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27979 추천 수 0 댓글 2



크기변환_IMG_9134.JPG




참치에 마요네즈를 넣는 그냥 참치마요네즈와 참치마요를 넣은 김밥.



사용한 재료는

캔참치, 마요네즈, 후추



캔참치는 가다랑어, 카놀라유, 정제수, 야채즙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참치를 뜯어서 그릇에 담아 참치/육즙/기름이 있지만 잘게 부숴보면 수분과 기름이 참치에 다 스며든다. 그냥 참치캔을 뜯어서 먹을 때도 수분과 육즙을 꽉 짜내지 않고 잘게 부숴서 먹으면 부드럽고 좋다.

 

우리집은 참치로 음식을 할 때는 (참치김치찌개나 고추참치, 참치미역국, 참치비빔밥 등등) 참치 육즙이나 기름은 버리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참치마요를 넣는 음식인 참치김밥이나 참치샌드위치, 참치샐러드 같은 경우는 참치가 촉촉하면 식감이 저하되는데 이때는 맛있는 참치기름과 육즙을 포기하고 기름과 수분을 꽉 짜야 샐러드나 김밥, 샌드위치 등이 축축하지 않다.

그러면 참치기름과 육즙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참치기름과 육즙을 짜서 버린 바특한 식감도 포기할 수 없을 때는?


--------------------


참치마요를 만들 때 참치를 팬에 볶아 수분을 바짝 졸인 다음 완전히 식히고 마요네즈에 후추만 약간 넣어서 참치마요네즈를 만든다.

육즙을 버리지 않았으니 짭조름한 간이 그대로라 더 간을 할 필요도 없이 딱 참치와 마요네즈만 있어도 간이 맞고 식감도 보들보들하다.

질척거리지 않아서 김밥이나 주먹밥에 넣기도 좋고 샌드위치나 샐러드에도 잘 어울린다.

이대로 그냥 맨입에 먹기도 하고 술안주로도 먹고 맛김에 밥 싸먹을 때 조금씩 넣으면 맛있다.




캔참치는 뜯은 다음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비린내가 증가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미리 만들어두기보다는 가능한 한 먹는 시간에 가깝게 조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동원참치 덕용 큰 캔을 사서 소분해서 냉동해서 사용해봤는데 캔참치도 생선이라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좋은 방법은 아니었다.

동원 살코기 참치를 사용했다.


마요네즈는 코스트코 마요네즈를 사용했는데 수분이 적고 고소해서 늘 사용하고 있다. 질감이 되직해서 샐러드나 참치마요, 에그마요 등에 잘 어울린다.

다른 마요네즈도 다 좋지만 하프마요네즈는 잘 안어울린다.



크기변환_IMG_9123.JPG 




참치는 기름이나 수분을 전혀 버리지 않고 그대로 팬에 넣고 7분정도 잘게 부숴가면서 수분이 거의 없도록 바특하게 볶았다. (상태에 따라 시간 추가)


크기변환_IMG_9125.JPG     크기변환_IMG_9126.JPG 



뻑뻑하고 수분이 거의 없도록 볶은 다음 그릇에 담아 완전히 식히고 마요네즈를 넣고 후추도 약간 뿌렸다.

마요네즈는 최초에 너무 많지 않게 넣고 참치에 비벼가면서 부족하다 싶을때 조금씩만 추가해서 잘 비벼서 참치마요 완성. 


크기변환_IMG_9129.JPG     크기변환_IMG_9131.JPG 




겉도는 수분이 없으면서도 먹기에 질감이 부드럽다. 맛은 평범한 참치마요네즈이지만 물기를 짜낸 것과는 확실히 맛이 다르다.



크기변환_IMG_9134.JPG 



당장 집에 있는 재료로 참치마요김밥을 만들었다.

참치마요네즈는 수분때문에 깻잎을 놓고 싸는 경우가 많은데 대충 싸도 배어나가는 수분 없이 질척거리지 않고 적당히 잘 완성됐다.


