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8650.JPG


명란젓은 아주 좋아하는데 늘 소량으로 사서 간단하게 양념만 해서 먹어왔고 사먹는 것 중에 가장 좋아하는 건 덕화명란인데 가격도 만만치 않아서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만들기 번거롭긴 하지만 다른 젓갈에 비하면 만드는 과정이 간단한 편이고 그렇기 때문에 만들기에 효율도 좋은 편이디.

친구와 가족에게 놀러갈 때 적당히 가져가서 선물하면 다들 맛있게 잘 먹는다.

넉넉하게 만들었는데도 금방 소진되어서 여러번 만들었는데 계량을 그램으로 수치화해서 똑같이 만드니 같은 재료로 만들기만 하면 언제나 같은 맛이 나서 편리하다.


-----------------------------------------------------


러시아산 명란을 명란젓 용으로 구입해서 명란젓을 만들었다.
'러시아에서 냉동으로 수입해온 명태(동태)를 할복장에서 바닷물에 해동한 후 할복하여 당일에 배송하고 있'다는 곳에서 구입했다.


시판 명란젓은 소금을 10%정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저염명란은 4~5%정도 된다.

지금 올리는 명란젓은 소금 5%를 사용했지만 7일간 숙성 후 마지막에 명란의 겉면을 닦으면서 수분+소금 손실이 있기 때문에 최종 염도는 5%가 채 되지 않는다.

2키로로 만들었지만 사용한 재료에는 1키로로 환산해서 올렸다. (사진에 나오는 분량이 2키로이다.)



사용한 재료는

명란 1키로

소금, 청주

소금 50그램

미원 0.5그램 (0.05%)

고운 고춧가루 적당량 (선택재료, 뿌려가면서 조절)



명란은 최대한 신선한 것으로 고르고 구매하자마자 바로 만들어야 한다.

소금은 정제염을 사용했다. (한주소금사용) (천일염 사용x)

MSG는 0.05%로 아주 극소량을 사용했는데 싫다면 생략해도 괜찮지만 넣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미원 0.5그램은 미원을 접시에 담았을 때 높이가 낮고 새끼손톱정도 면적이 되는 분량이다.


냉동할거라 최대한 수분이 적도록 완성했는데 양념이 촉촉한 것이 좋으면 피시소스 1큰술, 고운고춧가루 2큰술을 개어서 겉에 스치듯이 바른다.

파프리카파우더나 갈릭파우더, 진저파우더, 산초파우더, 뉴슈가 등을 약간 넣는 것은 선택.



전체 과정은

1. 명란 해동하고 헹구고 소금물에 여러번 담가서 헹구기 + 청주에 헹구기

2. 손질 후 수분제거

3. 절임 후 숙성 (중간에 아래위 위치 바꾸기)

4. 수분 제거 후 양념


의 순서인데 생각보다 별로 번거롭지 않다.



해동한 명란은 흐르는 물에 씻으면 손실이 많으니까 소금물에 담아서 2~3회정도 헹구는 것이 좋다.

명란은 소금물 (1리터당 소금30그램)에 넣고 흔들어서 건지는 헹굼을 2~3번했다.


크기변환_IMG_8450.JPG 



소금물에 헹구고 건진 명란에 청주를 부은 다음 저어서 명란을 청주에 한 번 헹구고 건진다. 키친타올로 물기를 닦았다.


크기변환_IMG_8455.JPG     크기변환_IMG_8457.JPG


크기변환_IMG_8458.JPG 



표면에 정리할 것은 알이 터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가위로 잘 정리했다.

사진에 보면 녹색 부분이 있는데 명란의 알 막에 쓸개즙이 묻은 부분이다. 

이 부분은 가위로 잘라내도 괜찮고 명란젓을 다 담고 난 다음에 잘라내도 괜찮다.


크기변환_IMG_8462.JPG 




소금은 미리 저울에 달아서 그릇에 넣고 명란에 나누어 뿌렸다.

그릇에 소금을 약간 깔고 명란과 소금을 켜켜이 넣는데 마지막에 가장 위에는 각각 켜켜이 넣은 것보다 조금 더 넣을 수 있도록 양을 조절해면서 소금을 넣는다.


