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7643.JPG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장지에 비율도 다 적혀 있으니까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더 바삭바삭하도록 

포장지 비율보다 약간 묽게 만들고 튀김가루에 물 대신 차가운 탄산수를 사용했다.

튀김가루와 탄산수의 비율은 부피로 1:1로 맞추면 딱 맞다.


사용한 재료는 대충..

노바시 새우 약 10마리

고구마 2개

튀김가루

차가운 물이나 탄산수

튀김기름



튀김용 노바시 새우는 완전히 해동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해동이 덜 된 상태에서 튀김옷을 입혀 튀기면 튀기는 동안 녹아서 튀김도 덜 바삭바삭하고 새우와 튀김옷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고구마는 껍질을 벗기고 물로 한 번 씻어서 물기를 닦고 휴대폰 두께로 썰고 노바시새우는 해동해서 살짝 씻고 키친타올로 물기를 닦아서 준비했다.

튀김가루를 준비하면서 튀김기름을 달구기 시작했다.

튀김가루에 차가운 탄산수를 넣고 젓가락으로 글루텐이 생기지 않도록, 날가루가 남아도 상관없으니까 대충 저었다.


크기변환_DSC03651.JPG



튀김옷을 떨어뜨려 보아 반쯤 가라앉았다가 떠오를 때가 170도, 살짝 가라앉아다가 떠오르면 180도이다.

튀김옷을 묽게 만들었기 때문에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 하면 겉만 타버리기 때문에 180도 이상은 오르지 않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3459.JPG



새우와 고구마에 밀가루 옷을 입혀서 한 번 탁 털어내고 튀김반죽에 담갔다가 꺼내서 기름에 튀겨냈다.


크기변환_DSC03460.JPG     크기변환_DSC03461.JPG



튀김을 여러게 넣으면 튀김기름 온도가 떨어지니까 중간중간 타거나 너무 늦게 익지 않도록 중불에서 조금 세거나 약하게 불조절을 했다.

중간중간 나오는 튀김부스러기는 건져내야 타지 않고 깔끔하다.


크기변환_IMG_7621.JPG     크기변환_IMG_7622.JPG 



노릇노릇하게 튀긴 튀김은 체로 건쳐서 탁탁 털어서 기름이 빠져나가도록 하고 건졌다.

바삭함을 유지하면서 기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식힘망에 얹어두는 것이 가장 좋고 아니면 키친타올을 깔고 튀김을 세우듯이 공간을 줘서 최대한 바삭함을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6064.JPG


위는 밤고구마이고 아래는 호박고구마인데 고구마튀김에는 둘 다 잘 어울린다. 수분이 너무 많은 물고구마만 아니면 다 좋다.



바삭바삭 달달한 고구마튀김과 바삭바삭 새우살이 통통한 새우튀김.


크기변환_IMG_7624.JPG 





크기변환_IMG_7631.JPG 



에는 역시 떡볶이도 있어야 제맛이니까.


떡볶이는 대충 만들어서 정확하지 않은데

멸치황태육수 500미리정도에 고추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3스푼, 설탕 3~4스푼, 다진마늘 약간, 대파, 양파, 오뎅 한줌씩 넣고 푹 끓이다가

떡볶이 떡 한 줌 넣고 떡이 말랑말랑하도록 끓여서 완성. 마지막에 고추기름도 약간 넣었다. 

튀김에 곁들이는거라 소스를 약간 넉넉하게 했다.


튀김을 하면서 중간중간 만든거라 대충 만들었다.

떡볶이만 따로 올린 지 꽤 오래되었는데 조만간 다시 떡볶이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야겠다.

떡볶이 참고 - https://homecuisine.co.kr/hc10/24086


크기변환_IMG_7619.JPG     크기변환_IMG_7620.JPG 



크기변환_IMG_7638.JPG 




크기변환_IMG_7643.JPG  




순대떡볶이는 예전에 올린 것 - https://homecuisine.co.kr/hc10/38992 과 똑같이 만들었다.



크기변환_IMG_2653.JPG 



크기변환_IMG_2655.JPG     크기변환_IMG_2658.JPG


크기변환_IMG_2659.JPG     크기변환_IMG_2660.JPG


크기변환_IMG_2661.JPG     크기변환_IMG_2662.JPG 




크기변환_IMG_2675.JPG



또 어떤 때는 고구마튀김, 새우튀김에 닭도 튀기고..


크기변환_IMG_6779.JPG




크기변환_IMG_6780.JPG




라볶이도 대충대충.

전에 올린 것 - https://homecuisine.co.kr/hc10/53381 과 똑같다.



