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전골 탕
2018.01.23 23:06

라면전골

조회 수 42143 추천 수 0 댓글 10

 


크기변환_IMG_7834.JPG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고 가볍게 먹기 좋다.

결국에는 라면이긴 하니까 마음은 가볍게!


라면은 풀무원 육칼을 사용했다.
육칼을 그냥 끓이면 국물이 진해서 그냥 먹기로는 좀 무거운 감이 있는데 
전골로 만들면서 라면물을 조금 넉넉하게 맞춰서 간을 하면 하면 짜지 않고 약간 매콤한 샤브칼국수와 비슷하다.


이전에 올린 소고기 버섯 샤브칼국수 - https://homecuisine.co.kr/hc10/64720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라면 2개

물 1.1~1.2리터 (간보고 가감)

다진마늘 1스푼

고추기름 약간

후추 약간


불고기나 샤브샤브용 소고기 200그램

만두 5개

떡 약간

알배추 5잎

팽이버섯 반줌

새송이버섯 1개

대파 반대


밥 0.7그릇

계란 1개

쪽파 약간

김 약간



육개장에 고추기름을 넣으니까 여기에도 고추기름을 사용했는데 고추기름 대신 고운 고춧가루를 약간만 넣어서 만들어도 좋고, 취향에 따라 생략해도 괜찮다.
라면 스프 2개에 고기와 채소, 버섯도 넉넉하게 넣어서 만드니까 보통 라면 간보다 약간 싱거운데 보통 라면 정도의 짠맛을 좋아하면 간장을 1티스푼정도 넣어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재료 준비하고 라면 끓이는 게 전부니까 당연히 간단하다.

알배추는 물기를 탈탈 털어서 송송 썰고, 팽이버섯을 밑둥을 손질해서 한 번 헹궈서 물기를 빼고, 새송이버섯은 얇게 썰어서 준비했다.
대파도 송송 썰고, 소고기는 얇은 불고깃감으로 준비하고 만두, 떡도 준비했다. 냉동만두는 채소를 손질하기 전에 가장 먼저 꺼내서 적당히 해동해뒀다.

크기변환_IMG_7838.JPG


라면 건더기스프와 액상스프에 물을 1.1리터 정도 붓고 끓여두었다. 
(채소와 고기를 먹은 다음 라면사리를 넣을 때 국물의 농도와 간을 맞추려고 물은 옆에 더 준비해두었다.)

크기변환_IMG_7837.JPG


냄비에 준비한 재료를 전부 넣고 알맞게 익으면 좋아하는 걸로 알아서 먹었다.

크기변환_IMG_7842.JPG



크기변환_IMG_7845.JPG



이 쯤 되면 불을 끄고..
크기변환_IMG_7852.JPG

소고기에 배추, 대파, 버섯, 만두, 떡이니 보통 전골 먹듯이 당연히 맛있게 잘 먹었다.


다음으로 라면사리를 넣을거니까 국물은 적당히 남겨두었다가 간을 보고 물을 조금 추가했다. 
약간 싱겁게 맞추면 라면사리가 다 익었을 때 간이 적당하다. 
라면사리에서 전분이 나와 국물에 농도가 생기니까 중간중간 잘 저어주고 간도 한두번 더 봐서 입맛에 맞췄다.

식사하는 인원수에 따라 라면사리는 1개나 2개나 알아서 투입하고 적당하고, 봉투에 쓰여진 시간만큼 익혔다. 
칼국수와 비슷한 질감의 라면사리가 부들부들하니 맛있고좋다.

크기변환_IMG_7858.JPG



마지막으로 밥을 넣고 잘 저어가며 끓인 다음 쪽파, 계란, 김가루를 넣어서 죽까지 세트로 끝. 
(고기를 미리 조금 접시에 건져두었다가 잘게 썰었다가 죽에 넣었다.)

이걸 꼭 좋아하는 식사메이트가 있어서 이번에는 조금 많아도 여기까지 완료했다.

크기변환_IMG_7860.JPG




크기변환_IMG_7863.JPG

고기와 채소, 버섯 등 여러가지 맛있는 식재료에 라면이니 당연히 맛있고, 라면사리에 죽까지 배부르고 기분좋게 잘 먹었다.



(혼자 먹을 때는 이렇게..)