크기변환_IMG_8463.JPG 



크기변환_IMG_8467.JPG     크기변환_IMG_8468.JPG


크기변환_IMG_8469.JPG     크기변환_IMG_8473.JPG 


가장 윗면이 공기에 노출이 적게 되도록 랩을 덮어서 명란에 착 붙힌 다음 뚜껑을 닫아서 숙성했다.

김치냉장고나 냉장고의 깊은 곳,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넣어두면 된다.



1주일간 숙성하는데 중간에 아래위를 한 번 뒤집어주어야 한다. 
소금이 많은 부분은 명란알이 빨리 단단해지고 소금이 적은 부분은 무르니까 중간에 저어서 전체적으로 단단한 정도가 비슷하도록 섞어주는 것이 좋다.
다시 새로 랩을 덮고 명란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서 다시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 넣었다.


크기변환_IMG_8550.JPG 




1주일이 되어서 꺼내보니 맛도 괜찮고 이제 양념을 하면 적당하도록 완성됐다.
명란은 꺼내서 키친타올로 겉면의 물기를 톡톡 닦아냈다. 숙성된 소금과 소량의 명란이 손에 달라붙기 때문에 키친타올은 짱짱한 것으로 사용해야 한다.


크기변환_IMG_8596.JPG     크기변환_IMG_8601.JPG 



명란에 미원을 아주 진짜 약간, 금가루 뿌리듯이 뿌려서 켜켜이 쌓으면 백명란 완성.

크기변환_IMG_8623.JPG





명란젓이 완성되면 최대 1주일 정도 당장 먹을 소량만 양념해서 냉장하고(양념을 안해도 무방) 

나머지는 소분 포장하여 냉동한 다음 살짝만 해동해서 사용하거나 음식에 따라 냉동 상태로 바로 사용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8652.JPG     크기변환_IMG_8653.JPG 


크기변환_IMG_8633.JPG 





이대로 백명란으로 먹어도 좋은데 백명란은 음식에 활용하기에 더 좋고, 바로 먹을 것은 고춧가루를 약간 뿌리거나 양념하는 것이 더 좋다.


크기변환_IMG_8639.JPG 


바닥에 고운 고춧가루를 깔고 그 위에 명란을 얹고 다시 고운 고춧가루를 뿌려 켜켜이 올리고 마지막에 랩을 덮어주면 완성이다. 일반고춧가루x 고운고춧가루 필수.


크기변환_IMG_8624.JPG     크기변환_IMG_8626.JPG


크기변환_IMG_8630.JPG     크기변환_IMG_8632.JPG 


이대로 냉장실에 보관해서 최대 1주일정도 두고 먹는다.


열어보면 이렇게.


크기변환_IMG_8659.JPG 




크기변환_IMG_8682.JPG  



가위로 적당히 잘라서 참기름만 살짝 뿌려도 밥도둑이다.


크기변환_IMG_8701.JPG



청양고추와 다진마늘 약간, 참기름, 깨를 넣어서 양념해서 먹어도 좋고 여러 음식에 넣기에도 좋다.

명란젓이 당연히 그렇듯이 활용할 음식이 아주 다양한데 앞으로 하나하나 올릴 예정이다.

하나같이 다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0 11월 17일 업데이트.

책에 넣으려고 지금 쓰고 있는 내용인데 그 동안 좀 더 정리한 거라  정리한 그대로 올려본다. 다른 게시글은 원고대로 업데이트를 안했는데 명란젓만 업데이트하는 이유는 명란젓에 애착이 있기 때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통 명란젓은 소금을 10%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4~5%염도면 저염이라고 해요. 이 레시피에는 소금을 5% 사용하는데 명란젓을 숙성하면서 나오는 수분을 닦기 때문에 최종 염도가 4%에 가까운 저염명란젓입니다.

백명란에는 소금, 청주, 미원만 들어가면 충분합니다. 빨간명란젓 양념은 고춧가루만 사용하거나 고춧가루와 피쉬소스를 개어서 사용해요. 일반 고춧가루는 사용하면 고춧가루가 굵어서 겉돌아요. 고운 고춧가루를 필수로 사용합니다.

