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9272.JPG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국간장 1스푼
참기름 약간
육수 800미리 (농도에 따라 추가, 먹기 직전에 필요시 반컵 추가)

전복은 1키로에 12~13미 정도 되는 사이즈로 구매해서 사용했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내장이 없는 쪽으로 작은 칼을 넣어서 숟가락이 들어가도록 칼집을 낸 다음 숟가락을 넣어 힘껏 껍질과 분리하고

내장이 터지지 않게 조심조심해서 살과 내장을 분리한 다음 한쪽 끝에 있는 이빨을 제거했다.


숟가락을 바로 넣으려면 뭉툭해서 안들어가고 칼로만 분리하면 전복 살의 손실도 있고 내장이 터질 수도 있어서 작은칼과 숟가락을 다 사용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5158.JPG     크기변환_DSC05167.JPG


크기변환_DSC05169.JPG

 

 

내장을 분리하고 이빨을 제거 한 다음 전복살은 더 깨끗하게 씻었다.

가장자리는 씻으면 계속 검은 것이 묻어나와서 아예 가위로 잘라서 손질했다. 손질한다고 고생 좀 했다..


전복은 양이 많아서 냉동했는데 내장은 1번 쓸 분량씩, 전복살은 하나씩 랩으로 포장해서 냉동했다.


크기변환_DSC05170.JPG     크기변환_IMG_9442.JPG


크기변환_IMG_9443.JPG 



다음으로 육수.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 양파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4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른 다음 사용했다.


94503d10dc8180e2b3baf48c5953c13e.JPG    a81e30a09e884cbcc2aa02e473cb71bd.JPG 



전복손질을 하고 육수를 우려놓으면 (까지가 번거롭긴 하지만 어쨌든) 전복죽은 아주 금방이다. 



참기름에 전복 내장을 볶아서 육수를 붓고 체에 거른 다음 밥 넣고 푹 끓이고 그동안 전복살을 볶아서 넣고 간만 하면 끝이다.

밥은 미리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냉동해두었던 냉동밥을 해동해서 사용했다.



전복내장은 가위로 잘게 잘라서 참기름에 달달 볶다가 준비한 육수를 붓고 체에 걸렀다.

전복내장을 잘게 잘라야 체에 거를 때 편하다.


크기변환_IMG_9230.JPG    크기변환_IMG_9231.JPG


크기변환_IMG_9232.JPG



체에 거른 내장은 된장찌개에 된장 거르듯이 체에 걸러 비벼 눌러가며 육수에 담가가며 걸렀다.

내장 껍질만 약간 남고 나머지는 육수에 전부 들어갔다.


크기변환_DSC05265.JPG     크기변환_DSC05266.JPG



육수에 미리 지어 둔 밥을 넣고 주걱으로 밥알을 잘 풀어서 끓이기 시작했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낮추고 국간장 1스푼을 넣은 다음 계속 저어가면서 15~20분정도 밥알이 푹 퍼지도록 끓였다.

20분정도 끓이는 동안 전복살은 얇게 썰어서 참기름에 볶아서 죽에 넣었다.

전복살을 볶으면서 팬에 생기는 노릇노릇한 것들도 전부 긁어서 넣어야 맛이 더 좋다.


크기변환_IMG_9228.JPG    크기변환_IMG_9240.JPG 


크기변환_IMG_9243.JPG




밥알이 거의 다 퍼지면 일단 불을 끄고 뚜껑을 닫아두었다가 먹기 직전에 육수를 추가해서 한 번 더 끓여내서 그릇에 담았다.

미리 죽을 끓여두면 밥이 계속 퍼지면서 육수를 많이 흡수하는데 계속계속 육수를 추가하기 보다는 일단 완성되면 불을 끈 다음 먹기 직전에 먹기 좋은 농도로 조절하면 알맞다.


크기변환_IMG_9254.JPG     크기변환_IMG_9257.JPG 





크기변환_IMG_9272.JPG


푹 퍼져서 부드럽게 먹기 좋고 전복내장이 녹진하니 고소하고 전복도 듬뿍 들어서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18.08.31 14:14

    헐! 전복옆에 검은색은 원래 있는 무늬?? 아니었나요?

    충격이네요 전복이 저리도 깨끗한 모습으로 환골탈퇴할수 있다니!!!

    저렇게 손질하면 깨끗해질수도 있는거였다니!!!!!

    그래서 그랬나요? 제가 한 전복은 비린내가 나더라구요 @@;;;;;;;;;;;;;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고진교신자여서 해산물류는 잘 안만지다 보니 하는것도 두렵고 잘 몰랐네요 ㅠ_ㅜ

     

    전복을 후라이팬에 참기름 넣고 한번 볶아 넣으면 씹는맛도 그렇고 맛이 훨씬더 업그레이드 되겠어요!!!

