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186.JPG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육수는 물이나 물 + 시판 조미료를 사용해도 괜찮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소고기 샤브샤브용 200그램
왕만두 8개
배추 6잎
대파 1대
팽이버섯 1봉투
표고버섯 4개
느타리버섯 1줌
애호박 3분의1개
떡국떡 1줌
사골육수 500미리
황태육수 200~300미리 (가감)

양념장으로
다진마늘 1.5스푼
고춧가루 0.8스푼
고운고춧가루 0.8스푼
국간장 1스푼
액젓 0.5스푼
후추 약간

겨자간장으로
물 2스푼
연겨자 1티스푼
간장 2스푼 
설탕 1스푼 
식초 1스푼
(물+연겨자 상태일 때 연겨자 으깨가면서 풀기)
(설탕 완전히 녹이기)

냉동우동사리나 삶은국수나 칼국수사리, 수제비 사리

후식
남은 육수 약간, 식용유나 고추기름 약간
밥, 계란, 당근, 쪽파, 김가루, 참기름


마지막으로 추가재료가 하나 더 있는데 소고기 기름이다.

우리집에서 소고기기름이 생기는 경우는 주로 차돌박이를 굽거나 낙곱새 하려고 대창을 구울 때인데, 어쨌든 소고기 기름을 키친타올로 닦아낼 일이 있을 때 소고기기름을 닦지말고 그릇에 따라내서 굳히고 냉동했다가 전골이나 조림에 한스푼씩 사용하면 구수하고 맛있다.

고춧가루는 둘 중에 하나만 사용해도 좋고 고추장을 1티스푼정도 더 넣어도 좋다. 액젓은 요즘 자주 사용하는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했다.

만두나 떡이 너무 많으면 국물에 농도가 생겨서 전골이 아니라 떡만둣국처럼 되니까 국물에 농도를 주는 만두나 떡은 더 많이 넣지 않는 것이 좋다.
만두나 떡의 상태에 따라서 육수나 물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채소는 듬뿍듬뿍 더 넣어도 좋고 채소가 많으면 간이 희석되니까 국간장 약간으로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냉동우동사리나 냉동중화면사리도 당연히 잘 어울리고 불린 당면이나 국수, 칼국수 (따로 삶은 것) 등의 사리도 잘 어울린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만두는 전날에 미리 냉장실에 옮겨서 해동하기
2. 떡국떡 불리기, 필요하면 당면사리 등 불리기
3. 채소, 육수, 양념, 겨자간장 준비
재료준비만 하면 다 된 거나 다름없다고 할랬는데 그냥 다 된거다.



양념은 분량대로 배합하고 겨자간장도 만들어서 둘 다 잘 저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2163.JPG 


재료준비.
배추는 세로로 반으로 갈라서 어슷썰고 대파도 반으로 갈라서 어슷썰었다. 애호박도 적당히 도톰하게 썰었다.
표고버섯은 썰어서 데쳐서 냉동해 둔 것을 해동해서 사용했고 느타리버섯, 팽이버섯도 먹기 좋게 손질해서 씻고 물기를 잘 제거해서 준비했다.


바닥이 타지 않도록 팽이버섯과 배추를 아래에 얇게 깔았다.
크기변환_IMG_2166.JPG


뚝배기에 준비한 재료를 빼곡하게 담고 
크기변환_IMG_2183.JPG


양념장 올리고
크기변환_IMG_2186.JPG



크기변환_IMG_2186-.jpg


육수를 부었다.
크기변환_IMG_2196.JPG

사진을 찍으려고 이렇게 빼곡하게 담고 육수를 붓고 끓였지만 별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평소 사진은 찍지 않을 때는 샤브샤브 느낌으로 육수 먼저 끓이고 양념장 풀어서 간보고 약간 싱겁게 간 맞추고 여기에 준비한 채소와 해동한 만두,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넣고 넣고 취향에 맞게 익혀서 먹는다. 간 맞추기도 쉽고 바닥도 타지 않고 만들기도 편하다.




