들은 탔다고 볼 수 있다.
크기변환_IMG_3881.JPG

키친타올에 올린 고구마는 앞뒤로 뒤집어가며 털털 털어서 기름을 빼고 넓게 식혔다. 식힌 다음에는 겹쳐도 눅눅해지지 않는다.




한 번 더 
크기변환_IMG_3879.JPG



크기변환_IMG_3888.JPG

바삭바삭하고 달달하고 맛있다.


  • 다밍 2019.12.22 23:00
    와 지금 출출한거 참고 잠자리에 누웠는데 이게 딱!
    완전 맛있어보여요.
    할머니가 가끔 고구마전~튀김사이 정도로 해주셨는데
    그것도 생각나네요. 궁합이라고 사과 강판에 갈아서 면보에 걸러주신것도요! ㅠㅠ 튀김은 사먹는게 이득이라고 안하게 되는데 정말 대단하세요!
  • 이윤정 2019.12.23 04:12
    원래 귀찮은 음식일수록 사먹는 것에 잇점이 크죠ㅎㅎ
    특히 배고플 때는 그 마음이 더 큰 것 같아요.

    저도 그 갈고 면보에 거른 사과즙을 좋아하니까 엄마께서 어릴 때 많이 해주셨고 지금도 엄청 좋아해요.
    제가 해먹자니 만들기는 귀찮지만 먹고는 싶어서 사과주스는 정말 종류대로 전부 사서 먹어봤거든요. 그런데 그 면보에 거른 사과즙과 비슷한 사과주스는 하나도 없더라고요. 할머님께서 사과 강판에 갈아서 면보에 걸러 주신 사과즙이라니 ㅠㅠ 손녀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크신지 마음이 뭉클해요.
  • 멈뭄 2019.12.23 09:28

    아이고 ㅜㅜ 채칼에 베면 정말 아픈데...ㅜ

    저는 꼭~ 얇게, 조금 더 썰려고 욕심 내려고 하면 손을 베더라고요. 요새는 썰 때마다 마인드 컨트롤해요. 욕심 내지 말자~ 하고 ㅎㅎ

    저는 이번에 무쌈해보려고 채칼 사면서 무서워서 안전장갑 하나 샀어요.

    얇게 한 건 못 봤는데, 넘 잘게 채 썬 거 보다 딱딱하지도 않고 맛있을 거 같아요!
    채칼 장만 기념으로 요것도 해봐야겠어요 ㅎㅎ

  • 이윤정 2019.12.24 03:38
    채칼에 베이는 그 순간의 서늘한 느낌이 너무 싫어하는데 그 느낌을 깜빡 잊고 욕심을 내면 어김없이 이렇게 돌려받네요ㅠㅠ
    저도 전에 아마존에서 안전장갑을 샀었는데 안전장갑을 낀 채로 채칼을 사용하다보면 장갑이 젖고.. 그렇게 계속하다보니 안전장갑이 구멍이 나더라고요..
    물론 구멍이 나면서 저는 베이지 않았으니 안전장갑으로써의 역할을 다하긴 했지만 안전장갑이 찢어질 줄은 몰랐어요.
    안전장갑은 한 번 사고나면 쓸 수 없는 자전거헬멧이라 생각하고, 안전장갑에 지출을 덜하려면 장갑을 끼고도 조심은 해야 하는 것 같아요.
    제가 걱정이 되어서 말이 많았죠^^; 어쨌든 조심 또 조심하셔서 맛있게 드셔요^^
  • 레드지아 2019.12.23 10:24

    고구마튀김은 꼭 스틱모양으로 썰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그럴필요가 없었던 것이었네요 ㅠ

    역시 사람은 이렇게 자꾸 배워야 한다는...

     

    고구마가 단단해서 채칼 써도 잘 안썰릴텐데 어쩜 이렇게 얇고 이쁘게 썰으셨어요!!

     

    채칼에 다치신곳은 괜찮으셔요? ㅠ 종이에 손이 살짝 베여도 며칠 아프던데 채칼은 진짜 ㅠㅠㅠㅠ

    전 그래서 불안해서 채칼은 식구들에게 절대 주지도 않는답니다.

