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0157.JPG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을 부피를 줄이고 반찬 개념으로 만들면 다 나물이다. 건조한 것부터 해초까지도 포함이라서 나물은 진짜 종류가 너무 많다. 콩나물, 무나물,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단배추, 표고버섯, 애호박, 당근, 양파, 가지, 오이, 무생채, 미역줄기, 생미역, 깻잎, 방아, 고구마순, 취나물, 시래기, 호박고지, 참나물, 비름나물, 유채, 곤드레, 방풍 등 아무거나 다 좋다. 마음에 드는 걸로 하면 적당하다. 물론 대부분은 귀찮아서 잘 안하지만..



나물이야 많을수록 좋고, 짜글짜글한 된장도 곁들이면 더 맛있지만 진짜 대충 만들었다. 

최대한 신경써서 만들고 싶을 때도 있고, 비빔밥 먹을까 싶긴 한데 정말 하기 싫을 때도 있는데 지금은 적당히 하기 귀찮은 때라서(=평소 태도) 우리집 냉장고에 늘 사다두는 채소 중에서 최대한 손에 물 덜 묻히는 재료로 무, 애호박, 당근, 양파를 골랐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무 약 10센치

애호박 1개

당근 1개

양파 1개

계란 4개

차돌박이 약 400그램

식용유, 소금, 국간장, 참기름, 고추장


마트에서 청포묵이 보이면 하나 사서 새끼손가락 두께로 썬 다음 데쳐서 곁들이면 보들보들해서 더 맛있다.




고추장소스.

고추장에 물을 약간 넣고 너무 묽지 않게 물에 개어서 비빔밥에 넣으면 비빔밥에 고추장이 너무 많이 들어가지도 않고 한 곳에 뭉치는 일도 없이 골고루 부드럽게 잘 비벼진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더 좋다. 인데 이번에는 이 것 개는 것도 귀찮아서 생략했다..


크기변환_IMG_4717.JPG 



먼저 무나물.

무는 푹 익혀도 부서지지 않도록 세로로 넓고 얇게 썰고 세로로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5332.JPG    크기변환_IMG_8631.JPG


무에 황태육수를 살짝 자작하도록 붓고 국간장으로 간을 해서 (+ 있으면 다진대파, 다진마늘 약간) 무가 무르게 익도록 15분정도 끓여서 만든다.
국간장은 대중없이 1스푼정도 넣고 부족하면 더 넣는데 너무 대충 넣다가 중간에 간을 보니 좀 짰다. 국물을 그릇에 따라내고 육수를 더 넣어서 간을 희석했다. 
간 조절을 하느라 남은 짭조름한 육수는 찌개나 국, 조림에 사용하면 편하다. 
크기변환_IMG_4566.JPG    크기변환_IMG_8643.JPG


크기변환_IMG_8672.JPG     크기변환_IMG_8675.JPG 




사전적 의미로 채소를 익혀서 간을 하면 다 나물이라 부를 수 있기는 해서 양파나물, 애호박나물, 당근나물이라고 정신승리 해도 무방하다;

당근부터 볶으면 다음 재료에 색이 드니까 색이 연한 것 부터 볶기 시작했다.


양파를 채썰어서 기름을 두른 팬에 달달 볶으면서 소금간도 약간 했다. 양파는 너무 많으면 비빔밥이 달아지니까 조금만 사용하는 것이 좋았다.

크기변환_DSC04347.JPG   




애호박볶음.

애호박은 얇게 돌려깎고 곱게 채썰어서 소금간을 하고 타지 않도록 달달 볶았다. 미리 소금간을 해서 숨을 약간 죽이고 볶아도 좋다.

크기변환_IMG_8623.JPG     크기변환_IMG_8625.JPG 



크기변환_IMG_8652.JPG     크기변환_IMG_8656.JPG 



당근도 얇게 채썰어서 소금간을 약간 하고 달달 볶았다.