미리 준비해 둔 소고기 기름을 1스푼 넣으면 고소한 맛이 확 살아난다.
크기변환_IMG_2206.JPG


해동한 만두기는 하지만 만두가 더디게 익는 것 같아서 중간쯤에 젓가락으로 만두를 찔러서 빨리 익도록 했다.
크기변환_IMG_2223.JPG



크기변환_IMG_2223-.jpg


겨울에는 역시 전골이 편하고 맛있다. 집안도 따뜻해지고 얼큰 시원한 국물도 좋다.
보글보글 끓여서 고기와 만두, 채소를 그릇에 건지고 살짝 식혀서 겨자간장을 약간 뿌려서 먹으면 아주 맛있다.

만두에 소고기에 채소에 국물이니 맛있는 거야 당연하고, 양이 많아서 후식(볶음밥)을 못먹어서 아쉬웠다.





  • 레드지아 2019.11.26 14:18

    [재료준비만 하면 다 된 거나 다름없다고 할랬는데 그냥 다 된거다.] <---------꺄아~~~~ 너무 좋아요~~~

    재료준비만 하면 다된거라니!!!!

    매끼니 뭐해먹을까 머리쥐어뜯지 않아도 되니 전 완전 횡재했네요 ㅎㅎㅎ

     

    소고기기름을 넣으면 더 고소해지는군요!!! 귀중한 팁 감사드려요!! 과연 소고기기름을 잘 보관이나 할까 모르겠지만 -_-;; (까먹기가 일순위고 2순위는 분명 귀찮아서 안할거 같은 불길한 느낌 ㅠ)

     

    이번엔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주문하러 가야겠습니다!!!!

     

  • 이윤정 2019.11.28 05:13
    소고기 기름은 필수인 것도 아니고, 일부러 보관했는데도 부피가 작아서 냉동실에 이리저리 다니니 찾기도 힘들고 해서 저도 까먹기 일쑤이긴 한데 좀 신경써서 사용하다보면 맛이 있으니까 챙기게 되더라고요.
    재료준비만 하면 끝인 게 너무 많은데도 레드지아님은 늘 이렇게 새롭게 봐주시니 언제나 늘 감사합니다ㅎㅎㅎㅎ
  • ORUKA 2019.11.26 15:10
    저도 어제 만두전골을 해먹었는데 양지 삶고 다듬으며 나온 소기름을 남편이 냉동해뒀다 쓰자고 주장하는걸 알량한 건강 생각에 버렸는데 윤정님 글 보니 후회가 되네요. 먹을땐 맛있게 먹어야 하거늘 ㅠㅜ 언제나 좋은 레시피 감사해요 :)
  • 이윤정 2019.11.28 05:19
    만두전골에 양지라니 단어 조합만 들어도 넘 맛있겠어요!
    소기름을 냉동했다 쓰자고 하신 남편분이시라니 1.소기름이 남아서 나온 것을 안다. 2 이 기름을 뒀다가 쓰면 맛있는 것을 안다 는 의미잖아요ㅎㅎ
    집안 사정도 같이 알고(는 사람에 따라 당연하지만), 맛잘알이시기까지 하신데 건강 신경 쓰신 ORUKA님 의견까지 조화로워서 보기 좋아요^^
    소기름은 필수는 아니지만 사용하면 더 맛있긴 해서 소고기에 지방이 이 남을 때는 일단 냉동해서 사용할 때 구워서 기름 내도 좋고, 지방을울 구워서 나온 액체기름만 냉동하고 사용해도 좋더라고요^^

  1.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
    Date2019.04.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162 file
    Read More
  2. 백합탕 만들기, 백합 손질법