크기변환_IMG_7250.JPG



  • 레드지아 2018.01.24 09:37

    우와~ 제가 좋아하는 재료들이 듬뿍이어서 뭐부터 젓가락이 가야하나 고민했어요 ㅋㅋ

    마치 제가 저 식탁앞에 앉아있는듯 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나 윤정님 채써는 솜씨는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그냥 라면은 뭔가 성의없어 보이는데 라면전골은 성의 왕창+ 요리로 업그레이드 된거 같아요 ^^

    저도 귀찮을때 요렇게 해봐야겠어요 ^^

     

  • 이윤정 2018.01.26 00:14
    사실 라면이 어지간한 라면은 다 맛있는거라 잘 어울리는 재료로만 골라서 더 넣어도 늘 맛있죠ㅎㅎ 그렇게 성의가 많아 보이지는 않지만요ㅎㅎㅎ
    최대한 조미되지 않은 식재료로 정성들여 만드는 음식도 좋지만 가끔은 이렇게 편하면서도 푸짐하게 먹는 것도 좋고 그렇지 않나요ㅎㅎㅎㅎ
    오늘도 너무 추웠죠ㅠㅠ 주말에 따끈따끈하고 맛있는 걸로 편하게 챙겨드시고 진심으로 감기 조심하세요! 저 열흘동안 엄청 고생했어요ㅠㅠㅠㅠ
  • 시우민 2018.01.25 15:19

    윤정님 ㅠㅠ 저 이거보고 댓글달려고 회원가입했어용... 이거 할수있을거같아요 ㅠㅠ 꼭만들어볼게요..

  • 이윤정 2018.01.26 00:16
    반갑습니다^^ 성함이 아주 유명하신ㅎㅎㅎㅎㅎㅎ
    만들기도 편하고 또 라면이니까 당연히 맛있어요. 참고하셔서 맛나게 만들어 드셔요^^
  • rumei 2018.01.26 12:30
    왜 어제저녁에 풀무원 육개장 칼국수를 그냥 끓여먹은 것일까요....다음번엔 꼭 도전해보겠습니다 넘 맛있어보여용..
  • 이윤정 2018.01.28 00:22
    라면이 그냥 끓여먹으라고 나온거니까 아마 가장 맛있으셨을거에요^^ 시간남고 재료 남으면 한번씩 이렇게 해먹기도 좋고요^^
  • 샤샤샥 2018.02.06 00:33
    오늘같이 겁나 추운날 딱인 메뉴네요!!!!!
    배추랑 버섯 한두개씩 먹다가 고기 챡착 건져먹고 만두 딱딱 쪼개서 먹고 라면 호록호록 먹고 이미 배불러 죽을 거 같지만 뺄 수 없는 죽까지 비우고 나면 세상 행복할 거 같네요ㅠㅠㅠㅠㅠㅠㅠㅠ 마음으로 상상으로 백번 먹었습니다 씁쓸...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8.02.07 00:26
    이렇게 추운 날 전골하면 집에 온기도 돌고 몸도 따뜻하니 좋죠ㅎㅎ
    샤샤샥님 댓글 읽고 있으니 저도 먹고 있는 느낌이 들어요ㅎㅎㅎㅎㅎ
    상상으로는 이미 드셨으니 이번주 안에 꼭 전골 드시기로 약속해요ㅎㅎ
  • 뽁이 2018.02.06 09:24
    엥 !!! 저랑 같이 안드셨는데요 ? ㅋㅋㅋㅋ
    죽 좋아하는 식사 메이트 ... ㅋㅋㅋㅋ
    주말에 조개샤브 해먹고 배가 너무 불러서
    그 국물에 죽 못먹은게 지금 생각나네요 ... ㅠㅠㅠ
  • 이윤정 2018.02.07 00:27
    앗 그러게 제가 사람을 착각했나봅니다ㅎㅎㅎㅎㅎ
    주말에 조개샤브샤브라니 완전 부러워요ㅠㅠ
    국물에 죽은 안하셨어도 그냥 마셔도 시원하니 너무 맛있었겠어요!