명란젓은 각종 요리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가장 간단하게는 잘라서 참기름만 뿌려도 맛있어요. 다진마늘, 청양고추, 참기름, 깨 등을 넣어서 명란젓 무침을 만들어요.


재료
명란 1키로
소금 50그램
미원 0.5그램 (0.05%)


양념
피시소스 1큰술
물 1큰술
고운 고춧가루 2큰술
마늘즙 1티스푼 (선택)
사카린 1톨(선택)


[재료 팁박스]

명란은 최대한 신선한 것으로 고르고 구매하자마자/해동하자마자 바로 만들어야 한다.
소금은 정제염을 사용했다. (한주소금사용) (천일염 사용x)
MSG는 0.05%로 아주 극소량을 사용했는데 싫다면 생략해도 괜찮지만 넣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미원 0.5그램은 미원을 접시에 담았을 때 높이가 낮고 새끼손톱정도 면적이 되는 분량이다.
단맛을 내는 재료는 설탕보다는 감미료가 좋아요. 단맛이 없어도 괜찮다면 생략합니다.


1. 냉동명란은 냉장해동한다. 해동한 명란은 흐르는 물에 씻으면 손실이 많으니까 소금물에 담아서 2~3회정도 헹구는 것이 좋다. 명란은 소금물 (1리터당 소금30그램)에 넣고 흔들어서 건지는 헹굼을 2~3번 하면 적당하다.

2. 소금물에 헹구고 건진 명란에 청주를 부은 다음 저어서 명란을 청주에 한 번 헹구고 건진다. 키친타올로 겉면의 물기를 닦는다.

3. 표면에 정리할 것은 있는 것은 알이 터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가위로 잘 정리한다.
* 명란을 손질하다보면 녹색 부분이 있는데 명란의 막에 쓸개즙이 묻은 부분이에요. 이 부분은 담기 전에 가위로 잘라내도 괜찮고 명란젓을 다 담고 난 다음에 잘라내도 괜찮아요.

4. 명란젓에 사용할 소금은 소금은 분량대로 접시에 담는다.
소금은 명란에 켜켜이 뿌리는데, 그릇에 소금을 약간 깔고 명란과 소금을 켜켜이 넣는다. 마지막에 가장 위에는 각각 켜켜이 넣은 것보다 조금 더 넣을 수 있도록 양을 조절해면서 소금을 넣는다.
*명란의 윗면은 공기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랩으로 명란 위를 꼼꼼히 덮어서 명란에 착 붙힌 다음 뚜껑을 닫아서 숙성합니다. 김치냉장고나 냉장고의 깊은 곳 등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넣어서 숙성하는 것이 좋아요.

5. 1주일간 숙성하는데 중간에 아래 위를 한 번 뒤집어주어야 한다. 소금이 많은 부분은 명란알이 빨리 단단해지고 소금이 적은 부분은 무르니까 중간에 저어서 전체적으로 단단한 정도가 비슷하도록 섞어주는 것이 좋다.
*위치를 바꾼 다음에는 랩을 새로 덮고 명란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서 다시 뚜껑을 닫아 냉장고에 넣어요.

6. 1주일이 되어서 꺼내보면 맛도 괜찮고 이제 양념을 하면 적당하도록 잘 숙성되어 있다. 명란젓을 꺼내서 키친타올로 명란젓 하나하나의 겉면의 물기를 톡톡 닦는다.
* 숙성된 소금과 소량의 명란이 손에 달라붙기 때문에 키친타올은 짱짱한 것으로 사용해야 물기를 톡톡 닦기 편해요.

7. 명란에 미원을 아주 진짜 약간, 금가루 뿌리듯이 뿌려서 켜켜이 쌓아 백명란을 완성한다.
*명란젓은 이대로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먹기 전에 양념하는 것도 좋아요.


[팁박스]
1. 가볍게 양념을 할 때는 고춧가루만 솔솔 뿌리고 켜켜이 담아도 깔끔해요, 그릇 바닥에 고운 고춧가루를 깔고 그 위에 명란을 얹고 다시 고운 고춧가루를 뿌려 켜켜이 올리고 마지막에 랩을 덮어주면 완성입니다.