    백합탕은 백합이 다하는거니까 국물 간만 맞추고 간단하게 부추나 고추정도만 넣어서 맑고 깔끔하게 먹는다. 사용한 재료는 백합 1키로 물 부추 고추 부추 넣는 걸 좋아하는데 없어서 대신에 쪽파를 사용했다. 고추는 홍고추면 보기 좋고 청양고추도 좋다. 한 두개 송송 썰어서 취향에 맞게 넣으면 적당하다. ㅡㅡㅡㅡㅡㅡㅡ 먼저 백합 손질하기와 삶기. (뻘을 극도로 싫어하는 기준. 해감이 100% 완벽히 된 조개를 사용하면 아래 내용 소용없음. 조개에 아주 약간은 뻘이 있어도 적당히 먹을만하다면 아래 내용 필요없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
    Date2019.06.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2 Views9381 file
    Read More
  3. 부대볶음 만들기

    매년 돌아오는 부대볶음. 내용도 결론도 똑같은 걸 너무 자주 올릴 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자제해서 1년에 1회 정도만 올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2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김치 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비엔나소세지 한줌 라운드햄 약 100그램 (최대한 여러종류)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약간 후추약간 사골육수 약 300미리 (필요시 400까지) 면사리 1인분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기도 하고, 냉장고에 미리 볶아...
    Date2019.09.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871 file
    Read More
  4.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도 주재료가 서더리든 우럭이든 대구든 꽃게든 해물탕이든 국물이 맛있으려면 육수를 사용해야 더 맛있다. 바지락이나 홍합 등 조개로 육수를 내어도 좋고 황태나 멸치육수도 좋다. 평소 자주 다니는 횟집에 매운탕이나 생선지리를 주문하면 꼭 대파를 구워서 탕에 넣어서 나오길래 요즘에는 대파를 구워서 만든다. 들은 바로는 꼭 조개다시다와 민물새우를 사용한다고 하...
    Date2019.10.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915 file
    Read More
  5.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내 식대로 만들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670그램 / 5등분 각 2~3인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
    Date2019.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3748 file
    Read More
  6.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05 file
    Read More
  7.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육수는 물이나 물 + 시판 조미료를 사용해도 괜찮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소고기 샤브샤브용 200그램 왕만두 8개 배추 6잎 대파 1대 팽이버섯 1봉투 표고버섯 4개 느타리버섯 1줌 애호박 3분의1개 떡국떡 1줌 사골육수 500미리 황태육수 200~300미리 (가감) 양념장으로 다진마늘 1.5스푼 고춧가루 0.8스푼 고운고춧가루 0.8스푼 국간장 1스푼 액젓 0.5스푼 후추 약간 겨자간장...
    Date2019.11.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145 file
    Read More
  8.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료인 등뼈의 양은 1.7배인데 양념이나 간은 1.3배정도로 조절했다. 보통 레시피를 참고할 때 레시피의 주재료 양과 내가 가진 주재료의 양이 다르면 곱하거나 나눠서 내가 가진 재료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주재료가 2배라고 나머지재료가 모두 2배로 할 때 실패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국물요리 같은 경우 (장아찌 등도 포함) 재료가 2배면 양념은 1.5배면 적당할 때가 많다. ...
    Date2019.1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6060 file
    Read More
  9.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좋겠고 하는 의견을 수렴해서 상호보완했다. 국물은 곱창전골 스타일의 얼큰한 버전으로 하고 채소는 좋아하는 걸로 조합했다. 사태를 삶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것이 번거로운데 사태 대신 샤브샤브용 고기를 사용해서 만들면 더 간편하다. 곱창은 사용하지 않고 대창만 사용했다. 한우대창을 넉넉하게 구매해서 씻고 100그램씩 소분하고 래핑해서 냉동해두었다가 곱창전골, 낙곱새, 곱창...
    Date2019.12.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389 file
    Read More
  10. 통사태 갈비탕, 만들기, 레시피

