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828-.jpg



저렴한 재료로 편하게 만들어 먹는 반찬인 미역줄기볶음. 

미역줄기는 염장이라 오래가니까 떨어지면 사두고 한두달에 한 번씩 만들어 먹는다.

밥반찬으로도 좋고 비빔밥에 넣어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염장미역줄기 1팩 (약 300그램)


식용유 약간

다진마늘 반스푼

피쉬소스 1티스푼 (간보고 조절)

설탕 0.3티스푼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깨 약간


액젓보다 조금 덜 쿰쿰하고 깔끔한 맛인 피쉬소스로 맛을 냈다. 볶으면서 피쉬소스의 향이 날아가고 깔끔하게 간이 잘 된다.

피쉬소스가 없으면 대신에 까나리액젓이나 국간장을 사용해도 좋고 맛소금을 약간 넣는 것도 괜찮다.

설탕을 조미료 넣듯이 아주 약간만 넣으면 맛이 덜 모나긴 한데 아주 살짝 단맛이 스치니까 취향에 따라 생략가능.

한 번 손질할 때 두배정도로 손질해서 반은 바로 볶고 반은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볶아도 괜찮았다.




미역줄기는 체에 밭쳐 소금을 씻어낸 다음 주물러가며 씻어서 물기를 빼서 볼에 담았다.


굵은 부분은 여러갈래로 갈라 찢고 억센 부분은 잘라내고 먹기 좋은 길이로 잘랐다.

면을 들듯이 들고 풀어서 손가락 길이 정도로 자르면서 정리했다.

미역줄기를 물에 담가 소금기를 빼면 그동안 불기 때문에 찢기가 쉽지 않으니까 불리기 전에 손질하면 편하다.


미역줄기는 찬물에 담가 물을 1~2번정도 갈아주며 3시간정도 불려 짠기를 뺀 다음 물기를 꽉 짜서 준비했다.

불리고 짜서 그대로 사용해도 맛있지만 미역냄새를 줄이고 싶으면 끓는 물에 잠깐 데쳐서 찬물로 헹궈서 물기를 짜면 미역냄새가 조금 덜 난다.


미역줄기가 자잘한 느낌을 좋아해서 신경써서 손질하고 잘라서 준비한 다음 불려서 물기를 쫙 빼니 아래정도 상태가 되었다.

굵은 줄기보다 씹는 질감이나 비린맛이 적어서 미역줄기를 싫어하는 사람도 이렇게 잘 손질해두면 손이 한번이라도 더 간다.



크기변환_IMG_3822.JPG



팬에 기름을 두르고 미역줄기를 달달달 바특하게 볶다가 다진마늘을 넣고 볶고 설탕을 약간 넣어서 볶은 다음

불을 끄고 피쉬소스를 간을 봐가며 0.5스푼 부터 넣어가면서 전체적으로 섞어서 간을 봤다.

피쉬소스의 양을 조절해서 입맛에 간을 딱 맞추고 다시 불을 켜고 한 번 볶았다.

불을 끄고 후추, 참기름, 깨를 넣어서 불을 끈 상태로 조금 더 볶아서 완성.


크기변환_IMG_3823.JPG     크기변환_IMG_3824.JPG 




크기변환_IMG_3828-.jpg


흔한 재료로 편하게 만드는 반찬도 한 번이라도 더 공을 들이면 더 맛있게 완성된다.

향긋하고 고소하고 밥반찬으로 늘 좋다. 밥이 자꾸 먹히니까 한 번 만들면 만든 것의 반씩 없어져서 금방 다 먹게 된다.


  • 레드지아 2018.03.12 14:14

    [굵은 부분은 여러갈래로 갈라 찢고 억센 부분은 잘라내고 먹기 좋은 길이로 잘랐다] <---아!!!!! 제가 한 미역줄기볶음이 맛없던데에는 이유가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흔한 재료로 편하게 만드는 반찬도 한 번이라도 더 공을 들이면 더 맛있게 완성된다] 맞습니다 정말 옳은 말씀이십니다!!!!!!!!!!!!!!!!!!!!!!!!!!!....라고는 생각하지만

    머릿속의 생각과 실제의 제 몸뚱이는 따로 노는지라 흑흑...

    뭔가 요행은 없나 항시 노리고 있었는데 그런건 없는거 맞군요...-_-;;;;