2. 촉촉하게 양념할 때는 분량대로 양념장을 만들어서 슥 스치듯이 발라서 양념해요.



  • 레드지아 2018.03.26 13:39

    명란젓도 집에서 만들수 있는거였다니!! 문화충격을 느낍니다요!!

     

    손재주가 이리도 많으시니 요리하시는거 올릴때마다 제입은 쩍쩍 벌어지다 못해 이젠 찢어질지경이어요!!!!

     

    명란젓 저도 좋아하는데 게을러서 만들 엄두가.....@@;;;

  • 이윤정 2018.03.29 00:17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서 새우젓이나 멸치젓보단 훨씬 나아요!
    오징어젓도 집에서 담기 좋은데 횟감정도의 오징어를 사용해야 해서 선뜻 손이 안가요. 그래도 곧ㅎㅎㅎㅎ
    명란젓 만드는거 보셨으면 별거 아니네 하셨을텐데 말입니다ㅎㅎㅎ
  • 개뿔공주 2018.03.27 09:38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통해서 많은 도움을 받아서 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특히 오리불고기양념과 깻잎장아찌 레시피는 잘 활용하고 있어서 주변분들은 제 요리솜씨가 좋다고
    착각한답니다^^
    명란젓도 꼭 해보고 싶은데 생명란 구입처 좀 알수있을까요?
  • 이윤정 2018.03.29 00:19
    반갑습니다^^ 주변분들과 맛있게 드시는 데 제가 올린 글이 참고가 되어서 기쁩니다^^
    명란젓 구입처는 네이버까페 수터 라는 곳이에요. 자주 나오거나 물량이 많거나 하지 않아서 주시하고 있어야 구매할 수 있더라고요.
  • 데블스헌터 2018.08.17 21:15

    안녕하세요 님의 블로그 잘 봤습니다..

    저도 저염명란을 예전부터 만들고 싶었지먄 솜씨가 없어 만들지 못해 포기하려던 차에 우연히 님의 블로그를 보게 되었네요

    솜씨가 정말 대단하신것 같아요. 부럽습니다.

    저도 님의 방법대로 용기내여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명란 구입처를 제게 좀 알려주실수 없을까요?  부탁드립니다.

  • 이윤정 2018.10.05 02:48
    바로 윗 댓글에 이야기했듯이 농라 수터라는 곳에서 구매했어요.
    이라하님 말씀대로 지금은 가입이 막혀있어요.
  • 이라하 2018.10.03 22:41

    명란젓을 만들 수 있다니 엄청나요. 엄청난 일입니다!! 대단하세요!! 존경합니다.

     

    명란젓 진짜 좋아해요.

    당장 만들고 싶어져서 수터라는 곳 가입하려고 했는데 2018년 12월 31일까지 가입 불가 기간이래요. 2019년 1월 1일을 노려 보겠습니다. 

  • 이윤정 2018.10.05 02:49
    농라마트 미미쿠키 사건때문에 수터까지 가입이 안되게 되었더라고요.
    내년 1월이면 택배로 주문하시기에도 적당한 시기인 것 같아요^^

  1.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만만하고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육수 1.5컵 국간장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깨 약간 무의 크기에 따라 간이 다르니까 국간장은 먼저 2스푼을 넣어서 간을 보고 부족하면 조금 더 추가하면 적당하다. 무는 푹 익혀도 부서지지 않도록 세로로 넓고 얇게 썰고 세로로 얇게 채썰었다. 위와 같이 썰 때에는 조금 두꺼워도 부서지지 않은데 아래와 같이 동그랗게 썰 때에는 조...
    Date2018.01.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32178 file
    Read More
  2. 목살 삼겹살 구워먹고 김치볶음밥

