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7/27

파부추전, 파전만드는법

 

 

 

0.JPG

 

 

층층이 쌓아 만든 동래파전식 해물파전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5863&mid=hc10

 

 

 

집에 제사가 많아서 어릴 때부터 엄마 옆에서 찌짐을 많이 부치다보니 딴 건 몰라도 찌짐은 좀 괜찮게 굽는다.

엄마께서는 늘 묽은 밀가루반죽에 간을 하시고 홍합과 청양고추를 듬뿍 넣고 찌짐반죽을 하셨는데 나도 비슷하게 만든다.

조개를 넣을 때에는 해감을 해도 모래가 조금 남을 수도 있고, 특히 껍질이 있는 것을 사면 살아있는 조개의 껍질을 까는 것보다 데쳐서 까는게 더 편하기도 하고

조개육수를 밀가루 반죽의 물로 사용하면 조개 맛도 전부 사용할 수 있으니까 한소끔 끓여서 껍질을 까고 아래에 앉은 모래를 다 가라앉혀 윗물만 사용한다.

그 외에 부재료는 좋아하는 범일동 파전집에서 파전 만드는 것과 비슷하게 하고 있다.

 

 

요즘은 부침가루에 시즈닝이 다 되어서 나오니까 별로 필요없는 내용이지만

밀가루에 양파파우더, 마늘파우더, 전분, 찹쌀가루를 섞으면 시판 부침가루와 비슷하다.

여기에 소금간을 약간 하고 참기름을 조금 넣어서 부치면 바삭하면서 풍미도 좋고 간도 맞다.

여기에 전분의 함량을 조금 늘이면 튀김가루와 거의 비슷한데 튀김가루로 전을 만들면 조금 더 바삭바삭하다.

 

 

 

사용한 재료는

부침가루,

육수가 모자랄 때 쓸 생수 약간

조개 약 1키로, 

오징어 큰 것 1마리,

부추와 쪽파 약 1단(취향에 따라),

감자 중간 것 2개,

당근 반개,

양파 반개,

홍고추와 청양고추를 합해서 열몇개,

방아잎,

 

 

1단이라고는 했지만 반죽의 양과 부재료의 양을 눈으로 봐가면서 만들어서 정확하지는 않다.

방아잎은 집에 많이 있어서 사용했는데 깻잎을 사용해도 좋고, 생략해도 좋고.. 방아잎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취향에 맞게 넣으면 되니까 위의 양은 크게 의미없다..

 

잘게 채썬 감자, 양파, 당근을 넣어서 달큰하고 쫀득한 맛을 살리면서도 청양고추와 홍고추를 넣어서 심심하지 않고 칼칼하게 했다.

 

 

 

 

 

조개는 동죽조개를 샀는데 종류는 크게 상관없었다. 바닷물 정도의 소금물에 해감을 한 다음 씻어서 냄비에 넣고 잠기지 않을 정도로 물을 넣은 다음 뚜껑을 닫고 끓였다. 

이렇게 끓여낸 조개육수에 조개를 담가 냉장고에서 하룻동안 차게 하고 다음날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1456.JPG     크기변환_DSC01459.JPG


크기변환_DSC01501.JPG     크기변환_DSC01502.JPG


 

 

 

 

 

 

오징어는 잘게 썰어서 데친 다음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1505.JPG     크기변환_DSC01506.JPG


 

 

 

 

 

부추는 찬물에 담가 흔들어 씻고 사이사이를 헹군 다음 잎 끝을 하나하나 깔끔하게 다듬어 두고 파도 깨끗하게 씻어서 다듬어두고

감자와 당근은 천천히 익으니까 신경써서 아주 얇게 채썰고 양파도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1507.JPG     크기변환_DSC01508.JPG


크기변환_DSC01504.JPG     크기변환_DSC01509.JPG


크기변환_DSC01543.JPG     크기변환_DSC01544.JPG


   

 

 

 

 

 

청양고추는 손을 최대한 덜 대기 위해서 가로로 된 심을 관통하면서 가로로 썰었다.