크기변환_IMG_0139.JPG



계란지단.

계란에 소금을 약간 넣고 잘 풀어서 지단을 얇게 부쳤다.

팬에 기름을 넣고 한 번 닦아내서 계란물을 얇게 펴서 노릇노릇하지는 않을 정도로 부친 다음 식혀서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4679.JPG     크기변환_IMG_8851.JPG



밥 위에 준비한 나물;을 담고 고추장을 올리고 참기름을 약간 넣었다.

크기변환_IMG_0144.JPG



차돌박이를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올리면 완성. 차돌박이 굽고 남은 기름은 냉동해두었다.

크기변환_IMG_0157.JPG




크기변환_IMG_0157-.jpg


비빔밥 중에는 가장 덜 번거롭게 만들으니까 그나마 조금 날로 먹는 기분인 점이 가장 좋았다.

평범한 나물이지만 고기와 함께 잘 어우러진 비빔밥이 맛있었다.



  • 레드지아 2019.11.30 10:51
    지금 건강검진 하러 와서 대기중인데 무나물 보고 육성으로 와~~~~~했어요 ㅋㅋㅋㅋㅋ 옆의 사람들이 저여자 왜저러나 했을듯요 ㅋㅋ

    비빔밥은 언제 먹어도 맛 있는데 무나물이랑 차돌박이라니!!!!!!비빔밥위엔 불고기양념해서 다진고기만 올리는줄 알았어요!!
    세상에 차돌박이라니!!!! 얼마나 맛있을까요!!

    저도 지단할때 갈색빛 나게 만드는거 극도로 싫어하는데 자주 갈색지단으로 만들거든요 ㅋㅋㅋㅋ
    윤정님은 어쩜 지단도 이리 곱디곱게 만드시는지...


    채썬채소들 사진 올라오면 제가 세번네번 다섯번 항상 보고 있어요 예뻐서요^^


    부모님이 두분다 고혈압이라 저도 예전부터 혈압이 높더니 고혈압 약 받아가라고 하네요 ㅜ
  • 이윤정 2019.12.03 03:33
    본디 꼼짝도 하시 싫은 것이 주말인데 주말에 부지런히 건강검진 다녀오신 레드지아님 많이 칭찬드립니다^^

