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5904 추천 수 0 댓글 10
 
 
 
 
 
나물비빔밥, 된장찌개, 잡채
 
 
 
 
 
마트에서 콩나물 큰 봉투로 하나 집어오고, 무 하나 집어오고.. 아 그럼 시금치도 있어야 하나?
 
그러다가 당근도 볶고 비빔밥이니까 된장찌개 하나 끓이고 그럼 잡채 한 접시 만들면 딱 맞겠네.. 이렇게 밥상을 차렸다. 
 
 
 
 
0.JPG
 
 
 
 
 
 
나물은 미리 만들어두고 당면 불려 두고 잡채와 된장찌개만 밥 먹기 전에 바로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콩나물 - 콩나물 500그램, 국간장 약 1스푼(가감), 다진마늘 1스푼, 참기름, 깨
 
시금치나물 - 시금치 1단, 국간장 약간, 다진마늘 0.5스푼, 참기름, 깨
 
무나물 - 무 반개, 멸치황태표고다시마육수, 국간장 약 2스푼(가감), 다진마늘 1.5스푼, 깨
 
당근볶음 - 올리브오일, 당근 3분의1개, 소금 약간
 
 
 
 
된장찌개
육수(멸치, 황태, 건표고, 다시마, 무),
된장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애호박 반개, 양파 반개, 두부 1모
(추가로 게 찌고 남은 물)
 
 
 
 
 
 
잡채
 
당면 1줌, 물, 간장, 물엿, 다진마늘, 후추, 참기름
 
양파 반개, 당근 4분의1개, 시금치나물 약간,
 
소고기 약 100그램,
표고버섯 4개,
팽이버섯 반봉투,
대파 반대
간장, 물엿, 후추, 참기름
 
 
 
 
 
 
 
 
나물을 전체적으로 많이 해서 3~4번정도 먹었다.
잡채는 두어번 먹게 한다고 했는데 집에 잡채귀신이 있어서 하자마자 없어졌다...
 
 
 
 
먼저 콩나물.
콩나물은 깨끗하게 씻고 다듬을 것은 다듬은 다음 콩나물이 3분의1정도 잠기도록 (기울여서 물이 약간 보일 정도) 물을 붓고 뚜껑을 닫아서 타이머 켜고 불을 켜고 8분간 쪘다. 
 
 
크기변환_DSC07105.JPG     크기변환_DSC07106.JPG

 

 

 


이대로 식혀서  다진마늘, 국간장 간 봐서 1스푼 정도 넣어서 무친 다음 간을 봐가면서 가감하고 참기름과 빻은 깨를 넣고 조금 더 무쳤다.

 

 

크기변환_DSC07107.JPG     크기변환_DSC07108.JPG


크기변환_DSC07223.JPG
 
 
 
콩나물은 국물 그대로 자작하게 그릇에 담고 3~4일동안 먹었다.
 
 
 
 
 
 
다음으로 시금치나물.
 
시금치는 뿌리가 맛있다던데 나는 좋아하지 않아서 뿌리를 떼어내고 물에 한 번 헹궜다.
팔팔 끓는 물에 1~2분정도 데친 다음 건져서 찬물에 넣고 흔들어서 한 번 더 씻었다.
 
콩나물과 마찬가지로 다진마늘, 국간장을 넣고 무쳐서 간을 본 다음 참기름과 깨를 넣고 조금 더 무쳤다.
 


 

크기변환_DSC07155.JPG     크기변환_DSC07156.JPG


크기변환_DSC07157.JPG     크기변환_DSC07221.JPG


 

 

 

 

 

 

 

이번에는 무나물.

 

무는 푹 익혀도 부서지지 않도록 세로로 넓고 얇게 썰고 세로로 얇게 채썰었다.

 

 

%C5%A9%B1%E2%BA%AF%C8%AF_DSC03382.jpg     %C5%A9%B1%E2%BA%AF%C8%AF_DSC03383.jpg


%C5%A9%B1%E2%BA%AF%C8%AF_DSC03385.jpg     %C5%A9%B1%E2%BA%AF%C8%AF_DSC03386.jpg


 

 

무채를 썰면서 육수도 우려냈다.

찬물에서 다시마, 멸치, 황태, 표고버섯을 넣고 물이 끓으면 다시마를 건져내고 떠오르는 거품도 걷어내가며 20분정도 우려냈다.

