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7492-.jpg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계란을 잘 푼 다음 밥을 계란에 넣고 밥알에 묻은 계란을 익혀 밥알에 계란옷이 하나하나씩 묻어 푸슬푸슬하게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밥, 계란, 대파, 굴소스, 고추기름의 간단한 맛을 냈다.



굴소스와 간장은 아주 조금만 넣어서 간을 하고 마지막에 모자란 간은 소금으로 채워야 맛이 강하지 않고 적당하다. (굴소스만 사용해도 무방)

처음에는 고추기름을 사용하고 마지막에는 참기름 몇방울로 향을 내면 더 딱 떨어진다. 대파기름인 라유를 사용해도 좋다.

고추기름 -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볶음밥용 밥 만들기 - https://homecuisine.co.kr/hc20/71378



사용한 재료는 1인분으로

고추기름 적당량

밥 1그릇

계란 2개

대파 약 10센치

굴소스 0.3티스푼

간장 아주 약간

후추 약간

소금 약간 (간보고)

참기름 약간



2인분을 만들었지만 사용한 재료는 1인분으로 표기해두었다.





가정용 화력과 조리도구로는 한 번에 많은 양을 하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열심히 볶아서 낱알을 떼어주려면 1인분씩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계란물이 밥알 하나하나를 계란옷으로 코팅하듯이 볶으려면 절대로 많은 양을 같이 볶으면 안되고 한 번에 1인분 정도씩 얼른 볶아내어야 이 볶음밥의 포슬포슬한 감촉을 살릴 수 있다. (라고 강조함..)

(먼저 만든 볶음밥은 식사시간까지 3분정도 기다려도 괜찮다.)

 



가장 중요한 재료는 '밥'으로, 쌀은 고슬고슬하도록 밥물을 잡아 밥을 지었다.

갓 지은 밥은 잘 일궈서 천으로 덮어 완전히 식힌 다음 봉투에 넣어서 3일정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사용하면 적당하다.

(밥은 냉동했다가 실온이나 냉장실에서 해동해서 사용하는 것도 편하다.)

단단하게 굳은 밥은 봉투에 넣은 그대로 부숴서 알알이 부서지도록 하면 계란물을 코팅하기에  딱 좋다.

시간이 부족할 때에도 적어도 밥은 완전히 식혀야 하고 이 경우에는 계란물 속에서 밥알을 풀어서 낱알로 분리하는 것도 괜찮다.




대파는 잘게 썰어두고, 계란도 잘 풀어두고 밥도 준비해두었다. 

밥을 볶을 때에는 소스를 바로 뿌리기도 바쁘니까 굴소스도 미리 스푼에 덜어두고 볶기 시작했다.



계란에 소금간을 약간 한 다음 잘 풀어서 계란물에 밥을 넣었다.

밥에 계란이 골고루 묻도록 잘 저었다.

(사진에는 계란이 4개인데, 2인분을 준비해서 1인분씩 볶았다.)


크기변환_IMG_7475.JPG     크기변환_IMG_7476.JPG

 

크기변환_IMG_7477.JPG




집에서 가능한 가장 센 불에 올린 팬에 고추기름을 두르고 팬이 달궈지면 계란과 섞은 밥을 넣고 빠른 속도로 달달달달 볶았다.

 

크기변환_IMG_7480.JPG     


쉬지 않고 밥알을 분리하면서 열심히 볶다가



밥알이 하나하나 분리되도록 익으면 대파와 굴소스를 넣고 간장은 취향에 따라 몇방울 넣고 달달 더 볶았다.


크기변환_IMG_7481.JPG



겉이 약간 노릇노릇하면서 파슬파슬하게 완성되면 불을 일단 끄고 간을 보는데 약간 싱거우면 입맛에 맞도록 소금으로 간하고 후추도 약간 뿌렸다.

참기름을 몇 방울 넣은 다음 불을 켜고 전체적으로 골고루 간이 맞게 한번 화르륵 볶아서 완성.


크기변환_IMG_7483.JPG 


달군 팬에 계란과 밥을 넣고 1인분씩 볶아내는데, 시작부터 불을 끄기까지 3분이 약간 넘게 걸렸다.


 


접시에 담으면 낱알이 파스스 떨어지면서 깔끔하게 딱 떨어진다.


크기변환_IMG_7492-.jpg



 

크기변환_IMG_7493-.jpg


한톨한톨 계란으로 코팅된 밥알을 센불로 달달 볶아 파슬파슬 날아갈듯 흩어지는 볶음밥이 잘 완성됐다.