  1. 곱창전골 만들기, 레시피

    다들 좋아하는 곱창전골이 있기 마련인데 내가 좋아하는 양곱창집의 곱창전골 스타일로 만들고 있다. 곱창구이는 자갈지 영진양곱창의 특양을 좋아하고 곱창전골은 대정양곱창을 좋아한다. 여기는 곱창전골에 소곱창이 아닌 소대창과 특양이 들어가는데, 고소한 맛은 특양보다는 대창에서 나온다. 구이는 특양을 좋아하지만 곱창전골에는 대창을 좋아해서 한우 대창만으로 곱창전골을 만들었다. 기름이 조금 과하긴 하지만 가끔 먹기는 좋다. 소곱창을 사용할 경우에는 깨끗하게 손질한 곱창을 끝을 묶고 끓는 물에 된장, 생강, 청주 등을 넣고 소곱...
    Date2018.11.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6561 file
    Read More
  2.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만들기, 만드는법

    2019년 11월 업데이트한 만두전골 - https://homecuisine.co.kr/hc10/86575 겨울에 밥상에 놓고 끓여 먹기 좋은 만두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황태육수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만두도 빚어서 사용하면 더 좋다. 만두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1391&mid=hc10 간편하게 끓이는 만둣국에 추가로 양념장과 채소만 조금 준비하면 더 풍성하게 먹을 수 있고 재료만 준비하면 되니까 조리시간이 길지 않아 편하다. 사용한 재료는 ...
    Date2016.12.2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36606 file
    Read More
  3. 소고기버섯전골, 국수전골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오늘처럼 날이 추울 때 뜨끈뜨끈한 전골이면 방안도 훈훈하고 속도 뜨끈뜨끈하니 좋다. 그래서 소고기 버섯전골에 국수사리를 넣어서 소고기버섯 국수전골. 소불고기는 한우암소로 준비하면 국물이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소고기 불고기용 250그램 배추 6잎 대파 1대 팽이버섯 1봉투 황금팽이버섯 1줌 표고버섯 2개 느타리버섯 1줌 새송이버섯 1개 쑥갓 약간 황태육수 약 700미리 사골육수 500미리 양념장으로 다진마늘 1.5스푼 고운고춧가루 1.5스푼 간장 1.5스푼 국간장 0.5스푼 후추 약간 생소면 2인분 죽으로 밥 약 1그릇 계란 1개 ...
    Date2017.01.1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7102 file
    Read More
  4.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골로 만들면 밥상에서 따끈하게 데워가며 먹으니 집안도 훈훈하고 전체적으로 따끈따끈하니 요즘 딱 좋다. 소고기 수육은 수육용 전골냄비와 그 위에 얹는 타공찜판을 사용해서 육수를 붓고 워머에 온도를 유지하며 먹는데 따로 살 것까지는 없어서 어떻게 할까 고민했다. 평범한 전골냄비에 배추를 잔뜩 쌓고 육수를 약간 부어 쪄서 고기를 얹으면 적당하겠다 싶어서 배추를 타공찜판 대...
    Date2017.12.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37628 file
    Read More
  5. 라면전골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라면전골. 전골이긴 하니까 여러 재료를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긴 하지만 전골 중에서도 가장 쉬우면서도 효율이 좋아서 겨울에 해먹기 만만하다. 그냥 라면에 추가토핑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라면 면을 마지막에 넣는 그런 느낌인데 편하게 생각할수록 효율이 좋다. 편하면서도 맛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럴 만 도 한 게 라면이 원래 맛있는거니까?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 대신 대패삼겹살을 사용했는데 취향에 따라 고기를 선택하면 적당하다. 삼겹살은 기름이 있으니까 소량만 넣기 적합하면서 식감이 부드럽고 소고기...
    Date2018.11.08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38910 file
    Read More
  6.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고 가볍게 먹기 좋다. 결국에는 라면이긴 하니까 마음은 가볍게! 라면은 풀무원 육칼을 사용했다. 육칼을 그냥 끓이면 국물이 진해서 그냥 먹기로는 좀 무거운 감이 있는데 전골로 만들면서 라면물을 조금 넉넉하게 맞춰서 간을 하면 하면 짜지 않고 약간 매콤한 샤브칼국수와 비슷하다. 이전에 올린 소고기 버...
    Date2018.01.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0 Views42143 file
    Read More
  7.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2013/05/02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한우 사골과 잡뼈로 만든 사골국. 5월인데도 밖에는 자주 나가지 않으니 따뜻한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아까 밤에 밖에 잠깐 나가니 아직도 약간 쌀쌀하던데 아마 올해 냉동실에 사골국을 넣어 둘 마지막 타이밍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어릴 때부터 곰국이라고 불렀는데 엄마께서 해마다 겨울이면 이삼일씩 오래도록 고아서 몸에 좋다며 해주셨다. 어릴 때는 고기 냄새에 조금 약해서 크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크고 보니 맛도, 어머니의 정성도 알게 됐다. 그리고 조금 커서 보니 설렁탕이라 부르는 것...
    Date2013.05.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5219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