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9770.JPG



돼지등뼈를 푹 고으면 돼지뼈에서 우러나오는 국물 + 삶은 고기가 되니까 발상의 전환을 해봤다.

등뼈는 보통 씻어서 한 번 데쳐내고 푹 고아서 만드는데 등뼈 대신 찌개용 돼지고기와 시판 사골육수를 넣어서 비교적 간단하게 만드는 버전이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고기는 간단버전보다는 푹 고아내는 등뼈가 더 맛있다. 하지만 수고를 덜하는 비율을 생각해보면 그렇게까지 아쉽지는 않은 수준.

나머지 우거지와 감자 등등 부재료와 국물, 그리고 사리 넣고 밥을 곁들여 먹는 건 감자탕과 거의 흡사하다.



고기는 1시간정도 삶으면 적당한데 우거지가 부드럽게 삶아지는 시간과 고기를 삶는 시간을 맞춰줘야 한다.

배추 겉잎이 겉일수록 푹 끓여내는 시간이 길어지니까 우거지가 많이 질길 때에는 우거지를 30분 정도 삶고 고기를 넣고, 

보통 정도 우거지면 1시간이면 적당하니까 고기와 함께 넣어도 좋다. 


우거지 대신 배추를 사용할 때는 고기를 끓이다가 배추를 넣으면 적당하다. 

만약에 완성되었을 때 감자가 부스러질 것 같은데 우거지가 아직 질기다면 감자만 건져내고 물을 추가한 다음 더 끓여서 우거지를 입맛에 맞게 부드럽도록 끓인다.

(감자는 크기에 따라 30~40분정도 삶으니까 고기를 20~30분정도 삶다가 중간에 넣으면 알맞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돼지고기 600그램


양파 반개

사골육수 1리터

물 500미리 (가감)


우거지 약 6~7잎

감자 큰것 2개


국간장 2스푼

진간장 1스푼 (친수피시소스)

시판된장 1스푼 (집된장 안됨)

고운고춧가루 3스푼

다진마늘 3스푼

후추 약간


대파 반대

깻잎 1묶음

들깨가루 1스푼(선택)

+우동사리 또는 수제비사리



(2019년 업데이트 - 진간장 대신에 액젓을 사용하고 고기와 육수의 양을 좀 늘였더니 더 좋았다.)



물의 양은 끓이는 시간이나 불의 세기에 따라 더 필요할 수 있다.

우거지는 배추 겉잎을 데쳐서 물기를 꽉 짜서 준비하는데 얼갈이배추를 사용해도 괜찮다.

들깨가루는 취향에 따라 선택하는데 뼈가 없는 감자탕이라 국물양이 감자탕보다 조금 적은듯 하기 때문에 들깨가루도 좀 적게 넣어야 한다.

양파는 국물이 달큰하라고 넣는거라 통으로 넣어서 중간에 건져서 버렸다. 



1. 데쳐서 물기를 꽉 짠 우거지에 국간장, 진간장, 시판된장, 고운고춧가루, 다진마늘, 후추를 넣고 무쳐두었다.


크기변환_IMG_9750.JPG  




2. 고기는 달달 볶아두었다.


크기변환_IMG_9755.JPG 크기변환_IMG_9756.JPG 



3. 우거지에 사골육수와 물을 붓고 한 번 끓어오르면 고기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면 불을 줄이고 뚜껑을 기울여 닫아서 1시간정도 푹 끓였다.

+우거지는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상태를 봐서 끓이는 시간을 조절한다.


크기변환_IMG_9751.JPG    크기변환_IMG_9758.JPG



4. 중간에 양파는 건져내고 감자추가, 마지막 10분정도 남았을 때 대파추가.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물추가)


크기변환_IMG_9759.JPG     크기변환_IMG_9761.JPG



5. 감자가 푹 익으면 간을 봐서 짜면 물을 추가해서 한 번 더 끓여내고 수분이 많으면 불을 세게 켜서 조금 졸이면 적당하다.

등뼈의 부피가 없기 때문에 보통 감자탕보다는 국물양이 약간 많다는 느낌이 들도록 완성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IMG_9763.JPG

 


6. 이렇게 끓여서 일단 불을 끄고 간을 봐서 아주 아주 약간 싱거운 정도로 완성한 다음 저녁시간이 되면 다시 끓여 먹었다. 