  • 이윤정 2018.03.14 23:55
    미역줄기는 그냥 편하게 먹으려고 만드는 반찬인데 그거 하나하나 손질하고 있으면 내가 왜 그러나 싶다가도 또 잘먹는 거 보면 마음이 금방 풀려요ㅎㅎㅎ
    확실히 반찬통에서 없어지는 속도가 다르더라고요.
    저도 항시 요행을 바라고 있는데 정녕 없는걸까요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4 반찬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메추리알은 도시락 반찬으로 자주 만들고 있고 최근에는 한우 암소 사태를 듬뿍 사서 수육도 해먹고 장조림에도 넣고 있다. 그래서 오랜만에 올리는 장조림. 메추... 2 file 이윤정 2018.08.16 10875
643 한접시, 일품 해파리냉채, 냉채소스 오향장육은 4키로씩 삶아서 여름 내도록 냉채를 정말 자주 먹었는데 해파리 냉채는 꽤 오랜만이다. 해파리냉채에도 장육이나 족발을 곁들이면 더 좋다. 장육냉채 ... 2 file 이윤정 2018.08.11 13315
642 일상 골뱅이무침+소면, 비빔칼국수, 쫄면, 비빔만두 (상세 레시피 없음) 비빔소스는 황태+고기육수를 아주 진하게 우려내고 간장, 청주, 미림, 설탕, 사과즙, 양파즙, 다진마늘, 다진대파, 고운고춧가루, 고추장을 ... 4 file 이윤정 2018.08.08 6213
641 소스 닭야채철판볶음밥, 닭갈비볶음밥, 닭갈비양념 집에 늘 만들어두는 닭갈비양념과 닭갈비양념으로 만드는 닭야채철판볶음밥. 늘 똑같이 만드는데 꽤 오랜만에 올린다. 닭갈비양념은 2~3배정도 만들어서 소량으로... 10 file 이윤정 2018.08.04 32768
640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더위를 쫓기 위한 비용으로 전기세를 듬뿍듬뿍 쓰고 있는 요즘. 언니와 조카카 한국에 들어와서 매일 만나느라 바쁘기도 하고 밥 할 기력도 없어서 집에서 거의 ... 4 file 이윤정 2018.07.29 6566
639 밥류 충무김밥 1년에 한번씩 그대로 다시 올리는 충무김밥.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어쨌든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 2 file 이윤정 2018.07.19 15195
638 전골 탕 뚝배기불고기 불고기양념을 미리 만들어 두기가 좀 번거롭기는 한데 그래도 한 8키로 분량으로 넉넉하게 만들어서 1키로분량씩 봉투에 포장하고 냉동보관하면 1년은 먹으니까 ... 2 file 이윤정 2018.07.14 8240
637 일상 기본 돈까스, 등심돈까스 (별 내용 없음) 여러 돈까스를 만들어서 올렸는데 기본 돈까스는 편하게 자주 만들어도 내용이 너무 단순해서 올리지 않았는데 오래만에 업데이트한다. (잠시 잡... 2 file 이윤정 2018.07.13 5467
636 일상 경상도식 순대막장, 순대쌈장 완전 업데이트 ㅡ https://homecuisine.co.kr/hc10/100999 여기를 참고하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순대, 간, 염통에 막장. 경상도에서 순대에 곁들이는 쌈... 2 file 이윤정 2018.07.12 18850
635 일상 일상밥상 2018 07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밥상. 정말 편하게 밥 먹을 때는 바쁘기도 해서 사진을 별로 찍지 않는다. 그 와중에서도 어쩌다 찍어놓은 사진도 있고.. 그 중에 편한 일상... 2 file 이윤정 2018.07.10 5174
634 밥류 차돌 양볶음밥, 양밥 보통은 양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볶아주는 볶음밥인데 양밥이라도고 부르는 것 같다. 양밥이 곱창집마다 다 스타일이 다르긴 한데 내가 가는 곳은 이렇게 볶음밥이... 2 file 이윤정 2018.07.07 10873
633 국 찌개 초간단 명란젓 두부찌개, 알탕 지난번에 만들고 또 만들어 둔 명란젓은 소분해서 냉동했다가 꺼내쓰고 있다. 그 중에도 너무너무 간단한 명란젓 두부찌개. 재료 전부 냄비에 넣어두고 시간에 맞... 2 file 이윤정 2018.07.03 8076
632 한접시, 일품 납작당면잡채 사용한 재료는 고추기름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청주 1.5스푼 간장 1.5스푼 양파 큰것 반개 당근 4분의1개 피망 1개 목이버섯 1줌 표고버섯 3~4개 죽순 ... 2 file 이윤정 2018.06.30 12217
631 반찬 삼치조림 정말 오랜만에 생선. 생선은 냉동보다는 생물이 최고지만 요즘 장보러 갈 여유가 없어서 지난 봄에 가끔 구워먹을까 싶어 사 둔 냉동삼치로 삼치조림을 만들었다.... 4 file 이윤정 2018.06.28 4876
630 고기 대패목살 배추찜 지난 늦겨울에 올린 차돌박이 배추찜, 대패목살 숙주찜 등에 이어서 더 편하게 자주 해먹었던 대패목살 배추찜. 전골용 뚝배기를 사용했는데 일반 전골냄비도 좋... 6 file 이윤정 2018.06.23 28571
629 한그릇, 면 서동계란만두, 계란만두 만들기 티비에 서동계란만두가 나와서 오랜만에 생각이 났다. 별거 없지만 별거 없는 그 맛이 어릴 때는 참 좋았는데 추억보정인지 나이를 먹고 먹어도 맛있다. 학교 다... 17 file 이윤정 2018.06.19 14207
628 한접시, 일품 훈제오리냉채 냉채는 주로 여름에 만드는데 여름에는 음식 여러개 하기가 더 귀찮으니까 한접시만으로도 여름 한끼 식사가 되는 냉채를 선호하는 편이다. 자주 만드는 냉채들이... 2 file 이윤정 2018.06.13 6047
627 밥류 두부밥 북한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인 두부밥. 90년대 이후 북한 전역에 퍼졌다고 한다. 앙념장을 만들 때 고춧가루와 간장을 기름에 익혀서 만드는데 이렇게 만드는 다대... 10 file 이윤정 2018.06.08 15760
626 전골 탕 등뼈없이 사골육수로 간단 감자탕 돼지등뼈를 푹 고으면 돼지뼈에서 우러나오는 국물 + 삶은 고기가 되니까 발상의 전환을 해봤다. 등뼈는 보통 씻어서 한 번 데쳐내고 푹 고아서 만드는데 등뼈 대... 10 file 이윤정 2018.06.06 9733
625 반찬 감자볶음, 감자의 특성, 용도, 보관 겨울 내도록 감자가 너무 비싸서 거의 사지 않다가 햇감자가 나와서 한박스 샀다. 한박스를 사면 보관이 중요한데, 감자는 어두운 곳에서 7~10도의 온도에 보관하... 7 file 이윤정 2018.06.04 15005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