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비에 나와서 유명한 꼬막비빔밥.
꼬막을 아주 좋아하지만 손질하기가 번거로워서 작년 한해는 안먹고 지나갔는데 올해는 더 땡겨서 꼬막을 사왔다.
손질해서 양념장에 무쳐서 꼬막무침만 먹다가 꼬막비빔밥은 처음 해봤다.
양념장은 평소와 거의 같기는 한데 꼬막무침 + 양념장에 비빈 밥이 한 그릇에 많이 담긴 모습도 아주 보기 좋고 당연히 맛있기도 하다.
■■■■■■■■■부터가 레시피.
먼저 꼬막손질하기.
꼬막은 해감이 필요하면 1시간만 소금물 담가 덮어놓으면 적당하다.
나는 해감을 재차 했다는 곳에서 구매해서 따로 해감은 하지 않았는데 하면 뻘이 더 덜하기는 하다.
해감을 한 다음 겉면을 박박 씻는 걸 5~10번정도 반복하고 헹궈서 준비했다.
익히기
꼬막은 1. 익히는 정도 2. 꼬막맛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1. 덜 익으면 비리니까 다 익히기 - 많이 익히면 질기니까 과하게 익히지 않기
2. 꼬막을 익힌 다음 꼬막의 맛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헹구지 않기 - 손실이 있더라도 뻘과 껍데기가 씹히지 않도록 적당히 헹구기
이 두가지에서 균형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하다.
질기지 않게 하려고 너무 덜 익히면 비리고, 너무 익히면 질기고
뻘을 완전히 제거하려고 계속 헹구면 맛이 밍밍하고, 아예 헹구지 않으면 경우에 따라 먹을 때 불편할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고르면 된다.
만약에 나는 조금 질긴 한이 있어도 비린 것이 싫고, 뻘은 약간 있어도 꼬막맛은 살아있어야 한다 하면 꼬막을 충분히 익히고 꼬막을 깐 다음에는 물에 절대 헹구지 않는 것이 좋고
만약에 나는 조금 비려도 질긴 것은 싫고, 꼬막 맛이 조금 덜해도 뻘은 절대절대 싫다 하면 꼬막을 살캉하게 익히고 꼬막을 깐 다음에는 물에 두어번 헹구는 것이 좋다.
그래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따라 아예 물을 많이 잡고 끓이거나 아예 물을 적게 잡고 찌는 것이 좋다.
우리집 취향은 뻘은 절대절대 싫고, 내 취향은 최대한 꼬막 맛은 살리고 싶고 비린 것은 싫고 조금 질겨도 상관없다 이다.
내가 평소에 생각하는 방식은
1. 물을 많이 잡아야 물에 꼬막을 우르르 넣었을 때 물의 온도가 급하게 내려가는 것을 막아서 꼬막의 익힘을 조절하기 좋다.
2. 아예 물을 바닥에 깔릴 정도로만 잡고 찌면 꼬막맛이 물에 희석이 덜 되니까 꼬막을 깐 다음에 한두번 헹궈도 그럭저럭 괜찮다.
이다.
-----결론-------
꼬막을 삶을 때는 최대 1.5키로정도 삶는 것이 좋다. 그 이상 한꺼번에 삶으면 온도를 올리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끓이는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
냄비에 꼬막을 넣고 청주를 1키로당 100미리정도 붓고 뚜껑을 닫아서 찌듯이 익힌다.
중간에 뚜껑을 열어서 꼬막을 한 번 저어주고 다시 뚜껑을 닫고 가장자리가 끓어오르고 꼬막이 몇 개 입을 벌리면 불을 끈다.
꼬막은 불을 끄고 바로 건져서 식히고 껍질을 깐 다음 꼬막에 붙어 있는 것을 떼어내고 생수에 하나씩 살짝 담가 흔들어 헹궜다.
마지막으로 생수에 한 번 담가서 빼는 정도로 겉면의 뻘을 제거하고 물기를 잘 털었다.
+물을 가득 끓여서 꼬막을 넣었을 때 온도를 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꼬막을 삶을 때는 큰 냄비 가득 물을 팔팔 끓여서 꼬막 1키로당 최저 1.5분에서 최대 2.5분으로 마음 속에 정해두고 삶으면 적당하다. 찌듯이 익힐 때는 삶는 것보다는 시간이 더 걸린다.
이렇게 하면 내가 원하는 '뻘이 전혀 없고' '어쩔 수 없이 꼬막 맛은 조금 덜하지만 최대한 손실을 막고' '조금 과하게 익을 수도 있지만 비리지는 않는' 꼬막이 된다.
이야기가 너무 길었는데 조개류는 사람마다 좋아하는 취향이 다 다르니 원하는 것을 정해놓고 삶고 손질하면 입맛에 맞게 만들기 편하다는 이야기..
■■■■■■■■■■■■■■■■■■
어쨌든 본론으로.
꼬막비빔밥에 사용한 재료는
꼬막 1키로 (손질 후 300그램)
간장 2.5스푼
고춧가루 1.5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설탕 1티스푼
쪽파 반줌
청양고추 3개
참기름 약간
들기름 약간
깨 갈아서 약간
밥 2그릇
엄지네에서는 들기름이 많이 들어간다고 하는데 나는 들기름은 좋아하지 않아서 참기름을 넉넉하게 사용했다.
참기름은 마트에서 파는 것 말고 참기름집에서 짠 것을 사용해야만 향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