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0097.JPG


평소에 빈대떡은 녹두를 불리고 껍질을 벗겨서 갈아서 만드는데 일이 생각보다 많아서 녹두가루로 편하게 만들었다.

녹두빈대떡만큼 생생한 녹두맛은 아니라도 적당히 녹두빈대떡의 맛을 즐길 수 있어서 일이 부담스럽다면 할 만 하다.

녹두를 갈아서 만드는 녹두빈대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49935


녹두빈대떡은 불린 녹두를 갈아서 찹쌀을 약간 섞어서 만드는데

녹두가루를 사용할 때 녹두가루만으로 빈대떡 반죽을 만들면 콩반죽같은 느낌이 나면서 빈대떡 반죽이 되지 않는다. (실패해봄ㅠㅠ)


시판 녹두빈대떡가루의 성분을 보면 녹두가루와 밀가루(+전분, 찹쌀가루)의 비율이 7:3인데 이번에는 6:4로 맞춰서 만들었다. 

다음에는 튀김가루를 줄이고 찹쌀가루를 10% 추가해봐야겠다.

시판 녹두빈대떡가루를 사용해도 무방하고 녹두가루는 뚜레반 녹두가루(100%)를 사용했다.


집에 있는 재료로 간단하게 만들었는데

추가로 데친숙주나, 손질한 고사리, 새우 등을 넣으면 더 좋다.

집에 돼지고기도 없어서 돼지고기 대신 베이컨을 사용했다. 돼지고기 다짐육을 넣으면 적당하다.



사용한 재료는

녹두가루 120그램

튀김가루 80그램

물 250그램

김치 250그램

대파 50그램

청양고추 20그램

돼지고기 150그램


얼마나 넣고 있나 싶어서 저울에 올려 하나씩 추가하면서 넣다보니 그램 계량이 되었다.

빈대떡을 찍어먹을 초간장도 준비했다.



녹두가루와 튀김가루에 차가운 물을 붓고 덩어리가 없도록 잘 저었다.


크기변환_IMG_0075.JPG 



여기에 다진김치, 다진대파, 다진고추, 다진고기 등 부재료를 넣고 잘 저어서 반죽 끝.

녹두가루를 사용해서 아주 간단하다.


크기변환_IMG_0077.JPG     크기변환_IMG_0082.JPG



팬에 기름을 넉넉하게 두르고 달군 다음 중불로 줄이고 반죽을 부었다.

반죽은 너무 두껍지 않도록 펴고 윗면이 부분적으로 익은 느낌이 나면 길고 큰 뒤지개로 뒤집었다.

이것도 빈대떡이라고 뒤집으면 묵직함이 느껴지고 푹 하고 뒤집을 때 기름이 꽤 튀니까 조심해야한다.


크기변환_IMG_0086.JPG     크기변환_IMG_0087.JPG 



뒤집어서 노릇노릇하면 앞뒤가 노릇노릇하도록 잘 부쳐내면 끝.

기름은 약간 넉넉해야 뻑뻑하지 않다.

빈대떡은 뒤지개러 반이나 4등분으로 갈라서 가장자리의 뜨거운 기름을 끼얹어가면서 부치면 더 바삭바삭하다.


크기변환_IMG_0091.JPG 




크기변환_IMG_0095.JPG 




팬을 들어서 접시로 안착.


크기변환_IMG_0112.JPG


두껍지 않게 이정도 사이즈로 3장 정도 나온다.

 



크기변환_IMG_0097.JPG 





크기변환_IMG_0104.JPG 



빈대떡에 김치전의 느낌이 약간 나기는 하지만 그래도 편하게 만들었고 빈대떡 맛이니까 만족했다.

바삭바삭한 빈대떡에 속재료도 간단하지만 나름대로 넉넉히 들었다. 초간장에 살짝 찍어서 바삭바삭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18.10.11 09:33

    어머나. 시판 녹두가루로도 이렇게 맛있는 녹두전이 가능하군요!!

     

    저는 윤정님을 알게 되면서부터 새롭게 알게 되는게 너무나도 많아요!!!

    저보다 나이는 어리시지만 배울점이 너무나도 많은 존경스러우신 분이세요 윤정님은...^^

     

    뭐든지 재료문제가 아니고 만드는 사람문제라는것을 다시한번 깨닫습니다 ㅋㅋㅋㅋ (사실 몇년전에 가루 샀다가 맛없다고 가루만든회사 욕하면서 버렸거든요 ㅋㅋㅋㅋㅋ )

  • 이윤정 2018.10.15 23:07
    녹두 불려서 껍질 벗기는 일은 하기 싫고 빈대떡은 먹고 싶고 야매밖에 방법이 없는거죠ㅎㅎㅎㅎ
    가루를 저도 몇년 전에 사봤는데 그때는 불린 녹두는 모자라고 먹을 사람은 많고 해서 녹두하고 빈대떡가루를 반반 했었거든요. 의외로 나쁘지 않네? 했다가
    최근에 녹두가루로만 해보고 완전 낭패보고 녹두가루 남은 게 보기도 싫더라고요ㅠㅠㅠㅠ
    이번엔 튀김가루하고 섞었는데 괜찮았으니 다음엔 녹두가루 비율을 좀 더 늘여볼까 싶어요^^