크기변환_IMG_9765.JPG




먹기 직전에 깻잎을 적당히 썰어서 넣고, 들깨가루는 약간 넣었고 취향에 따라 대파를 더 넣거나 팽이버섯을 넣어도 좋다.


크기변환_IMG_9770.JPG




밥상을 세팅한 다음 감자탕은 버너에 올려 한 번 끓여냈다. 이미 조리가 다 된거라 고기와 감자만 따뜻하게 익으면 바로 불을 껐다. (계속 불을 켜두면 짜게 된다.)


크기변환_IMG_9781.JPG



약간 건져 먹다가 취향에 따라 냉동 우동사리를 넣고(짭짤해서 물도 약간 추가) 우동이 호록하게 잘 익도록 끓였다. 

마지막에 밥도 취향에 따라 곁들이거나 볶아서 먹으면 끝.


크기변환_IMG_9791.JPG




크기변환_IMG_9783.JPG


뼈로 끓여낸 감자탕의 고기만큼 맛있지는 않아도 간단하게 끓여낸 것 치고는 제법 감자탕의 맛이고 

뼈를 우려낸 육수대신에 사골육수를 사용한 국물은 거의 감자탕에 가까워서 맛있었다.

고기도 듬뿍 들었고 부들부들한 우거지에 감자도 우동사리도 잘 어울려서 비교적 편하고 맛있게 잘 먹었다. 마지막으로 밥도 볶아서 먹었다ㅎㅎ




      


  • 킨킨들 2018.06.07 03:52

    우와!! 생각해보니 그러네요! 사골육수만 있으면 진한 맛을 흉내낼 수 있으니까요 ㅎㅎ

    등뼈 사다 몇 시간씩 삶을 엄두가 안났는데,  이건 손질된 일반 돼지고기 넣으면 되니까 훨씬 쉬운 것 같아요~

    감자탕이 저희 가족 소울푸드거든요 ㅎㅎ 그런데 이번에는 어떤 돼지고기 부위를 이용하셨나요?

    기름기 적당한 찌개용 목살을 넣으면 될까요?
     

  • 이윤정 2018.06.09 01:13
    푹 고은 등뼈보다 부족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맛은 어느정도 비슷하긴 해서 편했어요.
    저는 앞다리살을 사용했는데 목살도 좋다고 생각해요. 평소 찌개에 목살 넣는 것 좋아하시면 목살이 더 맛있을 것 같아요^^
  • 한유정 2018.06.07 18:29
    윤정님...흑흑..몇년째 홈페이지 구독하는데..진짜 윤정님은 천재신거같아요..최근본 글중에 최고에요.....
    어떻게 이런생각을 하시지 등뼈못발라먹는 저한테 너무 제격이네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너무감사합니다 오늘 집가서 해먹어야지..ㅠㅠㅠㅠ
  • 이윤정 2018.06.09 01:16
    등뼈로 감자탕을 자주 만들었음에도 아직도 귀찮다 귀찮다 하며 결국에는 여기까지 온건데
    이렇게 좋게 봐주시니 제가 좀 더 귀찮음을 부려도 될까요?ㅎㅎㅎㅎㅎ
  • 레드지아 2018.06.08 16:03

    캭!!!!!!!!!!!!!!!

    이렇게 만들수도 있는거군요!!

    발상의전환!!! 맞아요

    저는 발상의전환이 잘 안된다니깐요!!

     

     

    저희집은 치킨 2마리를 시켜야 하는데 항상 같은곳에서 꼭 2마리를 시켜야 하는줄 알았어요

    그러다 며칠전 깨달았죠

    각각 다른곳에서 1마리씩 시켜도 된다는것을요!!! +_+

    왜 그생각을 못하고 항상 메뉴를 통일해야 한다고 애들에게 말했는지!!