육수는 약간 넉넉하게 끓여서 무나물에 사용하고 남은 육수는 다음날 된장찌개에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7159.JPG     크기변환_DSC07160.JPG

 

 

 

 

 

육수는 체에 걸렀다.

 

냄비에 무채를 담고 육수가 반정도 잠기도록 부어서 중불에 25~30분 정도 무가 무르게 익고 국물이 자작하도록 끓였다.

무가 부드럽게 익으면 다진마늘과 국간장을 넣고 간을 봤다. 

 


 

크기변환_DSC07161.JPG     크기변환_DSC07162.JPG


크기변환_DSC07164.JPG     크기변환_DSC07167.JPG


크기변환_DSC07222.JPG
 
 
 
무나물은 식혀서 그릇에 담고 국물도 자작하게 부은 다음 빻은 깨를 뿌렸다. 겉에 많이 뿌려도 속에 하나도 없으니까 먹을 때 어느정도 섞어서 먹으면 적당하다.
육수를 조금 많이 잡았는지 그릇에 담고 국물이 조금 남았는데 남은 나물 국물은 육수와 함께 된장찌개에 넣었다.
 
 
 
 
 
 
 
당근볶음
 
당근은 전날 미리 최대한 가늘게 채썰어 두고 밥먹기 전에 올리브오일을 두른 팬에 당근을 넣고 소금을 약간 뿌려서 달달 볶은 다음 
일부는 잡채에 넣고 일부는 바로 비빔밥에 넣었다.
 
 
 
%C5%A9%B1%E2%BA%AF%C8%AF_DSC04095.jpg     크기변환_DSC07224.JPG
 
 

 

 

 

 

 

 

 

 

다음으로 된장찌개.

 
 
된장찌개
육수(멸치, 황태, 건표고, 다시마, 무),
된장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양파 반개, 두부 1모, 애호박 반개,
대파 반대, 홍고추 1개

 

 

 


무나물을 만들고 남은 육수와 남은 나물국물에 된장, 고춧가루, 다진마늘을 1스푼씩 섞어 둔 것을 풀어서 팔팔 끓였다.

 
 

크기변환_DSC07193.JPG    크기변환_DSC07165.JPG     

 

 

크기변환_DSC07200.JPG    크기변환_DSC07205.JPG

 

 

 

 

 

여기에 양파 반개와 두부 한모를 썰어 넣고 2~3분정도 팔팔 끓인 다음 애호박을 넣고 한소끔 끓여내고 마지막으로 대파와 홍고추를 넣고 한 번더 끓여내고 불을 껐다.
 

  
크기변환_DSC07206.JPG     크기변환_DSC07209.JPG


크기변환_DSC07210.JPG     크기변환_DSC07213.JPG


크기변환_DSC07231.JPG    
 
 
 


크기변환_DSC07236.JPG


 

 

 

 

 

 

이대로 한 번 먹고 남은 된장찌개에 게 내장을 넣고 물을 약간 넣고 간을 조절해서 한소끔 끓여내서 먹으니 더 맛있었다.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518&mid=hc20 소프트쉘크랩 샐러드를 만들면서 쪄낸 게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나온 내장을 사용했다.

없어도 무방하지만 당연히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더 나았다;

 

 

 

 크기변환_DSC07273.JPG

 

 

 

 
 
 
 
 
 
잡채
 
당면 1줌, 물, 간장, 물엿, 다진마늘, 후추, 참기름
 
양파 반개, 당근 4분의1개, 시금치나물 약간,
 
소고기 약 100그램,
표고버섯 4개,
팽이버섯 반봉투,
대파 반대
다진마늘 0.5스푼
간장, 물엿, 후추, 참기름
 
 
 
 
당면은 엄지와 중지로 쥐면 딱 들어올 정도를 전날 미리 불려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양파, 당근, 시금치나물은 차례로 달달 볶아서 볼에 담아 두고

 

 

 

크기변환_DSC07192.JPG     크기변환_DSC07194.JPG


크기변환_DSC07196.JPG     크기변환_DSC07204.JPG
 
 
 
 
표고버섯은 밑둥을 떼고 적당히 채썰고 팽이버섯은 밑둥을 떼고 씻어두고 소고기도 채썰어서 볶았다.
 