적당한 고추기름, 대파, 굴소스, 간장의 향이 약하게 나면서 마지막에 후추 약간과 소금으로 입맛에 맞게 간을 딱 맞추니 과하지 않고 적당했다.

 



  • 레드지아 2018.02.13 13:05

    밥알 하나하나 이렇게 다 살아있게 볶으시다니...진정 윤정님은 고수 맞으십니다!!

     

    흩어지는 볶음밥이 쉽지 않잖아요

    저는 뭉텅이로 돌아다니는 밥덩어리들이 자주 보이거든요 ^^:;;;

  • 이윤정 2018.02.15 00:02
    밥을 냉장실에 뒀다가 봉투째로 손으로 부수면 한알씩 부서져요^^
    이전 끼니에 밥을 좀 넉넉하게 해서 남은 밥으로 할 때가 제일 많아요ㅎㅎㅎ
    재료도 별로 없이 만들어도 맛있으니까 저는 그거면 충분합니다ㅎㅎㅎㅎㅎ
  • 콩잇 2018.02.13 18:15

    초중딩때 계란밥을 좋아해서 계란 풀고 밥을 말아서 볶아서 케첩 뿌려서 먹었었는데 레시피가 비슷하네요.

    근데 볶는거에서 차이가 나네용..저는 볶다가 케첩 뿌려서 떡밥 같이 먹었었는데..ㅎㅎㅎ

    요즘 일이 바빠서 자주 못 들어와서 슬프네요 ㅠ ㅠ

    계란볶음밥 보고 생각난 김에 해먹어봐야겠어용~~

    윤정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 명절 행복하게 보내세요^ㅡ^♡

  • 이윤정 2018.02.15 00:35
    저는 어릴 때 밥에 계란 올려서 케찹이랑 비벼 먹는 것 좋아했어요ㅎㅎㅎㅎ
    지금 생각하면 밥에 케찹을 왜 비벼먹었나 싶기도 한데 말입니다ㅎㅎㅎ
    콩잇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명절동안 최대한 시간 내서 잘 쉬시길 바래요^^
  • 뽁이 2018.02.26 09:05
    오예에에에에 어제 굴소스 샀어요 ㅋㅋㅋ
    떨어졌는데 한참 안사고 버티고 ? 잇엇거든요 ㅋㅋ
    버섯 볶으면서 굴소스 넣어먹고
    아 이걸 왜 안사고잇엇지 ... 그랫어요
    낼 아침은 달걀볶음밥입니다 크크크
    마법의소스 굴소스 !!!
  • 이윤정 2018.02.28 00:07
    굴소스 간단하게 맛내기 좋아서 저는 안사고 오래 버텨지지가 않더라고요ㅎㅎㅎㅎ
    볶음밥도 그렇고 다른 음식에도 굴소스 약간으로 간 하고 모자란간은 간장이나 소금으로 채우면 과하지 않고 딱 좋은 것 같아요ㅎㅎ
  • 차승원 2019.09.11 00:39
    내일 저녁에 요리해봐야겠어요.
    계란코팅된 밥알을 저렇게 만드는 군요!
    짬뽕국물과 함께...
    고맙습니다!

  1.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메추리알은 도시락 반찬으로 자주 만들고 있고 최근에는 한우 암소 사태를 듬뿍 사서 수육도 해먹고 장조림에도 넣고 있다. 그래서 오랜만에 올리는 장조림. 메추리알은 삶아서 까서 만들면 가장 맛있지만 힘들어서 깐메추리알을 사용했다. 요즘 코스트코 메추리알이 1키로에 5600원정도라 저렴하고 좋...
    Date2018.08.16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0765
    Read More
  2. 해파리냉채, 냉채소스

    오향장육은 4키로씩 삶아서 여름 내도록 냉채를 정말 자주 먹었는데 해파리 냉채는 꽤 오랜만이다. 해파리냉채에도 장육이나 족발을 곁들이면 더 좋다. 장육냉채 - https://homecuisine.co.kr/hc20/69253 냉채족발 - https://homecuisine.co.kr/hc10/69439 사용한 재료는 해파리 250그램 갑오징어 3~4마...
    Date2018.08.1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3052
    Read More
  3. 골뱅이무침+소면, 비빔칼국수, 쫄면, 비빔만두

