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6997.JPG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찌개라 참치김치찌개만 먹으면 밥상 대회 주제에 대학교 때 이야기가 강제소환된다.

그러고 보니 며칠 연이어 얼큰한 찌개나 국인데 요즘 날씨도 춥고 이불밖으로 나가기도 싫어서 밥 안하고 버티다가 편하게 손가는 대로 자주 해먹어서 그렇다. = 하기 싫음..



너무 간단해서 말할 것도 없지만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잘 익은 김치 4분의1포기 (+김치국물 적당량)

멸치황태육수 약 4컵 (+필요시 물이나 육수 추가)

고운 고춧가루 1스푼

국간장 1티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후추 약간

참치 2캔

두부 1모

라면사리 (선택)



우리집 참믈리에 콜믈리에가 참치는 동원참치(마일드X), 콜라는 코카콜라를 늘 먹는데 맛을 귀신같이 딱 알아채서 이번에도 동원 살코기 참치를 사용했다.

육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43240




김치는 대충 썰고 육수, 고운고춧가루, 간장, 마늘을 넣어서 뚜껑을 닫고 25~30분정도 중약불에 푹 끓였다.


크기변환_IMG_4182.JPG     크기변환_IMG_4188.JPG




여기에 대파, 참치, 두부를 넣고 두부가 뜨끈할 정도로 끓인 다음 간을 봐서 라면사리를 추가하면 완성.

약간 싱거우면 간장을 약간 넣고, 김치가 조금 덜 익었으면 식초를 약간 넣고, 김치가 너무 익었으면 설탕을 약간 넣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식으로 맛을 맞추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DSC03779.JPG    크기변환_DSC03780.JPG



------------------------------------


이번에는 식사 시간에 맞춰 끓이기 좀 빠듯한 시간이라 오전에 미리 두부와 라면사리를 넣기 전까지 만들어 두었다가 식사시간에 데우기만 해서 밥상에 올렸다. (여름에는 냉장)

라면사리가 육수를 많이 흡수하니까 육수를 보충하고, 두부를 넣어 한번 끓어오르면 라면사리를 넣어서 끓였다. 

육수를 넣으면 간을 다시 봐야하니까 마지막에 간을 보고 간장을 약간 넣어서 입맛에 맞게 간을 딱 맞췄다. (몰랐는데 지금 사진 보니까 양파도 넣었다. 취향에 따라 선택..)


크기변환_IMG_4303.JPG 




크기변환_IMG_6997.JPG    

단독으로 올린 것이 오랜만이지만 언제나 만만한 참치김치찌개. 

생선 싫어하는 식구도 이것만은 잘 먹는다. 무슨 논리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참치는 생선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듯? 


참치를 미리 넣어서 끓이면 참치가 풀어져서 바닥에 가라 앉아서 마지막에 참치가 많다. 그것도 좋기는 한데..

어쨌든 참치를 마지막에 넣어서 덩어리가 지도록 있도록 만들었다. 

큰 의미는 없지만 한 숟가락에 제 모양을 유지한 참치가 큰 게 하나 딸려 오면 괜히 좋다.

+라면사리 호로록~



  • 레드지아 2017.12.26 09:37

    참믈리에 콜믈리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는 맛을 잘 모르는데 마일드와 일반참치와 맛이 다른가봐요!! (하기야 맛이 다르니 다른종류로 팔겠죠? ㅋㅋ)

     

    참치는 덩어리가 다 부수어지면 좀 슬퍼요. 지저분도 하고요 ㅋㅋ

    큰덩어리가 하나 딸려올때의 그 작은 행복!!  ^^

  • 이윤정 2017.12.26 23:45
    오뚜기참치 사조참치는 안먹는다며ㅎㅎㅎ 펩시콜라는 펩시맛이 난다며ㅎㅎㅎ 아이고야 네네 그렇습니다 에요ㅎㅎㅎㅎ
    역시 참치는 큰거 하나 숟가락에 턱 올라오면 아 이거 좀 미안하기도 하고ㅎㅎ 그치만 냠냠입니다ㅎㅎ
  • 뽁이 2018.01.05 07:46
    참믈리에 ㅋㅋㅋㅋㅋ 대박 ㅋㅋㅋㅋ
    전 미맹이라 그런거 진짜 구분 못하거든요 ㅋㅋㅋ
    쏘믈리에 쏘세지 ... 그거 잘하는 사람은 봣는데
    참믈리에는 첨 뵈요 크크크

    그나저나 참치 한 덩어리가 왜 큰 의미가없나요 ...
    그날 급식늬 위너가 되는 일인데요 .... 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8.01.07 00:43
    그 쪽에는 또 쏘믈리에가 있군요ㅎㅎㅎㅎㅎ
    저는 콜라랑 참치 절대 구분 못해요ㅎㅎㅎㅎ
    참치 한덩어리의 의미를 겸손하게 이야기 하면 안됐는데 죄송해요! (그치만 저는 급식을 먹어본 적이 없는 연식이라ㅜㅜㅜㅜㅜ)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4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 6 file 이윤정 2018.02.22 21368
603 한그릇, 면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 2 file 이윤정 2018.02.20 15739
602 일상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is_keyword=%EB%8C%80%ED%8C%A8&where=document&search_target=content&pa... 2 file 이윤정 2018.02.17 9869
601 한접시, 일품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 2 file 이윤정 2018.02.14 18530
600 고기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 5 file 이윤정 2018.02.12 33035
599 밥류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 7 file 이윤정 2018.02.10 88454
598 한접시, 일품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4 file 이윤정 2018.02.09 7656
597 한접시, 일품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 6 file 이윤정 2018.02.01 11396
596 고기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 2 file 이윤정 2018.01.30 26495
595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 4 file 이윤정 2018.01.27 19127
594 전골 탕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 10 file 이윤정 2018.01.23 43466
593 반찬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 4 file 이윤정 2018.01.18 33626
592 밥류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 6 file 이윤정 2018.01.07 21154
591 고기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8 file 이윤정 2018.01.02 20943
590 국 찌개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 6 file 이윤정 2017.12.28 7677
589 전골 탕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 9 file 이윤정 2017.12.26 7236
»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 4 file 이윤정 2017.12.23 17610
587 국 찌개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 4 file 이윤정 2017.12.21 22128
586 국 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4 file 이윤정 2017.12.19 30980
585 전골 탕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 8 file 이윤정 2017.12.09 40798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