이렇게 썰어서 심을 제거하면 반으로 가른 고추 속의 고추 심에 손을 최대한 덜 대면서 손질할 수 있으니까 좀 낫다.

심을 제거한 고추는 물에 헹궈서 씨를 빼고 (고추씨를 좋아하지 않아서 씨를 뺐는데 취향에 따라 통째로 썰어도 좋다. 그러면 양도 입맞에 맞게 맞추면 좋을 듯)

잘게 썰어서 반죽에 넣었다.

   
 
 
%C5%A9%B1%E2%BA%AF%C8%AF_DSC09439.jpg     %C5%A9%B1%E2%BA%AF%C8%AF_DSC09440.jpg



크기변환_DSC01539.JPG     크기변환_DSC01540.JPG


크기변환_DSC01541.JPG     크기변환_DSC01552.JPG

 


 

방아잎도 다듬어서 크게 썰었다.

 

 

 

 

 

 

조개육수에 생수를 부어서 간을 맞추고 반죽의 양도 조절했다. 얼음을 몇 개 넣고 반죽을 차게 만들었다.

찬물로 반죽하고, 밀가루는 날가루가 없을 정도로 가볍게 치면 찌짐반죽에 글루텐이 덜 생성되어서 바삭한 찌짐..이 되니까 두가지 조건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만들었다.
찌짐 반죽은 살짝 묽은 스프 느낌이 나도록 주르륵 흐르게 농도를 맞춰서, 되직한 느낌이 전혀 없도록 했다. 

찌짐을 얇고 바삭하게 부칠 수 있도록 농도를 조절했다.

 
 

크기변환_DSC01542.JPG     크기변환_DSC01545.JPG

 

 

 


 

​파와 부추는 대충 4~5등분 해서 반죽에 넣고 나머지 재료도 다 털어넣었다.
 

 


크기변환_DSC01546.JPG     크기변환_DSC01547.JPG


크기변환_DSC01549.JPG     크기변환_DSC01550.JPG


크기변환_DSC01551.JPG     크기변환_DSC01553.JPG





 

반죽의 양은 채소에 묻는다는 느낌이 들고 반죽이 묻은 채소 전체를 들어봐서 바닥이 약간 보일정도로 반죽이 남으면 끝까지 딱 떨어진다. 

반죽의 양이 좀 모자란가 싶기도 했는데 남는 것 보다는 나으니까 모자라도 그냥 부쳤더니 마지막에 거의 딱 맞았다.

 




크기변환_DSC01557.JPG     크기변환_DSC01556.JPG


 

 

 

 

반죽을 채소와 해산물에 다 묻힌 다음 재료를 전체적으로 들어봤을 때에 아래에 반죽이 깔리는 정도로 반죽이 남았다.

70% 정도 부치니 아래 오른쪽정도로 반죽이 남아서 반죽을 더 만들어 넣는 것을 안하길 잘했다 싶었다.

 

 

 

크기변환_DSC01558.JPG     크기변환_DSC01576.JPG

 

 

 

 

 

찌짐을 구울 때에는 채소를 먼저 집게로 덜어서 얇게 펴고 모자란 부분만 바닥에 고인 반죽을 떠서 채우는 정도로 메웠다.

 

  크기변환_DSC01566.JPG

 
 

크기변환_DSC01559.JPG






반죽의 양이 부족할까봐 걱정했는데 먹기 좋게 잘 되었다.

 




 

 

 

 

 

크기변환_DSC01562.JPG


 

 

 

 

 

크기변환_DSC01563.JPG


 

 

 

 

 

부치면서 먹는 것이 가장 맛있지만 하나 부치고 먹고 하면 굽는 사람이 먹는 둥 마는 둥 힘드니까

일단 다 부친 다음 하나씩 한 번 더 바삭하게 구워 가면서 먹고 나머지는 포장해서 냉장해둔 다음 다음날 다시 부쳐서 먹었다.