     

    (예를 들어 굽네치킨의 고추바사삭을 큰애가 먹고 싶어하면 둘째는 굽네치킨에서 파는 다른 치킨을 꼭 주문하게 했고요 ㅋㅋㅋ

    bhc에서 뿌링클을 시키면 다른 한마리도 역시 bhc에서 다른 메뉴로 꼭 주문하도록 애들에게 강요...ㅠㅠ)

     

     

     

    오늘 윤정님의 요리를 보니 어머어머~~ 이렇게 만들수도 있구나!~~~ 싶은것이 참으로 신기하고 맛있어보여요

     

    저는 감자탕에 우거지랑 깻잎 들깨를 참 좋아하거든요

    뼈 고는 시간이 부담스러웠는데 요렇게 간단히 할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게 기뻐요 ^^

  • 이윤정 2018.06.09 01:17
    아니 레드지아님 치킨 2마리를 주문할 때는 다른곳에서 무조건 시키는거 아닌가요ㅎㅎㅎㅎ
    이것도 맛잇고 저것도 맛있고 다 먹어야 하니깐요!

    발상의 전환이라고 말은 했는데 귀차니즘의 끝이라고 읽으시면 될듯ㅎㅎㅎㅎㅎㅎ
    뼈 고으는 것도 맛있지만 사실 좀 엄두가 안나는 때가 있는데 이렇게 하면 좀 가벼운 마음으로 간단하게 먹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쉬운 만큼 약간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편하면서도 안편한것 만큼 맛있는 그런 일은 없는거 아니겠어요^^;
  • 오리발 2018.06.09 15:20
    천재십니다 님 천재라고 글쓰고싶어서 방금 회원가입했습니다 꼭 해먹어볼게요 감사해요
  • 이윤정 2018.06.12 00:23
    아니 이런 과찬을ㅎㅎㅎ 감사히 받아서 간직하겠습니다. 기대는 약간 낮추고 만들어드세요^^
  • 눔바 2018.06.20 10:15

    대단하시네요 레시피 검색하다가 가입했어요
    고기를 압력솥에다가 삶으면 얼추 비슷하게 나올 것 같아요
    압력솥에 가득넣고 끓이면 터질 수 있으니 육수와 양념을 조금넣고 고기랑 우거지를 삶아낸 다음 육수 양념 보충하고 감자랑 부재료넣고 한소금 끓이면 될것같아요
    아니면 압력솥에 수육해서 일부는 감자탕으로 끓이고 일부는 수육으로 먹고 이래도 되겠네요.. 한수 배웠어요 감사합니다

     

    혹시 압력솥으로 해보려고 하실 분 계시면 항상 유의하세요 압력추 통로가 막히면 뻥하고 터집니다. 솥의 1/2~ 2/3 이하로 조리하시고 압력추 통로도 자주 세척 점검하시고.. 전분이 많거나 거품이 끓어오르는 재료는 넣지마시구요.  노파심에 몇자 덧붙였습니다

  • 이윤정 2018.06.21 23:59
    제가 조리하는데 압력솥 쓰는 걸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서 압력으로 빠르게 하는 것보다는 시간으로 해결하는 편이거든요.
    음식할 때 압력솥 자주 쓰는 분들이면 그렇게 하면 더 편할 것 같아요^^

  1. 꼬막비빔밥, 꼬막손질하기

    티비에 나와서 유명한 꼬막비빔밥. 꼬막을 아주 좋아하지만 손질하기가 번거로워서 작년 한해는 안먹고 지나갔는데 올해는 더 땡겨서 꼬막을 사왔다. 손질해서 양념장에 무쳐서 꼬막무침만 먹다가 꼬막비빔밥은 처음 해봤다. 양념장은 평소와 거의 같기는 한데 꼬막무침 + 양념장에 비빈 밥이 한 그릇에...
    Date2018.10.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9746
    Read More
  2. 촉촉 제육볶음, 두루치기 + 당면사리