    갈비 대신에 사골과 사태살이 같이 있는 통사태로 갈비탕을 끓였다. (4키로에 6만원 구매) 전에 한우 갈비로 갈비탕을 끓였었는데 맛이 있긴 했지만 같은 비용을 들인 다른 음식에 비해 나은 점을 발견할 수 없어서 한동안 하지 않았다. 이번에 구입한 통사태가 가격도 저렴하고 고기와 뼈 비율이 갈비탕에도 딱이라 오랜만에 갈비탕을 만들었다. 갈비 없는 갈비탕. 수입산 고기는 좋을 때도 있고 안좋을 때도 있는데 국물요리에 수입산 고기를 사용하는 편은 아니다. 소고기국을 할 때는 한우를 사용해야 국물맛이 가장 좋은데 아마도 이유는 유통과...
    Date2020.01.0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9097 file
    Read More
  11. 맛된장 낙곱새

    (잡담주의) 낙지볶음을 마지막으로 올린 것이 벌써 만으로 3년 전이다. 어릴 때부터 조방낙지나 개미집 등 낙지볶음은 좋아했고 만들어 먹기도 많이 만들어먹어왔다. 마지막에 홈페이지에 올렸을 때는 조방낙지 방식이었고 그 이후로는 계속 개미집 방식 낙곱새만 만들어 먹었다. 이사 전에 집이 원조할매조방낙지 바로 옆이었는데 이사하고는 개미집이 바로 근처라 더 자주 가게 되어서 더 익숙한 맛으로 만들게 된다. 그래서 그동안 그 맛에 가깝게 하려고 꽤 많이 만들고 테스트하고 레시피를 만들었고 너무 마음에 드는 바람에 아직 올리지는 않...
    Date2020.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3023 file
    Read More
  12.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 등촌 얼큰 샤브 칼국수 레시피

    올 겨울은 별로 춥지 않아서 부산의 낮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를 겨울 내내 기다렸다. 이유는 냉동고기를 주문하기 위해서이다. 날씨를 계속 모니터링 하다가 얼마전 올 겨울 들어 가장 추웠던 날이 이틀정도 지속 되는 일기예보를 보고 바로 고기를 주문했다. 주문한 고기는 호주산 목심 8키로로, 1미리 슬라이스한 것이다. 아이스박스에 포장되어 오기는 하지만 1미리정도의 얇은 고기가 상온에서 몇 시간이라도 있으면 금방 녹아서 도착하니까 가장 추운 날에 주문했다. 벌크 포장인 것을 알고 주문했는데 꺼내보니 압도당하는 느낌이 있었고 냉동...
    Date2020.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10412 file
    Read More
  13.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예전에 두부두루치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좀 밋밋해서 재료나 조리법을 바꿨었다. 여러번 해보니 대창이 들어가면 제일 맛있고, 차돌박이가 그 다음, 그도 없으면 대패삼겹살을 사용하면 괜찮다. 소기름이 들어가야 맛있다. 재작년부터 이렇게 해먹어왔는데 여러번 주재료를 바꿔가면서 대량양념도 하면서 비율도 바꿔가면서 하다보니 낙곱새 양념이랑 좀 겹치는 부분이 생겨서 그냥 안 올리고 둘까 하다가 맛있다고 너무 자주 해먹고 또 곱도리탕도 만들고 하다보니 비슷한 음식이 폴더에 자꾸 밀려서 업로드.. 두부두루치기니까 제일 중요한 것은 ...
    Date2020.0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721 file
    Read More
  14. 맛된장으로 낙곱새식 대패전골, 맛된장 대패짜글이

    며칠 전 곱창두부두루치기에도 한 이야기인데 이렇게 전골과 조림의 중간적인 느낌인 낙곱새식으로 짜글짜글하게 먹고 사리넣고, 마지막에 밥 넣는 형식으로 만든 것이 아직도 너무 많아서 밀어내기로 계속 올린다. 주재료나 양념만 조금씩 다르지 전체적으로는 맨날 똑같은 걸 먹는 거 같은데 1년에 걸쳐 먹은거라 그건 아니고 라고 쓰고 보니 흠 맞나... 얼마 전에 올렸던 맛된장과 맛된장으로 만든 낙곱새 - https://homecuisine.co.kr/hc10/88383 에 이어서 주재료만 달리 해서 만들었다. 낙지, 곱창, 새우가 다 있으면 좋지만 간단하게 차돌박이...
    Date2020.02.2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883 file
    Read More
  15. 차돌두부두루치기, 차돌두부찌개