    (상세 레시피 없음) 비빔소스는 황태+고기육수를 아주 진하게 우려내고 간장, 청주, 미림, 설탕, 사과즙, 양파즙, 다진마늘, 다진대파, 고운고춧가루, 고추장을 넣어서 끓이고 2배 사과식초로 새콤한 간을 맞추고 조청으로 달콤한 간을 맞춰서 만들었다. +고추기름 각 음식에 따라 필요한 농도가 달라서...
    Date2018.08.0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6080
    Read More
  4. 닭야채철판볶음밥, 닭갈비볶음밥, 닭갈비양념

    집에 늘 만들어두는 닭갈비양념과 닭갈비양념으로 만드는 닭야채철판볶음밥. 늘 똑같이 만드는데 꽤 오랜만에 올린다. 닭갈비양념은 2~3배정도 만들어서 소량으로 포장한 다음 냉동했다가 하나씩 꺼내서 사용하면 편하다. 먼저 자주 올리는 닭갈비양념. 간장 85그램 청주 15그램 양파 70그램 대파 30그...
    Date2018.08.04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32629
    Read More
  5.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더위를 쫓기 위한 비용으로 전기세를 듬뿍듬뿍 쓰고 있는 요즘. 언니와 조카카 한국에 들어와서 매일 만나느라 바쁘기도 하고 밥 할 기력도 없어서 집에서 거의 가스렌지를 안켜고 살고 있다. 그 와중에 그나마 해먹은 고추장찌개.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돼지고기 찌개용 500그램 황태육수 700미...
    Date2018.07.2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502
    Read More
  6. 충무김밥

    1년에 한번씩 그대로 다시 올리는 충무김밥.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어쨌든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 (섞박지가 맞는 말인데 석박지로 표기) 석박지(약 6~8인분) 무 큰 것 반개 (작은 것이면 0.7개) 소금 2스푼 설탕 4스푼 고운고춧가루 1스...
    Date2018.07.1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5095
    Read More
  7. 뚝배기불고기

    불고기양념을 미리 만들어 두기가 좀 번거롭기는 한데 그래도 한 8키로 분량으로 넉넉하게 만들어서 1키로분량씩 봉투에 포장하고 냉동보관하면 1년은 먹으니까 한 번 만들어두면 그 이후로 계속 편하다. 미리 만들어 둔 불고기양념으로 고기를 양념하고 양파, 대파, 버섯, 당면 올리고 육수붓고 끓이기...
    Date2018.07.1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8161
    Read More
  8. 기본 돈까스, 등심돈까스

    (별 내용 없음) 여러 돈까스를 만들어서 올렸는데 기본 돈까스는 편하게 자주 만들어도 내용이 너무 단순해서 올리지 않았는데 오래만에 업데이트한다. (잠시 잡담) 튀김기를 사보기도 하고 버려보기도.. 했던 입장에서 한 번 더 살까 싶어서 튀김기를 거의 전부 뒤져보고 내솥 분리형 등 여러가지를 고...
    Date2018.07.1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386
    Read More
  9. 경상도식 순대막장, 순대쌈장

    완전 업데이트 ㅡ https://homecuisine.co.kr/hc10/100999 여기를 참고하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순대, 간, 염통에 막장. 경상도에서 순대에 곁들이는 쌈장을 막장이라고 부른다. 막된장과는 완전 다른, 일종의 쌈장소스이다. 일반 쌈장과는 다르게 조금 묽고 색도 조금 옅다. 막장은 쌈장에 사...
    Date2018.07.1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8717
    Read More
  10. 일상밥상 2018 07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밥상. 정말 편하게 밥 먹을 때는 바쁘기도 해서 사진을 별로 찍지 않는다. 그 와중에서도 어쩌다 찍어놓은 사진도 있고.. 그 중에 편한 일상밥상을 모아봤다. 올린 적이 있는 건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링크가 없는 것도 있고 그렇다. 햄버거는 기본 햄버거. 와퍼와 약간 비슷한 맛...
    Date2018.07.10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108
    Read More
  11. 차돌 양볶음밥, 양밥

    보통은 양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볶아주는 볶음밥인데 양밥이라도고 부르는 것 같다. 양밥이 곱창집마다 다 스타일이 다르긴 한데 내가 가는 곳은 이렇게 볶음밥이 나온다. 자주 가는 양곱창집의 양볶음밥이 아주 맛있길래 유심히 봤더니 포인트는 다시다였다. 그 이후로 이 볶음밥에는 다시다를 사용한...
    Date2018.07.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0758
    Read More
  12. 초간단 명란젓 두부찌개, 알탕