크기변환_IMG_4934.JPG 


귀찮을 때는 이렇게 팬째로 밥상에 올리기도 하고



크기변환_IMG_6586.JPG


고춧가루, 고추장을 좀 더 넣으면 맵고 진하고, 좀 덜 넣으면 연하고

어떨 때는 라면 2개로 부재료도 듬뿍 넣어서 만들고 어떨 때는 1인분으로 라면 1개에 부재료도 적다싶게 넣어서 혼자 먹기도 하고 그렇다.


크기변환_IMG_6938.JPG 




크기변환_IMG_6944.JPG  


또 다른 날.


크기변환_IMG_4944.JPG



튀김은 당연하고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다 맛있고 좋다. (좋아한다)





  • 샤샤샥 2018.02.02 02:53

    뷔페 가서도 꼭 떡볶이 두세번씩 먹고 유럽여행 가서도 아시안마트에서 떡볶이 사다 해먹는 떡볶이 덕후가 이 글을 사랑합니다ㅠㅠㅠㅠ 튀김 때깔도 기가 막히네요ㅜㅜ 몇년 전에 ㅇㅋ에 분식 모음 게시글 남겨주실 때부터 애독자였는데 홈페이지에 오랜만에 들러보네용ㅎㅎ 

  • 이윤정 2018.02.04 00:46
    '뷔페에 가서도 떡볶이 두세번' 이라니 떡볶이를 얼마나 좋아하는지 짧으면서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좋은 방식이네요ㅎㅎㅎ
    유럽여행에 가셔서도 드신다니 떡볶이의 마력은 대체 어디까지입니까ㅎㅎㅎㅎㅎ
    이제 ㅇㅋ는 끝..이지만 그래도 우리는 잊지 말고 서로 가끔 뵙기로 해요^^
    내일 춥다는데 감기조심하세요!
  • 레드지아 2018.02.02 09:19

    윤정님 같은분만 있다면 이번엔 분식집 다 망할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방과 탄수화물의 만남은 진정 헤븐 아닙니까!!!!!!!!!!!!!!!!!!!!!!

    쌍엄지 척!!!!!!!!! 입니다!!!!!!!!!!!!!!!!!!!!!!!!!!!!!!!!!!!!!!!

     

    왜 떡볶이와 튀김은 먹어도 먹어도 물리지 않고 자꾸 먹고 싶은지 ㅠㅠ

     

    통통한 새우튀김이 몹시 맘에드네요 ㅋㅋ(제 맘에 들어서 뭘 어쩌자는건지 ㅋㅋㅋ)

  • 이윤정 2018.02.04 00:49
    늘 말씀드리지만 이렇게 만들면서도 분식집에는 꼬박꼬박 다니고 있습니다ㅎㅎㅎㅎㅎㅎㅎ
    지방과 탄수화물은 나를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아닙니까ㅎㅎ
    떡볶이와 튀김의 고소 매콤 조합은 달짠보다 훨씬 더 유서깊어서 계속 먹히는 것이 진리죠ㅠㅠ
    제 접시 위의 새우튀김이지만 레드지아님 마음에 들면 제가 좋으니까 좋은겁니다!ㅎㅎㅎ
  • 뽁이 2018.02.15 08:21
    으앙 ㅠㅠ 명절 앞두고 이 무슨 가혹한 !!!
    아인가요 튀김 많으니까 떡볶이만 사먹으라
    머 이론 말씀 ? ㅋㅋㅋ
    진짜 튀김은 왤케 맛난건가 모르겟어요 ㅋㅋㅋ

    그나저나 제 핸드폰은 약 3cm 두께인데요
    푸하하하하하하 ㅋㅋㅋㅋㅋㅋ

    행복하고 조금은 덜 피곤한 명절 보내세요 윤정님 ^^
  • 이윤정 2018.02.18 00:06

    명절 잘 보내셨죠? 마지막 날이라서 아쉬워요ㅠㅠ
    이번엔 기간이 좀 짧아서 후딱 다니다보니 다들 빨리빨리 보낸 것 같아요.
    뽁님도 조금 덜 피곤하게 보내셨나요?