    혈압이 높으시다니ㅠㅠ 혈압약 챙겨 먹는 것도 일인데말입니다ㅠㅠ
    혈압약이 종류가 다양해서 처방이 아무리 좋다해도 개인마다 받는 게 달라서 먹어봐야 본인에게 맞는지 아닌지 알 수 있는 점이 있더라고요. 어지럽다거나 축축쳐진다거나 멍하다거나 두근두근하다거나 하시는 상태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해요. 한 번에 딱 맞으면 좋겠지만 지속적으로 먹는 약이다 보니 부작용이 아주 천천히 감지되고 그러다보면 요즘 좀 피곤하려니 하다가 부작용인지 아닌지 모르게 되더라고요. 상태변화를 면밀히 체크하고 바꿀 점이 있으면 바꿔나가야 부작용 없이 딱 맞게 드실 수 있다고 알고 있어요. 까지 쓰고 다시 찾아봤어요.
    http://www.nifds.go.kr/brd/m_21/view.do?seq=5891&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11 이거 참고하셔서 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너무 건강이야기만 했죠^^;;; 걱정이 되어서요.
    비빔밥이야 그냥 대충 이래저래 볶아서 굽고 비벼먹는거라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 일상 채끝짜파구리 비슷한 거 오랜만에 이렇게 생긴 안심을 사서 손질했다. 겉면을 싸고 있는 근막을 전부 제거하다보면 머릿부분과 아랫부분에 안심스테이크의 모양이 나오지 않는 자잘한 부... 2 file 이윤정 2020.09.05 3388
97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806
96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720
95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5869
94 일상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8 file 이윤정 2020.07.22 5268
93 일상 함박스테이크 작년에 올린 함박스테이크와 똑같이 만들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3959 매번 똑같이 만드니까별로 할 이야기가 없어서 작년에 올린 내용을 복사해... 4 file 이윤정 2020.07.03 4116
92 일상 소세지야채볶음 도시락 반찬 하기 귀찮을 때 대충 해서 보내는 소세지볶음. (별내용없음) 제육양념이나 떡볶이양념을 만들어두었으면 매콤한 쏘야나 https://homecuisine.co.kr/h... 4 file 이윤정 2020.05.20 3515
91 일상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로 만드는 음식 중에 가장 만만한 것인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를 많이 산 바람에 여기저기 사용하고 있지만 만들기 간단하고 맛있는... 4 file 이윤정 2020.04.21 4130
90 일상 장어덮밥, 우나기동, 히츠마부시 실패하기 장어덮밥인 히츠마부시. 사전적인 의미로 우나기 = 장어 동 = 덮밥 / 히츠 = 나무그릇 마부시 = 올려먹는다 이다. 그래서 밥+장어로 만든 덮밥은 우나기동이고 히... 4 file 이윤정 2020.04.19 10471
89 일상 라볶이 또 떡볶이. 는 아니고 라볶이. 그런데 사실 떡볶이를 올리는 것보다 더 많이 해먹는다. 그런데 사실 떡볶이 먹으러 자주 다니기도 한다. 아무리 떡볶이 양념이 늘... 2 file 이윤정 2020.04.15 4398
88 일상 물떡 만들기, 시판 소스를 사용한 간단버전 (아주 별 것 아니지만 말 많음 주의) (만드느니 사 먹는 게 나음 주의) 어릴 때부터 좋아한 물떡. 오뎅탕 끓여서 떡 넣으면 물떡이겠지만 그래도 물떡에 각별한 ... 10 file 이윤정 2020.04.08 10044
87 일상 소고기 라면전골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8키로 산 김에 부지런히 샤브샤브나 수제비, 전골, 불고기 등을 만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만만한 라면전골. 전에 올린 라면전골은 특... 2 file 이윤정 2020.03.14 5385
86 일상 양념치킨소스 맛살볶음 원래 술은 좀 먹는 편이지만 안주는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그나마 술안주를 준비할 때가 있다. 술상을 차려놓고 먹는 경우는 아예 없고 간단하게 스낵 정도 먹지... 4 file 이윤정 2020.03.09 2659
85 일상 영도 골목분식 비빔라면 만들기 2013년에 송도 근처로 이사 온 이후 인터넷으로 골목분식이라는 곳이 있고 여기의 비빔라면이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송도 토박이인 남편에게 여기 아냐고 했... 9 file 이윤정 2020.02.24 14432
84 일상 XO소스 볶음밥, xo볶음밥 레시피 제목은 XO소스 볶음밥인데, 내용은 평소 자주 해먹는 XO계란볶음밥들. XO볶음밥을 자주 만들고 있어서 계속 중복인 느낌이 있긴하다. 평소에 밥을 하면 남은 밥은... 2 file 이윤정 2020.02.06 9121
83 일상 고구마칩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 6 file 이윤정 2019.12.22 3627
82 일상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 2 file 이윤정 2019.12.10 6658
» 일상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 2 file 이윤정 2019.11.30 3814
80 일상 맛살 계란말이 그냥 반찬. 평소에 맛살 계란말이를 할 때는 크래미를 썰어서 넣었었는데 이번에는 김밥 만들고 난 다음에 김밥용 크래미가 남아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썰지 않고... 6 file 이윤정 2019.11.01 4740
79 일상 짬뽕라면 진짬뽕 이후로 오랜만에 짬뽕라면. 다 아는 이야기겠지만 라면 종류는 상관없지만 기본 라면인 진라면 삼양라면 신라면이나 그 외 열라면, 삼양라면매운맛 짬뽕라... 5 file 이윤정 2019.10.03 36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