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0322.JPG



몇 년 동안 레시피 변화가 거의 없는 닭도리탕.


다음에 닭도리탕 양념을 대량으로 해보고 다른 양념장레시피와 비교도 하려고 무게계량을 함께 하고 고춧가루 고추장을 무게로 동량으로 맞췄다.

이번에는 액젓 대신에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했다. 

(액젓은 기본적으로 발효한 상태라 맛의 성분이 풍부하지만 액젓이나 피시소스를 각각 찍어서 맛보면 첫맛은 다 짜지만 맛을 보고 조금 뒤에 남는 맛의 차이가 크다. 향수의 잔향과도 같은 이 희미한 맛이 액젓을 넣고 가열해서 조리하는 음식에 작은 맛의 차이를 준다. 요즘 사용하는 친수 피시소스는 덜 짜고 약간 달면서 감칠맛 있다 싶은데, 성분을 보면 원물, 소금뿐인 액젓과는 달리 첨가물과 MSG가 소량 들어있고 다른 피시소스에 비해 염도가 약간 낮다. 짜지 않고 고소한 맛이 맛있어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지만 조미료에 민감한 편이라면 조금 더 짜고, 덜 감칠맛 있지만 깔끔한 맛의 삼게소스를 추천.)



닭고기는 깨끗하게 씻고 한 번 데쳐내고

육수에 양념 다 넣고 끓으면 닭고기 넣고

감자, 양파, 대파, 양배추, 불린당면을 차례대로 넣기만 하면 금방이다.

연한 황태육수를 사용했는데 물만 해도 괜찮기는 하다.



닭고기 1키로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황태육수 3컵 (필요시 가감) 

고운고춧가루 3.75스푼 (30)

고추장 1.25스푼(30)

간장 2스푼 (30)

다진마늘 3스푼 (60)

쌀엿 2스푼 (50) (혹은 설탕 25)

피시소스 2티스푼 (10) (혹은 까나리액젓 0.5스푼)

미림 2스푼 (30)

후추약간

고추기름 약간(없으면 생략)


감자 중간 것 4개

양파 중간 것 2개

통마늘

양배추 2줌

대파 1~2대 (얇으면 3대까지)

청양고추 2~3개 (취향에 따라)

당면 100그램 불린 것



닭고기를 닭다리나 닭봉 만으로 만들기도 하는데 닭봉을 사용하면 금방 익어서 조리 시간이 좀 짧아진다.

닭봉을 사용할 때는 불을 세게 해서 졸이기도 하고, 감자를 조금 덜 크게 써는 정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닭고기는 깨끗하게 씻어서 한 번 데쳐서 준비했다. 닭 손질이 아주 깨끗하고 신선할 때는 데치지 않고 바로 만들기도 한다.


당면은 미리 불려두고 양파와 감자, 양배추, 대파 등을 준비했다. 양파 양배추 대파는 큼직하게 썰고 감자는 2~3센치 크기로 썰었다.

ee942d4a054d15e45d3b6476c2f07f57.JPG    크기변환_DSC08982.JPG 



육수에 양념을 분량대로 넣고 끓이면서 데친 닭과 감자를 가장 먼저 넣고


크기변환_DSC04772.JPG     크기변환_IMG_0839.JPG



감자가 40%정도 익으면 양파와 마늘도 넣고 다음으로 양배추도 넣고

크기변환_DSC04774.JPG     크기변환_DSC04775.JPG



대파도 큼직하게 썰어서 넣었다. 차례대로 넣으면서 저어가면서 끓이다보면 25~30분정도 지나가 있다.

크기변환_IMG_8366.JPG

닭고기와 감자가 거의 다 익으면 당면을 넣고 조금 더 끓인다.

닭고기가 다 익었는지 확인하는 하려면 발목을 보는데 발목의 힘줄이 익어서 뼈가 보이면 다 익은 것이다.



불린 당면을 넣어서 국물에 푹푹 넣고 5분정도 보들보들하게 익히면 끝. (이 날은 납작당면을 넣었었다.)

