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제목은 새우만두이긴 한데 새우와 돼지고기를 반반으로 넣어서 만들었다.

새우와 돼지고기가 아주 잘 어울린다.



간은 전체를 만두소를 무게로 재어서 0.5%로 맞췄다.

입맛에 따라 그냥 먹어도 좋고 취향에 따라 간장+식초 양념장에 아주 살짝 찍으면 간이 딱 좋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다짐육 500그램

새우 500그램


알배추 300그램

대파 300그램

부추 300그램

다진마늘 50그램


간장 50미리

후추 0.5티스푼

참기름 3스푼

감자전분 3스푼


만두피 3팩



재료는 전부 손질 후 무게이고 여기에 삶아서 식히고 잘게 썬 당면 넣으면 좀 더 가벼운 질감이 된다.

고기와 새우에 대파, 배추, 부추로도 충분하기는 하다.


고기+새우 : 채소+양념 : 만두피 의 무게가 1:1:1이 되면 균형이 딱 맞다.

전체 만두소의 무게가 2키로 정도 되면 만두피는 3팩이 적당하다.

(만두피는 메가마트몰에서 구입했고 종가집 찰진 생만두피를 사용했다.)



가장 먼저 냉장만두피는 실온에 꺼내두어야 빚기가 편하다. 포장을 벗기자마자 마르기 시작하니까 최대한 포장을 늦게 뜯고,

포장을 뜯고 난 다음이나 만두를 빚는 중간중간에는 젖은 면보나 키친타올로 꼭 덮어두는 것이 좋다.


알배추는 잘게 썰어서 소금을 살짝 뿌리고 수분이 배어나오면 면보에 놓고 꾹 짜서 물기를 제거했다.


크기변환_DSC06488.JPG     크기변환_IMG_5177.JPG


크기변환_DSC06492.JPG     크기변환_DSC06493.JPG



대파도 잘게 송송 썰고 얇게 풀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5193.JPG

 

부추는 뿌리 쪽은 적당히 베고 찬물에 담가 흔들어 씻고 건지기를 여러번 반복하고 사이사이를 헹군 다음 잎 끝을 하나하나 깔끔하게 다듬고 물기를 바짝 털어서 송송 썰었다.


크기변환_DSC01507.JPG    크기변환_DSC05627.JPG  



새우는 적당히 잘게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5174.JPG     크기변환_IMG_5180.JPG 



준비한 재료를 차곡차곡 볼에 넣고 전체적으로 반죽해서 만두소를 완성했다.


크기변환_IMG_5186.JPG     크기변환_IMG_5191.JPG


크기변환_IMG_5196.JPG     크기변환_IMG_5199.JPG




만두피는 마르지 않도록 비닐봉투에 넣고 하나씩 꺼내서 사용했다.

만두피에 물을 적당히 묻힌 다음 만두소를 한숟가락 소복하게 얹고 반으로 접었다.


크기변환_IMG_5200.JPG    크기변환_IMG_5210.JPG 




반으로 접어 꾹꾹 눌러 붙힌 다음 왼손에 놓고 중간부터 시작해서 윗쪽으로 오른속 엄지 검지 중지로 물결무늬를 만들고 

다른 쪽으로 돌린 다음 남은 부분을 다시 중간부터 위로 물결무늬를 만들었다.


크기변환_IMG_5212.JPG     크기변환_IMG_5213.JPG


크기변환_IMG_5214.JPG     크기변환_IMG_5217.JPG 



만들어 둔 만두도 마르지 않도록 비닐을 씌워서 마르지 않도록 유지하고, 쪄낸 만두도 마르지 않도록 살짝 식으면 비닐로 덮어서 촉촉하게 유지했다.


크기변환_IMG_5220.JPG 


약 100개 완성! 이제 찌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시간을 보니 3시간이 지나있었다..




만두찜기+실리콘 찜시트를 쓰면 편한데 어디 깊숙한 곳에 보관해둬서 찾기가 귀찮아서 종이호일을 아래에 깔고 냄비+찜삼발이로 만두를 쪘다.


크기변환_IMG_5226.JPG     크기변환_IMG_5227.JPG  


만두는 종이호일과 너무 찰싹 달라붙으면 만두피가 찢어지니까

마른 종이호일 위에 만두를 바로 놓고 찌고, 찐 다음 뚜껑을 열면서 수증기를 종이호일위로 조금 흘려주면 잘 떨어진다.