 
%C5%A9%B1%E2%BA%AF%C8%AF_DSC04094.jpg     크기변환_DSC07198.JPG


크기변환_DSC07197.JPG    크기변환_DSC07199.JPG
 
 
 
 
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채 썬 소고기를 볶다가 표고버섯, 팽이버섯을 넣고 함께 볶고 물을 아주 약간 부은 다음 간장 약간, 물엿 약간, 다진마늘 약간, 후추 약간을 넣고 볶았다.
마지막에 채 썬 대파를 반 대 넣고 조금 더 볶아서 미리 볶아 둔 채소와 함께 그릇에 담아 두었다.
 
 
크기변환_DSC07201.JPG     크기변환_DSC07202.JPG

 

크기변환_DSC07203.JPG     크기변환_DSC07207.JPG

 

 

 

 



불린 당면은 부피가 크니까 당면이 잠기면 간장물이 너무 많고 살짝 숨이 죽은 당면에는 간장물이 자작할 정도면 적당하다.

 

물의 양을 맞추고 간장은 약 2스푼에 간을 보고 추가, 물엿도 약 1스푼, 다진마늘  0.7스푼 정도에 후추와 참기름을 약간 인것 같은데 따로 계량하지 않고 대충 넣었다.

당면이 투명해지고 간장물이 졸아들도록 볶다가 먹어서 간을 보고 짠맛이 부족한가 단맛이 부족한가 생각해보고 간장과 물엿을 추가했다.

짜면 물을 약간 붓고 간장물을 약간 부어내면 해결.

볶아 둔 재료의 간이 세지 않기 때문에 약간 짭짤한 정도로 당면을 익히고 나머지 재료와 함께 볶아내면 간이 맞아서 반찬으로 먹기에 좋다.

 

간장양념물이 당면에 스며들어서 완전히 투명할 정도로 익히는데 간과 익힘정도를 볼 겸 두어번 먹어보고

필요한 양념이 있으면 더 넣고 덜 부드러우면 물을 더 넣어서 보들보들하게 익히면서 간장물이 완전히 졸아들게 볶았다.

 

 

%C5%A9%B1%E2%BA%AF%C8%AF_DSC04125.jpg     %C5%A9%B1%E2%BA%AF%C8%AF_DSC04126.jpg


%C5%A9%B1%E2%BA%AF%C8%AF_DSC04127.jpg     %C5%A9%B1%E2%BA%AF%C8%AF_DSC07762.jpg


 간장물이 잘 배어들고 투명하게 익은 당면에 미리 볶아둔 채소와 고기를 넣고  당면과 고기, 채소가 잘 섞이도록 비벼가며 한 번 더 달달 볶아냈다.

 


 

크기변환_DSC07208.JPG     크기변환_DSC07212.JPG

 

 

 

 


 

크기변환_DSC07218.JPG

 

 

 

 


 

크기변환_DSC07219.JPG

 

 

 

 

 

 

 당면이 투명하게 잘 익었고 간도 잘 맞았다.

 


 

크기변환_DSC07220.JPG


 

 


 

그 동안 밥해서 그릇에 담고 나물 올려서 고추장 한 스푼 올려서 나물비빔밥 두 그릇도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7227.JPG

 

 

 

 


 

크기변환_DSC07230.JPG

 
 


 

 

 

 

 

0.JPG


 
 
 
나물비빔밥에 된장찌개야 당연히 잘 어울리는 한 세트이고 여기에 잡채까지 넉넉하게 곁들이니 한끼 식사로 먹기 좋았다.
차려 놓으면 그냥 밥상 한 상이고 그냥 손 가는 대로 해서 어려울 것은 없지만 자잘하게 손이 많이 가기는 해서 번거로운 밥상이었다. 맛있고 번거로움.
 