크기변환_IMG_9153.JPG





  • 레드지아 2018.08.21 09:09

    참치마요는 반드시 깻잎에 싸서 만들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어요 ^^ 이렇게 미리 볶으니 질척이지 않나봐요

    아~ 캔참치는 따놓고 두면 비린내가 증가하는거였어요????? 이 나이에 이제서야 알게 되었네요!!

    어쩐지 따서 나중에 먹을려면 맛이  없더라구요!!!

     

    집김밥은 진짜 사랑이죠 윤정님이 만드신 김밥은 밥알도 촉촉해보여서 딱 제취향이예요

    제딸애는 김밥집에서 파는 좋게 말하면 밥알이 알알이 서있는걸 좋아하는데 전 촉촉한 김밥이 좋거든요 ㅎㅎㅎ

    어느집이거나 집에서 만든 김밥이라면 전 너무 좋아요

     

  • 이윤정 2018.08.22 22:42

    캔참치에 기름 수분 짜버리는 걸 제가 별로 안좋아해서 이게 최선이더라고요.
    참치는 따놓으면 미세하게라도 비린내가 증가하더라고요. 고소한 맛은 줄어들고 애매한 맛이 남는 것 같아요.

    집에 푸른채소가 하나도 없어서 막 대충 쌌는데 그래도 집에서 만든 김밥이라고 또 잘먹히기는 하더라고요ㅎㅎㅎ
    저도 밥알이 다 서있는 김밥보다는 좀 촉촉한 걸 좋아하는데 김밥집에서는 밥알이 서있는게 만들기 좀 더 용이할 것 같아요.
    역시 집김밥은 좋은 점이 듬뿍 말아서 다음날 김밥 부쳐먹거나 튀겨 먹는거 아닐까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0 고기 콩나물 불고기, 콩불, 제육볶음 6 file 이윤정 2015.09.07 7271
1059 한그릇, 면 콩국수, 레시피, 만들기 2 file 이윤정 2019.08.25 3395
1058 한그릇, 면 콩국수 레시피, 콩국 만들기, 백태 서리태 콩물 8 file 이윤정 2019.05.14 24234
1057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생채무침 file 이윤정 2022.01.09 2148
1056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2 file 이윤정 2020.03.13 2622
1055 밥류 캔 닭가슴살 볶음밥, 어린이볶음밥 file 이윤정 2013.01.13 3443
1054 한그릇, 면 카레라이스, 오므라이스 2 file 이윤정 2019.01.12 5984
1053 일상 카레돈까스 2 file 이윤정 2015.02.28 3577
1052 한그릇, 면 카라멜라이즈 카레, 카레라이스 2 file 이윤정 2021.11.02 2860
1051 일상 카라멜라이즈 양파 카레, 카레라이스 5 file 이윤정 2017.12.04 17323
1050 고기 칠리소스 안심튀김 4 file 이윤정 2017.10.16 4798
1049 반찬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4 file 이윤정 2021.03.20 3102
1048 김치, 장아찌, 무침 치킨무 만들기 2 file 이윤정 2015.08.29 10944
1047 김치, 장아찌, 무침 치킨무 만들기 4 file 이윤정 2017.11.13 30380
1046 한그릇, 면 치킨마요 만들기, 치킨마요덮밥 만드는법 2 file 이윤정 2020.02.29 4327
1045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4 file 이윤정 2020.08.26 4504
1044 한접시, 일품 치즈불닭, 매운 닭갈비 6 file 이윤정 2016.07.29 9459
1043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file 이윤정 2014.03.14 9681
1042 고기 치즈돈까스 10 file 이윤정 2016.11.11 15237
1041 반찬 치즈 감자채전 10 file 이윤정 2016.07.31 12185
1040 반찬 취나물 볶음, 소고기 취나물 유부초밥 4 file 이윤정 2016.04.26 9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