 

 

 크기변환_DSC01572.JPG

 

 

 

 

 

 

크기변환_DSC01571.JPG

 

 

 

 

 

 

 

크기변환_DSC01564.JPG


 

 

 

 

크기변환_DSC01581.JPG


 

조개육수로 반죽해서 심심하지 않은 맛에 조개와 오징어도 듬뿍 들었고, 여러가지 채소로 칼칼하고 향긋하고 쫀쫀한데 바짝 구워서 바삭하니 맛있었다.

 

 

 

 

 

 

 

 

  • 뽁이 2015.02.08 09:12
    하 .... 동까스 보러 왔다가 ? ㅋㅋㅋ
    이게 갑자기 또 있어서 봤더니 !!!
    예전에 포스팅 한 것을 옮기신건가바요 -
    찌짐 좀 구우시는 윤정님
    언제 이 찌짐 한 번 맛볼수 있는거냐며 ㅋㅋㅋㅋ
  • 이윤정 2015.02.09 22:40
    얼른 포스팅 옮겨 와야 할텐데 그냥 논다고 알아서 걸어오는 것도 아닌데 세월아 네월아 하고 옮기고 있어요.
    네이버는 한 번에 옮겨 올 수도 없고 일일이 수작업인데 사진이 다 뒤섞여 있어서 1일 1빡침을 견디고 있습니다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사용한 재료는 순대 약 600~700그램 양파 큰 것 반개 양배추 몇잎 대파 1대 고추장 1스푼 양념장 약 3스푼 들깨가루 3스푼 깻잎 이미 몇번이나 올린 양념장은 이... 4 file 이윤정 2015.03.04 7320
221 일상 카레돈까스 카레돈까스 별 생각 없이 돼지고기 등심을 또 사두고 뭘 먹을까 고민하다가 카레할까 돈까스할까 하다가 나온 답이 카레돈까스.. 마트에서 하나 산 카레여왕 양파... 2 file 이윤정 2015.02.28 5987
220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평소 국거리를 넉넉하게 사서 통째로 냉동했다가 하나씩 꺼내쓰고 있다. 떨어지면 다시 주문하고.. 소고기국으로 맑은 국도 좋지만 늘 먹어... 10 file 이윤정 2015.02.27 99384
219 반찬 야채볶음 야채볶음 돼지고기 장조림을 다 먹고 소고기 장조림을 만들었는데 간장이 맛이 좋아서 구운 김에 밥과 함께 싸먹으니 맛있었다. 소고기 장조림은 다음에 올리고..... 2 file 이윤정 2015.02.27 6714
218 일상 돈까스 돈까스 요즘 갑자기 돈까스가 땡겨서 이번달에만 5번은 만들어 먹었다. 그 중에 일부.... 돈까스는 소금, 후추(+마늘파우더, 케이옌페퍼)로 밑간하고 밀가루, 계... 12 file 이윤정 2015.02.26 9484
217 반찬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1개 메추리알 약 30~40개 육수 - 멸치, 새우, 황태, 표고버섯, 대파, 다시마 간장 100미리, 미림 50미리,... 8 file 이윤정 2015.02.25 12232
216 반찬 참치전 참치전 참치 250그램 1캔 대파 반대, 파프리카 4분의1개, 다진마늘 1티스푼 부침가루 1스푼, 계란2개, 후추약간, 소금 아주 약간 참치캔은 수분을 꾹 짜내지 않고... 2 file 이윤정 2015.02.23 7994
215 전골 탕 갈비탕 갈비탕 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탕용 갈비 1키로 무 반개 대파 2대 마늘 1줌 다진마늘 0.5스푼 간은 국간장 2스푼 소금, 후추 계란 지단 (황백) 당면 ... 6 file 이윤정 2015.02.16 11080
214 밥류 김치치즈볶음밥 김치치즈볶음밥 냉장고에 자투리 채소는 없는 사람이 더 많다지만 나는 있으니까;; 뭔가를 만들자니 머리 속도 텅 비었고 생각나는 대로 자투리 채소로 볶음밥을 ... 8 file 이윤정 2015.02.13 93631