 
 
 
 
 
 
 
 
 
 
 
  

  • 뽁이 2015.02.09 23:04
    하 ... 맞아요 ....
    맛있고 번거로움 ! 눈으로도 보이는 ㅠㅠ
    그래도 진짜 맛있었을 거 같아요
    삼색나물에 잡채에다가 된장찌개 -
    한국인이라면 이보다 더한 진수성찬은 엄서요
    앍 지금껏 배뻥되게 먹다 들어왔는데
    왜때문에 또 먹고 싶죠 ㅠㅠㅠ
  • 이윤정 2015.02.11 00:47
    진짜 전날 나물 만들어 놓지 않았으면 빡쳐서 비빔밥 못 먹을 듯요ㅎㅎㅎ
    삼색 나물에 잡채에 탕국 끓여서 없는 제사라도 할 걸 그랬어요ㅎㅎㅎ
  • 테리 2015.02.10 06:49
    저는 평소에 이런거 하나도 하기 귀찮ㅈ아하는데.
    비빔밥만 해도 몇 개의 요리에.
    잡채도!!! 꺄아~~

    생일에도 잘 안 차려주는 상차림이네요~ㅋㅋㅋ
  • 이윤정 2015.02.11 00:48
    진짜 귀찮아서 누가 해주면 진짜 제일로 맛있는게 이런거죠ㅎㅎ
    나물 비빔밥에 뭐 먹고 싶냐고 하니까 바로 잡채가 나오는 것 보면 누가 해주는 것 중에 진짜 제일로 맛나는 게 뭔지 남편이 알고 저러나 싶어요.
    진짜 손 많이 가는 걸로 잘도 이야기 한다니까요ㅎㅎ
  • ladyssoul 2015.02.10 13:55
    맛있고 번거로움ㅋㅋ 이거 완전 공감이에요,
    전 김밥이 맛있번거로움의 대명사 같아요 ㅎㅎ
    먹는 사람이 쉽게 후루룩 먹을수 있는 음식은, 만드는
    사람이 그만큼 수고를 한참 해야 맛있더라구요.
    비빔밥도 첨부터 다하려면 완전 번거로움ㅠ
    아 사진 보니까 잡채 먹구싶어요....
  • 이윤정 2015.02.11 00:49
    진짜 김밥도 손 가는 것 대비 딱 한가지 음식으로 한접시 나오니까 허탈한 음식 중에 하나죠ㅎㅎㅎ
    먹는 사람은 진짜 한입에 쏙쏙 먹으면 땡인데 일은 한참 많고
    그러니까 우리 나가서 사먹읍시다ㅎㅎㅎ
  • kimmy80 2015.02.11 00:29
    한끼밥상이 아니라 완전 생일상차림이네요~
    어쩜 채 써는 솜씨가 장난아니네요!
    전 칼질 완전 못하는데... 어디가서 배워야할까요?
    칼질때매 비빔밥, 잡채 이런건 1년에 한두번 할까말까예요... ㅠㅠ
  • 이윤정 2015.02.11 00:51
    칼질도 진짜 방법 없죠, 완전 노가다에 그냥 하다보면 느는 것 밖에 없나봐요.
    시간도 많이 걸리고 손도 많이 가고, 저는 딴 건 다 괜찮은데 당근 채 써는 게 그렇게 귀찮은 거 있죠.
    어차피 좋아하지도 않는 채소가 뭐 이렇게 손이 많이 가나 싶어요ㅎㅎ
  • 레드지아 2015.02.11 16:45
    맞아요!! 맛있는데 번거로움...ㅠㅠ
    우리나라 나물은 너무 손이 많이 가요...ㅠㅠ
  • 이윤정 2015.02.13 00:47
    진짜 그쵸. 5첩반상만 해도 밥에 국에 찌개, 김치, 장에
    무슨 숙채니 생채니 구이 전 조림 마른반찬 이런 식으로 밥상 룰까지 만들어서는 처음부터 다 차려서 밥 먹을 생각을 어떻게 했나 모르겠어요!

  1. 고등어조림, 고등어조림 만드는법

    2014/09/27 고등어조림, 고등어조림 만드는법, 고등어 찌진거 고등어조림!!!!!!!!!!!!!!!!!!!!!!!!! 한 열흘 전부터 고등어조림이 먹고 싶어서 고..등....어...조..림....먹....고..싶....다........... (여기에 들어갈 한 사람 사진이 더 있지만 요즘은 '도를 넘어섰다며' 검찰이 포털까지 모니터링 한다니, 지금이 2014년이 맞나! 청와대를 7시간동안 비운 그 분께서 고등어조림이 먹고 싶다니 이런 불경이 있나!) 고..등....어...조..림....먹....고..싶....다........... 고..등....어...조..림....먹....고..싶....다........... 어쨌든 이렇게 ...
    Date2014.09.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10655 file
    Read More
  2. 참치김치찌개

