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크기변환_IMG_6470-.jpg


내장은 여러가지로 준비해도 괜찮은데 내장탕을 먹을 때도, 곱창집에 갈 때도 내장 중에서는 양을 제일 좋아해서 소양만 구입했다. 

여러가지 내장이나 곱창을 넣을 경우에도 비슷하게 씻고 데친 다음 썰어서 넣으면 적당하다.

(정육점에서 한우암소 소양을 2키로 구입했고 손질해서 3등분하고 냉동한 다음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했다.)



사용한 재료는 (약 5~6인분으로)


소양 600그램 (손질후 150)

소고기 500그램


토란대 2줌

표고버섯 10개

대파 3대


국간장 5스푼 (+간보고 조절)

고추기름 2스푼

고운고춧가루 3스푼
고춧가루 1.5스푼

다진마늘 4스푼

참기름 약간

후추약간



육개장을 만드는 과정과 거의 똑같다.

취향에 따라 추가로 고사리, 얼갈이배추, 숙주, 무 등을 넣으면 더 좋다.

토란대는 건조상태의 토란대 60그램을 불리고 손질해서 3분의1을 사용했다.


고추기름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0843&mid=hc10
토란대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9120&mid=hc20


소양은 밀가루와 소금을 넣고 빨듯이 문질러서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뺐다.
냄비에 물을 넉넉하게 붓고 청주 반병, 양파, 마늘을 넣고 팔팔 끓으면 소양을 넣고 10분정도 끓인 다음 건져서 물에 한 번 씻어냈다.

크기변환_IMG_6231.JPG     크기변환_IMG_6232.JPG    


양은 가위로 껍질?을 까서 깨끗하게 준비하고 먹기 좋게 결 반대방향으로 썰었다.

크기변환_IMG_6244.JPG     크기변환_IMG_6245.JPG 



크기변환_IMG_6251.JPG  


토란대는 미리 불리고 삶고 불려서 준비했고 표고버섯은 썰어서 데치고 대파도 썰어서 준비했다.
대파도 한 번 데쳐내면 국물의 질감이 더 맑다.

크기변환_IMG_6261.JPG     크기변환_IMG_6264.JPG

소고기는 덩어리로 준비해서 핏물을 닦아내고 냄비에 구운 다음 끓는 물에 넣고 10분정도 삶고 그동안 떠오르는 거품을 깨끗하게 걷어냈다.

소고기도 건져서 먹기 좋게 결 반대방향으로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6253.JPG    크기변환_IMG_6254.JPG

크기변환_IMG_6256.JPG     크기변환_IMG_6258.JPG 


소고기를 삶던 냄비에 준비한 소고기와 소양을 넣은 다음


크기변환_IMG_6260.JPG 



국간장, 고추기름, 고춧가루, 고운고춧가루, 다진마늘, 참기름, 후추를 넣고

준비한 토란대와 표고버섯, 대파를 넣고 중불~중약불로 1시간 30분동안 더 푹 끓였다.


크기변환_IMG_6263.JPG     크기변환_IMG_6266.JPG

크기변환_IMG_6268.JPG     크기변환_IMG_6270.JPG 

중간중간 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넣어서 너무 졸아들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10분정도 남겨두고 간을 봐서 짜면 뜨거운 물을 추가로 붓고, 싱거우면 국간장으로 간을 약간 더 해서 간을 딱 맞게 마무리하면 적당하다.



소분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2인분씩 꺼내서 물을 약간 붓고 한 번 끓인 다음 (필요하면 소금 약간으로 간을 맞춰서) 밥상에 올렸다.

크기변환_IMG_6461.JPG 



크기변환_IMG_6470.JPG    

소양은 질기지 않고 쫀쫀하게 고기는 부드럽게 잘 익었다.
얼큰한 국물에 고기와 양이 넉넉하게 들었고 토란대, 버섯, 대파도 두루두루 맛있었다. 
일단 먼저 건져서 먹고 또 밥도 말고, 얼큰하고 구수한 내장탕 한그릇만 있어도 밥상에 부족함이 없다.
고추기름 만들고 토란대 손질하고 소양 손질하고 일이 좀 많기는 한데 그래도 잘 먹고 맛있으니 좋았다.
  • 레드지아 2017.10.26 10:48

    소양 600그램 (손질후 150)  <------ 가성비가 극악이네요 ^^

     

    내장은 손이 너무 많이 가서 잘 안하게 되더라구요 ㅜ_ㅠ

     

     역시 부지런한 윤정님이셔서 소내장탕도 부지런히 맛있게 끓여드셨네요.