    지난번에 만들고 또 만들어 둔 명란젓은 소분해서 냉동했다가 꺼내쓰고 있다. 그 중에도 너무너무 간단한 명란젓 두부찌개. 재료 전부 냄비에 넣어두고 시간에 맞춰서 육수붓고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다른 반찬을 만들고 준비하면서 얼른 끓여내기 좋다. 사용한 재료는 명란젓 2개 (큰 것) 애호박 반개 ...
    Date2018.07.0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7987
    Read More
  13. 납작당면잡채

    사용한 재료는 고추기름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청주 1.5스푼 간장 1.5스푼 양파 큰것 반개 당근 4분의1개 피망 1개 목이버섯 1줌 표고버섯 3~4개 죽순 반캔 소불고기용 소고기 200그램 당면 100그램 굴소스 1스푼 노두유 1스푼 후추 약간 소금 약간 (간보고) 참기름 약간 부추 약간 재료를 좀 ...
    Date2018.06.3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2134
    Read More
  14. 삼치조림

    정말 오랜만에 생선. 생선은 냉동보다는 생물이 최고지만 요즘 장보러 갈 여유가 없어서 지난 봄에 가끔 구워먹을까 싶어 사 둔 냉동삼치로 삼치조림을 만들었다. 감자가 제철이라 집에 많이 있어서 조림에 무 대신 감자를 넣었다. 제목이 삼치조림이긴 한데 어릴 때부터 엄마께서는 이런 음식을 지졌다...
    Date2018.06.2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759
    Read More
  15. 대패목살 배추찜

    지난 늦겨울에 올린 차돌박이 배추찜, 대패목살 숙주찜 등에 이어서 더 편하게 자주 해먹었던 대패목살 배추찜. 전골용 뚝배기를 사용했는데 일반 전골냄비도 좋고, 팬을 사용해도 괜찮고 타진냄비를 사용해도 좋다. 숙주찜도 좋지만 [숙주좋음 <<<< 숙주다듬기귀찮음] 이라서 편하게 배추로만 하는 경...
    Date2018.06.2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8481
    Read More
  16. 서동계란만두, 계란만두 만들기

    티비에 서동계란만두가 나와서 오랜만에 생각이 났다. 별거 없지만 별거 없는 그 맛이 어릴 때는 참 좋았는데 추억보정인지 나이를 먹고 먹어도 맛있다. 학교 다닐 때 서동시장 오르막길을 내려가면 집으로 가는 버스정류장이 나왔는데 그 때 하나씩 사먹곤 했다. 우리 언니가 그렇게 좋아해서 집에서도...
    Date2018.06.19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4109
    Read More
  17. 훈제오리냉채

    냉채는 주로 여름에 만드는데 여름에는 음식 여러개 하기가 더 귀찮으니까 한접시만으로도 여름 한끼 식사가 되는 냉채를 선호하는 편이다. 자주 만드는 냉채들이 양장피냉채나 훈제오리냉채, 장육냉채, 냉채족발인데 올해 벌써 세가지나 올리는 중이고 양장피 하나 남았고 다른 냉채를 두어가지 더 생...
    Date2018.06.13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958
    Read More
  18. 두부밥

    북한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인 두부밥. 90년대 이후 북한 전역에 퍼졌다고 한다. 앙념장을 만들 때 고춧가루와 간장을 기름에 익혀서 만드는데 이렇게 만드는 다대기를 연변에서는 소탕즙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 따로 이름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소탕즙은 국수나 밥에 비벼먹기도 하는 양념장인데 고...
    Date2018.06.0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5688
    Read More
  19. 등뼈없이 사골육수로 간단 감자탕

    돼지등뼈를 푹 고으면 돼지뼈에서 우러나오는 국물 + 삶은 고기가 되니까 발상의 전환을 해봤다. 등뼈는 보통 씻어서 한 번 데쳐내고 푹 고아서 만드는데 등뼈 대신 찌개용 돼지고기와 시판 사골육수를 넣어서 비교적 간단하게 만드는 버전이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고기는 간단버전보다는 푹 고아...
    Date2018.06.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9633
    Read More
  20. 감자볶음, 감자의 특성, 용도, 보관

    겨울 내도록 감자가 너무 비싸서 거의 사지 않다가 햇감자가 나와서 한박스 샀다. 한박스를 사면 보관이 중요한데, 감자는 어두운 곳에서 7~10도의 온도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싹이 트거나 부패하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전분의 일부가 당으로 분해된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Date2018.06.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48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