    휴대폰이 3센치라니 아이쿠 몰라뵈서 죄송합니다ㅎㅎㅎㅎㅎㅎㅎ


  1.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에 맞게 만드는 것을 알고나니까 바로 좋아졌다. 고추장찌개를 모르는 사람이 처음 들으면 고추장으로 찌개를?? 이라고 하는데 닭도리탕과 ...
    Date2018.02.2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1364
    Read More
  2.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곰탕이나 삼계탕정도로 닭고기가 듬뿍이라 먹기에 더 좋기는 하다. 비슷하게 만드는 닭곰탕 - https://homecuisine.co.kr/hc10/53692 조금 ...
    Date2018.02.20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5737
    Read More
  3.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is_keyword=%EB%8C%80%ED%8C%A8&where=document&search_target=content&page=1 (별 내용 없음) 명절이니까 대패목살구이? 는 말은 안되지만 명절 이후라 음식하기 귀찮고 다들 그렇지만 묵은 차례음식은 좋아하지 ...
    Date2018.02.17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9866
    Read More
  4.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로 간만 맞으면 다 좋다. 닭고기는 껍질을 손질해서 한 번 데쳐내고 육수에 양념 다 넣고 끓으면 닭고기 넣고 감자, 양파, 대파, 양배추, ...
    Date2018.02.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8523
    Read More
  5.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니 그게 벌써 2011년 11월.. 시간 정말 빠르다. 육회용 고기는 우둔살, 꾸리살 등을 사용하는데 최대한 마블링이나 힘줄이 없는 부위를 사는...
    Date2018.02.1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33031
    Read More
  6.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계란을 잘 푼 다음 밥을 계란에 넣고 밥알에 묻은 계란을 익혀 밥알에 계란옷이 하나하나씩 묻어 푸슬푸슬하게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밥, ...
    Date2018.02.1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88447
    Read More
  7.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홍합정구지전 아 아닌가? 거 부추찌짐 있잖아 저녁에 그거 먹자며 그러고 있었다. 사용한 재료는 3~4장분량으로 홍합을 넉넉하게 넣었다. ...
    Date2018.02.0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648
    Read More
  8.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장지에 비율도 다 적혀 있으니까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더 바삭바삭하도록 포장지 비율보다 약간 묽게 만들고 튀김가루에 물 대신 차가운 ...
    Date2018.02.0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1394
    Read More
  9.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우둔이나 설도를 주로 사용하지만 그 외에 기름이 많지 않은 구이용 소고기도 더 잘 어울린다. 산적용 고기는 두껍지 않은 것으로 기계에 ...
    Date2018.01.30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6489
    Read More
  10.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이전에 올린 글과 대동소이하다. 좋아하는 빈대떡, 파전집인 범일빈대떡과 비슷한 스타일이다. 묽은 반죽으로 무겁지 않고, 오징어는 데쳐서...
    Date2018.01.2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9126
    Read More
  11.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고 가볍게 먹기 좋다. 결국에는 라면이긴 하니까 마음은 가볍...
    Date2018.01.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3459
    Read More
  12.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만만하고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육수 1.5컵 국간장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깨 약간 무의 크기에 따라 간이 다르니까 국간...
    Date2018.01.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33625
    Read More
  13.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은 소금, 후추로 추가해서 입맛에 맞췄다. 계란을 구워서 오므라이스를 했는데 볶음밥 그대로 그냥 먹어도 좋고, 계란을 스크램블해서 볶아...
    Date2018.01.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1149
    Read More
  14.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익지 않은거니까(고기에서 수분이 나옴) 수육에 비해서 육수를 더 적게 잡고 뚜껑을 닫아서 고기가 익을 정도로만 익히면 채소도 잘 익고 ...
    Date2018.01.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0940
    Read More
  15.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득하니 보들보들하니 가장 맛있다. 여름보다는 늦가을이나 겨울이 떡을 사기도 좋고 당연히 떡국 먹기도 더 좋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
    Date2017.12.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7675
    Read More
  16.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사먹었는데 선지전골에 갈치구이도 맛있었고 만두 맛집도 다녀왔다. 그 중에 베트남음식을 맛있게 먹고 와서 어떻게 만들까 고민하고 있다. ...
    Date2017.12.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230
    Read More
  17.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찌개라 참치김치찌개만 먹으면 밥상 대회 주제에 대학교 때 이야기가 강제소환된다. 그러고 보니 며칠 연이어 얼큰한 찌개나 국인데 요즘 ...
    Date2017.12.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7604
    Read More
  18.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뭇국. 평소에 소고기무국을 만들 때는 양지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사태로 만들었다. 호주산이나 거세한우 보다는 한우 암소를 사용해...
    Date2017.12.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2124
    Read More
  19.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간단해서 좋다. 비슷한 재료로 돼지고기 대신에 우럭을 넣고 순서와 시간을 조금 바꾸고 산초나 쑥갓, 미나리 등을 추가하면 ...
    Date2017.12.1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30975
    Read More
  20.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골로 만들면 밥상에서 따끈하게 데워가며 먹으니 집안도 훈훈하고 전체적으로 따끈따끈하니 요즘 딱 좋다. 소고기 수육은 수육용 전골냄비와...
    Date2017.12.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07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