    얼마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에서 대창 대신에 차돌박이를 사용한 버전이다. 구매하기 번거로운 곱창 대신에 어디서든 구매하기 쉬운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재료도 간단한데다가 재료준비부터 20분이면 완성된다. 만들기 편하면서 맛있는 효율이 아주 좋다. 전골요리+사리+볶음밥을 좋아해서 날이 조금 춥기만 해도 전골을 만들고, 날이 조금 풀리면 아쉬워서 또 만들기 때문에 아직도 올릴 것이 줄줄이 남아있다.. 이런 전골요리는 간단하게 준비했는데도 밥상의 메인이 되어서 편한 것에 메리트가 크다...
    Date2020.03.18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087 file
    Read More
  16. 부대찌개 레시피, 양념, 재료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는데, 유독 부대찌개는 예외로 치는 것 같다. 가공식품 자체의 퀄리티보다는 전부터 부대찌개에 써 온 재료를 고집하며 원래 부대찌개의 맛은 이렇다고 하는데 내가 무뎌서 그런지 원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이름이 부대라서 그런가? 이는 전통적인 음식이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새로운 포맷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원론주의자가 강세인 것이 특징인데, 현대적으로 제창된 제사같...
    Date2020.04.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7 Views4864 file
    Read More
  17. 찌개맛된장으로 된장라면

    찌개맛된장으로 편하게 만드는 된장라면. 단골 고깃집에서 고기 먹고 된장라면을 꼭 먹는데 고기는 별로 먹고 싶지 않고 이 된장라면을 꼭 먹고 싶을 때가 있다.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사용했다.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다. 된장라면같이 간단해야 더 빛나는 음식에 편하게 사용하기 좋다. 찌개맛된장은 보통 물 400미리에 75그램 내외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는 두부가 들어갔을 때이다. 두부가 들어가지 않은...
    Date2020.06.1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970 file
    Read More
  18.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흰색 육수를 사용하는데 육수만 맛을 보면 멸치 등 해산물 베이스는 아니고 사골육수에 가깝고 양념은 매운맛을 조절주문가능. 1. 곱창은 데친 대창이 들어가는데 집에서는 볶아서 넣는 것이 더 좋을듯. 2. 양념 양이 많음. 알아서 조절. 육수 넣기 전에 양념만 살짝 찍어먹어보면 생각보다 짜지 않은 느낌. 마늘맛이 많이남. 3. 양파 대파는 주사위모양으로, 대파가 많이 나오는 지점이...
    Date2020.08.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26759 file
    Read More
  19.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 사리도 듬뿍 넣고 볶음밥으로 마무리하면 완벽해진다. 재료는 2~4인분으로 양배추 2~4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김치 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소세지 2줌 라운드햄 약 100그램 (최대한 여러종류로 합해서 500~600그램) 양념으로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약간 후추약간 사골육...
    Date2020.08.1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3105 file
    Read More
  20.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를 사용하려면 아주 비싸다. 국산 생물 낙지로 낙곱새 만들자면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 소문어를 사면 가격이 낙지보다 저렴하기도 하고 맛있기도 하다. 2인분으로 문어 300그램 (손질 후) 한우대창 100그램 새우 한 줌 대파 흰부분 2~3대 (넉넉히) 양파 1개 당면 100그램 (미리 불리기) 전골다대기 1회분 사골육수 500미리 추가사리로 삶은 라면이나 냉동우동, 냉동중화면 전골다대기 http...
    Date2020.08.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223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