    2014/09/25 너무 편한 음식이라 블로그 올릴 일이 별로 없었던 참치김치찌개. 다른 김치찌개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 참치김치찌개 하면 꼭 대학 때가 떠오른다. 학교 다닐 때 학교 정문 앞 식당에서 라면사리 들어있는 참치김치찌개를 그렇게 먹어댔는데 그게 벌써 14년전이라니.. 시간 참 빠르다. 어리고 활기 넘치고 돈은 없어서 매번 밥은 꼬박꼬박 더 달라고 해서 두세그릇씩 먹고 동기들보다 더 빨리 일어났는데 잘 먹어서 그렇기도 했지만 나 빼고는 남자 밖에 없는 동아리(마초적인 분위기) 구성원과 매일 밥 먹을 때 여자는 밥 늦게 먹어서 이...
    Date2014.09.2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5888 file
    Read More
  3. 차돌박이 된장찌개

    2014/09/24 차돌박이 된장찌개 냉동실에 애매하게 남은 차돌박이로 된장찌개를 할까 순두부찌개를 할까 하다가 아무거나 했다.. 사용한 재료는 멸치육수 약 400미리 된장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1스푼(가감) 차돌박이 약 150그램 애호박 4분의1개 양파 반개 대파 반대 두부 반모 청양고추 2개 멸치, 황태, 표고버섯, 대파, 다시마를 넣고 20~30분정도 우려서 진한 멸치육수를 미리 우려두었다. 육수에 된장,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 반스푼을 풀고 끓이기 시작했다. 국물에 된장맛이 겉돌지 않게 된장국물을 일단 팔팔 끓인...
    Date2014.09.2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5874 file
    Read More
  4. 육전, 새우전

    지난 추석에 시어머니가 아프셔서 집에서 전 몇가지 부쳐오라 하셔서 동그랑땡, 떡갈비, 육전, 새우전 등을 구웠다. 그 중에 사진 찍은 두가지인 육전과 새우전. 주재료에 소금, 후추로 간하고 밀가루 옷 얇게 입히고 계란물에 담갔다가 지져낸거라 별 내용은 없다.. 육전 한우 암소 앞다리살인데 불고깃감이지만 부드럽고 도톰한 것으로 사와서 육전을 만들었다. 소금, 후추로 간을 한 다음 밀가루옷과 계란물을 입혀서 하나 구워서 맛을 봐서 고기 두께에 이정도 소금이 적당한가 간을 보니 약간 싱거웠다. 그래서 고기를 한장씩 넓게 편 다음 처음...
    Date2014.09.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7767 file
    Read More
  5. 무나물, 소고기 볶음 고추장

    2014/09/19 무나물, 무나물 만드는 법 평소에 그렇게 무나물 생각이 나는 편은 아닌데 지난 추석에 얇게 채 썬 무나물을 맛있게 먹은 생각이 자꾸 나서 오랜만에 만들었다. 무가 달큰하긴 하지만 육수 없이는 별 맛이 안나는데 취향에 따라 그 심심한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나는 그래도 감칠맛이 조금 있는 것을 좋아해서 멸치육수를 넣어서 만들었다. 바특하게 볶아내거나 하얗게 국물이 살짝 깔린 정갈한 무나물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고 푹 익혀서 부드러운 무나물을 만들었다. 집집마다 다르고 제사용인지 식사용인지에 따라 또 다른게 무나물이...
    Date2014.09.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6653 file
    Read More
  6. 소고기무국

    2014/09/18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이지만 무국이 더 편해서 계속 무국으로 쓴다. 평소에 늘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을 자주 만들고 맑은 국은 제사 때나 먹는데 오랜만에 맑은 국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소고기 200그램, 무 500~600그램, 참기름 약간, 다진마늘 1스푼, 물 넉넉히, 다시마 몇 장, 국간장 3스푼(가감), 콩나물 300그램, 대파 1대 무는 파란부분이 햇볕을 받아 달달하고 흰부분이 알싸하다고 한다. 실제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서 생채는 파란부분, 숙채나 국에는 흰부분을 사용한다. 무는 나...
    Date2014.09.1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5218 file
    Read More
  7. 소고기미역국

