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5495.JPG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귀찮을 때는 시판하는 육수나 만능멸치육수(멸치진국), 참치액 등을 약간 넣어도 괜찮다.
육수 내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43240


사용한 재료는
명태알 400그램 (청주 약 100미리)
냉동꽃게 2마리

멸치황태육수 700미리
국간장 1.5스푼
새우젓 1티스푼
고운 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2스푼
다진마늘 1스푼
후추약간
무 약 5센치 
대파 중간 것 1대
청양고추4개
두부 1모
고추기름 약간



명란은 소금물에 담가가며 씻어서 깨끗한 물에 씻었다. 흐르는 물에 씻어도 되긴 한데 손실이 좀 있다.
명란은 청주 반 컵을 부어서 담가두었다가 사용했는데 명란젓을 담을 것도 아니고 익혀서 먹을 것인데다가 신선한 명란이면 생략해도 괜찮다.

손질해서 냉동한 꽃게는 전날 밤에 냉장실에 넣어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씻어서 물기를 빼두고
두부, 대파, 청양고추는 적당히 썰어두었다.
 
황태육수에 국간장, 새우젓, 고춧가루, 다진마늘, 후추, 무를 넣고 중불로 무가 무르도록 익히는데 너무 푹 익히지는 않고 살캉하도록 80%정도 익혔다.

크기변환_IMG_5486.JPG 


여기에 꽃게와 명란을 넣고 명란이 익도록 5분정도 끓였다. 이리도 있으면 넣으면 더 좋다.

크기변환_IMG_5487.JPG 



여기에 두부, 대파, 청양고추를 넣고 전체적으로 한 번 더 팔팔 끓어오르면 끝.

크기변환_IMG_5488.JPG


명란이 풀려서 국물이 탁해졌긴하지만 간을 보니 짜지 않게 입맛에 맞았다.
불을 끄기 전에 간을 보고 끓인 육수나 새우젓, 국간장 등으로 입맛에 맞게 간을 딱 맞추어야 보람이 있다.


크기변환_IMG_5495.JPG

매운탕이 다 그렇듯이 국물이 밋밋하지 않고 간이 맞으면서 얼큰시원하면 더 바랄 것이 없다.
명란이고 꽃게고 먹을 것이 있어서 밥상에 메인으로 놓기 괜찮았다.

회 먹고 끓인 서더리탕도, 얼큰한 매운탕도, 시원한 맑은탕도 정말 좋아하는데 이번에는 생선을 사고 손질하지도 않고 (상대적으로) 편하게 준비한 재료로 매운탕만 하게 먹을 만 한 점이 좋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더리매운탕.

단골 횟집에 갔다가 회만 잔뜩 먹고 오는 길에 오랜만에 서더리를 받아왔다.
서더리는 광어, 참돔, 쥐치를 받아왔는데 1키로 이상 넉넉하게 사용했다.

육수에 서더리를 넣고 끓여서 살만 발라낸 다음 순두부와 산초를 약간 넣어서 끓였다.
별로 서더리매운탕 같이 생기지는 않았지만 뼈가 있으면 국물도 잘 못먹고 바르기 힘들어하는 가족이 있어서 이렇게 했다.
어차피 뼈가 대부분이고 생선뼈로 국물맛을 내는거라 서더리를 육수에 넣고 30분정도 푹 끓여서 살을 발라내고 국물 맛에 포인트를 줬다.


사용한 재료는
황태육수 약 1리터
서더리 약 1키로
고춧가루 4스푼
청주 2스푼
새우젓 1스푼
국간장 2스푼
다진마늘 1.5스푼
대파 1대, 청양고추 3개, 두부
산초 1티스푼


집에 있는 채소로만 끓였는데 여기도 취향에 따라 쑥갓이나 미나리, 팽이버섯, 방아잎 등을 넣으면 좋다.
두부도 집에 없어서 대신 순두부를 2시간정도 수분을 빼고 넣었다.


순두부는 미리 반으로 잘라 키친타올에 얹서 물기를 빼고 육수를 우리고 서더리를 씻고 나머지 양념재료와 대파, 청양고추를 준비했다.
(만들면서 사진 찍을 생각을 못해서 서더리사진이 없다;;)


황태육수에 서더리를 넣고 (무가 있으면 같이) 중불에 30분정도 푹 끓인 다음 한 김 식혀서 서더리를 건져내고 체에 한 번 거르고 서더리는 머리와 뼈에 붙은 살을 발라냈다.

여기에 양념을 넣어 끓기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5분정도 끓인 다음 간을 보고 순두부를 넣고 한 번 끓였다. 이쯤에서 간을 보고 입맛에 맞게 간을 맞췄다.
생선 기름기가 자글자글 올라오고 시원한 냄새가 아주 좋다.