213 밥류 낙지볶음 덮밥, 낙지볶음 만드는법 조방낙지식 낙지볶음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9174&mid=hc10 낙지볶음 덮밥, 낙지볶음 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낙지 약간 큰... 6 file 이윤정 2015.02.11 12592
212 반찬 나물비빔밥, 된장찌개, 잡채 나물비빔밥, 된장찌개, 잡채 마트에서 콩나물 큰 봉투로 하나 집어오고, 무 하나 집어오고.. 아 그럼 시금치도 있어야 하나? 그러다가 당근도 볶고 비빔밥이니까 ... 10 file 이윤정 2015.02.09 7758
211 반찬 오뎅볶음, 김치참치볶음 당연히 딱히 쓸 내용도 없는 오뎅볶음과 김치참치볶음. 메인반찬 하나하고 밥상 차리면서 곁들일 것으로 하나 더 할 것 없나 싶어 냉장고에 있는 재료로 대충 만... file 이윤정 2015.02.09 7873
210 국 찌개 소고기 미역국 소고기 미역국 사용한 재료는 소고기 200그램, 미역은 넉넉하게 30그램,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3스푼정도, 참기름약간 소고기는 한우 암소 양지와 등심이 섞인 ... 6 file 이윤정 2015.02.06 11166
209 일상 안심돈까스, 오뎅탕 돈까스, 오뎅탕 요즘 나가서 밥먹을 일이 생기면 남편이 자꾸 돈까스가 먹고 싶다 그래서 1주일에 3번을 돈까스를 만들었다. 습식빵가루를 주문해두고 도착 전에 ... 8 file 이윤정 2015.02.06 7464
208 밥류 갈비구이덮밥 갈비구이덮밥 보통은 LA갈비에 양념을 해서 구워서 먹는데 갈비덧살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양념을 하고 밥에 얹어서 덮밥으로 먹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8 file 이윤정 2015.02.05 92142
207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부드러운 계란찜 예전에 쓴 걸 일부분 복사했다. 계란찜은 뚝배기계란찜든, 찜솥에 찌는 부드러운 계란찜이든 비율을 거의 딱 정해놓고 하는데 계란은 보통 1개에... 11 file 이윤정 2015.02.02 32084
206 반찬 두부김치 두부김치 편하게 반찬으로 금방 만든 두부김치. 평소 김치에 멸치육수를 넣고 푹 끓여서 쪄낸 다음 두부에 곁들이곤 했는데 시간도 없고 해서 간단하게 볶아서 만... 2 file 이윤정 2015.01.30 9098
205 일상 버터 간장계란밥 버터 간장계란밥 며칠 몸이 좀 안좋아서 대충 밥먹다 보니 이렇게도 해먹었다. 밥에 버터 녹이고 계란 반숙 후라이 두개씩에 간장, 참기름약간 뿌려서 슥슥 비볐... 4 file 이윤정 2015.01.30 12933
204 고기 돼지갈비 김치찜 돼지갈비 김치찜 돼지갈비가 쌀 때는 1키로에 8천원도 하고 그러더니 요즘은 싼 곳에 가도 만2천원은 하는 것 같다. 돼지고기는 다른 곳 보다 이마트 트레이더스... 4 file 이윤정 2015.01.29 13451
203 밥류 소고기 콩나물밥 소고기 콩나물밥 표고버섯과 소고기를 볶아 고명으로 만들고 늘 만드는 양념장을 곁들이고 계란도 하나 부쳐서 올린 콩나물 밥을 만들었다. 쌀 1.5컵 콩나물 300... 10 file 이윤정 2015.01.26 20454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