    몇 년 전까지는 제육볶음에 우동사리도 넣고 당면사리도 넣다가 요즘 와서는 수분이 없는 바특한 제육볶음을 자주 해먹었다. 그러다가 오랜만에 엄마께서 당면 넣어 해주신 것을 보니 이런 스타일도 좋아서 예전처럼 몇 번 해먹고 있다. (고기를 미리 구워서 수분이 남지 않고 바특한 버전은 여기 - htt...
    Date2018.10.2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403
    Read More
  3.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 듬뿍에 무도 듬뿍 넣어서 자주 자주 끓이는 소고기뭇국. 홈페이지에는 가끔 올리는데 그냥 편하게 끓여서 자주 먹는다. 고기는 겉을 굽고 육수붓고 푹 끓이다가 무 넣고 고춧가루, 국간장, 마늘 넣고 대파넣고 고추기름 참기름 약간 넣어서, 재료 분량 크게 생각하지 않고 건더기 많게 간만 맞으...
    Date2018.10.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8569
    Read More
  4. 전기압력밥솥으로 만드는 전복밥

    전복밥은 솥밥으로 하면 더 좋지만 집에 있는 전기압력밥솥으로 편하게 전복밥을 만들었다. 전복육수로 밥을 짓고 그 위에 전복볶아서 올리고 쪽파양념간장을 곁들였다. 이렇게 만든 전복밥은 전복볶음밥으로 만들기도 한다. (는 다음에 전복으로 검색하면 있음) 계란지단이나 김가루를 추가해도 좋다. ...
    Date2018.10.1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9484
    Read More
  5.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를 추가하면 더 좋다. 사용한 재료를 보면 사태가 600그램인데 사태는 600그램만 2시간동안 삶으면 효율이 좋지 않으니까 1.2키로 삶아서 ...
    Date2018.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620
    Read More
  6. 녹두가루로 간단 빈대떡

    평소에 빈대떡은 녹두를 불리고 껍질을 벗겨서 갈아서 만드는데 일이 생각보다 많아서 녹두가루로 편하게 만들었다. 녹두빈대떡만큼 생생한 녹두맛은 아니라도 적당히 녹두빈대떡의 맛을 즐길 수 있어서 일이 부담스럽다면 할 만 하다. 녹두를 갈아서 만드는 녹두빈대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
    Date2018.10.0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1281
    Read More
  7. 부대볶음

    시원하면서 밤낮으로 쌀쌀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밥상에 가스버너를 올려서 불을 켜고 끓여먹는 전골도 부담스럽지 않아서 부대볶음으로 스타트. 예전에 올린 글과 거의 같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라운드햄 약 100그램 김치 4잎 양배추 2줌 대...
    Date2018.10.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8646
    Read More
  8. 쪽파무침

    아빠께 쪽파 구근을 드리면서 좀 키워달라고 했더니 촘촘하고 이쁜 쪽파를 잔뜩 돌려주셨다. 별 것 없이 대충 키웠다고 오다 주웠다 식으로 말씀하시지만 흙이 어땠고 물주러 어떻게 갔고 하시는데 오구오구 해드리면 함빡 웃으시는 모습이 쫌 귀엽다ㅎㅎㅎ 쪽파가 마트나 시장에서 사자면 비싼데 아빠...
    Date2018.10.02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962
    Read More
  9. 소떡소떡, 떡볶이소스로

    유명한 간식인 소떡소떡. 전부터 한번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떡볶이소스를 만들어둔 김에 떡볶이소스로 떡꼬치소스를 만들었다. 구운 떡과 소세지에 떡꼬치소스를 바르거나 비비면 금방인데 잔소리가 좀 길다. 떡볶이소스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181 사용한 재료는 비엔나 소세지 1...
    Date2018.09.2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749
    Read More
  10. 데리야끼소스 닭다리오븐구이

    오븐에 구운 닭다리에 데리야끼소스를 발랐다. 닭다리는 미리 염지하면 좋은데 시간이 없어서 닭다리 살 부분에 소금, 후추를 뿌리고 껍질이 아래로 가도록 해서 소금이 닭고기에 배어들도록 1차로 비교적 저온에 굽고 오븐의 온도를 올린 다음 닭껍질에 고추기름을 발라서 2차로, 어느정도 노릇노릇해...
    Date2018.09.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8838
    Read More
  11. 떡볶이소스, 순대떡볶이, 순대볶이

    2020년 3월 업데이트 버전 https://homecuisine.co.kr/hc10/90382 요즘 우리집은 꽤 떡볶이판..이다. 일단 대량소스를 만들면 여러가지로 용도를 확장시켜야 활용도가 높아서 손이 잘 간다. 그래서 떡볶이를 비롯한 각종 볶이들과 떡꼬치소스, 튀김소스, 닭강정소스를 만들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인 순...
    Date2018.09.18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29331
    Read More
  12. 참치 두부찌개, 참치매운탕