    저는 레드지아님께 따뜻함을 배우고 있으니 제가 더 감사한 부분~ 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4 한접시, 일품 꼬막비빔밥, 꼬막손질하기 티비에 나와서 유명한 꼬막비빔밥. 꼬막을 아주 좋아하지만 손질하기가 번거로워서 작년 한해는 안먹고 지나갔는데 올해는 더 땡겨서 꼬막을 사왔다. 손질해서 양... 11 file 이윤정 2018.10.28 9508
663 고기 촉촉 제육볶음, 두루치기 + 당면사리 몇 년 전까지는 제육볶음에 우동사리도 넣고 당면사리도 넣다가 요즘 와서는 수분이 없는 바특한 제육볶음을 자주 해먹었다. 그러다가 오랜만에 엄마께서 당면 넣... 7 file 이윤정 2018.10.23 7320
662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 듬뿍에 무도 듬뿍 넣어서 자주 자주 끓이는 소고기뭇국. 홈페이지에는 가끔 올리는데 그냥 편하게 끓여서 자주 먹는다. 고기는 겉을 굽고 육수붓고 푹 끓... 4 file 이윤정 2018.10.20 8519
661 밥류 전기압력밥솥으로 만드는 전복밥 전복밥은 솥밥으로 하면 더 좋지만 집에 있는 전기압력밥솥으로 편하게 전복밥을 만들었다. 전복육수로 밥을 짓고 그 위에 전복볶아서 올리고 쪽파양념간장을 곁... 4 file 이윤정 2018.10.17 19381
660 전골 탕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 4 file 이윤정 2018.10.15 7508
» 한접시, 일품 녹두가루로 간단 빈대떡 평소에 빈대떡은 녹두를 불리고 껍질을 벗겨서 갈아서 만드는데 일이 생각보다 많아서 녹두가루로 편하게 만들었다. 녹두빈대떡만큼 생생한 녹두맛은 아니라도 적... 2 file 이윤정 2018.10.06 11191
658 전골 탕 부대볶음 시원하면서 밤낮으로 쌀쌀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밥상에 가스버너를 올려서 불을 켜고 끓여먹는 전골도 부담스럽지 않아서 부대볶음으로 스타트. 예전에 올린 글... 2 file 이윤정 2018.10.04 8584
657 반찬 쪽파무침 아빠께 쪽파 구근을 드리면서 좀 키워달라고 했더니 촘촘하고 이쁜 쪽파를 잔뜩 돌려주셨다. 별 것 없이 대충 키웠다고 오다 주웠다 식으로 말씀하시지만 흙이 어... 4 file 이윤정 2018.10.02 4867
656 한접시, 일품 소떡소떡, 떡볶이소스로 유명한 간식인 소떡소떡. 전부터 한번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떡볶이소스를 만들어둔 김에 떡볶이소스로 떡꼬치소스를 만들었다. 구운 떡과 소세지에 떡꼬치소스를... 4 file 이윤정 2018.09.27 7608
655 한접시, 일품 데리야끼소스 닭다리오븐구이 오븐에 구운 닭다리에 데리야끼소스를 발랐다. 닭다리는 미리 염지하면 좋은데 시간이 없어서 닭다리 살 부분에 소금, 후추를 뿌리고 껍질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 6 file 이윤정 2018.09.22 18706
654 소스 떡볶이소스, 순대떡볶이, 순대볶이 2020년 3월 업데이트 버전 https://homecuisine.co.kr/hc10/90382 요즘 우리집은 꽤 떡볶이판..이다. 일단 대량소스를 만들면 여러가지로 용도를 확장시켜야 활용... 4 file 이윤정 2018.09.18 29217
653 국 찌개 참치 두부찌개, 참치매운탕 집에 감자, 양파, 다진마늘, 대파, 두부는 거의 늘 있고, 나머지 간장, 미림, 고춧가루등 양념은 당연히 있고 참치캔도 늘 있는데 장보러 간지 1주일은 넘었고 생... 2 file 이윤정 2018.09.16 20177
652 밥류 밥으로 간단하게 계란죽 아주 간단한 계란죽. 늦잠을 자고 일어난 주말 점심으로 밥 할 재료도 없고 밥 때는 지나가고 있고 귀찮을 때 (라면각이긴 한데..) 간단하게 만들었다. 육수에 식... 2 file 이윤정 2018.09.11 20781
651 국 찌개 전복미역국 전복, 미역, 국간장, 참기름만으로 만드는 전복죽. 물 대신 황태육수를 넣으면 더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미역 20그램 전복 6미 (약500그램) 국간장... 2 file 이윤정 2018.09.09 14480
650 국 찌개 맑은 소고기뭇국 평소에는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을 자주 하는데 가끔씩 맑은국이 생각 날 때는 이렇게도 끓이곤 한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 2 file 이윤정 2018.09.07 4653
649 소스 떡볶이 만들기, 떡볶이소스, 누들떡볶이 2020년 3월 떡볶이소스 업데이트 - https://homecuisine.co.kr/hc10/90382 2020년 3월 분말떡볶이 - https://homecuisine.co.kr/hc10/90743 고추장없이 떡볶이를 ... 2 file 이윤정 2018.09.05 14235
648 밥류 밥으로 만드는 전복죽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2 file 이윤정 2018.08.30 9278
647 반찬 닭무침, 닭가슴살요리 진공포장으로 판매하는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었다. 국에 반찬을 여러가지 잘 차린 밥상보다는 냉면이나 냉국수를 먹을 때도 잘 어울리고 주... 5 file 이윤정 2018.08.27 9409
646 고기 오리소금구이, 생오리구이, 볶음밥, 오리로스 레시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시피는 ㅡㅡㅡㅡ 아래로 친정집 근처의 오랜 단골 오리집이 있는데 친정에 가면 자주 거기로 외식을 다녔다. 몇 년 전 용기를 내서... 6 file 이윤정 2018.08.24 23226
645 반찬 참치마요네즈, 참치마요김밥 참치에 마요네즈를 넣는 그냥 참치마요네즈와 참치마요를 넣은 김밥. 사용한 재료는 캔참치, 마요네즈, 후추 캔참치는 가다랑어, 카놀라유, 정제수, 야채즙 등으... 2 file 이윤정 2018.08.20 30648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