    전 전복죽은 무조건 다 잘게 다녀 한번에 볶은후 물넣고 끓이기 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여러가지 좋은 팁들을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이윤정 2018.09.05 00:42
    검은색은 무늬는 아니고 묻어나오긴 해요^^;
    저는 힘들어서 과감하게 가위로 정리했는데 전복이 단단하니까 손아귀에 힘이 많이 들어가더라고요.
    비린내는 손질이랑 관련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그래도 보기에 뽀야니까 한 번 해보심 덜한지 알 수 있지 않을까요ㅎㅎ
    저는 해산물도 엄청 좋아하는데 남편이 그냥저냥이라 해산물 손질하는 수고를 좀 덜하고 있어요ㅎㅎ
    전 그냥 이렇게 만들고 있는건데 팁이라 해주시니 기분 좋은걸요. 레드지아님 입맛에도 맞으심 좋겠어요^^

  1. 통마늘을 곁들인 베이컨 대파 볶음밥

    베이컨과 대파로 만든 볶음밥에 통마늘구이와 계란후라이를 곁들였다. 평소에 마늘은 썰어서 구운 것 보다 통으로 구운 것을 더 좋아한다. 통마늘은 절단면이 적어서 끈적한 느낌없이 튀기듯 굽기 좋은데 마늘이 크면 잘 안익으니까 마음먹고 마늘만 따로 구워야 속까지 잘 익는다. 작은 마늘은 통으로 ...
    Date2020.01.05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7625
    Read More
  2. 햄계란볶음밥, XO스팸계란볶음밥

    어제 김치볶음밥에 이어서 햄계란볶음밥.여태 올린 내용과 거의 같은데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서 쿨타임이 안차도 또 올린다. 그냥 일상적으로 만드는 계란볶음밥인데 밥은 좀 미리 준비했다. 햄이나 스팸, 새우 등 주재료가 바뀌기는 하는데 주 재료를 달리해도 과정은 거의 같다. 준비 1. 밥 미리 지...
    Date2019.10.0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467
    Read More
  3. 김치볶음밥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로 올려본다. 평범해서 별 내용이 없다는 이야기; 평소에 좋아하는 볶음밥은 디저트로서의 볶음밥으로; 고기 구워먹고 남은 고기와 김치에 ...
    Date2019.10.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050
    Read More
  4. 기본 김밥, 김밥 만들기

    2021년 5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103190 내가 생각하는 김밥재료의 정석은 단무지 우엉조림 데친 시금치 or 데친 부추 오뎅조림 or 유부조림 당근볶음 게맛 맛살 김밥용 햄 계란 지단 인데, 김밥재료야 워낙에 바리에이션이 끝도 없는 분야라 어떻게든 다 맛있다. 요즘 우리집에 애...
    Date2019.09.0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1179
    Read More
  5. 소고기 야채죽

    식사 대신 죽을 꼭 먹어야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지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죽이라도 먹어야 할 때가 있다. 미음 다음으로 먹기에는 조금 더 가벼운 죽도 좋지만 소고기 야채죽도 맛있게 먹기 좋은 편이다. 입맛이 없는 와중이었는데 맛있는 죽이라서 입맛이 당기게 먹기 좋았다. 다음에...
    Date2019.06.26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516
    Read More
  6. 마늘쫑 김밥

    마늘이 나오기 시작했으니 이제 제철 마늘쫑은 완전 끝물이다. 김밥을 하려고 푸른 채소를 어떤 걸 사용할까 하다가 집에 있는 마늘쫑을 볶아서 사용하면 편하겠다 싶었다. 시금치나 부추를 데친 것도 좋아하지만 (내 기준) 볶아서 사용하는 푸른 채소가 편하기는 더 편하다. 김밥 재료는 평범하게 준비...
    Date2019.06.0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974
    Read More
  7.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볶음밥

    (별 내용 없음) 5월말이라 제철 아스파라거스가 끝물이다. 끝물이면 더 아쉬워서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사게 되고 그렇다. 이번에 산 아스파라거스로는 처음으로 아스파라거스 장아찌도 담고 데쳐서 냉동도 해봤다. 이 이야기는 다음에.. 어쨌든 아스파라거스는 맛있고 어디에 있어도 좋아서 여기저기에 ...
    Date2019.05.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3670
    Read More
  8. 소고기 김밥

    내가 생각하는 김밥재료의 정석은 단무지, 우엉 (절임채소) 시금치, 당근 (익힌채소) 맛살, 오뎅 햄, 지단 인데, 김밥재료야 워낙에 바리에이션이 끝도 없는 분야라 어떻게든 만들면 다 맛있다. 시금치 대신에 오이, 부추, 아보카도 등 채소로 바꾸거나 추가나 대신으로 유부, 참치, 소고기, 제육, 새우...
    Date2019.05.1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675
    Read More
  9. 참치 생야채 비빔밥, 명이비빔밥

    명이는 많이 샀고 이것저것 해먹자는 마음으로 장아찌를 담은 다음 여기저기 사용할 분량을 남겨두었고 귀한 명이는 알뜰하게 써야하니 귀찮아도 뭐든 해먹어야한다며 평소보다 더 부지런하게 챙겨먹게 됐다. 게다가 글을 올리려면 적어도 제철이 지나기 전이면 좋겠어서 글도 평소보다 열심히 올리니 ...
    Date2019.04.24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1559
    Read More
  10. 명이쌈밥