크기변환_IMG_8367.JPG




크기변환_IMG_8369.JPG



(예전 글에서 복사)

간이 딱 맞긴 했지만 그래도 중간중간 간을 봐서 확인하는데

물을 잡은 양이나 불을 조절한 것에 따라 마지막으로 간을 봐서 맵고 짜고 단 맛이 부족한 부분이 있나 확인하는 것이 좋다.


매콤하고 짭짤한 간은 당면을 넣기 전에 맛을 보고 고운고춧가루나 간장을 약간 더 넣어서 간을 맞추면 고춧가루나 간장의 맛이 겉돌지 않고,

덜 달거나 한 것은 당면이나 사리에 국물이 다 흡수되고 난 다음 불을 끄기 거의 직전에 물엿을 약간 넣어서 맛을 맞추면 좋다.


국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부으면 되지만 최초에 물을 많이 잡아서 농도가 잡히지 않는다면 추가로 당장 넣을 수 있는 라면사리를 넣으면 국물을 꽤 흡수해서 적당히 완성된다.


국물은 원하는 만큼으로 졸여지고 닭고기와 감자, 당면이 잘 익고 간만 맞으면 끝이다.



크기변환_IMG_8376.JPG



크기변환_IMG_8379.JPG



다른날. 조금 더 졸이고 보통 당면을 사용했다.

크기변환_IMG_0322.JPG



109793c6bb314a5006ea71183f2ef902-01.jpeg



크기변환_IMG_0329.JPG



가장 먼저 당면부터 호로록하고나서 닭고기 하나 집어서 먹어보면 부드럽게 잘 익었고 감자와 양파 등 채소도 먹기 좋고 국물도 매콤달큰하니 간이 딱 좋다.

흰 밥에 닭도리탕만 있으면 밑반찬도 필요없고 막 맛있다.



  • 땅못 2019.10.19 22:35

    닭도리탕 완전 좋아요!! 졸이다보면 국물이 진득해지는데 흰쌀밥에 쓱쓱 비비면 최고인 것ㅠㅠ 감자도 푹 익혀서 같이 막 으개요 ㅠㅠㅠ 간장찜닭vs빨간닭도리탕 많이들 고민해보셨을 것 같은데 ㅋㅋㅋㅋ 오늘은 닭도리탕의 손을 들겠습니다...

    저만의 꿀팁이라면 흰쌀밥+닭도리탕에 양배추쬐금 다지고 스위트콘 +요거트샐러드소스+양파 조금다진거 살짝 해서 콘코울슬로 같이 곁들이면 정말 맛있어요 ㅋㅋㅋ 

  • 이윤정 2019.10.21 03:01
    닭도리탕 요즘같은 날씨에 만들기도 먹기도 딱 좋죠^^ 저는 밥은 마지막에 김가루 넣고 볶아먹는 볶먹파입니다ㅠㅠ
    콘코울슬로에 닭도리탕이라니 어디 유명한 치킨집에서 간판은 치킨집인데 주력메뉴는 닭도리탕인 그런 치킨집이 막 생각나요. 매콤달콤하다가 상큼하니 말씀만 들어도 이미 맛있어요ㅎㅎㅎ
  • 레드지아 2019.10.21 13:02

    당면 당면!!!!!!!!!!게다가 납작당면!!!꺄아~~~~~~~~~~~~~~~~~~~~~~~~~

    맞아요맞아!! 제일먼저 당면부터 집어서 호로로록~~~ 먹음 캬~~~~~~~~~~~~~ ^^

     