    2014/09/17 소고기미역국 장보러 가지 않고 냉동해두었던 한우국거리에 건조미역, 늘 있는 다진마늘, 국간장, 참기름만 딱 들어가니까 미리 뭘 먹을까 정하지 않고 생각날 때 만들어서 먹기 좋았다. 고기를 미리 냉장실에 해동해야 하는 점이 단점이었는데 이번에는 그냥 급 생각나서 바로 만든거라 소고기를 찬물에 담가 얼른 해동했다. 늘 집에 있는 재료라 다른 국보다 더, 그냥 제일 만만한게 미역국이다. 보들보들한 미역을 좋아하기도 하고, 남편은 미역국 중에서도 소고기미역국을 가장 좋아해서 생각나는 대로 대충.... 전에도 미역국을 올린...
    Date2014.09.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4750 file
    Read More
  8. 베이컨 김치볶음밥

    2014/09/10 베이컨 김치볶음밥 추석 연휴 마지막날이라 별 생각없이 쉬었다. 이번 추석은 유난히 일이 많아서 전체적으로 즐겁지는 않았다. 추석 전에 몇 분에게 편안한 추석 되시라는 인사를 했는데, 물론 예외도 있겠지만 편안한 추석이라니 그런게 있나........ 왜 그랬니 나....... 어쨌든 그래서 아직 좀 지치기도 했고 간단하게 김치볶음밥을 올려본다. 사용한 재료는 간단하게 베이컨, 김치, 양파, 당근, 대파, 마늘, 밥 2그릇, 굴소스 약간, 소금 약간, 후추 약간, 모짜렐라치즈 한 줌, 계란2개, 소금, 후추, 우유 약간 7분도미로 고슬고슬하...
    Date2014.09.10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4900 file
    Read More
  9.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 소스

    2014/09/04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 소스 함박스테이크는 꽤 여러번 올렸는데 사용하는 분량은 늘 거의 비슷하고 함박스테이크소스는 이번에는 조금 다르게 만들었지만 사정이 있어서 이전에 만든 버전을 참고삼아 올려본다. 먼저 소스를 미리 만들어 두었는데 위 사진의 소스는 아니지만 작년에 만든 소스를 올리자면.. 버터 2스푼 밀가루 1스푼 코스트코 다이스드 토마토캔 1개 물 2컵 레드와인 1컵 오꼬노미소스 1컵 을 사용했다. 오꼬노미소스는 돈가스소스로 대체가능하다. 녹인 버터에 밀가루를 넣고 볶아서 루를 만든 다음, 토마토, 물, ...
    Date2014.09.04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14293 file
    Read More
  10. 섭산적, 동그랑땡, 육원전, 명절음식 만들기

    2014/09/03 섭산적, 동그랑땡, 육원전, 명절음식 만들기 이전에 올린 포스팅 중에 최대한 명절스러운 것을 있는대로 짜내어 봤다. 철지난 드립이긴 한데 명절즙..아니 명즙? (링크는 업데이트 후 교체예정) 새우전, 육전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page=2&document_srl=9793 명절음식 비슷한 새우튀김, 야채튀김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category=221&page=2&document_srl=514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09&document_srl=16089 오...
    Date2014.09.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6427 file
    Read More
  11. 꽃게된장찌개

    2014/08/23 꽃게된장찌개 여름 초입에 꽃게 금어기가 시작되기 직전 급냉한 냉동암꽃게를 사다가 언제 된장찌개나 해먹어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사이 금어기가 풀려서 가을 숫꽃게가 나오기 시작했다. 생물 꽃게를 사려면 먼저 냉동한 꽃게부터 먹어줘야 더 꽃게 살 기분이 나니까 냉동실에 있던 꽃게를 먹기로 했다. 보통 꽃게는 미리 해동하지 않고 바로 찌개에 넣거나 져서 사용할 수 있는데 손질하지 않은 것을 냉동한 것이라 해동해서 등딱지 등 손질을 하기 위해서 80%정도 해동했다. 다음날 아침에 바로 만들거라 하루정도 냉장실에서 해동...
    Date2014.08.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13270 file
    Read More
  12. 양념치킨, 양념치킨소스만들기