    (내용은 길지만 평범함 주의) ■■■■■■■■ 까지 잡담 주의 아직도 명이 잔업이 남은 걸 보면 우리집에 명이 요정이 온 줄 알았는데 알고 보면 명이 사장님이었던걸까? 아니면 명이명이 울면 지나치던 사람이 가끔 보기는 했는데 끝도 없이 명이명이 하고 우니까 바로 옆에 있는 사람까지 다 질려서 떠나고 ...
    Date2019.04.2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065
    Read More
  11. 육회비빔밥, 육전비빔밥

    전날 만든 나물로 비빔밥을 했다. 비빔밥을 할 때 나물은 고추장이나 된장이 좋고 생채는 쌈장+고추장을 좋아한다. 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7067 육회용 고기를 사서 당일에는 육회비빔밥을 하고 다음날 남은 육회용 고기로 육전을 구워서 육전비빔밥도 만들었다. 1.가장 먼저 ...
    Date2019.04.14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027
    Read More
  12. 소고기 버섯밥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소고기버섯밥에 달래장을 곁들였다. ~밥이면 밥에 주재료를 넣고 지어야 하지만 밥과 함께 짓는 것은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내 취향에는 밥에 육수가 필요하면 따로 우려서 밥을 짓고 올리는 재료는 따로 조리해서 (굽거나 볶거나 데쳐서) 밥 위에 쌓고 양념장을 올리는 것...
    Date2019.03.3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7912
    Read More
  13. 명란마요김밥

    명란젓에 마요네즈를 넣어서 만든 명란마요로 김밥을 했다. (별 내용 없음) 김밥이야 김밥용 김에 소금, 식초, 설탕으로 간을 한 밥, 그 외 좋아하는 재료면 끝이라 별로 할 이야기가 없다. 1. 단무지+우엉 / 시금치나 오이 / 계란지단 / 당근 / 2. 주재료로 햄, 오뎅, 맛살, 불고기, 참치, 돈까스, 새...
    Date2019.02.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2046
    Read More
  14. 전복볶음밥, 전복 새우 XO볶음밥

    식혀서 냉장보관한 전복밥에, 전복, 새우, XO소스를 넣어서 볶음밥을 만들었다. 전복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702 사용한 재료는 전복밥 2인분 계란 3개 새우 약 20마리 대파 1대 당근 4센치 고추기름 2~3스푼 XO소스 1.5스푼 굴소스 약간 소금, 후추 약간 (간보고) 참기름 약간 1...
    Date2018.11.06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736
    Read More
  15. 전기압력밥솥으로 만드는 전복밥

    전복밥은 솥밥으로 하면 더 좋지만 집에 있는 전기압력밥솥으로 편하게 전복밥을 만들었다. 전복육수로 밥을 짓고 그 위에 전복볶아서 올리고 쪽파양념간장을 곁들였다. 이렇게 만든 전복밥은 전복볶음밥으로 만들기도 한다. (는 다음에 전복으로 검색하면 있음) 계란지단이나 김가루를 추가해도 좋다. ...
    Date2018.10.1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9356
    Read More
  16. 밥으로 간단하게 계란죽

    아주 간단한 계란죽. 늦잠을 자고 일어난 주말 점심으로 밥 할 재료도 없고 밥 때는 지나가고 있고 귀찮을 때 (라면각이긴 한데..) 간단하게 만들었다. 육수에 식은 밥을 넣고 끓인 다음 간을 하고 푹 퍼지도록 끓여서 계란을 풀어 넣고 김가루, 참기름으로 마무리했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육수 8...
    Date2018.09.1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0756
    Read More
  17. 밥으로 만드는 전복죽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국간장 1스푼 참기름 약간 육수 800미리 (농도에 따라 추가, 먹기 직전에 필요시 반컵 추가) 전복은 1키로에 12~13...
    Date2018.08.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9238
    Read More
  18. 충무김밥

    1년에 한번씩 그대로 다시 올리는 충무김밥.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어쨌든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 (섞박지가 맞는 말인데 석박지로 표기) 석박지(약 6~8인분) 무 큰 것 반개 (작은 것이면 0.7개) 소금 2스푼 설탕 4스푼 고운고춧가루 1스...
    Date2018.07.1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5069
    Read More
  19. 차돌 양볶음밥, 양밥

    보통은 양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볶아주는 볶음밥인데 양밥이라도고 부르는 것 같다. 양밥이 곱창집마다 다 스타일이 다르긴 한데 내가 가는 곳은 이렇게 볶음밥이 나온다. 자주 가는 양곱창집의 양볶음밥이 아주 맛있길래 유심히 봤더니 포인트는 다시다였다. 그 이후로 이 볶음밥에는 다시다를 사용한...
    Date2018.07.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0735
    Read More
  20. 두부밥

    북한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인 두부밥. 90년대 이후 북한 전역에 퍼졌다고 한다. 앙념장을 만들 때 고춧가루와 간장을 기름에 익혀서 만드는데 이렇게 만드는 다대기를 연변에서는 소탕즙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 따로 이름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소탕즙은 국수나 밥에 비벼먹기도 하는 양념장인데 고...
    Date2018.06.0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56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