    다른 사람이 채칼 사용하는거 보는것만으로도 불안하고 신경이 곤두서서요 ㅋㅋㅋ

    왜냐하면 저도 종종 채칼로 손을 다치기 때문이죠 -_-;;;

     

    저 집에 고구마 엄청 많이 사다 놨는데 윤정님처럼 튀겨봐야겠어요. 스틱형보담 간단하니 할 의욕이 생겨요!!

     

     

    아버님께 고구마 더달라고 했다간 그뒤의 사건이 너무 웃겨요 ㅋㅋㅋㅋ

    저 아는 분은 뭐 맛있단 말을 엄마에게 잘 안했대요

    뭐만 맛있다 하면 무조건 큰 들통으로 하나가득해서 ㅋㅋㅋ 그거만 한달 내내 주구장창 먹였다면서요 ㅋㅋㅋㅋ

  • 이윤정 2019.12.24 03:52
    저도 고구마스틱 좋아하는데 슬라이스로도 좋고 그냥 튀긴다는 그 사실이 다하는거죠ㅎㅎㅎ
    제 생각에는 스틱보다 조금 더 빨리 익고, 기름이 좀 덜 드는 것 같아요.

    채칼 무서워해서 늘 조심하다가 잠깐 방심하니 바로 베이더라고요.
    한 순간도 마음을 놓지 않아야 하는데 이러다가 교통사고도 나고 한다고 한 번 더 각성하게 되었어요.
    정말 사용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한 번 더 조심하라 이야기하고 스스로도 한 번 더 되새기는 것이 절대 과하지 않아요.

