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찌개

맛된장으로 소고기 강된장

by 이윤정 posted Sep 09,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크기변환_IMG_0777.JPG

 

강된장이 흔하게 밥상에 오르는데 소고기강된장은 너무 디폴트라 아주 오랜만에 올린다. 

전에 올린 우렁강된장이나 소고기강된장과 대동소이하지만 이번에는 따로 맛된장을 미리 만들고, 이 걸 사용해서 비교적 편하게 강된장을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얼마 전 올린 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이렇게 만든 양념장으로 강된장을 만들었다.

크기변환_IMG_0698.JPG 

 

 

위 맛된장 내용에서 

1. 소고기강된장, 우렁강된장, 버섯강된장, 가지강된장 등

  a. 다짐육 150 (다짐육도 좋지만 구이용고기나 차돌박이를 칼로 다져서볶으면 더 좋음)

  b. 우렁살 100 (조개살이나 새우 등 주재료)

  c. 버섯 여러가지, 큐브로 잘라서 구운 가지

    + 맛된장 양파 팽이버섯(볶음) 멸치황태육수 두부 (연두부 가능(간조절))

 

이라고 정리한 것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소고기 강된장이다.

소고기, 양파, 팽이버섯 볶다가 맛된장, 멸치육수, 두부 넣어서 끓이면 끝.

 

 

 

시용한 재료는

소고기 다짐육 150그램

양파 중간 것 1개

팽이버섯 1봉투

맛된장 1회분

멸치황태육수 300미리

두부 1모

 

 

소고기는 다짐육을 사용하면 가장 편하지만

불고기용이나 샤브샤브용, 혹은 차돌박이를 칼로 다지면 더 좋고, 구이용 고기를 칼로 다져서 사용하면 한 층 더 좋다.

늘 다짐육을 사용했으니까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를 칼로 곱게 다져서 사용했다.

 

 

팽이버섯은 씻어서 적당히 썰고 양파도 새끼손톱 크기로 잘게 썰고 두부는 작게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0764.JPG

 

 

 

뚝배기에 칼로 다진 소고기를 넣고 달달 볶다가 (필요하면 기름 약간)

크기변환_IMG_0759.JPG

 

 

 

크기변환_IMG_0762.JPG

 

 

양파와 팽이버섯도 넣고 달달달달 볶고

크기변환_IMG_0763.JPG

 

 

 

크기변환_IMG_0765.JPG

 

 

 

맛된장을 듬뿍 (이라고 하면 좋겠지만 맛된장을 5회분 만들었으니까 만들어 둔 것을 나누기 5해서 저울계량)

크기변환_IMG_0767.JPG

 

 

달달달 볶다가

크기변환_IMG_0768.JPG

 

 

멸치황태육수와 두부를 넣고 짜글짜글하게 끓여내면 완성.

크기변환_IMG_0770.JPG

 

 

 

크기변환_IMG_0773.JPG

 

 

 

크기변환_IMG_0777.JPG

 

 

 

크기변환_IMG_0782.JPG

 

 

밥에 강된장 올리고 계란후라이 해서 강된장 덮밥도 좋고, 호박잎이나 양배추를 데쳐서 쌈으로 먹어도 좋다.

크기변환_IMG_0794.JPG

 

 

강된장 만들기가 편하니까 그동안 고등어도 구워서 밥상을 차렸다.

크기변환_IMG_0796.JPG

 

맛있고 속편하게 먹기 좋은 밥상이었다.

 

바쁠 때나 귀찮을 때를 대비해서 맛된장을 넉넉하게 만드는데 청양고추 써는 것이 좀 귀찮다..

뭐 끓이고 할 것도 없고 늘 쓰는 양념에, 평소보다 채소만 많은 양으로 손질하는거라 그나마 조금은 편하다 할 수 있다. 한 번 만들어두면 바쁠 때 아주 편하다. 맛된장 게시글에 여러 사용처를 열심히 써두었는데 강된장만 서너번 해먹어도 금방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