    저는 갈수록 집안일이니 부엌일이 하기 싫어 죽겠어요. 아무래도 왕비로 살 운명인데 무수리로 태어나서 반항심이 생긴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7.10.28 23:32
    말씀대로 극악이죠ㅎㅎㅎㅎ 삶으면 훅 줄어드는데다가 손질까지 하면 조금 허무하기도 한데 그래도 먹다보면 적지는 않더라고요ㅎㅎㅎ
    지난주에 남편 야근하는 바람에 저는 1주일동안 독거인의 삶을 살았더니 밥도 안하고 드래곤볼에 나오는 선두만 먹고 싶면 좋겠다는 생각만 들었어요ㅎㅎㅎ
  • 혜니홀릭 2017.10.28 23:54
    내장탕 참 좋아하는데 손질할 용기가 나지않아 못해본 음식인데 윤정님은 괜히 윤정님이 아니신듯!! 그래도 포스팅보니 용기가 좀 생기네요. 이 야심한밤 내장탕 한그릇이 너무 하고 싶네요^^
  • 이윤정 2017.11.02 01:19
    저도 번거롭고 해서 좋아하는 것 하나만 샀는데 여러가지 하면 손질하기 더 번거로웠겠죠ㅎㅎㅎㅎ
    조금 넉넉하게 끓여서 냉장고에 넣어 뒀다가 먹을만큼 덜어서 데워 먹으니 누가 해준 것 같고 좋았어요ㅎㅎㅎㅎㅎㅎㅎ
  • 뽁이 2017.10.30 17:24

    음마야 ㅋㅋㅋ 내장 ... 탕 !!!

    파는 내장탕도 못드시는 분들 많을텐데

    심지어 손질까지 하시다니 ㅠㅜ 역시 전문가는 다르십니다 !

     

    이런 것 놓고 남편분 쏘주 한 잔 드시면

    아주 그냥 사랑이 샘샘샘 !!! 샘솟을거같은데요 ㅋㅋㅋㅋㄱ

  • 이윤정 2017.11.02 01:23
    저도 내장탕에 내장이 좋아하는 것도 있고 안먹는 것도 있고 해서 조금 덜 번거롭게 끓였어요.
    된장도 조금 넣고 구수하게 끓여도 좋고 이렇게 얼큰한 것도 좋고요^^
    내장탕 놓고 남편이 잘 먹기는 하는데 양 손질한다고 손아프다고 했더니 맛있어도 힘든 건 싫다고 다시는 먹지 말자는데 이런게 사랑인가요ㅎㅎㅎㅎ (아닐지도요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604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 6 file 이윤정 2018.02.22 21503
603 한그릇, 면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 2 file 이윤정 2018.02.20 15890
602 일상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mp;act=IS&amp;is_keyword=%EB%8C%80%ED%8C%A8&amp;where=document&amp;search_target=content&amp;pa... 2 file 이윤정 2018.02.17 10044
601 한접시, 일품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 2 file 이윤정 2018.02.14 18711
600 고기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 5 file 이윤정 2018.02.12 33357
599 밥류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 7 file 이윤정 2018.02.10 88624
598 한접시, 일품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4 file 이윤정 2018.02.09 7883
597 한접시, 일품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 6 file 이윤정 2018.02.01 11574
596 고기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 2 file 이윤정 2018.01.30 26724
595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 4 file 이윤정 2018.01.27 19333
594 전골 탕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 10 file 이윤정 2018.01.23 43639
593 반찬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 4 file 이윤정 2018.01.18 33752
592 밥류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 6 file 이윤정 2018.01.07 21292
591 고기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8 file 이윤정 2018.01.02 21040
590 국 찌개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 6 file 이윤정 2017.12.28 7849
589 전골 탕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 9 file 이윤정 2017.12.26 7351
588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 4 file 이윤정 2017.12.23 17764
587 국 찌개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 4 file 이윤정 2017.12.21 22265
586 국 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4 file 이윤정 2017.12.19 31128
585 전골 탕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 8 file 이윤정 2017.12.09 41005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