    집에 감자, 양파, 다진마늘, 대파, 두부는 거의 늘 있고, 나머지 간장, 미림, 고춧가루등 양념은 당연히 있고 참치캔도 늘 있는데 장보러 간지 1주일은 넘었고 생채소도 주재료도 사 놓은 것도 없어서 할 것도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참치 두부찌개. 생선이 듬뿍 들어가서 생선기름이 자글자글한 매운탕...
    Date2018.09.1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0245
    Read More
  13. 밥으로 간단하게 계란죽

    아주 간단한 계란죽. 늦잠을 자고 일어난 주말 점심으로 밥 할 재료도 없고 밥 때는 지나가고 있고 귀찮을 때 (라면각이긴 한데..) 간단하게 만들었다. 육수에 식은 밥을 넣고 끓인 다음 간을 하고 푹 퍼지도록 끓여서 계란을 풀어 넣고 김가루, 참기름으로 마무리했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육수 8...
    Date2018.09.1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0895
    Read More
  14. 전복미역국

    전복, 미역, 국간장, 참기름만으로 만드는 전복죽. 물 대신 황태육수를 넣으면 더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미역 20그램 전복 6미 (약500그램) 국간장 3스푼 황태육수 약 1.5리터 참기름 약간 전복은 1키로에 12~13미 정도 되는 사이즈로 구매해서 사용했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Date2018.09.0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4697
    Read More
  15. 맑은 소고기뭇국

    평소에는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을 자주 하는데 가끔씩 맑은국이 생각 날 때는 이렇게도 끓이곤 한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우려서 넣으면 국물과 건더기의 양이 적당하면서...
    Date2018.09.0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724
    Read More
  16. 떡볶이 만들기, 떡볶이소스, 누들떡볶이

    2020년 3월 떡볶이소스 업데이트 - https://homecuisine.co.kr/hc10/90382 2020년 3월 분말떡볶이 - https://homecuisine.co.kr/hc10/90743 고추장없이 떡볶이를 만들었다. 고추장 있는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181 자주 만들다보니 고추장 있는 버전을 더 자주 하게 된다. 떡...
    Date2018.09.05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14324
    Read More
  17. 밥으로 만드는 전복죽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국간장 1스푼 참기름 약간 육수 800미리 (농도에 따라 추가, 먹기 직전에 필요시 반컵 추가) 전복은 1키로에 12~13...
    Date2018.08.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9371
    Read More
  18. 닭무침, 닭가슴살요리

    진공포장으로 판매하는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었다. 국에 반찬을 여러가지 잘 차린 밥상보다는 냉면이나 냉국수를 먹을 때도 잘 어울리고 주먹밥이나 유부초밥을 먹을 때 곁들여도 맛있었다. 사용한 재료는 닭가슴살 2개 오이는 미니오이 5개 (일반오이 1개분량) 양파 중간것 1개 +...
    Date2018.08.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9480
    Read More
  19. 오리소금구이, 생오리구이, 볶음밥, 오리로스 레시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레시피는 ㅡㅡㅡㅡ 아래로 친정집 근처의 오랜 단골 오리집이 있는데 친정에 가면 자주 거기로 외식을 다녔다. 몇 년 전 용기를 내서 사장님께 너무 멀어서 자주 못오는데 집에서도 해먹을려면 뭐뭐 들어가냐고 여쭤보니 흔쾌히 알려주셔서 그 이후로 친정집에 갈 때는 단골...
    Date2018.08.24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3381
    Read More
  20. 참치마요네즈, 참치마요김밥

    참치에 마요네즈를 넣는 그냥 참치마요네즈와 참치마요를 넣은 김밥. 사용한 재료는 캔참치, 마요네즈, 후추 캔참치는 가다랑어, 카놀라유, 정제수, 야채즙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참치를 뜯어서 그릇에 담아 참치/육즙/기름이 있지만 잘게 부숴보면 수분과 기름이 참치에 다 스며든다. 그냥 참치캔을 ...
    Date2018.08.2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307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