    2014/08/22 양념치킨, 양념치킨소스만들기 업장에서 쓰는 레시피라고 해서 여기저기 찾아보았는데 다 시도해보지는 못했고 그 중에 두어가지를 레시피의 비율을 참고해서 두어번 만들어보면서 내 입맛에 맞게=조금 덜 달고 덜 시고 더 매콤하게 세부적인 부분을 조정했다. 물론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적당히 괜찮아서 다음부터는 완전 다른 레시피로 양념통닭을 만드는 것 보다 여기서 조금씩 수정해가면서 만들어보려고 한다. 아직도 내 입맛에는 좀 달아서 약간 덜 달게 해야하나 고민중이긴 한데 다른 양념통닭 레시피보다 물엿+설탕의 양...
    Date2014.08.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72810 file
    Read More
  13. 달걀볶음밥, 계란볶음밥 만들기

    2014/08/20 달걀볶음밥, 계란볶음밥 만들기 엔하위키에 따르면 중국식 볶음밥은 재료에 따라서 그 구분은 달걀 볶음밥인 단화차오판(蛋花炒飯 황금 볶음밥), 고기 볶음밥인 주러우차오판(猪肉炒飯), 완두 볶음밥인 칭더우차오판(靑豆炒飯), 3가지 재료를 쓴 볶음밥인 싼셴차오판(三仙炒飯 삼선볶음밥), 10가지 재료를 쓴 볶음밥인 서징차오판(什景炒飯), 전복 볶음밥인 바오위차오판(鮑魚炒飯) 등으로 불린다. 지역명으로 유명한 것은 강소성의 양저우 차오판(양주 볶음밥). 계란과 간단한 야채(파나 완두콩 등)만을 사용하여 만들며 중국식 볶음밥의...
    Date2014.08.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2 Views16878 file
    Read More
  14. 참치미역죽, 참치죽

    2014/08/19 참치미역죽, 참치죽 광복절부터 남편이 장염으로 이틀동안 고생해서 하루는 미음을 먹고 다음날은 죽을 만들었다. 장염으로 고생한 다음이라 이거라도 먹고 기운 좀 차리라고 만든 것인데 이러고 다음날부터 내가 이틀동안 앓았다.. 그래서 오늘 겨우 정신 좀 차리고 밥하기 싫어서 나가서 사먹고 마트에 양파나 당근 좀 사러 갔다왔는데 오늘 저녁에 시댁 제사니 들리라고 어머님께 문자가 왔다. 몰랐던 나도 참 성의 없지만 연락도 없으신 어머님도 참 무던하신 시어머니라 내가 좀 편하게 살고 있다. 어쨌든 며칠동안 집에 있었던 터라...
    Date2014.08.19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6182 file
    Read More
  15. 기본적인 김밥재료로 김밥

    2014/08/18 기본적인 김밥재료로 김밥 먼저 어머님께 받은 우엉... 감사하긴 하지만 양이 엄청 많아서 일도 많았다. 우엉은 씻은 다음 껍질을 벗기고 채칼에 썰어서 식초를 약간 푼 물에 담아두었다가 물을 두세번 갈아 준 다음 40분~50분 정도 중불에 푹 끓여냈다. 하나씩 채썰어서 냉동하면 해동했을 때 더 편하겠지만 일단 일이 너무 많아서 이대로 냉동하고 해동한다음 채썰어서 우엉조림을 하기로 했다. 아래는 예전에 만든 우엉조림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3141&mid=hc10 냉동했던 우엉은 그대로 해동한 다음...
    Date2014.08.18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4905 file
    Read More
  16. 닭갈비만드는법, 닭갈비양념장, 닭갈비 황금레시피

    2020년 업데이트버전 ㅡ https://homecuisine.co.kr/hc10/88211 2016년 5월 9일 수정 닭갈비 양념장은 얼마전에도 올렸듯이 늘 만들던대로 만들고 있다. 수십번도 더 만들어서 친구, 가족과도 함께 먹고 멀리 사는 언니에게는 양념장 만들어서 부쳐주고 등등.. 수도없이 만들었고 지금도 냉장고에 있다.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간장 85 그램 청주 15 그램 양파 70 그램 대파 30 그램 마늘 30 그램 생강 5 그램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그램 설탕 70그램 카레가루 10그램 미원 2그램 을 넣고 잘 섞어뒀다. 참기름 15그램과 ...
    Date2014.08.0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6 Views88937 file
    Read More
  17. 김치삼겹살덮밥, 삼겹살요리