    그쵸그쵸ㅎㅎ 저도 그랬어요ㅎㅎㅎ
    엄마께 뭐 맛있다 그러면 친정에 갈때마다 니가 좋아해서 준비했다며 어찌 그리 듬뿍 준비하시고 싸주시고 아버지도 그러시는지ㅎㅎㅎ
    한 편 귀여우시지만 한 편 좀 짠하고 한 편으로는 저 고집을 누가 말리나 그냥 내가 좀 덜 표현하고 말지 싶어요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4 일상 영도 골목분식 비빔라면 만들기 2013년에 송도 근처로 이사 온 이후 인터넷으로 골목분식이라는 곳이 있고 여기의 비빔라면이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송도 토박이인 남편에게 여기 아냐고 했... 9 file 이윤정 2020.02.24 14546
843 전골 탕 맛된장으로 낙곱새식 대패전골, 맛된장 대패짜글이 며칠 전 곱창두부두루치기에도 한 이야기인데 이렇게 전골과 조림의 중간적인 느낌인 낙곱새식으로 짜글짜글하게 먹고 사리넣고, 마지막에 밥 넣는 형식으로 만든... 2 file 이윤정 2020.02.21 4237
842 반찬 블랙빈소스 새송이버섯볶음 창잉터우 https://homecuisine.co.kr/hc20/78462 를 만들고 남은 중화검은콩소스 (블랙빈소스). 이 블랙빈소스로 만드는 것 중에 유명한 것이 블랙빈소스 조개볶... 2 file 이윤정 2020.02.18 5774
841 전골 탕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예전에 두부두루치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좀 밋밋해서 재료나 조리법을 바꿨었다. 여러번 해보니 대창이 들어가면 제일 맛있고, 차돌박이가 그 다음, 그도 없으면... 4 file 이윤정 2020.02.16 3938
840 전골 탕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 등촌 얼큰 샤브 칼국수 레시피 올 겨울은 별로 춥지 않아서 부산의 낮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를 겨울 내내 기다렸다. 이유는 냉동고기를 주문하기 위해서이다. 날씨를 계속 모니터링 하다가 얼... 9 file 이윤정 2020.02.13 12549
839 한그릇, 면 떡국 새해나 설날에 먹는 떡국. 전국적으로 다 같이 떡국을 먹는 날은 설날이지만 떡국의 본격 시즌은 설날 이후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2001년 자취시절부터 지금까지... 6 file 이윤정 2020.02.11 3627
838 반찬 맛된장으로 된장참치볶음, 참치쌈된장 고추참치도 야채참치도 맛있는데 된장참치? 당연히 맛있다.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을 여기저기 사용하는 중인데 맛된장참치를 만들면 만들기도 아주 간단하고 간... 4 file 이윤정 2020.02.10 7304
837 일상 XO소스 볶음밥, xo볶음밥 레시피 제목은 XO소스 볶음밥인데, 내용은 평소 자주 해먹는 XO계란볶음밥들. XO볶음밥을 자주 만들고 있어서 계속 중복인 느낌이 있긴하다. 평소에 밥을 하면 남은 밥은... 2 file 이윤정 2020.02.06 9223
836 반찬 미역줄기볶음, 레시피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는 밥반찬을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미역줄기는 좋아해서 가끔 만든다. 염장 미역은 한 번 살 때 1키로정도 좀 넉넉하게 사서 1키로 전... 2 file 이윤정 2020.02.03 3869
835 한접시, 일품 지코바 숯불양념치킨, 양념치킨 레시피 지코바 숯불양념치킨 스타일의 양념치킨. 요즘 지코바는 오븐구이라서 숯불 글자를 뺐다는데 닭고기는 오븐에 구워도 좋고, 후라이팬에 구워도 좋다. 시행착오를 ... 12 file 이윤정 2020.02.02 46476
834 고기 통마늘구이를 곁들인 제육볶음 이번에는 제육볶음에 통마늘구이를 듬뿍 올렸다. 자꾸 음식에 통마늘구이를 올리는 것 같은데.. 통마늘구이를 여기저기 곁들이려고 일부러 농산물시장까지 가서 ... 4 file 이윤정 2020.01.31 5053
833 한접시, 일품 백순대볶음 레시피, 양념, 사리 순대볶음을 더 자주 해먹는데도 백순대글을 더 자주 올리는 것 같다. 어쨌든 여태 많이 올렸던 백순대. 내용은 평소와 거의 같다. 이전에 올린 백순대는 여기 - h... 4 file 이윤정 2020.01.28 6326
832 밥류 바특하고 고슬고슬한 김치참치볶음밥, 참치김치볶음밥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이다. 지금 보니 제목에 김치참치볶음밥을 쓴 것이 5년만이다. 아주 일상적인 볶음밥이라 일상적인 게시글 여기저기 껴서는 올렸어도 일... 4 file 이윤정 2020.01.26 7187
831 고기 촉촉한 제육볶음 + 옥수수국수사리 제육볶음을 하는 방법은 먼저 고기를 굽고 채소를 볶아서 수분을 날린 다음 양념을 넣고 무쳐서 한 번 더 볶아내는 것을 가장 자주 하는데 또 가끔 내킬 때는 고... 2 file 이윤정 2020.01.23 7420
830 한그릇, 면 얼큰 소고기 버섯 수제비 평소 만들던 얼큰한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에 수제비 사리를 넣은 것과 똑같이 만들었다. 멸치육수에 얼큰하게 양념하고 소고기와 배추, 버섯 등 채소를 넣고 수제... 6 file 이윤정 2020.01.20 7610
829 밥류 맛된장 곱창 볶음밥 맛된장으로 볶음밥을 만들었다. 된장볶음밥이라고 생각하면 낯설지만 먹어보면 익숙한 맛이 나서 언젠가 먹어봤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맛된장과 소기름이 잘 어... 8 file 이윤정 2020.01.13 5257
828 전골 탕 맛된장 낙곱새 (잡담주의) 낙지볶음을 마지막으로 올린 것이 벌써 만으로 3년 전이다. 어릴 때부터 조방낙지나 개미집 등 낙지볶음은 좋아했고 만들어 먹기도 많이 만들어먹어왔... 9 file 이윤정 2020.01.10 4129
827 소스 닭갈비 양념 레시피, 닭야채볶음밥 닭갈비 양념이야 늘 만드는거지만 최근에 레시피를 조금 더 정량화했다. 아래 내용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이라서 가독성이 별로인데 전체 내용은 다 무시하고 볼... 7 file 이윤정 2020.01.07 31560
826 밥류 통마늘을 곁들인 베이컨 대파 볶음밥 베이컨과 대파로 만든 볶음밥에 통마늘구이와 계란후라이를 곁들였다. 평소에 마늘은 썰어서 구운 것 보다 통으로 구운 것을 더 좋아한다. 통마늘은 절단면이 적... 6 file 이윤정 2020.01.05 27759
825 전골 탕 통사태 갈비탕, 만들기, 레시피 갈비 대신에 사골과 사태살이 같이 있는 통사태로 갈비탕을 끓였다. (4키로에 6만원 구매) 전에 한우 갈비로 갈비탕을 끓였었는데 맛이 있긴 했지만 같은 비용을 ... 11 file 이윤정 2020.01.01 1164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