    만사 귀찮을 때 제일 만만한 게 고기굽고 마늘굽고 적당히 먹다가 김치 볶아서 김치볶음밥으로 마무리하는 거라 그런 마음가짐으로 포스팅도 댓충뎃충 달군 무쇠팬에 목살을 넣고 맛소금을 솔솔 뿌린 다음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굽고 가위로 자르고 목살이 적당히 구워지면 돼지고기 기름이 있으니까 여기에 얇게 저민 마늘을 넣고 고기와 같이 구웠다. 고기에 마늘향이 배어들어 아주 좋다. 이렇게 몇 번 구워서 먹은 다음에 고기는 몇 점 접시에 덜어서 볶음밥에 넣으로겨 잘게 잘랐다. 팬에 대파 김치 넣고 달달달 + 밥 넣고 산들애(등 조미료) 넣...
    Date2022.09.16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1 Views1941 file
    Read More
  3. 목살 돼지갈비

    과일을 넣거나 양념을 갈지 않고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해서 맛을 낸 돼지갈비. 토치가 있어야 돼지갈비맛이 난다. 달짠한 간이 딱 맞고 만들기도 완전 편하고 맛있다. 재료 (염도 1%) 목살 1000그램 (손질 후) 간장 35그램 피시소스 26그램 설탕 52.5그램 미림 30그램 다진마늘 40그램 다진대파흰부분 40그램 다진생강 5그램 (생략가능) 후추 8회 톡톡 스푼계량 고기 1키로 간장 2.3스푼 피시소스 1.7스푼 설탕 3.5스푼 미림 2스푼 다진마늘 2스푼 다진대파흰부분 4스푼 다진생강 0.3스푼 후추 8회 톡톡 목살은 두껍지 않은 구이용을 사용해서 굽기 편...
    Date2022.08.31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1 Views2568 file
    Read More
  4. 모시조개 미역국, 조개미역국

    사용한 재료는 모시조개 2키로, 생수, 미역 40그램, 참기름 모시조개 2키로를 사서 미역국을 할까 하고 데쳐냈다. 국산 흑모시조개라 보통 바지락보다 거의 2배는 비싼데 조개살 양은 그 반... 껍질이 너무 두껍고 무겁고 쓸데없이 이뻐서 안에 육수만 가득 들어찼는지 2키로 중 껍질 무게 750그램, 발라낸 살은 225그램, 나머지는 다 수분이었다. 어쨌든 생각보다 양이 적어서 짠 채로 맛본다고 몇 개 먹고 난 다음 모시조개 미역국 끓이니 양이 딱 맞았다. 전에 산 밀조개는 양도 많아서 두루두루 해먹었는데 모시조개는 조개 육수가 맛있긴 했지만...
    Date2014.05.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8410 file
    Read More
  5. 명절음식 모음, 차례음식, 제사음식, 잔치음식

    이 음식 외에도 명절음식의 종류는 많지만 지금까지 올린 레시피 중에 명절음식만 모았습니다. 갈비찜, 문어 LA갈비찜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7699&mid=hc10 소갈비찜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document_srl=20486 갈비구이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4725&mid=hc10 갈비살구이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8556&mid=hc10 슬로우 쿠커로 매운 소갈비찜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document_srl=38025, https://homecuisine...
    Date2016.09.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166494
    Read More
  6. 명이장아찌, 명이나물, 산마늘

    비싼 채소인 명이.. 엄청 좋아하는데 집근처 마트에 강원도산 명이가 들어왔길래 400그램에 만원인 명이를 사서 명아장아찌를 담갔다. (다음에는 한 3키로 담아야겠다.) 명이는 잎으로 되어 있어 부피는 크면서 장아찌로 만들면 숨이 많이 죽는데 명이의 양만 보고 장아찌간장을 많이 잡으면 간장으로 명이의 향이 희석되어서 명이의 맛이 반감된다. 딱 명이장아찌가 간장물에 잠겨서 향과 맛이 그 안에서 맴도는 정도를 잡는 것이 좋다. 명이 : 장아찌간장물의 비율은 무게로 1:1이면 적당한데 부피로 보면 이정도로 될까 싶지만 결국에는 맞게 된다...
    Date2016.04.2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16 Views10359 file
    Read More
  7. 명이쌈밥