크기변환_DSC04993.JPG 
미세하게 생선살이 조금 보이는데 생각보다 먹을 것이 좀 있다.


대파와 청양고추를 넣고 한 번 더 팔팔 끓여내면 완성.
마지막에 넣는 산초가루는 취향에 따라 양을 조절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DSC04994.JPG 


크기변환_DSC04995.JPG 


크기변환_DSC04996.JPG 


크기변환_DSC05002.JPG

뼈를 미리 다 발라둔 거라 먹기도 편하고 얼큰한 국물이 순두부와도 잘 어울렸다. 얼큰하고 시원하게 잘 먹었다.



  • 땅못 2019.05.01 09:58

    뭐 하나를 꼽으라하면 여전히 어렵지만 제 컴포트푸드에 얼큰한 빨간 국물이 빠질 수 없다는 것을 얼마 전에야 인정했습니다...명란꽃게 조합도 기막힐 것 같지만 서더리매운탕도 넘나 먹고 싶네요 ㅠㅠ...생선 뼈 특히 대가리 우리면 감칠맛이 장난 아닌 것 같아요. 한번 걸러서 살만 바르면 확실히 편하죠! 저도 공정이 불편해도 먹기에 흐름이 끊기지 않는 쪽을 선호해서 뼈 미리 발라요 ㅋㅋㅋㅋ