종이호일에 만두가 달라붙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만두를 놓은 다음 김이 오른 찜기에 넣고 6~7분정도 찌고 서로 붙지 않도록 식히고 포장하고 냉동보관했다.


크기변환_IMG_5234.JPG  





크기변환_IMG_5223.JPG    크기변환_IMG_5237.JPG


크기변환_IMG_5224.JPG    크기변환_IMG_5229.JPG


반을 베어먹고 보면 새우가 잘 안보이는데 만두를 뒤집으면 곳곳에 발갛게 새우가 잘 보인다.

갓 쩌낸 만두를 한입 딱 먹으면 여태 고생했던 것이 그나마 보상이 되면서 막 맛있고 좋다.




냉장실에서 해동한 만두는 쪄서 먹거나 만둣국으로 먹기 좋다.

찜기를 꺼내기 귀찮을 때는 팬에 기름을 두르고 아랫부분을 살짝 지진 다음 물을 몇스푼 넣고 뚜껑을 닫아서 그대로 수분이 다 마를 때까지 쪄내면 부드럽고 촉촉하게 잘 익는다.


크기변환_IMG_5285.JPG     크기변환_IMG_5286.JPG




크기변환_IMG_5293.JPG





크기변환_IMG_5294.JPG





크기변환_IMG_5299.JPG


윗면은 촉촉하고 아래는 살짝 바삭하니 질감도 마음에 딱 든다.

만두 속이 가득이라 먹기도 좋고 새우도 탱긍탱글하니 고기와 잘 어울려서 밸런스도 좋다.

만들기가 좀 힘들어서 그렇지 먹을 때는 무조건 막 맛있다.





  • 레드지아 2017.10.12 11:08

    꺄꺄~~~

    제가 만두광인지 어찌 아시고!!!!!!!!!!!!!!!!

    새우새우새우!!!!!!!!

    고진교신자지만 단가높은 새우도 좋아함을 고백합니다!!!

    만두도 참 이쁘게 잘 빚으시네요 ^^

  • 이윤정 2017.10.17 00:35
    만두 빚기가 번거로워서 비비고왕교자 자주 사다먹는데 그러다보면 한번씩 빚고 싶기도 하고 막 그래요 ㅎㅎㅎㅎㅎ
    기왕 빚는 것 사먹을 때 단가가 더 높은 새우만두가 더 효율이 좋은거 같아요 크크크크
    만두피도 반죽해서 빚으면 더 이쁘게 잘 나오는데 시판만두피로는 이렇게 만드는 것이 저는 좋더라고요^^
  • 뽁이 2017.10.19 10:18

    세상에나 이렇게 만들었는데 먹을때 무조건 맛있지 않으면 어쩌란말입니까 !!!

    진짜 ㅠㅠ 만두 저 사먹는거 사실 별로 안좋아하거든요 ㅋㅋ

    근데 집에서 빚은 만두는 없어서 못먹어요 ㅋㅋㅋ 다른건 사먹는것도 잘하면서

    만두는 이상하게 ? 사먹는게 맛없더라고요 ㅋㅋ ㅠㅠ

    그런의미에서 윤정님 만드신거 냉동실 좀 털러 가고 싶은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7.10.20 23:59
    뽁이님 집에서 만든 만두는 얼마나 맛있을지 혼자 생각만 해보는데도 기분이 좋아져요!
    그런데 만두 만들다보면 힘들어서 만두를 만들 때는 다음에는 사먹겠다고 다짐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ㅎㅎㅎㅎㅎ
    냉동실 털러 오시면 언제든 털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ㅎㅎㅎㅎ
  • 만두장수 2019.03.28 00:00
    2~3분만 찐 다음 선풍기에서 충분히 식혀...아...아...아녜요...뭘 안다고 까불겠어요^^;;
  • 이윤정 2019.03.28 05:11

    아 2~3분 찌고 바람으로 식히면 되는군요! 저는 만두 초짜라서 이러고 있었잖아요ㅠㅠ
    만두피는 어떻고 어떻게 빚고는 알아서 하고 어쨌든 찔 때는 2~3분 찌고 선풍기로 식히라고 해주신거 맞죠??? ㅎㅎ