    (내용은 길지만 평범함 주의) ■■■■■■■■ 까지 잡담 주의 아직도 명이 잔업이 남은 걸 보면 우리집에 명이 요정이 온 줄 알았는데 알고 보면 명이 사장님이었던걸까? 아니면 명이명이 울면 지나치던 사람이 가끔 보기는 했는데 끝도 없이 명이명이 하고 우니까 바로 옆에 있는 사람까지 다 질려서 떠나고 혼자 울 때까지 명이무새가 되는 조류의 저주에 걸린걸까? ㅡㅡㅡㅡ 보통 데친 잎으로 쌈밥을 할 때는 곰취나 호박잎을 데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명이를 데쳐서 만들었다. (사실 곰취나 호박잎은 줄기나 잎 껍지을 다듬기 귀찮아서 잘 사지 ...
    Date2019.04.21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1 Views3979 file
    Read More
  8. 명이나물장아찌, 명이장아찌, 만들기, 담그는법, 레시피

    (다음 해 3월에 수육에 곁들였다. https://homecuisine.co.kr/hc10/90722 ) 작년에 명이장아찌를 건너뛰었더니 아쉬워서 올해는 좀 넉넉하게 담았다. 많이 담는 집에 비하면 많은 것도 아니지만 우리집 치고는 넉넉하다. 명이 종으로는 울릉도종과 오대산종이 있는데 울릉도종은 3월말4월초부터가, 오대산종은 4월말5월초부터가 제철이다. 나무위키는 별로지만 명이의 종에 대한 분류는 위키영문판보다는 맞게 되어 있다. 어쨌든 나무위키에 내용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산마늘이라고 부르는 종은 두 가지로, Allium ochotense종의 정식 명칭은 울릉 산...
    Date2019.04.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24845 file
    Read More
  9. 명이김치

    장아찌를 하려고 명이를 산 김에 명이김치도 조금 담았다. 깻잎이나 쪽파, 명이처럼 향이 강한 채소는 절일 필요 없이 김치를 편하게 만들 수 있어서 좋다. 명이는 부추속에 속해 있는데 명이의 질감을 생각하면 말이 된다 싶다. 마늘보다 더 강한 알리신의 향과 부추나 양파 비슷한 향이 어우러져 있는 명이는 깻잎이나 쪽파, 부추에 비해 냄새가 더 강렬한데 그게 또 명이의 매력이다. 명이김치는 밥에 척 얹어서 먹어도 맛있고 구이나 수육에 곁들여도 맛있다. 명이김치는 깻잎김치처럼 고춧가루, 다진마늘, 쪽파, 액젓, 간장을 넣은 양념을 만들...
    Date2019.04.17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4703 file
    Read More
  10. 명란젓무침, 명이명란젓무침

    이번에도 명란젓을 2키로 만들었다. 명란젓 만들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8381 (생명란은 네이버 농라수터카페에서 구매했다.) 1키로는 고춧가루에 무치고 1키로는 백명란 그대로 냉동했다. 이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전부 냉동. 명란젓을 가위로 슥슥 잘라서 참기름, 깨만 뿌려도 밥도둑이라 밥이 너무 잘 먹히는 게 문제다. 요즘 명이무새라서 명이를 넣기는 했는데 보통은 쪽파를 자주 넣는다. 쪽파, 대파, 고추, 부추, 깻잎 다 좋다. 명란젓은 껍질을 벗기고 다진마늘, 쪽파, 참기름, 깨를 넣고 비벼서 끝. 사용한 재료는 명...
    Date2019.04.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4299 file
    Read More
  11. 명란젓 만들기, 백명란, 저염명란젓

    명란젓은 아주 좋아하는데 늘 소량으로 사서 간단하게 양념만 해서 먹어왔고 사먹는 것 중에 가장 좋아하는 건 덕화명란인데 가격도 만만치 않아서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만들기 번거롭긴 하지만 다른 젓갈에 비하면 만드는 과정이 간단한 편이고 그렇기 때문에 만들기에 효율도 좋은 편이디. 친구와 가족에게 놀러갈 때 적당히 가져가서 선물하면 다들 맛있게 잘 먹는다. 넉넉하게 만들었는데도 금방 소진되어서 여러번 만들었는데 계량을 그램으로 수치화해서 똑같이 만드니 같은 재료로 만들기만 하면 언제나 같은 맛이 나서 편리하다. ---------...
    Date2018.03.21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8 Views37400 file
    Read More
  12. 명란마요김밥