    아침부터 눈으로 속풀고 갑니다 ㅎ0ㅎ 요새 홈퀴진 한식코너 핫하네요 b 

  • 이윤정 2019.05.02 04:24
    앗 저도 날이 가면 갈수록 얼큰한 빨간 국물이 제 인생에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걸 인정하게 되더라고요. 말씀대로 요즘 한식 카테고리가 핫ㅎㅎㅎ한 것이 그 때문인 것 같아요. 바쁘고 정신없을 때에 혹은 귀찮고 아무 의욕이 없을 때에 밥은 먹긴 먹어야 하니까 아무생각 없이 막 만들어도 만들어 지는 것이 진정 컴포트한 음식이라서요.
    얼큰 시원 정말 못 잃어요ㅎㅎㅎㅎ
    생선대가리 사이사이에 작은 생선살이 저는 그렇게 좋던데 그 것도 다 제가 안 만들고 누가 해줄 때 가장 좋고요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4 일상 오징어실채 마요네즈무침, 오징어실채볶음 요즘 + 지금 먹고 있는 술안주. 물기가 조금 있는 오징어실채를 마른 팬에 볶아서 마요네즈에 무치기만 했다. 오징어실채는 조미가 아예 되지 않은 국산오징어실... 2 file 이윤정 2019.07.25 7451
763 반찬 고구마순볶음 고구마줄기볶음, 고구마줄기 손질하기 어릴 때 밥상에 고구마줄기가 김치로 볶음으로 무침으로 있으면 가지 만큼이나 안먹었다. 엄마하고 언니하고 같이 고구마줄기껍질을 벗기면서 세상에 이렇게 먹고... 4 file 이윤정 2019.07.22 91593
762 일상 남은 카레로 토마토카레파스타, 카레크림파스타, 빠네파스타 집에 남아있는 것을 사용한다는 말은 이걸 만들려면 먼저 남길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카레를 일부러 만들 것은 없지만 만들 때 넉넉하 남겨서 남으면... 3 file 이윤정 2019.07.20 9295
761 반찬 초간단 참치전 만들기, 참치캔 요리 도시락 반찬으로 싸서 보낼려고 구우면 꼭 보내기도 전에 다 먹게 되는 참치전. 보통 참치전은 참치캔의 수분을 짜든지 아니면 밀가루를 넣든지 해서 부치기 전 ... 16 file 이윤정 2019.07.18 9418
760 한접시, 일품 가지감자고추 매콤볶음 가지와 고추, 감자를 굽고 튀겨서 만드는 지삼선과 주재료를 같게 구성했는데 양념은 한국식양념으로 볶아냈다. 가지와 감자, 고추를 각각 볶아서 양념을 묻혔는... 4 file 이윤정 2019.07.15 10676
759 한그릇, 면 곤약냉채 (별 내용 없음) 여태 냉채는 늘 간장, 식초, 설탕, 겨자, 다진마늘을 주 재료로 한 소스를 만들었는데 잔치집에서 시판 냉채소스에 버무린 냉채가 심플하면서도 ... 14 file 이윤정 2019.07.12 4858
758 한그릇, 면 닭한마리 만들기, 소스 2020 11 버전 https://homecuisine.co.kr/hc10/98774 곧 복날이고 해서 묵혀뒀던 닭한마리 레시피를 갖고 왔다. 종로에 있는 음식점에서 나오는 닭한마리의 구성... 14 file 이윤정 2019.07.09 31267
757 일상 밥상 사진 몇 개 음식도 식기도 식탁도 식탁에 드는 햇빛도 좋은 한상차림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데 밥상사진 찍는 게 음식하는 것 못지 않게 번거로워서 거의 찍지 않는... 7 file 이윤정 2019.07.06 3995
756 한접시, 일품 충무김밥 만들기, 레시피 충무김밥. 자주 해먹지만 너무 여러번 올리기는 그렇고 해서 자제하는데 자제하더라도 일 년에 한 번씩은 다시 올리게 된다. 언젠가부터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8 file 이윤정 2019.07.04 14649
755 반찬 오뎅볶음, 고추와 표고를 넣어서 고추잡채 비슷하게 만들기, 레시피 오이고추를 사놓고 뭘 할까 하다가 그냥 볶았다. 오이고추 때문에 냉동실에 넣어 둔 오뎅과 표고버섯을 해동하고 양파와 대파, 마늘은 늘 있으니까 밥반찬으로 얼... 5 file 이윤정 2019.07.02 4331
754 김치, 장아찌, 무침 미니오이 오이지, 물없이 오이지 만들기, 오이지무침, 레시피 모르는 사람이 없듯이 오이지는 소금물에 삭혀서 먹는 음식이다. 오이지는 여름김장이라고도 하는데 오이지를 좋아하긴 하지만 엄마께 받아먹기만 했지 직접 담아... 8 file 이윤정 2019.07.01 16744
753 전골 탕 백합탕 만들기, 백합 손질법 백합탕은 백합이 다하는거니까 국물 간만 맞추고 간단하게 부추나 고추정도만 넣어서 맑고 깔끔하게 먹는다. 사용한 재료는 백합 1키로 물 부추 고추 부추 넣는 ... 12 file 이윤정 2019.06.29 10907
752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만들기, 푸딩 계란찜 레시피, 일식계란찜 부드러운 계란찜 만들기, 푸딩 계란찜 레시피, 일식계란찜 일식 계란찜은 아니지만 질감이 비슷하니까 제목에 넣어봤다. 계란찜에 종류가 많지만 내가 가장 좋아... 11 file 이윤정 2019.06.28 72224
751 밥류 소고기 야채죽 식사 대신 죽을 꼭 먹어야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지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죽이라도 먹어야 할 때가 있다. 미음 다음으로 먹기에는 조금 더 가벼... 6 file 이윤정 2019.06.26 4541
750 한접시, 일품 두부김치 만들기, 김치찜, 레시피 부드럽도록 푹 익힌 김치에 따뜻하게 데운 두부를 함께 내고 곁들이로 돼지고기를 삶았다.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두부 1모 (시장 두부 1모 기준, 상황에 따라 2모... 9 file 이윤정 2019.06.24 5399
749 고기 오향장육냉채 다시 돌아온 오향장육냉채. 올해도 덥기 시작해서 개시했다. 요즘 예전에 만들었던 걸 거의 똑같게 올리는 경우가 많다. 자주 만드는 품목은 엄청 자주 하지만 최... 2 file 이윤정 2019.06.21 4472
748 일상 참치마요 샌드위치, 써브웨이 서브웨이 스타일로 써브웨이 스타일로 참치마요샌드위치. 내가 평소에 좋아하는 써브웨이 레시피는 햄샌드위치에 (에그마요샌드위치나 햄에 에그마요추가도 좋아함) 빵은 위트, 치즈... 6 file 이윤정 2019.06.19 7679
747 국 찌개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호박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긴 하지만 된장찌개에 사용하려고 애호박은 늘 사놓는 편이라서 애호박을 샀는데 사고 보니 집에 또 있었다.. 그래서 오늘은 애호박찌... 6 file 이윤정 2019.06.17 7872
746 한접시, 일품 잡채 만들기, 레시피 오랜만에 잡채. 특별할 것은 없지만 좋아하는 재료는 최대한 챙겨넣었다. 잡담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랜만에 당면을 미리 불려서 냉장고에 넣어두었고 ... 7 file 이윤정 2019.06.13 5634
745 고기 하얀 제육볶음, 백제육볶음, 백제육, 돼지고기볶음 영등포에서 판다는 하얀 제육볶음 사진을 봤는데 먹어 본 적은 당연히 없고 맛도 모르지만 맛있어보여서 비슷하게 만들었다. 사진을 보니 돼지고기, 양파, 고추, ... 21 file 이윤정 2019.06.08 12514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