    신혼때엔 닭도리탕 만드는건 엄청 어려운 미지의 세계라고 생각했는데

    윤정님 레시피가 있으니 그까이꺼 뭐~~ ㅋㅋ 닭도리탕쯤이야...^^

  • 이윤정 2019.10.23 02:52
    닭도리탕 만들면서 중간에 상태보는데 고기는 굳이 먹어보지 않고 보는 걸로 파악하고, 간은 봐야하니까 국물 약간 덜어서 간보고, 마지막에 당면넣고 당면이 다 익었나 당면 하나 먹어보는데 좀 덜되면 좀 더 기다리거나 하거든요. 그러다가 한 번 더 먹어보고 됐다 하는 그 불 끄기 직전에 약간 덜어서 익은 정도 먹어보는 그 당면이 넘 맛있어요ㅎㅎㅎ
    닭도리탕이야 닭 손질하는게 팔할이라고 생각해요ㅎㅎ 생닭 사는 것이 익숙해질수록 쉬워지는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전골 탕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 2 file 이윤정 2019.12.30 5645
823 한접시, 일품 마라떡볶이 만들기 평소에 늘 만들어 두는 떡볶이 양념과 삼양 마라탕면 라면을 사용해서 마라떡볶이를 만들었다. 마라탕면이 마트에서 쉽게 사기도 편하고 라면사리도 어치피 넣을... 4 file 이윤정 2019.12.28 9799
822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양파절임, 양파장아찌, 친수양파절임 양파장아찌는 여태 따로 올린 적이 없는데 양파장아찌를 마지막으로 대량으로 담은 일이 한 10년 전인가 싶다. 매실장아찌 담는 큰 유리병에 담았다가 간장물을 ... 10 file 이윤정 2019.12.27 11144
821 김치, 장아찌, 무침 무말랭이무침, 양념 레시피 이번에 수박무를 5키로 사면서 수박무를 말린 무말랭이를 1키로 같이 샀다. 양념을 적당히 해도 색깔이 이뻐서 먹기 좋다. 무말랭이는 맵달짠 간 / 오독오독한 질... 8 file 이윤정 2019.12.26 6380
820 일상 고구마칩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 6 file 이윤정 2019.12.22 3745
819 한그릇, 면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 6 file 이윤정 2019.12.21 3890
818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파절임, 친수 대파절임, 파무침, 파절이 여태 파절임을 만들 때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돌리도 스타일로 만들려고 많이 해봤었다. 대파를 송송 썰어서 절임소스에 절여 나오는 스타일인데 그런 방식... 12 file 이윤정 2019.12.20 6943
817 한그릇, 면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 리코타치즈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6 file 이윤정 2019.12.19 5701
816 반찬 감자조림 만들기,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조림. 집에 감자가 남아있고 도시락 반찬을 뭘로 할까 하다가 오랜만에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4개 (55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물 300미... 2 file 이윤정 2019.12.16 5595
815 한그릇, 면 닭수제비, 닭칼국수,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 2 file 이윤정 2019.12.13 6699
814 고기 맛된장 제육볶음, 깻잎제육 맛된장을 사용한 제육볶음. 된장이 들어가면 맥적이라고는 하지만 전에 올린 맥적과 다르게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 활용해서 만들었다. 깻잎을 마지막에 듬뿍 올... 6 file 이윤정 2019.12.11 4708
813 일상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 2 file 이윤정 2019.12.10 6717
812 한접시, 일품 족발 만들기, 레시피 이전에 올린 레시피와 완전히 똑같이 만든 족발. 그래서 내용도 똑같다. 재작년에는 그냥 족발을 열심히 만들었고 작년에는 장육냉채나 냉채족발을 자주 만들다가... 7 file 이윤정 2019.12.09 16448
811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쌈무, 친수쌈무 무가 맛있는 계절에 만들기 좋은 쌈무. 기존 쌈무에 비해 재료 하나만 바꿔서 넣었지만 그 하나로 의외로 아주 더 맛있어진다.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주의) 지... 6 file 이윤정 2019.12.08 4211
810 전골 탕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 8 file 이윤정 2019.12.06 7278
809 한그릇, 면 대패 김치수제비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 8 file 이윤정 2019.12.03 5466
808 한그릇, 면 수제비 반죽 만들기, 만드는 법, 칼국수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얼큰 수제비) 어릴 때는 수제비를 하면 늘 익반죽으로 했었는데 2013년인가 시판 감자수제비가루를 사보고 난 다음부터 감자수제비가루의 ... 10 file 이윤정 2019.12.02 46305
807 일상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 2 file 이윤정 2019.11.30 3906
806 전골 탕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4 file 이윤정 2019.11.26 8485
805 국 찌개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 8 file 이윤정 2019.11.20 7137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