    2014/08/04 김치삼겹살덮밥, 삼겹살요리 앞서 올린 돼지고기 두루치기에 이어 또 간단한 고기식사.. 삼겹살이나 구워 먹을까 하고 김치와 삼겹살을 꺼내두고 보니 덮밥으로 만들면 괜찮겠다 싶었다. 중국음식에 쓰는 양념이 어울릴 것 같아서 두반장과 굴소스로 양념하고, 과정도 중식덮밥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게 했는데 김치와 삼겹살은 완전 한국식 조합이니까 한식 느낌이 더 강했다. 보통 중식을 만들 때에는 전에 올린 어향육사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page=3&document_srl=2526 처럼 주재료를 미리 익히고 팬에 소스...
    Date2014.08.04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9642 file
    Read More
  18. 돼지고기 두루치기, 제육볶음

    2014/08/03 간단하게 만든 돼지고기 두루치기, 제육볶음. 대충 계량스푼 하나 들고 양념들 푹푹 퍼가면서 만든 제육볶음이지만 내 입맛에는 괜찮았다. 물론 공들인 레시피는 아니지만 편하게 금방 만들어 먹기 좋으니 기대감도 적고, 고기는 원래 맛있는거니까...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500그램, 양배추, 양파, 대파 양념장으로 고운 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2스푼, 간장 2스푼, 설탕 3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2스푼, 다진파 2스푼, 후추, 참기름, 깨소금 한식의 기본 양념 공식인 장설파마후참깨에 청주를 더했다. 장은 간장, 고추장, 고춧가...
    Date2014.08.03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20523 file
    Read More
  19. 막국수, 막국수 양념장

    2014/08/02 막국수, 막국수 양념장 양념장은 예전에 만든 것을 바탕으로 재료의 양을 조금 수정하고 양파와 사과를 갈아 넣었는데 그렇게 맛있는 건 아니고.. 먹을 만은 하지만 그렇다고 맛있는 것도 아닌 그럭저럭한 양념이었다. 새콤한 맛이 조금 강해서 식초를 조금 줄이면 괜찮을 것 같기는 한데 막국수나 비빔국수 양념장은 만들어도 만들어도 마음에 꼭 맞게 들지는 않는 것이 어디가서 창업전수라도 받아보고 싶은 심정이다. 워낙 비빔국수 종류를 좋아해서 비빔냉면, 막국수, 비빔국수를 만들 때에는 대량으로 만들어서 레시피를 정형화 해보...
    Date2014.08.0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2 Views12671 file
    Read More
  20.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2014/08/02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소고기 양지 250그램은 대파와 함께 1시간이상 약불에 삶았다. 건져내고 남은 육수는 150그램정도로 더 졸이고 식혀서 기름을 걷어냈다. 고기는 잘게 다졌다. 배 200그램, 양파 100그램, 마늘 30그램, 생강 10그램, 간장 200그램을 블렌더로 갈아두고 여기에 식힌 육수와 고운 고춧가루 100그램, 고춧가루 100그램, 물엿 150그램, 설탕 100그램 을 넣고 섞은 다음 다진 소고기를 넣고 섞었다. 여기에 실파, 참기름, 깨가 들어가야 하지만 이건 양념장을 면에 무치기 직전에 약간씩 넣으면 되니까 여기까지만 양념장을...
    Date2014.08.0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8893 file
    Read More
  21. 파부추전, 파전만드는법

    2014/07/27 파부추전, 파전만드는법 층층이 쌓아 만든 동래파전식 해물파전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5863&mid=hc10 집에 제사가 많아서 어릴 때부터 엄마 옆에서 찌짐을 많이 부치다보니 딴 건 몰라도 찌짐은 좀 괜찮게 굽는다. 엄마께서는 늘 묽은 밀가루반죽에 간을 하시고 홍합과 청양고추를 듬뿍 넣고 찌짐반죽을 하셨는데 나도 비슷하게 만든다. 조개를 넣을 때에는 해감을 해도 모래가 조금 남을 수도 있고, 특히 껍질이 있는 것을 사면 살아있는 조개의 껍질을 까는 것보다 데쳐서 까는게 더 편하기도 하...
    Date2014.07.2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2 Views2758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