    만두장수님 닉네임만 봐도 최고 전문 분야이신데, 농담이 과하신거 아니에요 ㅎㅎㅎ
    '뭘 안다고 까불겠어요' 라니ㅎㅎㅎㅎ
    너무 대놓고 프로이신데 겸손하게 말씀하시니 저 약간 어쩔 줄 모르겠잖아요^^; 
    프로 중에 프로이시면서 만두초보인 제게 가르침도 없이ㅠㅠ 많이 가르쳐주세요~

  • 만두장수 2019.03.31 23:29
    수업시간에 쌤이 들어오셔서 "야~네가 나 좀 가르쳐봐라" 하는 상황이네요^^;;

    그래도 건방레이션하게 쌤 앞에서 아는척 하자면요.
    생만두를 다 익을 때까지 한방에 찌는 것 보다, 반만 찌고 선풍기 바람에 충분히 식혀 냉장보관하고 있다가 나머지 반을 찌는게 더 좋습니다. 뭐가 좋아? 피요. 한방에 찌는 것보다 피에 탄력이 생기고요, 과화게 찌는거에 비해 모양도 안망가지고, 보관 상태에따라 좀 다르지만...특히 김치만두의 경우 뗏갈도 더 이쁘게 잘 나오고...바로 먹는게 아닌 보관해야 하는 만두는 생만두로 보관은 매우 안좋고 초벌해서 보관하는게 훨 좋고, 기타등등합니당^^;;

    2018년 6월 4일 생생정보통 다시보기 할 수 있으면 함 봐주세요...저 나와요ㅋㅋㅋ
  • 이윤정 2019.04.03 05:15
    두둥.. 교수님 등장ㅎㅎㅎㅎ
    완전 꿀팁만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생생정보통 지금 바로 찾아볼거에요ㅎㅎㅎ
  • 만두장수 2019.04.03 23:04
    히히...생방송투데이인데 잘못 말씀드렸네요...아는척해서 민망합니다^^;;
  • 이윤정 2019.04.04 03:39
    티비를 안봐서 몰랐는데 이런 좋은 프로그램이 있었네요ㅎㅎ

    https://programs.sbs.co.kr/culture/today3/vod/54203/22000278210

    여기 맞죠?

    http://program.kbs.co.kr/2tv/culture/reallive/pc/list.html?smenu=c2cc5a
    https://programs.sbs.co.kr/culture/today3/vods/54203

    전부 다 찾아보고

    링크 찾고 앱 깔으래서 깔았는데 깔아도 안보여서 오늘은 시간이 너무 늦고 내일 다시 시도할거에요ㅎㅎㅎ
  • 만두장수 2019.04.04 23:44
    아놔...무슨 이케까지 수고를 하십니까...하지마세요...그거 보시려면 유료예요...보실 필요없습니다. 난 꼭 봐야겠다 싶으시면 메일로 보내드릴 순 있지만 뭐 볼게 있다고요... 걍 대화동 투명만두라고 이미지 검색해 보시면 게중에 제 얼굴도 나와요ㅋㅋㅋ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604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 6 file 이윤정 2018.02.22 21502
603 한그릇, 면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 2 file 이윤정 2018.02.20 15890
602 일상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is_keyword=%EB%8C%80%ED%8C%A8&where=document&search_target=content&pa... 2 file 이윤정 2018.02.17 10044
601 한접시, 일품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 2 file 이윤정 2018.02.14 18711
600 고기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 5 file 이윤정 2018.02.12 33356
599 밥류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 7 file 이윤정 2018.02.10 88624
598 한접시, 일품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4 file 이윤정 2018.02.09 7883
597 한접시, 일품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 6 file 이윤정 2018.02.01 11574
596 고기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 2 file 이윤정 2018.01.30 26724
595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 4 file 이윤정 2018.01.27 19333
594 전골 탕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 10 file 이윤정 2018.01.23 43639
593 반찬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 4 file 이윤정 2018.01.18 33752
592 밥류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 6 file 이윤정 2018.01.07 21292
591 고기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8 file 이윤정 2018.01.02 21040
590 국 찌개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 6 file 이윤정 2017.12.28 7849
589 전골 탕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 9 file 이윤정 2017.12.26 7351
588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 4 file 이윤정 2017.12.23 17764
587 국 찌개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 4 file 이윤정 2017.12.21 22265
586 국 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4 file 이윤정 2017.12.19 31128
585 전골 탕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 8 file 이윤정 2017.12.09 41005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