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류

김치볶음밥

by 이윤정 posted Oct 07,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로 올려본다. 평범해서 별 내용이 없다는 이야기;


평소에 좋아하는 볶음밥은 디저트로서의 볶음밥으로; 고기 구워먹고 남은 고기와 김치에 밥넣고 볶는 것이라서 김치볶음밥 먹으려고 삼겹살이나 대패삼겹살을 구워먹기도 했다. 오리구이나 닭갈비를 할 때도 마지막에 밥을 볶으면서 김치를 한 줌 넣으니까 따로 올릴 일이 더 없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유명한 김치볶음밥 레시피가 많은데 그런 개성있는 레시피는 당연히 아니지만 내가 좋아하는 지점이 몇 가지 있다.

전부 다 참고할 필요는 없고 얘는 이렇게 피곤하게 사는구나 하면 적당하다;


1. 밥은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완전히 식혀서 넣고, 볶음밥용 밥을 사용하면 더 좋음 

2. 참치를 넣을 때는 참치만 따로 볶아서 넣기

3. 김치가 덜 익었으면 사용하지 않음. 꼭 하려면 하룻동안 실온에 꺼내서 최대한 익힌 다음하기

4. 김치가 많이 익었으면 설탕 약간 추가

5. 김칫국물은 살짝 짜서 넣거나, 만약에 넣을 경우에는 바짝 졸이기. 볶은 김치의 색이 연하면 고춧가루 약간 추가
6. 편하게 맛내려면 다시다나 굴소스 약간, 없으면 간장 약간

7. 고추기름이나 파기름 있으면 굿


볶음밥용 밥 - https://homecuisine.co.kr/hc20/71378

참치 따로 볶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3734


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시피리라고 할 것도 없지만...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식용유 적당량

김치 약 8분의1포기


고추기름 2~3스푼 (없으면 대파로 파기름, 없으면 생략)

햄 약 200그램

당근 약간

대파 넉넉히

설탕 약간 (간보고 진짜 쪼끔)

후추

간장 약간

굴소스나 소고기맛맛선생 산들애 등 다시다 1티스푼


밥 2그릇 (식힌 것) (불끄고 비비기)

참기름 약간


선택재료로

김가루, 깨, 치즈, 계란후라이




잘 익은 김치는 잘게 잘라서 준비한 다음 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넣고 달달 볶았다.

볶은 김치를 따로 덜어내고 햄을 볶는 걸 더 좋아하는데 귀찮아서 그냥 같이 볶았다.

크기변환_IMG_0170.JPG 



여기에 고추기름을 넣고 햄과 당근을 볶다가

대파(가 없어서 대신 냉동 실파)도 듬뿍 넣고 달달달달 볶았다.

크기변환_IMG_0172.JPG 

밥을 넣기 전에 간을 보니 약간 시큼해서 소금뿌리듯이 설탕을 약간만 솔솔 뿌리고 약간 밋밋해서 굴소스를 1티스푼정도 넣었다. 후추도 탈탈탈탈

밥을 넣기 전이라 간이 약간 짭조름한 것이 적당하다.




준비한 밥을 넣고 잠깐 불을 끄고 잘 비빈 다음 다시 센불로 달달 볶다가

크기변환_IMG_0173.JPG




거의 완성이니까 간을 보고 입맛에 딱 맞게 소금간을 할건데

김가루를 넣을거라 약간 싱겁게 완성하면 김가루를 넣고 난 다음에 간이 딱 맞다.

크기변환_IMG_0177.JPG




크기변환_IMG_0180.JPG




KakaoTalk_20191007_172958187.jpg


마지막으로 참기름 약간.




반숙 계란후라이를 올리면 더 좋았겠지만 편하게 치즈만 한 장 올렸다.

크기변환_IMG_0205.JPG


평범하지만 맛있게 잘 먹었다.





Articles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