    명란젓에 마요네즈를 넣어서 만든 명란마요로 김밥을 했다. (별 내용 없음) 김밥이야 김밥용 김에 소금, 식초, 설탕으로 간을 한 밥, 그 외 좋아하는 재료면 끝이라 별로 할 이야기가 없다. 1. 단무지+우엉 / 시금치나 오이 / 계란지단 / 당근 / 2. 주재료로 햄, 오뎅, 맛살, 불고기, 참치, 돈까스, 새우튀김 / 3. 기타 재료로 치즈, 깻잎, 고추, 유부 등 / 이런식으로 하나씩 꼽아가면서 재료를 찾아서 만드는데 당장 집에 있는 걸로 꾸려봤을 때 6가지정도 있으면 김밥을 만들곤 한다. 이번에는 통단무지를 곱게 채썰고, 푸른채소는 생략하고, 계란...
    Date2019.02.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8 Views10058 file
    Read More
  13. 명란마요 주먹밥

    (별 내용없음) 명란젓으로 편하게 해먹기 좋은 명란마요 주먹밥. 이번에 만든 명란젓을 사용했다. 명란젓 만들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8381 명란젓 크기가 제각각이기도 하고 딱히 양이 정해진 것이 없어서 사용한 재료는 그냥 적당량이라고 표기했다. 사용한 재료는 명란젓 2개 마요네즈 적당량 밥 2그릇 김자반 적당량 참기름 약간 비슷한 재료로 명란 아보카도 덮밥 - https://homecuisine.co.kr/hc10/68641 명란젓은 겉의 알집을 짜듯이 눌러서 얇은 막은 버리고 속의 명란만 준비했다. 참기름 약간, 마요네즈 약간을 넣어서 잘 섞...
    Date2018.04.23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2 Views7723 file
    Read More
  14. 명란 아보카도 덮밥

    요즘 유행한다는 명란 아보카도 비빔밥? 유행에 밝고 싶은데 어두워서;; 유행이 한참 지난거 같기도 하고 요즘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다. 이번에 만든 명란젓을 사용했다. 명란젓 만들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8381 계란반숙을 사용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나는 계란지단을 듬뿍 사용했다. 취향에 따라 계란반숙도 괜찮겠다. 재작년에 올린 아보카도 덮밥 https://homecuisine.co.kr/hc20/44462 에 명란마요를 추가하고 간을 조절한 버전이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당 밥 1그릇 스시노코 1.5티스푼 쯔유 1티스푼 계란2개, 소금약간 명...
    Date2018.04.0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2 Views10049 file
    Read More
  15.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2014/04/15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생면파스타를 만든다고 제면기를 꺼내서 실패도 해보고 성공도 하면서 제면기를 꺼내놨으니 수제비도 한끼 만들자 싶어서 수제비 반죽은 파스타 만들면서 함께 만들어 두고 냉장실에 3일정도 내버려 뒀다가 지난 일요일 점심에 수제비 주문해서 먹는 느낌으로 얼른 만들었다. 얼른 이라고는 해도 육수 우리고 이것저것 준비하니 재료준비부터 그릇에 담기까지 딱 40분이 걸렸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 분량으로 육수재료로 다시마, 멸치, 황태, 표고, 대파, 무 수제비반죽으로 강력분 20그램, 중력분 180그램, 감...
    Date2014.04.15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7429 file
    Read More
  16.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있고 그것 보다 작은 것으로 자멸, 세멸(=지리멸치)이 있는데 대멸(오주바/오바) : 7.7㎝ 이상 중멸(고주바/주바) : 4.6~7.6㎝ 소멸(가이리고바/고바) : 3.1~4.5㎝ 자멸(지리가이리/가이리) : 1.6~3㎝ 세멸(지리멸) : 1.5㎝ 이하 각각 사이즈가 이렇고, 초여름에 갓 부화한 것이 세멸이고, 여름부터 자, 소, 중으로 자라고, 다 자란 것이 대멸이다. 보통 멸치볶음을 많이 하는 사이즈는 소...
    Date2013.09.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253 file
    Read More
  17. 멸치냉국수, 차가운 잔치국수

    온국수 보다는 냉국수를 좋아해서(=머릿 속의 국수 디폴트가 냉국수라) 여름이고 겨울이고 매번 차가운 육수를 부어 시원한 국수를 먹는데 육수를 늘 우려두니까 집에 있는대로 고명을 준비하고 양념장만 만들면 금방이다. 이번에는 부추를 준비해서 데쳐서 넣었는데 평소에는 이번에 올린 고명 중에 두세가지만 있어도 금방금방 만들어 먹는다. 부산이 36도를 넘는 너무너무 더운 요즘 그나마 생각나는 음식이다. 계절이 바뀌고 따뜻한 국수가 좋을 때는 육수만 뜨겁게 끓여서 부으면 되고 만드는 방법은 똑같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국수 2...
    Date2017.08.07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8 Views36769 file
    Read More
  18. 메추리알 장조림

    도시락을 싸다보니까 만들기 편하면서도 다들 잘 먹는 메추리알 장조림을 자주 하게 된다. 깐 메추리알에 간장물을 붓고 넣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5분 정도 끓인 다음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뒀다가 열흘 내로 먹는다. 재료 깐 메추리알 1키로 간장 100그램 설탕 50그램 미림 50그램 물 200그램 짜지 않고 맨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간인데 끓이는 시간이나 입맛에 따라 물이나 간장을 약간 늘여도 좋다.
    Date2022.03.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2082 file
    Read More
  19. 맵달짠 버터옥수수

    엄마께서 삶아주신 찰옥수수가 아직도 냉동실 반 칸을 차지하고 있는 요즘. 언젠가 옥수수를 일단 냉장실에 옮겨 해동하고 다음날 전자렌지 돌릴까 하다가 통으로 굽고 시즈닝하고 치즈를 듬뿍 뿌린 옥수수가 생각났다. 보통 이런 옥수수는 노란걸 사용하는데 찰옥수수라고 뭐 안될 거 있나? 하며 옥수수를 버터에 굽고 칠리파우더 (파프리카파우더 말고, 칠리 콘 까르네에 넣는 칠리파우더)로 시즈닝을 하면 되겠다 싶어서 냉동실에서 지퍼백에 든 칠리파우더를 찾아왔다. 버터에 노릇노릇 볶은 옥수수에 설탕도 약간 솔솔 뿌리고 다음으로 칠리파우...
    Date2019.10.01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8 Views4780 file
    Read More
  20. 맨날 똑같은 떡볶이

    맨날 똑같은 떡볶이인데 오늘도 먼저 떡볶이소스. 떡볶이소스 재료는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조청 300그램 물엿 100그램 고추장 200그램 (150 넣어서 먼저 만들어보고 취향따라 50추가) 설탕 150그램 (취향에 따라 50~200) 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선택) 매운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후추는 넣지 않는 것이 좋다. 매운 것을 좋아하면 1스푼까지 좋았다. 맛선생이나 산들애 대신에 소고기맛 다시다를 사용하면 60%정도 사용한다. 고운고춧가루는 덩어리를 부수거나 체에 쳐서 준비한 다음 간장+물에 고운 고춧가루...
    Date2020.10.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6861 file
    Read More
  21. 맥적, 목살된장구이, 부추무침, 구운채소

    어제 올린 차돌박이 된장전골에 이어 맥적. 된장양념으로 구운 목살에 부추무침과 구운양파, 구운대파를 곁들였다. 시사상식사전에 나오는 내용으로.. 과거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고구려 민족인 맥족이 먹던 숯불 구이 고기로 ‘맥’은 고구려에 살던 우리 민족을, ‘적’은 꼬챙이에 꿰어 구운 고기를 의미한다. 즉 맥적은 고구려부터 시작된 역사 깊은 음식으로, 된장에 돼지고기를 재워 두었다가 구워 내는 요리로 불고기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라고 한다. 된장양념에 고기를 재우는 요리이긴 한데 고기를 노릇노릇하게 익히면 양념이 타기 쉬우...
    Date2016.04.09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4 Views1206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